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특성의 매개효과

        연은모,최효식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6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 중, 취업 중인 어머니 44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심리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관계,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 결혼생활 관련 변인인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부부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대체로 심리적 특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 분야에서의 본 연구의 의의와 가족 상담 과정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 갈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최경일,조성희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Parenting Efficacy and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Perceived by MothersKyungil Choi & Sunghui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lternatives to enhance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by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efficacy, marital conflict, and self-esteem perceived by mothers. For this purpose, data of mothers with children around the age of 10 were analyzed using the 9th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on parenting efficacy and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in this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and self-esteem directly affect parenting efficacy. Second, self-esteem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family life education, stress relief programs, and self-help groups were suggested as a practical way to reduce marital conflict and increas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self-esteem. Key Words: Marital Conflict, Parenting Efficacy, Self-esteem, Mediation Effect, Mothers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 갈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최 경 일*ㆍ조 성 희**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양육효능감, 부부 갈등 및 자아존중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한국아동패널 9차 자료를 활용하여 10세 전후의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어머니가 인식하는 부부 갈등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파악하였으며, 부부 갈등과 양육효능감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부부 갈등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고 있었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부 갈등을 감소하고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가족생활교육,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 자조모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부부 갈등, 양육효능감,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어머니 □ 접수일: 2022년 8월 19일, 수정일: 2022년 9월 2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Halla Univ., Email: kichoi@halla.ac.kr)** 교신저자,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eoul Theological Univ., Email: shcho@stu.ac.kr)

      • KCI등재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서석원 ( Seok Weon Seo ),이대균 ( Dae Kyu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 영아의 정서성 기질 및 어머니의 우울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월령이 24개월 이상 31개월 이하인 영아 1,802명과 해당 영아의 어머니이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2010)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AMOS 18.0으로 통계처리 하였는데 최종모델의 적합도는 RMR=.004, GFI=.999, AGFI=.989, NFI=.998, IFI=.999, TLI=.988, CFI=.999, RMSEA=.035로 매우 우수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부부갈등, 그리고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어머니의 우울을 매개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우울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었으며 직접적으로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변인이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nflict,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and mother`s depression on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2 children aged from 24 to 31 months and their mothers. The data were from the third year research results by the Korean Children`s Panel Survey(2010). A path analysis was implemented by AMOS 18.0. Results reveal that the fitness of the model is excellen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nflicts, and the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influenced mother`s parenting stress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it as well via the mediation of mother`s depression. In particular, while mother`s depression had a direct effect on parenting stress, it also was a mediation variable for the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couple conflict and infant emotional temperament on parenting stress, thus rendering it the strongest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 KCI등재

        부부갈등이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통한 어머니 심리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 효과

        심보민 ( Sim¸ Bomin ),강민주 ( Kang¸ Min Ju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7

        본 연구에서는 부부갈등이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통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부부갈등과 자기분화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중학교 1, 2학년 재학생 357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온라인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9.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이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중학생 자기분화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생이 지각한 높은 부부갈등 수준은 자녀의 낮은 자기분화를 매개로 학업열의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갈등이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통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낮은 수준의 부부갈등이 중학생의 자기분화 수준을 높이는 경향을 증가시키며, 그 결과 높은 자기분화로 인해 학업열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정환경 요인인 부모 간 갈등과 중학생 자녀의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밝혔으며,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부부갈등이 자기분화를 경유하여 학업열의로 가는 경로를 조절매개 한다는 것을 밝혔음에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enthusiasm through self-differentiation,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this mediating relationship.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357 first and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were the study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using SPSS 29.0 and SPSS PROCESS Macro, the mediating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academic enthusiasm. In addi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is mediating model.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group with a high level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there was a stronger mediating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academic engagement.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ental conflict affects the academic enthusiasm of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ir self-differentiation, and this mediating effect is moderated by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 KCI등재

        저소득층 가정 유아의 행동문제에 대한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종단적 영향

        김선희 ( Kim,Sun 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5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저소득층 가정의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저소득층 가정 유아의 행동문제 조기 개입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자료 1∼5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일반 조사에 참여한 저소득층 가정의 0∼4세 유아와 그 어머니 530명이 본 연구대상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저소득층 가정 유아가 0∼4세에 이르는 동안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초기치가 높을수록 0∼4세 동안의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율은 낮았다. 셋째, 부부갈등의 초기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초기치를 통해 4세 유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부부갈등의 변화율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변화율을 통해 4세 유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in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from 0-4 year olds and explored the effect of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in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aged 4 years from low-income families.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of 2008-2012 were used. Sample was 530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low-income families. Data was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showed linearly increasing change over time. Second, the higher initial value of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r rate of change in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from 0 to 4 year olds. Third, the effect of the initial value in marital conflict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t 4 years was mediated by the initial value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Finally, the effect of the rate of change in marital conflict on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t 4 years was mediated by the rate of change in maternal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과 양육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종훈,이미나,정미라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7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gatekeeping on the child-rearing behavior of fathers through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efficacy. A total of 387 fathers of 3 to 5 year-old preschool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items related to maternal gatekeeping, 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efficacy, and father child-rearing behavior.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ternal gatekeeping, 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efficacy were predictable variables of a father’s child-rearing behavior. Secondly, maternal gatekeeping indirectly affected p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by complete mediation of 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efficacy. These findings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bout how the system of maternal gatekeeping, parental conflict, and parenting efficacy influences paternal child-rearing behavior. Given this information,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necessary for marital communication, a factor that can help lead to patern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e discussion includes suggestions for encouraging positive child-rearing behavior and co-parenting.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과 양육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3, 4,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357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 부부갈등,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변인 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애정적인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부부갈등과 양육효능감은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버지가 인식하는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부부갈등,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대해 갖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탐색함으로써 아버지를 대상으로 양육관련 변인을 살펴보고, 공동양육에 대한 시사점을 주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부갈등과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종훈,성지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 satisfac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ers. A total of 493 mothers with 3–4-year-old preschool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rital conflict, parent satisfac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marital conflict did not appear to directly influence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marital conflict indirectly affected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by the complete mediation of parent satisfaction. Fourth, parent satisfaction and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indirect effects. Finally, parent satisfaction demonstrated the strongest effect on pre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all the factors examined.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부부갈등과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493명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부부갈등, 부모역할만족도, 양육행동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설명하는 예측변인이었다. 둘째, 부부갈등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경로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갈등은 부모역할만족도를 단순 매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행동을 이중매개 하여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인들 중 유아의 정서지능에 대하여 가장 설명력이 큰 변인은 부모역할만족도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역할만족도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모로서의 자신감을 키울 수 있는 예비부모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어머니가 인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부부갈등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성덕 ( Sung Deok Park ),서연실 ( Youn Sil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과정을 통합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관련이론을 바탕으로 아버지 양육참여를 독립변인으로, 부부갈등을 매개변인,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 및 조절된 매개변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를 종속변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의 4차년도에 조사된 총 1,706명의 어머니 설문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아버지 양육참여, 부부갈등,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s 21.0,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대상 변인들의 상관 및 기술통계 분석을 위해서 SPSS를 사용하였고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은 Hayes의 “PROCESS”를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at integrated the processes of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A research model was set up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related theories. In this model,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marital conflicts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a mediator variable. Social support was selected as a moderator variable and moderated mediator variable, and father’s child-rearing stress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n the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e questionnaire data from 1,706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our-year survey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and four different scales were used, which respectively dealt with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marital conflict, mother’s child-rear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As for data analysis, SPSS Statistics 21.0 and AMOS 21.0 were utilized.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the variables and to make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as utiliz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conflict. To analyze moderated mediating effect, Hayse’s SPSS “PROCESS” was put to use. As a result, marital conflict was found to hav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produced both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both discussed.

      • 부부갈등이 유아기 자녀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의 조절효과 -

        김은혜,장경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부부갈등으로 인하여 유아가 정서조절에 어려움을 겪는데,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가 높을 경우, 부부갈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어느 정도 완화시켜주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가 지각하는 부부갈등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발달, 나아가 전인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어머니 대상 개별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아버지의 공감능력, 어머니 문지기역할, 부부갈등과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이방실,강수경,정미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6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aternal empathy ability, maternal gatekeeping, couple conflict and paternal effica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children ages 3-5 and their fathers (n=498).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by using M-plus 7 and SPSS 21. Results reveal that first, paternal empathy ability correlated with maternal gatekeeping, couple conflict and paternal efficacy. Second, maternal gatekeeping and couple conflic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empathy ability and paternal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arent education to raise paternal efficacy and ways to improve paternal empathy abilit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공감능력, 어머니 문지기역할, 부부갈등과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수도권에 위치한 유치원의 아버지 498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1과 M-plus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공감능력, 어머니 문지기역할, 부부갈등은 하위영역 간 유의미한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공감능력은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부부갈등을 통해 아버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을증진시키기 위해서 그들의 공감능력에 대한 고려 뿐 아니라 어머니 문지기역할, 부부갈등의요소도 함께 포함하는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