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름다운 영혼의 변증법- 헤겔 『정신현상학』의 양심 부분을 중심으로 -

        남기호 한국헤겔학회 2022 헤겔연구 Vol.- No.52

        아름다운 영혼은 이성 편향적인 계몽 철학에 대한 대안으로서 감성과 이성이 조화를 이루는 고대적 인간상을 새롭게 복원하려는 근대철학의 주제이었다. 헤겔은 이를 『정신현상학』의 양심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이에 따르면 칸트적 도덕성을 극복한 아름다운 영혼의 양심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선한 것만은 아니며 또한 악할 수도 위선적일 수도 있다. 아름다운 영혼은 행위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를 통해 행위 주체로서의 자기와 그 결과로서의 행위 사례가 분리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이 양자의 일치를 확신하며행위하는 의식과 행위하지 않고 그 일치 여부만을 따지는 판정하는 의식이 등장하게 된다. 전자는 행위하면서도 온전히 보편적 자기를 실현시킬 수 없는 개별적 행위 현실로 인해 불행한 아름다운 영혼이기도 하며, 후자는 자신의 관념적 판단만을 현실로 내세우는 경직된 마음의 아름다운 영혼이기도 하다. 그러나 행위하는 진정한 양심은 자신의 악을 고백할 줄도 안다. 이에 판정하는 진정한 양심도 결국 경직된 마음을 깨뜨리고 용서할 줄 알게 된다. 이 고백과 용서와 화해를 통한 상호인정함은 종교적 공동체 속에서 발전하는 절대정신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헤겔은 그다음에 이어지는 『정신현상학』의 종교 장(章)에서 처음으로 자신 고유의 종교철학이자 정신의 논리적 현상론을 전개하게 된다.

      • KCI등재후보

        “아름다움은 원현상이다” - <아름다운 영혼의 고백>: 아우구스티누스의 아름다움 개념에 대한 괴테의 비판 -

        주일선 ( Joo Ill Sun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2

        이 글은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의 제6권 <아름다운 영혼의 고백>을 아우구스티누스의 ‘아름다움’ 개념을 토대로 분석함으로써, 이 수기의 저자가 ‘아름다운 영혼’이라고 불리는 이유를 밝히려는 시도다. ‘아름다운 영혼’이라고 불리는 이 여인의 형성과정과 이 여인이 대변하는 신앙의 양태가 아우구스티누스가 영혼의 아름다움이라고 명명한 개념을 구현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아우구스티누스의 아름다움 개념에 대한 괴테의 비판적 견해를 입증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혼의) 아름다움 개념에 대한 괴테의 비판은 아우구스티누스와 논쟁을 벌였던 펠라기우스의 인간 본성에 관한 견해에 대해서 괴테가 동질감을 확인한다는 사실을 통해 보다 분명히 드러난다. 괴테는 아름다움을 원현상이라고 확신하며, 아름다움이 원현상이라는 사실은 그가 구상하는 아름다움이 감각적 경험에 토대를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름다움을 정신적이며 이념적인 것으로 파악하는 아우구스티누스와 아름다운 영혼의 견해를 괴테는 아름다움에 관한 주관주의적 구상으로 비판한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as 6. Buch der Lehrjahre im Hinblick auf den Begriff von der (Seelen)Schönheit bei Augustinus gelesen mit dem Ziel, folgende Fragen zu beantworten: Was bedeuten Bekenntnisse der Verfasserin, dass sie sich das Ideal der schönen Seele nur durch die Gnade Gottes angeeignet hat? Worauf zielt der Autor des Romans mit dem Versuch, eine im Sinne der Gnadenlehre Augustinus’ anwachsende Bildungsgeschichte in einer Romanfigur darzustellen? Augustinus zufolge werde die menschliche Seele nur dadurch schön, dass sie Gott liebt. Die Seelenschönheit lässt sich in seinem Gedanken als ein Anzeichen des von Gott bereits vollkommen determinierten, also nicht mehr entwicklungsbedürftigen Ideals verstehen. Die Verfasserin der Bekenntnisse hat gerade dieses göttliche Ideal erreicht, das auf das Absolute deutet und eine überzeitlich geltende Bedeutung hat. Der Verwirklichungsgang des mittelalterlichen religiösen Absolutismus wird im Leben der pietistischen Romanfigur dargestellt, und dadurch lässt sich feststellen, dass der überzeitliche Absolutismus des ästhetisch-sittlichen Ideals à la Augustinus in den Bekenntnissen kritisch in Betracht gezogen wird. Denn für Goethe ist die Schönheit ein Urphänomen, das sich nicht auf ein apriorisches Konzept vom absoluten Ideal, sondern vielmehr auf die immer im Werden besetehende Natur bezieht.

      • KCI등재

        헤겔의 ‘불행한 의식’과 인문적 주체의 역설

        김상환(Kim, Sang-Hwa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6 No.-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자기의식?장(4장)에 등장하는 노예와 불행한 의식은 이후에 태어나는 모든 형태의 자기의식에 대하여 발생적 원형이자 역사적 뿌리에 해당한다. 특히 정신적 실재(공동체 정신)를 예감하는 자기의식이라는 점에서 불행한 의식은 ?이성?장(5장)에 등장하는 성실한 의식뿐만 아니라 ?정신?장(6장)에 등장하는 아름다운 영혼과도 어떤 반복관계에 있다. 이 세 주체가 서로 다른 시대를 사는 동일한 영혼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여 불행한 의식의 변증법을 현대적인 감각에서 다시 읽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성실한 의식과 아름다운 영혼은 근대 인문주의자(낭만주의시대의 지식인)를 구현하는 위치에 있으므로, 불행한 의식을 인문적 주체의 원시 형태로 간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 그런 가능성 안에서 인문적 주체의 본질적인 역설을 설명하는 데 이런 재해석의 주안점이 놓일 것이다. 인문적 주체의 역설은 철저히 개인주의적이고 비-사회적인 가운데 이상적인 사회의 이념을 잉태하고, 최고 선을 의지하면서 최고 악을 범하며, 도착적 공격성의 주체이면서 건강한 공동체 정신의 수호자라는 데 있다. Reading Hegel’s Phenomenology of the Spirit, repetition or the existence of a parallelism can be found between three figures of the subject: Unhappy Consciousness who appears in Chapter IV; Honest Consciousness who is described in Chapter V; and Beautiful Soul who is exposed in Chapter VI. Parallel with one another in their common role of calling Spirit into existence, they are the same subject but live in three different ages. Under this presupposition, I will reread the dialectic of Unhappy Consciousness in a retrospective manner starting from the dialectics of Honest Consciousness and Beautiful Soul, dialectics which reflect the world of the intellectuals before and after German Romanticism. In this reading of Hegelian text, I will try to justify the possibility of regarding Unhappy Consciousness as a primitive type of modern humanistic subject, and to explain in this possibility certain paradoxes that are proper to humanistic thinking: as an extremely egoistic and non-social being, this arrives at inventing the idea of perfect society; intending the highest good, it falls into evil ways; suffering a symptom of perverse aggression, it becomes a guardian of a healthy communal spirit.

      • KCI등재

        “실러의 칸트 수용과 ‘아름다운 영혼’ 그리고 샤프츠베리”

        김주휘(Kim, Joo-whee)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실러의 사유와 칸트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실러가 칸트에게 진 빚이 크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괴테나 헤르더, 빌란트 등 당대 바이마르의 다른 이들과 실러를 구분해 주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들과 달리 실러가 칸트의 비판 철학의 기획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데에 있다. 또한 실러는 칸트의 철학을 단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토대 위에서 미와 도덕의 관계 및 자신이 예전부터 품어오던 윤리적·미학적 이상들을 새로이 해석하고 규정하는 작업을 했다. ‘도덕적 아름다움’이나 인간의 전인적 계발의 이상 같은 것이 그러한데, 실러는 칸트의 철학을 받아들이면서 그것들의 내용과 지위를 보다 정확하게 규정하는 작업을 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실러의 칸트 수용 과정을 추적하고 그 의의를 살펴본 후에, 실러가 칸트와 거리를 둔 증거로 종종 제시되는 「우미와 존엄」의 ‘아름다운 영혼’이 여전히 칸트 도덕론의 기반 위에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아름다운 영혼’의 이론적 배경으로 언급되는 샤프츠베리의 사유를 자세히 검토하고 그것과 실러의 사유가 갖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몇몇 공통점과 외면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신플라톤주의적 형이상학에 근거하는 샤프츠베리와 칸트의 비판 철학의 기획을 따르는 실러가 전혀 다른 철학적 지반에서 출발함으로써 갖게 되는 상당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the relationship of Schiller’s thought and Kant’s, it is undeniable that Schiller owes much to Kant. What distinguished Schiller from other Weimar thinkers at his time, such as Goethe, Herder and Wieland, was that unlike them Schiller accepted Kant’s project of critical philosophy. In fact, Schiller did not just accept it, but tried to interpret and formulate anew the relation of beauty and morality and some other aesthetical-ethical ideals on the basis of the new philosophy. Schiller’s famous project of ‘aesthetic education of mankind’ itself is the product of such an endeavor. In this work we follow the history of Schiller’s acceptance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and ruminate over its implications. And then, we’ll show that Schiller’s ‘beautiful soul’ in Grace and Dignity (1793), which is often suggested to be a proof of Schiller’s conflict with Kant, was understood on the basis of Kant’s moral theory. In this part of the work, we compare Schiller’s ideal of the ‘beautiful soul’ and Shaftesbury’s ethical thought, which is often presumed to be its background. From this comparison we’ll be able to see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disparity, despite apparent similarities, between Schiller’s and Shaftesbury’s ethical ideals, which is due to their respective philosophical sources, that is neo-platonic metaphysics and Kant’s critical philosophy.

      •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의 〈어느 아름다운 영혼의 고백〉

        박광자 한국헤세학회 2003 헤세연구 Vol.9 No.-

        Die “Bekenntnisse einer scho¨nen Seele”, das sechste Buch in Go¨ethes Wilhelm Meisters Lehrjahre, ist eine nachgelassene Auto¨- biographie von einer Pietistin, die als ‘eine scho¨ne Seele’ bezeichnet wird. Der Arzt gibt Wilhelm dieses Manuskript, damit er es der seelischkranken Aurelie weitergibt. Das Manuskript ist als Warnung an Aurelie und Wilhelm gegen die allzu empfindliche und wirklich- keitsferne Lebensweise gedacht. In dem siebten und achten Buch in diesem Bildungsro¨man wird Wilhem, der suchende Jungling, ein tuchtiges Mitglied der Turmgesellschaft und nimmt an deren Sozialreformsplan teil. Seine Sozialisation vollendet sich mit der Verlo¨bung mit Natalie, der erneuten schonen Seele. In diesem Aufsatz wird anhand dieses Ro¨manabschnittes untersucht, wie die weibliche Lebensgeschichte von der scho¨nen Seele sich von dem mannlichen Bilungsweg unterscheidet und inwieweit die Frau im 18. Jahrhundert ihr Selbst verwirklichen konnte. Es handelt sich auch um das ideale Weiblichkeit der klassischen Epo¨che. Die Lebensgeschichte der scho¨nen Seele beginnt mit der Krankheit im 12. Lebensjahr: das neun mo¨natigen Krankenlager bietet ihr die Gelegenheit, sich seelisch und geistig zu entwickeln. In dieser Zeit geschieht es, dass sie sich zum erstenmal mit den religio¨sen Fragen beschaftigt. Nach der bitteren Erfahrung des plo¨tzlichen To¨des vo¨n den beiden Knaben, die sie in der Pubertat lieb gehabt hat, lernt sie Narziß kennen, dessen Bildung und Anstand starken Eindruck auf sie macht. Als seine Verlobte aber leidet sie an seiner Doppelmoral, der einerseits die sexuelle Unschuld der Frauen lo¨bt und andererseits sie als Pruderei bezeichnet. Narziss lo¨bt und gleichzeitig verachtet die gebildete Frau. Als er von ihr Abschied nimmt, nimmt die schone Seele die Maske ab und geht mit dem Selbstvertrauen und der Freiheit ihres Weges. Sie wird Mitglied von der Herrnhuter Gemeinschaft. Die zweite Ha lfte der Bekenntnisse schildert die Auseinandersetzung vo¨n der scho¨nen Seele mit dem Oheim, einem aufgeklarten Tatmensch und Begrunder der Turmgesellschaft. Er kritisiert, dass sie in sich kreist und nur der sittlichen Bildung nachhangt, statt sich tatig nach außen zu wenden. Er nennt ihre zuruckgezo¨gene Lebensweise “gefahrlich”(419) und entfernt seine Enkelkinder vo¨n ihr. Im Gesprach mit Wilhelm kritisiert auch Natalie, dass der Tante die Selbstver- wirklichung wegen der “zu viel Beschaftigung mit sich selbst, und der sittlichen und religiosen Angstlichkeit”(517) nicht gelingt. Aber die schone Seele fuhlt sich als Stiftsdame weder Einschrankung noch Reue. Sie lebt nur sich selbst, vollzieht mit Selbstbestimmung und Freiheit ihre Aufgabe auf der Erde. Die scho¨ne Seele geht den umgekehrten Weg als Wilhelm., weil sie eine Frau vo¨n der Adelswelt ist, wahrend er ein Jungling aus der Burgertum ist, dem verschiende Mo¨glichkeiten zum Selbstverwirk- lichung gegeben sind. Die scho¨ne Seele nimmt den Weg nach Innen, nach der Religio¨sitat, weil die individuelle Entfaltung der Frauen im 18. Jahrhundert nur durch Verzicht auf ihre konventionelle Rolle als Frau und nur im pietistischen Bereich mo¨glich war. In Natalie sah Friedrich Schlegel “die scho¨nste Form der reinen Weiblichkeit und Gute”. Die feministisch o¨rientierten Kritiker in den letzten Jahrzehnten hingegen nannten die weibliche Isolation eine Fehlentwicklung. Beso¨nders in der Transfo¨rmatio¨n in Natalie verankere die scho¨ne Seele fest im Patriarchat, behauptet Becker-Cantarino¨. Durch Natalie, die so¨genannte vo¨llko¨mmene ideale Frau der Klassik, verliere die schone Seele ihre Freiheit und Selbstvertrauen. Aus der scho¨nen Amazo¨ne wird Natalie am Ende des Romans als “ein Ersatz, ein Mittel, eine Hulfe”(526) reduziert. Tro¨tz aller mo¨glichen Interpretatio¨nen der literarlische Texten aber muss dieses einfache Prinzip bewahrt werden, sie als literarische Pro¨dukte zu verstehen. Die scho¨ne Seele so¨wie Natalie sind keine histo¨rischen Perso¨nen, so¨ndern zwei wichtigen Frauengestalten im fiktio¨nalen Ko¨mplex. Sie fungieren in dem gesamten Text: die scho¨ne Seele als die Warnung gegen die allzu passive und subjektive Lebensweise, Natalie als der leitende Stern fur Wilhelms So¨zialisatio¨n.

      • KCI등재

        실러에게서 전인적 인간에 대한 요청의 이해

        김주휘(Kim, Joo-whee)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40 No.-

        실러는 인간의 총체적 품성을 요구하고 전인적 인간의 이상을 제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사유는 낭만주의를 거치면서 다양한 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인간의 총체성에 대한 사유는 특히 미학편지를 통해 널리 알려졌는데, 여기에서는 미가 인간성의 조건이자 이념으로 제시된다. 우리는 실러의 전인적 인간의 이상이 미의 이념으로 나타나게 된 과정을 추적해 봄으로써 그의 사유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얻고자 한다. 실러는 1793년 우미와 존엄에서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미학적 표현을 우미와 존엄으로 구분하고, 자연과 이성의 통일의 표현인 우미를 인간의 궁극적 지향점으로 제시했다. 그는 우미에서 이성의 요구인 도덕과 자연의요구인 미가 동시에 실현된다고 보았고, 이중적 본성을 갖는 인간의 두 부분이 조화와 일치를 이루는 ‘아름다운 영혼’에게서 우미가 가능하다고 여겼다. 즉, 우미와 존엄에서 실러의 전인적 인간에 대한 사유는 ‘아름다운 영혼’과 도덕적 아름다움으로서의 우미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한편 1795년의 미학편지에서는 전인적 인간에 대한 사유가 다소 변화되어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인간의 미의 이념이 도덕적 아름다움의 개념을 대체하면서 총체적 품성을 대표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실러는 이제 인간의 감각적 부분과 이성적 부분의 역할을 각각 감각충동과 형식충동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인간의 완전성과 문화의 임무를 보다 명료하게 규정한다. 인간의 완전성은 ‘감각적인 힘과 정신적인 힘의 조화로운 에너지’에 있다고 여겨지며, 문화의 임무는 감각적 힘의 증대를 통한 ‘현존의 최대한의 풍부함’을 정신적 힘의 증대를 통한 ‘최대한의 자립성 및 자유’와 결합시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인간성의 완성이자 정점으로 이해되는 인간의 미는, 그 안에 도덕적 능력을 포함하는 이성 능력의 완전한 발전을 내포함으로써 그 자체로 도덕을 포함하게 된다. 즉 실러는 도덕을 포함하는 새로운 미의 관념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는 이성의 일면적인 지배로 여겨지는 도덕보다 더 우월한 지위를 갖는다고 여겨진다. Schiller is well known for his requests of the whole man and the totality of human character. His thoughts have influenced many thinkers and helped shape the current ideal of self-realization and self-cultivation. The ideas about the totality were expounded especially in Aesthetic Letters, where Beauty was presented as both the condition and the summation of humanity. In this paper we will see how Schiller’s thoughts have changed and evolved to reach the notion of Beauty. In Grace and Dignity in 1793, Schiller distinguished grace and dignity as two different phenomena of moral actions, and considered grace as the ideal of humanity. Grace means moral beauty and in grace morality (as the demand of the rational part of man) and beauty (as the demand of the natural part of man) are simultaneously realized. According to Schiller, grace is possible only in the ‘beautiful souls’ because the two parts of man are harmonized with each other in them. In this work the totality of character and the idea of the whole man were understood in terms of grace and the ‘beautiful soul.’ On the other hand, in Aesthetic Letters in 1795, instead of grace as moral beauty, now Beauty itself is considered to be the ideal of humanity and express the totality of human character. In Aesthetic Letters, we can see Schiller’s understanding of the rational and natural parts of man has much changed, now represented by two different drives, the formal drive and the sensuous drive. Schiller now defines the state of human perfection and the task of culture more accurately and finely. It is thought that human perfection lies in the harmonious energy of his sensuous and spiritual powers, which means Beauty, and the task of culture is to combine the greatest fullness of existence with the highest autonomy and freedom. We think that with anthropological considerations, Schiller came to redefine the nature and the relations of the two parts of man and considering it as a unity, could apply the notion of beauty to the whole man.

      • KCI등재

        “실러의 칸트 수용과 ‘아름다운 영혼’ 그리고 샤프츠베리”

        김주휘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8 No.-

        While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the relationship of Schiller’s thought and Kant’s, it is undeniable that Schiller owes much to Kant. What distinguished Schiller from other Weimar thinkers at his time, such as Goethe, Herder and Wieland, was that unlike them Schiller accepted Kant’s project of critical philosophy. In fact, Schiller did not just accept it, but tried to interpret and formulate anew the relation of beauty and morality and some other aesthetical-ethical ideals on the basis of the new philosophy. Schiller’s famous project of ‘aesthetic education of mankind’ itself is the product of such an endeavor. In this work we follow the history of Schiller’s acceptance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and ruminate over its implications. And then, we’ll show that Schiller’s ‘beautiful soul’ in Grace and Dignity (1793), which is often suggested to be a proof of Schiller’s conflict with Kant, was understood on the basis of Kant’s moral theory. In this part of the work, we compare Schiller’s ideal of the ‘beautiful soul’ and Shaftesbury’s ethical thought, which is often presumed to be its background. From this comparison we’ll be able to see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disparity, despite apparent similarities, between Schiller’s and Shaftesbury’s ethical ideals, which is due to their respective philosophical sources, that is neo-platonic metaphysics and Kant’s critical philosophy. 실러의 사유와 칸트의 관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실러가 칸트에게 진 빚이 크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괴테나 헤르더, 빌란트 등 당대 바이마르의 다른 이들과 실러를 구분해 주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들과 달리 실러가 칸트의 비판 철학의 기획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데에 있다. 또한 실러는 칸트의 철학을 단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그 토대 위에서 미와 도덕의 관계 및 자신이 예전부터 품어오던 윤리적·미학적 이상들을 새로이 해석하고 규정하는 작업을 했다. ‘도덕적 아름다움’이나 인간의 전인적 계발의 이상 같은 것이 그러한데, 실러는 칸트의 철학을 받아들이면서 그것들의 내용과 지위를 보다 정확하게 규정하는 작업을 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실러의 칸트 수용 과정을 추적하고 그 의의를 살펴본 후에, 실러가 칸트와 거리를 둔 증거로 종종 제시되는 「우미와 존엄」의 ‘아름다운 영혼’이 여전히 칸트 도덕론의 기반 위에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특히 이 부분에서는 ‘아름다운 영혼’의 이론적 배경으로 언급되는 샤프츠베리의 사유를 자세히 검토하고 그것과 실러의 사유가 갖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몇몇 공통점과 외면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신플라톤주의적 형이상학에 근거하는 샤프츠베리와 칸트의 비판 철학의 기획을 따르는 실러가 전혀 다른 철학적 지반에서 출발함으로써 갖게 되는 상당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동일성: "있음"인가, "되어감"인가 : 『아름다운 영혼의 고백』에 서술되어 있는 자기인식과 형성과정에 관한 분석

        주일선 한국독일어문학회 2013 독일어문학 Vol.60 No.-

        Die vorliegende Studie richtet sich auf das Verstehen des Konzepts Goethes von der Bildung des Menschen, indem sie eine selbstbiographische Darstellung uber den Bildungsprozess einer Frau in seinem Roman Wilhelm Meisters Lehrjahre analysiert. Durch die Analyse der Bekenntnisse einer schonen Seele wird der Begriff "Werden" als das grundlegende Moment der IdentitAt eines Individuums bei Goethe aufgefasst. In diesem Zusammenhang ziehen in erster Linie neue Konzeptionen von der IdentitAt die Aufmerksamkeit auf sich, nAmlich die Systemtheorie und die Theorie von komplexen Systemen, denn Analolgien zwischen dem Goetheschen VerstAndnis von der Bildung und IdentitAt und dem der beiden neuen Theorien geben sich zu erkennen. Dann richtet die Studie den Blick auf Goethes Auffassung von Bildung der Natur im allgemeinen, indem sie naturwissenschaftliche Schriften Goethes uber die Morphologie und Metamorphose betrachtet. Dabei wird anschaulich, dass sein Konzept von der Bildung sowohl das "autopoietische" Vermogen jedes organischen Individuums als auch die "strukturelle Koppelung" zwischen dem sich bildenden Individuum und dessen Außenwelt betont. Die natur- und sozialwissenschaftlichen Theorien uber die Selbstorganisation und das soziologische System, die Analogien der heuristischen Prinzipien mit der Goetheschen Denkweise haben, verhelfen uns dabei zum Erkennen der Bedeutung des Bildungsprinzips fur Goethes IdentitAts- und Bildungsidee. Schließlich versucht die Studie die Frage zu beantworten, ob das naturwissenschaftliche morphologische Denken Goethes auch fur sein Konzept von der Bildung der Romanfigur gelten kann. Es geht ihm um eine prozessontologische VerstAndnisweise von der Bildung und IdentitAt, aber nicht um eine substanziel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