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의 유배 시기 화소시(和蘇詩)에 나타난 심리적 기제

        류소진 ( Liu So-jin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7 中國文學 Vol.93 No.-

        정약용의 유배 시기 화소시에는 대체로 세 가지의 심리적 기제가 드러나 있다. 첫째, 유배지에서 우연히 발견한 해당화 및 수선화와 동병상련하는 심리적 기제가 드러나 있다. 둘째, 자신과 마찬가지로 유배 생활 중인 친형 정약전을 그리며 형의 건강을 걱정하는 심리적 기제가 드러나 있다. 셋째, 마음 편하게 살기 위해 농경 생활을 동경하는 심리적 기제가 드러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세 가지의 심리적 기제는 모두 소식이 유배 생활을 할 때 가졌던 심리적 기제와 동일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정약용이 유배 시기에 화소시를 많이 지은 것은 자신을 소식과 동일선상에 놓고 자신을 그와 동일시하려는 심리적 기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수 있을 것이다. 바꾸어 말하자면, 정약용의 유배 시기 화소시는 소식이 경험한 괴로운 경험에 정약용이 자기 감정을 이입함으로써 ‘同類療法’의 효과를 얻으려고 한 일종의 문학치료였던 셈이다. 丁若鏞在貶謫時期創作的“和蘇詩”中體現的心理機制大致可以分爲三類。第一, 丁若鏞在貶謫地偶然發現海棠花和水仙花時, 對這些鮮花流露出同病相憐的心理機制。第二, 丁若鏞懷念?自己同時被貶的親兄丁若銓, 幷流露出爲兄長的健康擔憂的心理機制。第三, 流露出渴望回歸平靜的田園生活的心理機制。而這三種心理機制均與蘇軾在被貶時的心理機制相似。因此, 可以說丁若鏞在貶謫時期創作了大量“和蘇詩”的原因在於, 他將自己與蘇軾置於同一處境從而認同蘇軾的一種心理機制。換言之, 丁若鏞在貶謫時期通過創作“和蘇詩”, 將自己的情感轉移到蘇軾曾體驗過的痛苦創傷中上, 想要通過這種方式獲得“同類療法”的效果, 可以說這是一種獨特的“文學治療”方式。

      • KCI등재

        대학생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의 매개효과

        부정민,강대옥,강은희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fense mechanism in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312 colleg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located in Jeju-do in order to measure their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fense mechanism. Using an SAS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Sobel Test wa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mature defense mechanism (acting out, fantasy, and passive aggression), self-regulation defense mechanism(inhibition, reaction formation), conflict avoidance defense mechanism(resignation, isolation)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with the opposite sex, friends, family, and profess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projection, which is an immature defense mechanis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friends, and famil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relationship with profess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only humors among adaptive defense mechanism ha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rom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and famil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suggestive poin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방어기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제주도에 소재한 4개 대학교의 대학생 312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스트레스, 심리적안녕감과 방어기제 척도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미성숙방어기제(행동화, 공상, 수동공격), 자기억제 방어기제(억제, 반동형성), 갈등회피 방어기제(체념, 격리)는 대인관계스트레스(이성, 친구, 가족 및 교수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성숙 방어기제인 투사는 이성, 친구 및 가족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교수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과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적 방어기제 중 유일하게 유머는 이성 및 가족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도덕한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기제 연구

        김태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2 초등도덕교육 Vol.- No.78

        The basic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induce immoral behavior in people and to use it when planning moral education. To this end, we first examine the source of human immoral behavior from an evolutionary historical perspective of moral norms. It then discusses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lead people to engage in immoral behavior. ‘Moral projection’, ‘self-display’, and ‘depersonalization’ are exemplified as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induce immoral behavior when anonymity is not guaranteed in people, and various factors that operate each mechanism are presente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for immoral behavior that may appear when anonymity is guaranteed, ‘cognitive distortion’ is suggested and the factors that operate it are suggested. Through this, the author could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issue of conscience in moral education. 본 논문은 사람들에게서 부도덕한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기제를 탐구하여 도덕 교육을 기획할 때 이를 원용하고자 하는 데 그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인간이 부도덕한 행동을 하게 되는 근원이 어디에 있는지를 도덕 규범의 진화 역사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하는 부도덕한 행동의 기저에 놓여 있는 심리적 기제를 논의한다.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을 때 사람들에게서 부도덕한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기제로 ‘도덕적 투사’, ‘자기 과시’, ‘탈인격화’를 들고, 각각의 기제를 작동시키는 여러 요인을 제시하였다. 익명성이 보장될 때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부도덕한 행동의 심리적 기제로는 ‘인지 왜곡’을 들고 이를 작동시키는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논자는 이를 통해 도덕 교육에서 양심의 문제가 갖는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어휘부 연구와 심리적 실재성

        안소진(An, Sojin) 형태론 2021 형태론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심리어휘부 관련 연구 주제를 심리적 실재성을 강조하면서 탐구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성과와 의의, 한계와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심리어휘부 연구 중에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때 이론과 머릿속 언어 지식의 일치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고 보는 연구들이 있다. 이 연구들의 ‘실제’에 대한 강조의 배경, 주장과 논증 구조, 근거 자료 수집 방법 등을 정리하고 연구가 밝힌 바, 이러한 연구의 가치, 보완해야 할 점, 나아갈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본다. 국어 형태론의 서로 다른 이론들이 논쟁하는 과정에서 어휘부에 대한 본격적 탐구가 필요해지면서 심리적 실재성을 강조하는 연구 흐름이 생겨났고, 조어 기제와 어휘부 양상의 심리적 실재성을 증명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다. 탐구 대상의 성격상 어휘부와 관련된 주장은 치밀하게 논증하기가 매우 어렵다. 근거 마련의 어려움에 대한 타개책으로 생각된 것이 실험심리학적 연구를 통한 실제적 증거 수집 및 인지 체계 전반에서의 근거 확인이라는 연구 방법론적 지향이다. 어휘부 연구들이 근거를 다방면으로 모색한 결과 심리어휘부에 대한 주장들에 국어학적 사실에 대한 논증으로서의 가치를 점차 더 많이 부여할 수 있게 되었고 근거 마련 방식도 다양해졌다. 쟁점이 되는 문제들을 해결할 구체적인 방법을 고안하는 것, 자료 수집 방법을 정교화하고 자료를 대표성 있게 하는 것 등은 과제로 남는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research on mental lexicon by emphasizing psychological reality and discussed its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Some studies on mental lexicon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the research findings have theorized the speaker’s linguistic knowledge to be close to reality” in the argumentation process. This paper examined how such research came to emphasize the “reality”, as well as its argumentation structure and methods of collecting evidence. This paper further analyzed the accomplishmen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such studies. The research trend on psychological reality arose in the process of debating multiple theories of Korean morphology, as a full-fledged examination of the lexicon became necessary.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have made it difficult to acknowledge the discourses on the lexicon as argumentations of linguistic facts. Arguments on the lexicon are notoriously difficult to prove by meticulously presenting arguments that can be supported or disproved. What was considered as a countermeasure to this situation was the methodological orientation of interest in the overall cognitive system and the collection of actual evidence through experimental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researchers sought evidence for lexicon research through various ways, the arguments on mental lexicon began to carry weight as arguments on linguistic facts and more ways to collect evidence were devised. Data collected through various ways will contribute to gaining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and providing systematic explanations to linguistic phenomena. A few challenges remain for future research, such as elaborating the evidence collecting methods, making the data more representative, and reducing the possibility of varying interpretations by reinforcing the evidence. Future researchers should also consider being more imaginative in presenting theoretical models that form the basis for experimental research.

      • KCI등재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정서조절개입이 심리적 건강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와 그 변화기제: 정서조절곤란과 마음챙김의 매개역할

        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1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group mindfulness-based emotion regulation intervention(MBERI) on psychological health in a Korean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Moreover, to shed light on the mechanisms of changes in the MBERI, this study proposed both emotion dysregulation and mindfulness as potential mediators of treatment change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Forty-five participants in the MBERI group and 50 those in a psychoeducation group completed the measures of psychological health and proposed mediators at pre-intervention, after session 4, and post-intervention. In addition, participants in the MBERI group completed all of the same scales once again at 1-month follow-up.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in the psychoeducation group, those in the MBERI group demonstrated decreases in depressive symptoms, general negative affect,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well as increas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and mindfulness. Early reductions in emotion dysregulation mediated the short-term effects of the MBERI on depressive symptoms, general negative affec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early increases in mindfulness did not. Short-term reductions in emotion dysregul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ng-term changes in depressive symptom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hort-term improvements in mindfulnes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ong-term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group MBERI leads to improvements in university students' psychological health, which are mediated through changes in emotion dysregulation, and that some of its long-term effects may be mediated through short-term improvements in mindfulness.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들의 심리적 건강의 개선에 대한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정서조절개입의 효과를 검증하고, 그 변화 기제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변화기제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와 문헌들에 기초하여, 정서조절곤란과 마음챙김을 각각 잠정적인 매개변인들로 상정하였다. 마음챙김 개입집단 45명과 심리교육집단 50명은 개입 전, 4회기 후, 종결 직후에, 그리고 마음챙김 개입집단은 추가로 종결 1개월 후에 여러 가지 자기 보고형 검사들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교육에 비해 마음챙김 개입은 우울증상, 전반적인 부적 정서,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정서조절곤란 및 마음챙김수준을 변화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다. 정서조절곤란의 조기 감소는 우울증상, 전반적인 부적 정서 및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마음챙김 개입의 단기효과를 매개하였으나, 마음챙김의 조기 증가는 그렇지 못하였다. 마음챙김 개입 전후의 정서조절곤란수준의 단기적 감소는 우울증상, 심리적 안녕감 및 삶의 만족도 각각의 장기적 변화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마음챙김수준의 단기적 증가는 삶의 만족도의 장기적 변화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이 결과들은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정서조절개입이 일반 대학생들의 심리적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이런 효과가 정서조절곤란의 개선에 의해 매개된다는 점과, 일부 장기효과가 마음챙김의 단기적 증진에 의해 매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유아에 대한 학대 및 방임, 애착외상 증상 간의 관계에서 부모 심리적 기제의 조절 효과

        주미선(Mi-Seon Ju)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24 놀이치료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학대와 방임이 유아의 애착외상 증상 관계에서 부모 애착체계(애착), 정서관리(자기조절), 자기체계(역량)의 부모 심리적 기제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22년 1월 3일부터 1월 21일까지 D시의 만 5세 ~ 6세(초등학교 취학 전) 유치원과 상담실에서 서비스를 받는 부모와 유아 369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 학대와 방임이 유아의 애착외상 증상 관계에서 부모 애착체계(애착), 정서관리(자기조절), 자기체계(역량)의 부모 심리적 기제와 상관관계가 있었고, 둘째, 학대와 방임이 유아 애착외상 증상의 관계에서 부모 심리적 기제의 조절효과도 유의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애착, 자기조절, 역량를 강화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parental attachment system breakdown (attachment), emotional management failure (self-regulation), and self-system damage (competence)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dut to attachment trauma symptoms. From January 3 to January 21, 2022, the study subjects analyzed 369 questionnaires of parents and infants serving in kindergartens and counseling rooms aged 5 to 6 (before elementary school attendance) in D city.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ental psychological mechanisms of parental attachment system collapse (attachment), emotional management failure (self-regulation), and self-system damage (competence) were correl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due to infant attachment trauma symptom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mechanis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neglect and infant attachment trauma symptom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statistically verifi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strengthen attachment, self-regulation, and competence.

      • KCI등재

        심리적 기제분석을 통한 정서적 능력에 대한 재해석 : 신사임당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민수 율곡연구원 2012 율곡학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심리적 기제관점에서 신사임당이 발휘한 정서적 능력의 특징을 평가하고 전 생애에 걸쳐 그 능력이 계발되는 과정을 분석해내는 전기적 연구이다. 신사임당의 정서적 생애사에 심리적 기제분석의 틀을 적용하면 사람과의 관계중심에서 나타나는 정서차원, 인지차원, 그리고 행동차원의 상호작용 양상에 따라 크게 네 개의 분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외조부모와 부모와의 관계가 중심을 이루는 신사임당의 유년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고유한 지적·정서적 색깔이 싹트기 시작하는 정서의 인식?표현능력의 토대기이다. 두 번째는 남편과 시어머니와의 관계가 중심을 이루는 결혼 초기의 시기로, 자신보다 부족한 남편을 지각하고 받아들임으로써 그를 학문의 길로 인도하는 역할과 경제적으로도 무능한 남편 덕에 모든 가정살림을 도맡게 되는 시기이다. 때문에 이 시기는 신사임당이라는 한 사람의 역량발달의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정서가 주류를 이루는 정서능력의 제한적 발달기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세 번째 시기는 이율곡을 포함하여 4남 3녀 자녀와의 관계맺음이 가장 주류를 이루고 친정에 두고 온 어머니를 그리워하는 결혼 후기의 시기로 일곱 자녀의 양육을 도맡으면서 그동안 자신의 학문과 예술에 몰두하던 시간과 열정이 자녀양육으로 옮겨가는 전형적인 멘토적 삶으로의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는 정서능력의 제한적 점화기이다. 네 번째는 신사임당의 지적?정서적 역량이 그녀의 표현능력과 예술적 회화세계와 융합되어 문화적 창조성으로 표출된 업적을 매개로 재해석된 부분이다. 이 시기는 평범한 그 시대의 여성들처럼 가정주부로서의 삶에만 치우친 불균형적인 삶을 추구하기 보다는 현실생활과 절충하고 친정어머니를 그리는 시를 지으며 띄엄띄엄 창조적 작업의 명맥을 유지하는 정서능력의 통합발전기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Shin, Sa-im-dang's emotional abilities using biographical method on the events of her lives. In this study, on top of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individuals, her emotional strength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ory. Through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Shin, Sa-im-dang's emotional ability in relation to her critical life events, the four aspects of her development of emotional ability have been reveal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s her childhood when she had the most of the time with her parents and maternal grandparents. In this period her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is family members forms her unique "the basis period of emotional perception·expression". Second, is the earlier years of her marriage. In this period her relationship lies mostly with her husband and mother-in-law. There she realizes and accepts her incompetent husband so to lead him to a study meanwhile devoting herself into a make the living of the family. Thus, this is the period when her negative emotions had overwhelmed her life, "the developing, yet restrictive, period of emotional ability". Third, is the time of her motherhood. Along with Lee, Yul-gok, the third son, her relationships with her four boys and three girls were most affective to her emotional ability. Longing mother at home herself, she transfers her time and passion on her studying and art into raising and teaching her seven children. Turning point as a mentor's life, "the reinforcement, yet restrictive, period of emotional ability". And the last, is the times when Shin, Sa-im-dang's intellectual and emotional competence had harmonized with her ability of expression and work of art and to be revealed as cultural masterpieces. Her life, at overall, had not only focused on housewife's life yet managed to compromising with the reality by writing poets of her mother time to time, to keep up the life of a creator. This is, so as to define, "the integration developing period of emotional ability".

      • KCI등재후보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와 교수-학습 전략

        김종백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2 창의력교육연구 Vol.12 No.1

        Creativity is the field studied by many psychologists and educational psychologist over long period of time. Since Guilford pointed out in 1949 that creativity should be the future research agenda psychologists should take, it became one of the prominent area in the field of educational psychology. However, one of important issues is creativity has not dealt with rather mainstream psychological theories. Mainstream psychology are dealing with areas such as representation, perception, memory. The field of creativity seldom shows interests on these mainstream areas. Therefore, current paper attempted to connect creativity with those mainstream psychological areas.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eachers based on those connection between psychological theories and creativity. 창의성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심리학에서 보다 이른 시기에 체계적으로 미시적으로 연구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Guiford가 1949년에 창의성의 중요성을 언급한 이후로 여러 심리학자 혹은 교육심리학자들 사이에서 창의성은 점차로 학문적 연구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아직 주류(mainstream) 심리학의 입장에서 연구되거나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창의성이라고 하는 구인이 인간의 마음에 대한 근간을 이루는 이론들, 예를 들면 지식의 표상, 지각, 기억에 대한 이론들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 지 탐색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교수-학습을 위한 전략적 기술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창의성의 심리적 기제로서 지각과 기억의 과정 측면에서 창의성을 살펴보고 정보처리 과정에서 지식과 경험이 창의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지 전통적인 인지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심리적 기제의 바탕위에 창의성을 진작하기 위한 몇가지 구체적인 전략을 함께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국 소비자의 왕홍 이용 유형에 따른 심리적 기제, 소비성향, 충동구매 및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뷰티 왕홍을 중심으로

        박인형 ( Park¸ In-hyoung ),손가미 ( Sun¸ Jiawei ),정재은 ( Chung¸ Jae-eu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4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에서 주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은 인기를 바탕으로 강력한 사회적 영향력을 갖게 되었으며 특히 중국에서는 왕홍의 팬덤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뷰티 왕홍 이용 실태를 고찰하고 뷰티 왕홍에 대한 몰입도 및 왕홍 이용 수와 기간에 기반하여 이용유형을 분류하였다. 나아가 뷰티 왕홍 이용 유형에 따라 심리적 기제, 소비성향, 왕홍 추천제품 충동구매 수준 및 그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이용 유형은 “다수왕홍신규이용형”, “다수왕홍장기적극이용형”, “왕홍저관심형”, “소수왕홍장기이용형”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소비성향의 경우 “왕홍저관심형”의 합리적, 독자적 소비성향이 가장 높았고 타 군집의 경우 과시적, 쾌락적 소비성향이 “왕홍저관심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기제의 경우 “왕홍저관심형”의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다수왕홍신규이용형이 다수왕홍장기적극이용형이나 소수왕홍장기이용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인지종결욕구는 “왕홍저관심형”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다수왕홍장기적극이용형이 소수왕홍장기이용형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왕홍 추천 제품에 대한 충동구매의 경우 왕홍 이용형들이 “왕홍저관심형”에 비해 높았으며 충동구매에 따른 만족도는 다수왕홍장기적극이용형이 소수왕홍장기이용형보다 높았다.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뷰티 왕홍 이용 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왕홍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바람직한 소비생활 영위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types of Chinese beauty Wanghong followers based on their emotional/ behavioral engagement, the number of following Wanghongs, and the period of following. Then,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mechanism, consumption propensity, and the levels of impulsive buying and satisfaction for Wanghong recommended products were examined across the types of beauty Wanghong followers. After collecting data from 394 Chinese Wanghong followers, Cluster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23.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llow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cluding ‘A group of low interest in Wanghong’, ‘New followers using many Wanghongs’, ‘Long-term followers using several Wanghongs’, and ‘Long-term active followers using many Wanghongs ’. Second, the low interest group had the highest level of self-efficacy and the lowest level of cognitive termination need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lf-efficacy among the three follower groups. Further, the long-term following types had higher cognitive termination needs than the newly following group. Third, the low interest group had the highest levels of rational and independent consumption tendencies. Finally, the follower groups had higher levels of compulsive buying and satisfaction of Wanghong recommended products than the low interest group. Theoretical and consumer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도덕교육을 위한 지(知)와 행(知) 간의 심리적 기제 연구

        김태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operate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and to utilize them in moral education. To this end, the author first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moral education, focusing on the core of the theories raised by Zhu Xi and Wang Yang-ming on the consistenc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After that, the psychological elements and their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exist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were presented, and the process of pluralistic operation of moral motives was discussed. The discourse on consistenc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by Zhu Xi and Wang Yang-ming reminded us of the proposition that ‘moral knowledge presupposes action’in modern moral education, but there is a limit to approaching the problem of consistency between knowledge and action from a unilinear dimension. In this paper, it has been discussed that the practice of an individual's knowledge may vary depending on the result of interaction with the three elements of desire, emotion, and will within the psychology. Moral educators need to understand the issues of knowledge and action more broadly and seek educational methods to solve those. 본 논문은 앎(知)과 실천(行) 간에 작용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고 이를 도덕교육에 활용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논자는 지행일치에 대해 주자와 왕양명이 제기했던 학설의 핵심적인 논지를 중심으로 그것이 도덕교육에 대해 갖는 의의와 한계를 검토한 후, 앎(知)과 실천(行) 사이에 존재하는 심리적 기제를 제시하고 도덕적 행동을 추동하는 동기가 다원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을 논의하였다. 주자와 왕양명의 지행에 관한 담론은 현대 도덕교육에 ‘도덕적 지식(앎)은 실천(행동)을 전제한다’라는 명제를 엄중히 상기시키고 있으나 앎(지식)과 행동의 관계를 일원적 사유방식에서 논의한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앎(知)이 개인의 심리 내부에서 욕망, 정서, 의지와 상호작용의 과정을 거쳐 행동을 추동하는 동기로 작용함을 제시하였다. 이는 도덕 교육자들이 앎과 실천의 문제를 다원적 사유방식의 차원에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는 실용적 시각을 갖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