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언』 군주론의 내적구조 분석 연구 -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를 중심으로 -

        김희 ( Kim¸ H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순언』의 군주 수양론이 전개되는 양상을 율곡의 사회개혁에 대한 의지와 연계하는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격몽요결』과 함께 율곡의 말년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순언』에는 현실정치에 참여했던 관료인 동시에 지식인으로서 현실사회의 문제를 진단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새로운 방식으로 모색한 율곡의 사회개혁에 대한 의지가 표명되어 있다. 여느 저술들과 달리 『』순언『』은 당대에 이단으로 분류되었던 노자사상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순언』에 나타나는 군주론은 성리학적 세계관을 넘어서는 보다 넓은 의미의 맥락성을 갖는다. 그리고 이것은 유불도(儒佛道)를 아우르는 사상융화의 회통성을 지향한 율곡의 실리적 학문하기 방식과도 연관된다. 즉, 율곡이 일생동안 추구한 실천적인 학문하기 방식에 비추어 볼 때 현실사회에 기능할 수 있는 학문의 실리성과 실증성은 가치와 이념의 경계성을 넘어서는 내용을 갖는다. 이 점에서 『순언』이 저술된 시기에 이루어진 구봉과 율곡의 서신 교류에는 구봉과 비견되는 현실사회에 대한 율곡의 남다른 인식과 이해를 엿볼 수 있는 사례에 해당한다. 즉, 時宜와 實功이라는 학문의 능동적인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는 율곡의 입장에서 볼 때 당대의 지식인 견지하고 있는 명분 중심의 학문관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부족한 한계를 갖는다. 그러므로 성리학적 세계의 이념성을 중심으로 현실사회의 문제를 이해하는 구봉과 다른 율곡의 견해에는 현실과 괴리된 학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율곡의 의지가 담겨져 있다. 또한 이것은 새로운 사회의 창출을 위한 변화의 동기를 理氣之妙의 회통정신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율곡의 시대의식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하다. 종례에 이루어진 율곡의 『노자』 주해, 즉 『순언』에 대한 접근과 해석은 성리학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진다. 하지만 이것은 율곡의 『순언』 저술이 갖는 동기, 다시 말해 “율곡의 『노자』 주해가 이루어진 정치적 상황과 필요성”에 대한 연구의 목적을 약화시키는 제한성을 낳는다. 또한, 이것은 성리학적 세계관에 경도되지 않는 『순언』에 대한 접근과 해석의 단초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에 대한 연구는 『노자』에 대한 율곡의 개인의 이해를 넘어,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의미를 갖는 현실사회에 대한 율곡의 문제의식을 규명하는 작업이 된다. 그리고 이것은 현실사회에 대한 율곡의 새로운 문제의식이 발전하는 과정을 율곡이 강조하는 실리적인 학문하기 방식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율곡의 『순언』 저술 동기에 대한 규명은 『순언』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군주론의 내적의미와 구조를 보다 구체화 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된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kingship of 『Sun Eon』 through Yulgok’s motivation of the very writing, based on scrutiny of his will for social reform. In addition to 『Gyeongmongyogyeol』, 『Sun Eon』, that is assumed to be written in Yulgok’s latter years, contains his attempt to diagnose problems of the society and his will to seek for practical plans so as to solve them in the capacity of one of governmental officials and intellectuals involved with realistic politics. However, unlike other Yulgok’s writings 『Sun Eon』 is based on Lao-tzu’s philosophy which was classified as a heresy in those days. Furthermore, Confucian Kingship reflected in 『Sun Eon』 retains a wider significance of contextuality beyond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And this book is relevant to his practical way of learning oriented towards mutual unification of different idea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round the time when Yolgok wrote the book, 『Sun Eon』, he corresponded with Gubong. Through correspondence between them, we can get a sense of Yulgok’s own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toward the actual society, unlike Gobong’s. In light of Yulgok’s perspective of the function and role of learning, timeliness and activeness matter. Therefore, an justification-oriented aspect of learning, that the intellectuals―including Gubong who valued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above everything else― of the time had, is contradictory to his, because he thought such their aspect had a limit to solving actual problems in the society. For him who emphasizes motivation for change through mutual unification of Yigijimyo (理氣之妙) to create a new society, to overcome constraints of learning divorced from reality corresponds to a paramount task during his time. Until lately, academic research of Yulgok’s annotation on 『Lao-tzu』 has been done, focused on Neo-Confucianism―in other words, a way of interpretation on 『Sun Eon』 has only revolved around the Neo-Confucian view of the world that Yulgok holds as a Neo-Confucian scholar. Such approach, however, leads to abating a significant sense of motivation for writing 『Sun Eon』. Namely, his true purpose of writing 『Sun Eon』, influenced by political situations and necessities, becomes undermined. On this account,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for establishing the appropriate approach and interpretation toward 『Sun Eon』 is required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 Neo-Confucian perspective. Viewed from this light, the study on Yulgok’s motivation of writing 『Sun Eon』 belongs to a task beyond his personal understanding of 『Lao-tzu』 in order to investigate his critical awareness towards the actual society that has social and historical meanings. And it is also a process of analyzing in connection with a practical way of learning, that is emphasized by Yulgok, development of his awareness of the problems in regard to the real world. Therefore, examination of his motivation of writing 『Sun Eon』 leads to a series of processes to definitize an internal meaning and structure of Confucian kingship suggested by the very book.

      • KCI등재

        율곡의 「의약책(醫藥策)」에 담긴 치유관(治癒觀) - 의약(醫藥)과 의국(醫國)을 중심으로 -

        이난숙 ( Lee Nan Sook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본고에서는 「의약책(醫藥策)」을 중심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가 논한 `의약(醫藥)`과 `의국(醫國)`에 관한 내용 및 인간과 사회의 문제들에 대한 치유관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의약책」에서 율곡은 인사와 국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의(醫)`라는 `치유` 관점으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의약관(醫藥觀), 대의관(大醫觀), 그리고 의국론(醫國論)으로 구분되는 문제의식과 이에 대한 율곡의 치유책이 담겨 있다. 본고에서 집중적으로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약을 중시한 역사적 맥락을 짚어보고, 이과 함께 음양(陰陽)·복서(卜筮)·점상(占相)·의방(醫方)의 학술과 이들이 리수(理數)의 신묘함에 부합하는지를 논한 율곡의 관점이다. 더불어 의약(醫藥)의 유래, 복약 방법 및 의학 문제에 관한 율곡의 의약관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율곡이 정의한 대의(大醫)가 무엇이며, 이단(異端), 환시(宦寺), 이적(夷狄)의 문제에 대한 관점과 시폐(時弊)를 바로잡을 치유책이다. 셋째는 사회적 병폐를 치료하고, 백성을 평안하게 할 역할과 책임이 군주에게 있다고 역설하며 율곡이 제시한 `대의의국(大醫醫國)`의 구체적인 실천방법론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약책」에는 조선중기 사회의 의약관과 정치, 사상, 안보 측면을 논한 율곡의 유학사상이 포함되어 있다. 도교, 불교와 다른 유학의 생사관, 형신관(形神觀)을 가진 율곡은 천지의 `실리(實理)`와 `기미(幾微)`에 대한 인식을 중요하게 판단하였다. 율곡은 `대의`가 `치란(治亂)을 다스리고 완급(緩急)의 형세를 살피며 명철하게 은미한 것을 비추어 먼 미래를 사려 깊게 생각하는 사람`이라고 했으며, 법과 제도 및 규율의 엄격한 정비에서 인의(仁義)를 근간으로 할 것을 주장하였다. 시의(時宜)에 맞는 정책이란 시대적 형세 변화의 기미(幾微)를 정확히 분별하는 데서 시작되기 때문에 특히 군주에게 시변(時變)에 따른 기미를 분별할 줄 아는 능력을 요구하였다. 또한 덕성을 갖춘 인재의 등용 및 절제, 절용을 국가안보 측면에서 강조하였다. 율곡은 리학(理學)의 도학적 가치를 보다 존숭(尊崇)했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이단, 환시와 이적의 사회적 병리현상을 파악했고 국정의 위기상황과 다양한 경세제민의 `대의의국(大醫醫國)`론을 펼쳤다. 따라서 율곡의 치유관 전반은 `의인`과 `의국`이 동일한 지향점을 가진다는 `의국의인일도(醫國醫人一道)` 사상을 중심으로 하며, 그가 제시한 치유책과 실천방법론은 에서 현대사회에 의미 있는 시사점과 현대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인문치유`와 `철학치유`와의 연결점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an attempt has been made to study the treatment approaches of Yulgok(栗谷) YI-YI(李珥) intended in “Yeuiyaekchaek(醫藥策)”. “Yeuiyaekchaek” is a documentation of remedial treatment by means of the concepts of medicine and treatment of the country`s ideological and political problems. It consists of questions and answers to cure the problems of human diseases and evils of the country using the concepts of `Yeui(醫)`. The contents of research are the viewpoints on medicinal issues, the definition of great doctor, and the practical methods on political and philosophical policy. The results of Yulgok`s research emphasizes on the importance of medicine amongst the tricks of YinYang, Boshi , Zhanxiang and Prescription for medicine. The concept of `Yeui(醫)`of “Yeuiyaekchaek” is similar to humanities therapy and philosophical therapy. And it is is based on Confucian thoughts for the body and soul and views about life and death. Yulgok`s methodology of therapy is centered on `Real principle` and `treatment of humans` and `the nation` are same. Yulgok`s viewpoint demonstrates the variances on view of life between Taoism and Buddhism. The treatment methodology in “Yeuiyaekchaek” of Yulgok comes up as a source of reformative politics discerning his new reform policies with reference to high-rank official.

      • KCI등재

        율곡의 천도 조화와 도체 해석 - 유도회통(儒道會通)을 중심으로 -

        이난숙 ( Lee Nan Sook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이 논문에서는 율곡(栗谷) 이이(李珥)가 『醇言』에서 천도(天道) 조화(造化)와 도체(道體)라고 말한 개념을 중심으로 율곡의 인식과 그 특징을 비교론적으로 해명하였다. 천도는 하늘의 작용과 이치이며, 조화는 우주 만물의 형성을 말하고, 도체는 우주의 변화 작용과 운용의 본체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율곡의 『순언』을 비롯하여 책문인 「易數策」, 「天道策」과 「答成浩原」 및 도가역학자가 주석한 『주역』의 천도 조화와 도체에 관한 해석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율곡은 『순언』에서 『도덕경』의 도(道)가 천도 조화이고, 무위(無爲)가 도체라고 하였다. 율곡은 주희가 말한 도즉역지태극(道卽易之太極)을 인용하고, 『도덕경』의 도(道)와 『주역』의 태극(太極)을 일체적으로 해석하였다. 이 『도덕경』의 도를 도즉천도(道卽天道)라고 하여 천도임을 말하였다. 도(道)는 만물을 양육하는 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율곡은 도(道)와 덕(德)이 최고로 존귀하며, 스스로 그러한 자연(自然)이라고 했다. 둘째, 율곡은 「역수책」에서 리와 기의 미묘한 쓰임[理氣妙用]을 말하고, 천지만물이 형성되는 실마리이자 시초가 무극(無極)이라고 하였다. 그는 태극의 체가 역(易)이고, 우주와 사물의 변화는 하나의 리(理)이자 도(道)라고 보았다. 「천도책」에서 율곡은 천도는 리(理)이고, 우주의 만화(萬化)·만상(萬象)이 기(氣)의 작용이라고 했으며, 인간은 천인상응하는 존재라고 하였다. 「답성호원서」에서 율곡은 리는 무위, 기는 유위이며, 기발리승(氣發理乘)으로 설명하고, 「계사전」을 비유하여 리의 무형(無形)과 무위성(無爲性)을 말하였다. 셋째, 도가의 현학(玄學)을 중심으로 『주역』을 주석한 학자 가운데 한강백은 일음일양의 도(道)=태극(太極)=무(無)라고 하였고, 당(唐)의 공영달은 태극=원기(元氣)라고 하고도 태극=도=무(無)=일(一)=허무(虛無)로 주석하였다. 즉 그는 귀무론(貴無論)와 유·도가 개념을 혼융(混融)한 관점으로 주석하였다. 따라서 천도 조화와 도체에 관한 율곡의 관점은 도(道)=태극(太極)=천도(天道)이고, 무위(無爲)=본체(本體)=리(理)이다. 만물 형성의 천도 조화가 도로 귀결되며, 그 작용은 무위로 일어나는 이치를 담고 있다는 뜻이 된다. 율곡의 이러한 인식 근저에는 한강백의 도즉태극(道卽太極)과 주돈이의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을 수용한 주희의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율곡의 천도 조화와 도체 해석에는 이유석노(以儒釋老)의 관점뿐만 아니라 이노석유(以老釋儒)의 현학적 관점이 혼융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perception about Tiandao(天道) Zaohua(造化) and Daoti(道體) in Yulogok's 『Suneon(醇言)』 referenced in Huitong(會通) of Confucianism[儒] and Taoism[道]. Tiandao Zaohua describes the formation of heaven and all things in the universe. Daoti is the metaphysical noumenon which forms the basis of its operation and the change. This paper compared the interpretation of Suneon, the writings of Yulgok and 『Zhouyi(周易)』 interpreted by Taoist scholars and consequentl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Yulgok’s perception. Yulgok firstly maintained that Dao in the 『Daodejīng(道德經)』 is Tiandao Zaohua and wuwei(無爲) is Daoti. Yulgok quoted that ‘dao is Taiji of 『Zhouyi』 Dao in the Daodejīng and Taiji of 『Zhouyi』 is cohesive. Furthermore, Yulgok held that Dao is Tiandao. It was stated that Dao of 『Daodejīng』, has the virtue of nurturing all things and the virtue of Dao and are most precious value and naturalistic. Secondly, Yulgok specified liqimiaoyong in 「Yishuce(易數策)」, and elucidated the formation of all things was the evidence and beginning of wuji(無極). Yulgok acknowledged that the noumenon of taiji(太極) is Yi(易)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universe and the objects is Li(理) and dao(道). In 「Tiandaoce(天道策)」, Tiandao is Li, and the universe’s ten thousand changes(萬化) and all things(萬象) are the actions of Qi(氣). It was established in a way that humans correspond to heavenly people. In 「Dachenghaoyuan」, Li is wuwei(無爲) and Qi is youwei(有爲). Li without shape and nothingness(無爲性) were explained by associating with 「Xicichuan(繫辭傳)」. Thirdly, Hankangbo who commented on 『Zhouyi』 as Daojiasixiang's Xuanxue, understood Yiyinyiyang's dao(道)=taiji(太極)=nothing(無)'. KongYingda of Tang Dynasty is considered as taiji=original qi(元氣), taiji=dao=nothing=one(一)=xuwu(虛無). Moreover, KongYingda said that Yiyinyiyang is wuyinwuyang. In other words, from the viewpoint of theory of nothing, the concept of Taoism and Confucianism were annotated as combination(混融). In conclusion, Yulgok who was intended to Huitong of Taoism and Confucianism recognized dao=taiji=tiandao and wuwei=noumenon=Li in Tiandao Zaohua and Daoti. Consequently, the Tiandao Zaohua in the formation of all things is dao and its action becomes Li, which occurs with wuwei. This view of Yulgok follows the view of ZhuXi, which embraces dao is taiji(道卽太極) of Hankangbo and the wujiertaiji(無極而太極) of Zhou Dunyi. It can be seen that Yulgok's interpretation of Tiandao Zaohua and Daoti includes the perspective of Iyuseokno(以儒釋老) and pedantic point of view of Inoseokyu(以老釋儒).

      • KCI등재

        17세기 사상계의 율곡 경세론 수용과 전개

        이경동 ( Lee Kyung Do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1 율곡학연구 Vol.44 No.-

        본 논문은 17세기 사상계에서 율곡 경세론이 수용된 양상과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율곡은 당대 경세론을 주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후 정치적 요인에 의해 부정적으로 평가되거나 조정에서 거의 언급되지 못하였다. 율곡의 위상이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인조반정 이후였다. ‘文成’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율곡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기 시작하였다. 율곡의 위상 변화와 함께 경세론도 국정운영 과정에서 다루어 졌다. 율곡학파 계열은 정계에서 주도권을 바탕으로 사회경제정책의 많은 부분에서 율곡의 경세론을 제시하였다. 대동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는 점차 대동법의 취지가 율곡의 공납제 개혁안의 연장선상에 있었다는 논리로 정립되어 갔고, 종모법은 율곡이 제시했다는 점에서 송시열 등에 의해 정책 추진 근거로 제시되었다. 율곡 경세론은 당대 지식인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수용되어 갔다. 이유태의 「기해봉사」나 유계의 「강거문답」은 율곡이 제시했던 경세책의 구조를 모방하여 구현되었다. 이들은 율곡학파 계열임과 동시에 율곡 경세책에 대한 적극적인 입장을 보이며 경세책의 이론적의 이론적 토대로 율곡의 견해를 채택했다. 유형원은 북인계-남인 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반계수록』을 통해서 율곡 경세론을 적극적으로 인용하였다. 유형원은 군역, 관료제, 과거제, 군현제 등에서 율곡 경세론을 기반으로 자신의 논리를 전개하였다. 공전제를 기초로 한 사회개혁안을 전개하며 노비제 혁파 등 율곡이 구상하지 않았던 분야에까지 이상사회 구현을 위한 견해를 제시하면서 율곡 경세론의 수용과 발전 양상을 보여주었다. 17세기 사상계에서 율곡의 경세론은 율곡학파 뿐만 아니라 비 율곡학파에 이르기까지 점차 외연이 확대되었으며, 사회경제정책과 경세론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purports to analyze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Yulgok's statecraft theory accepted in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century. Yulgok's status began to be established in 1623. Along with the change in Yulgok's status, the statecraft was actively dealt with throughout society. As the rationale for reform, the figures who belonged to the Yulgok School promoted socio-economic policies and presented Yulgok's theory of statecraft as a theoretical basis. Yulgok's statecraft was presented as the basis for policy promotion in reforming the tax system or the class system. Yulgok's statecraft theory was referenced in the statecraft theories of the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 various ways. Those in the Yulgok school, such as Yu Gye and Lee Yootae wrote books about the statecraft theory by imitating the structure of the statecraft theory presented by Yulgok. Despite the fact that Yu Hyeoungwon had no academic succession relationship with Yulgok, Yu Hyeoungwon developed his logic based on Yulgok's statecraft theory in the military, bureaucracy, education, and local administrative system. In the 17th century ideology, Yulgok's statecraft theory gradually expanded to the Yulgok school and intellectuals who were not related to the Yulgok school.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it provid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ocio-economic policy and the statecraft theory argued.

      • KCI등재

        栗谷(율곡)의 經世論(경세론)과 疏通(소통)의 精神(정신)

        손흥철 ( Heung Chul Son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7 No.-

        栗谷李珥(1536∼1584)의 經世觀은 철저하게 君主·士林(官僚)·百姓의 소통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그 가운데서도 율곡은 君主의 역할을 매우 중시한다. 율곡의 道學政治의 신념에 따라 聖人君主를 주장한다. 따라서 군주는 최선을 다하여 修身과 修養을 해야 하며, 현명한 臣下를 등용하고, 백성들의 소리를 적극 수렴해야 한다. 이것이 王道政治를 실현하기 위해서 군주가 해야 하는 소통의 정신이다. 신하(선비, 관료)는 최선을 다해서 자신을 수양하고, 백성들의 여론이 군주에게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수렴되도록 해야 하며, 君子의 품위를 잃지 않아야 한다. 왕도정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백성들의 生業을 안정시킨 후에 그들을 가르쳐야한다. 율곡은 養民이 敎民보다 優先한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쌀독에서 인심난다.”는 속담처럼 衣食住가 안정되지 않으면, 道德倫理를 지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율곡은 “恒産”을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율곡의 철학이 조선후기의 근대적 경세사상으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율곡은 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언론의 자유에 대한 율곡의 자세는 매우 단호하고 그 사상적 체계도 훌륭하다. 그의 왕도정치는 여론정치라고 할 만큼 현대적이다. 율곡이 주장한 여론정치는 언로의 확대 곧 언론의 자유보장, 공론의 소통, 군주와 신하의 공론수렴, 正名에 근거한 공론의 형성을 강조하였다. 율곡은 우리에게 “훌륭한 지도자는 어떤 사람인가?”, “선비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진정한 福利란 어떤 것인가?”, “자유롭고 정의로운 言論이란 어떤 것인가?”를 제시해 주었다. Yulgok Li Yi(栗谷李珥. 1536∼1584) developed his administration theory with rigorous communication between absolute monarch, Confucian scholar and the public. Particularly, he emphasized the role of monarch. Yulgok insisted saint monarch at his request of ethics politics. So, absolute monarch must do self-discipline, engage men of ability and wise, and act in accordance with public opinion. This is for realizing royal politics(王道政治) plumb the mind of communication. For realizing royal politics, Yulgok insisted three conditions. First is rearing people(養民) and education of public(敎民). Because poor people can`t observe moral ethics. Second, He layed stress on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communication of public opinion(公論). So, Yulgok`s administration theory showed us the best leader, the spirit of classical scholar, and free and justice of the press.

      • KCI등재

        율곡 몸공부법의 교육적 재음미 -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장(立志章)>과 <지신장(持身章)>을 중심으로 -

        서명석 ( Seo Myoungseok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율곡은 그이 나이 42세인 1577년 어린 아이들을 교육시키기 위한 교재로 『격몽요결(擊蒙要訣)』이라는 책을 편찬했다. 율곡은 그가 그리려는 성학(聖學)을 구현하는 실제적인 설계도를 이 책안에 구상해 두었다. 이 책 안에서 <입지장>과 <지신장>은 율곡이 생각하는 사유 방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는 장들이다. 이 글은 『격몽요결(擊蒙要訣)』의 <입지장>과 <지신장>을 중심으로 거기서 율곡이 보여주는 학문과 공부를 입체적으로 검토하고, 그것들이 오늘날 어떤 메시지를 갖고 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즉 율곡이 그의 사유 구도 속에서 생각하는 학문과 공부 그리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그가 어떤 방법을 구축해 놓았는가를 입체적으로 탐구하고 성찰하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목적이다. 율곡은 오늘날과 매우 다른 방식으로 배움[學]을 설명한다. 그가 생각하는 배움은 성인됨에 있다. 성인이 되기 위하여 배우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입지를 율곡은 강조한다. 이런 배움의 성격은 매우 존재론적이다. 그리고 그는 배움과 더불어 물음[問]도 매우 강조하게 되는데, 이것은 `우리가 왜 배워야 하는가?`, `우리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우리가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를 성학의 축 안에서 묻는 것이다. 이러한 물음에 답을 찾아가는 배움이 율곡에게는 진정한 배움이다. 이러한 배움과 물음이 하나로 묶여 학문을 구성한다. 이런 점은 오늘날 특정 분야의 체계적인 지식 등을 탐구하는 것을 학문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매우 다르다. 더 나아가서 그는 그가 그리는 학문을 위한 공부의 방법론과 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제안한다. 그것들이 이른바 구용(九容)과 구사(九思)라는 몸공부법이다. 이 공부법은 몸과 마음을 잘 규율하고 조절하여 인간을 아름답고 훌륭한 존재로 만들어가는 빌둥인 것이다. 이렇게 율곡이 성학, 학문, 입지, 구용과 구사를 통하여 보여주고자 했던 그의 사유는 오늘날 율곡의 독자적인 인문 프로그램이었다. 또한 인간의 본성도 인간의 후천적인 노력으로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는 점을 율곡이 알려준다. 즉 구용과 구사를 통한 몸공부는 습관이 제2의 본성이 된다는 점을 율곡이 일깨워 주고 있다. 오늘날 자신의 세속적인 욕망을 실현하는 것이 공부의 유일한 목적으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율곡은 존재론적 공부의 위상과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In the year 1577, at the age of 42, Yulgok published Gyeogmongyogyeol, in which he formulates a practical map of design for sage learning. The chapters of Ibji and Jisin in the book reveal important insights into Yulgok`s form of thinking. This work systematically reviews the learning-questioning and gongfu in Gyeogmongyogyeol, focusing on the chapters of Ibji and Jisin, and inquires into the messages that they bring for the modern day.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vestigate and reflect upon the learning-questioning and gongfu within Yulgok`s structure of thinking and the methods he constructed to realize them concretely. Yulgok explains learning very differently from how we do in the present day. He believes that learning lies in sagehood and emphasizes the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learning that is the representation of the will to learn in order to become a sage. This kind of learning is very ontological in character. In addition to learning, he great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questioning, which consists of posing question such as `why must we learn?`, `what must we learn?`, `how must we learn?` within the axis of sage learning. To Yulgok, true learning constitutes searching for the answers to these kinds of questions. This manner of learning and questioning consolidate to construct the idea of learning-questioning. This differs greatly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ce that inquires into the systematic knowledge of a particular sphere. Furthermore, he proposes a set of methods and programs of gongfu for learning-questioning. These are what is called the gongfu method of mom of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This gongfu method is the Bildung that regulates and controls the heart and mind to make man into a beautiful and excellent being. Today, the thinking that Yulgok sought to show through sage learning, learning-questioning, establishment of the spirit of learning,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is his original humanitas program. Additionally, he shows that even human nature may change through the postnatal effort of man. In other words, Yulgok enlightens us to the point that the gongfu of mom through nine propriety and nine thinking become habit that is second nature. Yulgok evokes the topology and importance of ontological gongfu for the modern man whose only purpose of gongfu in the present day is to actualize his secular desire.

      • KCI등재

        리기지묘(理氣之妙)의 묘(妙)를 해명하기 - 율곡 리기론(理氣論)의 과정 원자론적 분석 -

        정강길 ( Jeong Kang Gil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율곡 성리학의 理氣之妙의 妙에 대한 과정 원자론적 분석의 해명을 시도한다. 여기서 ‘妙’의 의미는 理氣 문제에 대한 해답이 아닌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의 의미로 접근된다. 퇴계의 互發說을 거부했던 율곡은 理通氣局 氣發理乘의 구도를 제시하면서 理氣妙合을 언급했었지만 정작 그 ‘妙’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해명에까진 이르지 못했던 미완의 작업인 한계도 함께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선, 율곡을 통해 理氣 이해를 좀 더 새롭게 정립해봄으로써 ‘妙’의 해명을 모순이 아닌 정합성을 구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먼저 율곡의 氣 이해와 관련해선, 하나의 氣[一氣]에 대한 화담과의 입장 차이에서 그 실마리를 얻어 율곡의 구도를 새롭게 본 것인데, “一氣長存”을 주장했던 화담은 <하나의 氣>를 <실체>substance로 이해한 반면에 율곡은 부단한 <과정>process으로서 이해한 차이를 보였었다. 그에 따라 이 글에선 과정 원자론적 이해의 접근이 시도되지만, 이것은 율곡의 주요 핵심 명제들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오히려 율곡 사상의 그 독창적 면모를 더욱 분명하게 해주는 방향으로서 제안된 것이다. 그리고 율곡의 理 이해와 관련해선, <無爲로서의 理>와 <主宰로서의 理>가 어떻게 서로 모순 없이 정합적일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作俑因과 目的因으로서의 理> 이해를 제안하여, 이것은 <所以然으로서 의 理>와 <所當然으로서의 理> 이해에 대해서도 각각 상응된다고 본 것이다. 여기선 이러한 해석적 적용을 통해 다시 心是氣의 율곡 理氣論의 밑그림을 그려봤었다. 결론적으로 학계의 엇갈린 기존의 평가들에선 주로 <주자학>과 <지각설>이라는 과거 전망의 프레임으로 보는 관점들이 쟁론화되곤 했었는데, 이 글이 채택한 입장은 그와 또 다른 대안의 방향에 있었던 것으로 본다. 즉, 퇴ㆍ율 모두 주자학에서 출발하더라도 퇴계가 주자의 진의에 좀 더 가까웠다고 본다면, 율곡은 그러한 주자마저 돌파하려는 새로운 모험의 첫 닻을 올렸던 것으로 보는 것이다. 단지 율곡의 작업이 미완으로 끝난 한계로 인해 이를 모순으로 바라보는 시각도 있긴 했었지만, 한편에서 보면 율곡의 작업은 더 큰 성리학의 그림을 향해 나아간 것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었다. 이 글이 율곡학을 <21세기 성리학>을 위한 어떤 새로운 전환과 발판이 될 수 있다고 보는 이유도, 사실상 理氣之妙의 妙를 풀어내는 작업 자체부터가 理와 氣를 논하는 유가철학사의 논의 전체를 새롭게 관통해볼 수 있다고 본 점에 연유한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of myo(妙) in Li-ki-ji-myo(理氣之妙) of Yulgok’s thought. The relation between Li(理) and Ki(氣) in Yulgok’s theory is still vague, Yulgok only wrote it was subtlely combined. In other words, Li-ki’s mysterious unity was called Li-ki-myo-hap(理氣妙合).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plain as a process-atomic perspective. First of all,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Hoadam(花潭) and Yulgok’ views on Ki. Hoadam insisted that a single-ki(一氣, il-ki) endures for a long time(一氣長存, il-ki-zang-zon). Hoadam (花潭) was understood the single-ki(一氣, il-ki) as a enduring substance. Yulgok, on the other hand, understood Ki as a process. This article suggests to understand single-ki as a single atom. Also, I regard the past world as a Li. Because it is no longer the actuality. Rather, Ki is actuality and Li is potentiality. Secondly, this article suggests that Li be understood as efficient causation and final causation. I suggest that Li as a Being(所以然, so-yi-yeon) is efficient causation, and Li as a Oughtness(所當然, so-dang-yeon) is final causation. The Being(所以然, so-yi-yeon) corresponds to the results left by Li as past world. And the Oughtness(所當然, so-dang-yeon) is potential, but it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purpose. Yulgok is schematized to Li-tong-ki-kuk(理通氣局) and Ki-bal-li-seung(氣發理乘) based on this view. In conclusion, the ultimate academic direction of Yulgok’s thought are positioning in the process-atomic perspective―this is another position that is neither frame of Zhuzi's thought(朱子學) nor the theory of reflective consciousness(知覺說). Although the work of Yulgok was incomplete, it was the first anchor of creative adventure in Neo-Confucianism.

      • KCI등재후보

        율곡 사상에 대한 다산의 이해와 비판적 계승

        김영우 ( Young Wo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8 No.-

        실학의 집대성자로 평가되는 다산 丁若鏞(1762-1836), 그의 사상적 연원을 퇴계 李滉(1501-1570)과 율곡 李珥(1536-1584) 가운데 어느 쪽에 둘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 동안 학계에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본 연구는 다산의 실학 사상을 율곡 또는 퇴계 어느 한쪽의 영향으로만 보려는 것은 후대의 당파적 시각을 반영한 것이라는 입장에서 다산의 율곡과 퇴계의 사상에 대한 비판과 계승의 측면을 모두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과 퇴계의 사단칠정 논변에 대한 다산의 평가를 검토하였고 나아가 修己治人 개념에 대한 세 학자의 견해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산이 율곡의 기발일도설을 지지한 것은 리·기에 대한 자신의 새로운 규정에 의한 것으로 그것을 율곡의 설에 대한 진정한 찬성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율곡의 기발일도설에 대한 다산의 평가를 통해 살펴야 할 것은 다산이 율곡과 퇴계의 성리설을 결코 배타적으로 보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오히려 다산은 율곡과 퇴계의 설이 각각 다르게 파악되는 이유를 분석함으로써 조선 시대의 퇴계 학파와 율곡 학파의 갈등과 대립이 실상은 오해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퇴계와 율곡의 사상을 대립적으로 평가한 것은 당쟁이 빚은 갈등의 결과이며 실제 퇴계와 율곡 사상에서는 발전과 계승의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각은 다산의 경세론을 율곡의 경세 사상에서만 찾으려는 문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퇴계의 사상을 경세에 무관심한 것이라 평가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으며 그 나름의 현실 인식에 바탕한 새로운 방식의 정치사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퇴계와 율곡 경세론에 대한 균형있는 평가가 요구되는 것이다. 다산은 율곡의 경세론을 수용하면서도, 군자 중심의 정치론이 아니라 군주와 군자가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방식의 정치 시스템 속에서 통치 주체들이 수기와 치인을 함께 추구하는 노력을 통해 인륜 국가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다산에 의해 수립된 실학 사상을 율곡과 퇴계 어느 한쪽의 영향으로만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산이 경계하였던 것처럼 당파의 편견에 얽매이지 말고 선현의 취지를 찾아서 그것을 발전적으로 탐구하고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한국 사상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바이다. Tasan Chong Yag-yong is valued as the culmination of practical science. Origin of his Silhak thought (Practical Learning), however, has been treated as a controversial question in academic world: Which side does Tasan belong, to Toegye or Yulgok?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fact that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between School of Toegye and Yulgok during the Chosun Dynasty had actually arisen from misconception. In order to verify the thesis, I first reviewed Tasan`s evaluation of both Toegye and Yulgok regarding their debate on Four-Seven, then further compared the three scholars` views on the concept of `governing people through self-cultivation (修己治人). Tasan`s early support of Yulgok`s theory of qi-issuance cannot be fully justified, since his argument was built around his own definition of li and qi; he did not mean to truly succeed Yulgok. What we should figure out from Tasan`s favorable evaluation on Yulgok is, nevertheless, that he did not regard the two predecessor`s theory as mutually exclusive. Rather, by analyzing the fundamental reason why the two theories were grasped differently, Tasan ventured to remove the mis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schools. The oppositional and often hostile evaluation on the rival schools was in fact due to the political factional strife; the aspect of mutual advancement and succession, which had been neglected so far, should be explored in detail. In the similar context, Tasan`s theory of political and social management (經世) was compared only to that of Yulgok`s. It would be unfair to regard Toegye as indifferent to the question of managing social and political problems; Toegye had his own way of approaching political issues, based on his awareness of the reality of his time. A balanced assessment of Toegye and Yulgok`s theory of political and social management is, therefore, urgently required.

      • KCI등재

        연구논문 : 율곡학의 심학적 계승과 변용

        김세정 ( Sea Jeong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3 No.-

        다양성과 유연성 그리고 비판의식과 창조정신을 율곡과 율곡학파의 주요한 학문적 특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율곡학의 이러한 특성을 함축하고 있는 흐름 가운데 하나가 바로 ``율곡학의 심학적 계승과 변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明齊 尹拯을 징검다리로 하여 霞谷 鄭齊斗를 통해 완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율곡학이 명재를 거쳐 하곡에 이르러 어떻게 심학적으로 계승되고 변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2장에서는 율곡의 양명학에 대한 입장과 율곡의 誠 사상을 중심으로 율곡학에 내재된 심학적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율곡-명재-하곡으로 이어지는 학문적 연원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서 명재를 통한 하곡으로 계승된 誠 사상의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율곡으로부터 발원하여 명재를 통해 하곡으로 이어지는 심학적 변용과 창조의 밑바탕에는 ``誠``과``寬``이라는 공통분모가 존재한다. 그들에게 있어``誠``·``寬``은 우주자연과 인간의 진실한 생명본질이자 또한 역동적인 삶의 표현방식이다. 명재가 율곡의 誠과 寬의 계승이라는 바탕 위에 務寬寬學을 꽃피웠다면, 하곡 또한 이들을 계승하여 良知心學을 꽃피웠다. 4장에서는 율곡 이기론에 대한 하곡의 비판과 더불어 하곡의 心理說에 대한 고찰을 통해 하곡의 良知心學으로의 변용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하곡은 율곡과 주자의 物理와 차별화된理氣一體的 존재로서의 생리生理를 제시한다. 生理는 존재 원리와 도덕규범을 창출하는 주재자임과 동시에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도덕 실천력으로서 율곡에 비해 보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인간으로 한 발 더 나아간다. 또한 하곡은 體用一源·體用合一體로 서의 良知를 제시한다. 양지는 知行合日體로서 하곡의 良知心學은 知行竝進을 주장하는 율곡에 비해 인간의 주체성과 능동성은 물론 실천성을 보다 더 강조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變容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main characteristics of Yulgok and the Yulgok school are diversity, flexibility, critical consciousness and creativity.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contain such feature is the Simhak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Yulgok philosophy.` This trend was completed by Hagok Jeong Jaedu through Myeongjae Yoon Jeung. In this area, it examined how the Yulgok philosophy was succeeded and transformed in terms of Simhak to Hakgok through Myeongjae. The common features of such Simhak transformation and creativity were ``Seong(誠)and ``Sil(實)``. ``Seong`` and ``Sil`` are dynamic expression of life and the true essence of life. While Myeongjae blew practical Silhak based on the succession of ``Seong`` and ``Sil``, Hagok also produced flowers of ``Yangji Simhak`` by succeeding it. Hagok suggested the natural laws and life laws. Life laws are initiators of creating existing principle and moral norms as well as represent subjective and active moral practicality. Thus, it went a step further to more subjective and proactive than that suggested by Yulgok. The Hagok philosophy was transformed to reinforce practicality on top of human subjectivity and activity compared with the Yulgok philosophy.

      • KCI등재

        19세기 심론(心論)의 주재(主宰) 문제로 본 율곡학의 양상 -임헌회, 송병선, 이항로, 기정진 등을 중심으로

        김근호 ( Goun Ho Kim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8 No.-

        본 논문은 19세기에 한정하여 심성설에 나타난 ‘주재’의 문제를 중심으로 율곡학파의 심성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재’의 문제는 19세기 율곡학파뿐만 아니라 퇴계학파에 속하는 한주학파와도 부각되었던 주요 논제들 중의 하나였는데, 이는 18세기 명덕에 대한 理氣論的 해석이 本心에 대한 리기론적 규정으로 전개되면서 19세기 심설 논쟁에서 부각되었던 논제였다. ‘주재’는 心性論에서 心의 機能을 가리키는 말로, ‘본성 실현의 현실적 주체’에 관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것은 19세기 국난 극복을 위한 사회실천의 정당화 과정으로 짐작된다. ‘주재’의 주체, 그리고 대상 등이 19세기 율곡학파 내에서 어떻게 정당화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기 위해 먼저 퇴계학파에 속한 李震相의 ‘心’을 중심으로 한 율곡학파 비판의 논점을 살펴보았다. 그의 비판에서 19세기 율곡학파의 心論이 가진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살펴보고, 또한 율곡학파 心論의 특징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을 중심으로 19세기 율곡문인들 중 任憲晦, 淵齋學派의 종장인 宋秉璿, 蘆沙學派의 奇正鎭, 華西學派의 李恒老 등의 ‘주재’에 관한 논의를 개략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는 특히 율곡학파의 심설에 나타난 양상을 18세기와의 연관, 즉 율곡사상의 사상사적 전개과정에서 살피기보다 19세기 퇴계학파와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율곡학의 심론에 담긴 본지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Yulgok school[栗谷學派] theory on "ChuJae(主宰, preside)" in the 19th century. At that time, the philosophical problem of "ChuJae" had been given a considerable attention of Neo-Confucianism. Especially, there was a marked contrast between Yulgok school and Toegye school[退溪學派]. The Neo-Confucianists of Toegye school insisted that emotions and behaviour were amendable to the workngs of the human mind and the Mind contained principle and material[心合理氣]. Among them, Yi Jin-Sang(李震相) theorized about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心卽理), which was distinction between their mind theory and a concept of School of Mind(心學). In counterpoint to that of them, Neo-Confucianists of Yulgok school in the 19th century accepted Yulgok`s mind theory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是氣). The indifference to Mind theory was also met with in the Lichi(理氣) theoretical explanation problem of "ChuJae(主宰, preside)". Nevertheless there remains an unexplained aspect in recent research. By exploring some key singnifying aspects in their Mind theory, I hope to show them how to justify the Lichi theoretical explanation of "ChuJae(主宰, preside)". Basically, their arguments was coupled with their endeavor to overcome of national crisis. They laid much of the theoretical basis of practical morality, and tried to make head against Western powers by the Expulsion Movement of wickedness[斥邪] an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