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방임아동의 애착형성을 위한 모-아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심혜원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7 놀이치료연구 Vol.11 No.3

        This study is a play therapy case for mother-child attachment promotion. The child is nine years old and has a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because of mother's neglection caused by her depression. After brief nine session play therapy, mother-child attachment is promoted and child's self-esteem is improved and mother has have a confidence and responsibility about care of child. This study has a meaning about helping them to solute future problem by oneself. 이 연구는 주의산만과 학습부진이라는 모의 호소문제로 놀이치료에 의뢰된 만 9세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이다. 아동은 생후 3~6개월경 입양되었는데, 양육자인 모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비일관적인 양육을 해왔고, 우울의 문제가 심해지면서 아동을 방임함으로써 아동이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또래와 사귀지 못하는 등의 문제행동이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이 사례는 아동과 모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하여 서로 간 애착을 증진하게 하고, 이로써 아동에게는 긍정적 자아감을, 모에게는 양육에 대한 자신감 및 책임감을 갖게 하는 목표를 가지고 매 회기 아동-모-치료자 놀이치료 및 모-치료자 상담을 제공하였다. 치료 초기 아동은 비교적 자신의 욕구를 잘 표현하고 모와의 상호작용을 원하고 시도하나 이에 대해 모는 적극적이고 민감하게 대응하지 않고 신체적, 심리적으로 무기력함을 호소하였다. 또한 일상에서 부딪히는 모와 아동의 관계역동의 파악해 본 결과 모는 아동에게 짜증과 신경질 자주 내고, 아동은 이렇게 내재된 불만을 신경질적으로 표출하는 것으로 파악되어 모와 아동이 이러한 상황들에 어떻게 대처해 가야할지 다루어 주었다.치료 중기는 아동과 모의 애착을 중진하고 상호작용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치료놀이를 구조화하여 접근하였고 이를 통해 아동은 차츰 표정이 밝아지고 모 역시 우울의 문제를 극복해 가면서 아동 양육에 대한 자신감과 적극성을 보여주었다. 그렇지만 여전히 치료자가 애착증진을 위해 내어준 과제를 수행할 에너지는 보이지 못했다. 치료 말기는 아동과 모의 애착이 증진됨과 동시에 이사와 전학이라는 환경적 변화가 아동과 모 모두에게 스트레스로 다가오기 보다는 새로운 동기를 불어 넣어주는 계기가 되어 아동과 모의 정서가 밝아지고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치료를 통해서는 아동의 학교생활 및 또래관계 문제와 모의 관계 및 양육 기술에 대해 인지적, 행동적으로 다루어감으로써 아동과 모가 앞으로 당면하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갈 수 있도록 도왔다.그렇지만 모의 우울 성향 및 즉각적이고 자동적인 부정적 신념과 태도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아 여전히 비일관적이고 비합리적인 양육태도를 보일 수 있어 추후 모에 대한 개별적인 심리치료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아동-모의 적극적인 상호작용 경험을 제공하는 단기적이고 구조적인 놀이치료 접근을 통해 서로 간 애착을 증진하고 서로의 바람을 이해하며 행동의 변화를 갖도록 도움으로써 앞으로 당면해 갈 문제를 스스로 해결해 갈 수 있도록 돕는 지렛대를 제공해 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또래애착의 중재효과 분석: 정상아동과 비만아동의 비교

        김춘경,조민규,최명숙,김지호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3 놀이치료연구 Vol.17 No.1

        In this study, We had investigated that degree of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n obese children compared with general children, and moder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in two groups. Using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data, this study estimate the effect of narrow obesity (normal/overweight/obese) on the school adjustment. In our study results, obese childre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neglect, communication, trust), and obese children group was lower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maltreatment, alienation). Second, among parenting attitude whereas effect of maltreatment was small or not-significant, neglect was increase school adjustment(both obese group and normal group). Also, their impact was higher in the obese children than normal children and especially, neglect had a great impact on school rule in obese group. Third, moderate effect of peer attachment wasn't significant to increas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school adjustment(obese children group). However, normal children group was significant. Lastly, meaning, sugges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ies were discussed. 부모의 양육태도는 신체적, 심리사회적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아동과 비교하여 비만아동의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에서 또래애착의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의 2차년도 아동용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비만을 협의의 비만(정상/과체중/비만)으로 정의하고,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만아동집단이 정상아동집단에 비해 방임, 의사소통, 신뢰가 유의하게 높았고 학대와 소외가 낮았다. 둘째, 학대의 영향력은 낮거나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방임은 비만아동과 정상아동 모두에서 학교적응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그 영향력은 정상아동 보다 비만아동군에서 높았으며 특히, 방임이 비만아동의 학교규칙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높았다. 셋째, 양육태도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양육태도의 영향력을 강화, 보완할 수 있는 또래애착의 중재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비만아동집단). 그러나 정상아동집단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한계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부부갈등이 아동의 심리적 적응문제에 미치는 영햐: 아동의 정서적 안정성의 매개효과

        송은하,정은정,방희정,옥정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8 놀이치료연구 Vol.12 No.1

        The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resent explanation for how interparental conflicts affect child psychological adjustment. We examined children's emotional security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282 5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130 boys and 152 girls), their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Methodological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demonstrat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proposed mediator and the adjustment problems.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children's emotional security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mediator that link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problems. The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rovided a reasonable fit(internalizing problems), a close fit(externalizing problems) and the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was also fit to this data.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marital conflict, children's emotional security and adjustment problems are interrelated, and that emotional security is one of key mediators of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s and child psychological adjustment. 정서적 안정성 가설이란 부부갈등이 아동의 심리적 적응문제에 영향을 미칠 때, 양자의 관계를 매개하는 아동의 심리 내적 매개과정을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의 정서적 안정성이 그 매개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서울과 대전 시내 초등학교 5학년 아동 282명(남아 130명, 여아 152명)과 그들의 부모, 교사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아동의 정서적 안정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정서적 안정성 가설의 모델이 적합한지를 구조방정식 접근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안정성 가설의 모델은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각각에 대해 괜찮은 적합도, 좋은 적합도를 보였으므로, 부부갈등은 아동의 정서적 안정성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적응문제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 신체학대아동과 일반아동의 심리사회적 변인 연구

        노정숙,이경숙,김보애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3 놀이치료연구 Vol.7 No.2

        This research examines childhood depression, parents marital conflicts, parents child rearing competence, parents attachment to the children, and problematic behaviors as psychological factors of physically abused children and non-abused children. The survey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are 19 physically abused children between 6 and 11 years old, and 21 children who have never been physically abused. Surveys for this research included questionnaires to assess the perceived degree of childhood depression, marital conflicts, parenting attitudes, parent attachment, children's behavior problem among the physically abused children and non-abused children. The physically abused children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depressed and experienced emotional distress in their home stemming from their parents marital conflict than those from non-abused children Also, the parents commitment to their children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fathers of the physically abused children and those of non-abused children. The physically abused group of children perceived less parental attachment and showed more problematic in attention spans, conduct, and externalization behavior than those from non-abused children 본 연구의 대상은 만 6세에서 만 11세 사이의 신체적 학대를 받고 기관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동 19명과 신체학대 경험이 없는 일반아동 2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심리평가척도를 실시하여 이 두 집단의 기초적인 심리사회적 변인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평가척도는 신체학대 아동집단과 일반아동이 직접 평가한 아동기우울척도, 가정의 부부갈등질문지, 양육태도질문지, 부모애착질문지였다. 또한 이 아동들의 문제행동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신체학대 아동집단은 기관의 보육담당자가, 일반아동집단은 부모가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신체학대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더 우울하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가정의 부부갈등이 더 많았으며,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권위적, 통제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와의 애착정도는 일반아동에 비해 낮았고 문제행동은 주의집중․비행․외현화된 행동문제를 일반아동보다 더 많이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방임된 가출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김정하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2 놀이치료연구 Vol.6 No.2

        The Korean society has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child abuse and made the laws and the systems for child abuse. However, the proper recognition regarding the situation in which child abuse occurred, as well as regarding the consequences of child abuse on the child's growth is not satisfactory. Thus, This study shows the harmful affect of child abuse on the growth of the child's emotion and the result of play therapy. This study illustrates a case of a client- after the divorce of his parents, the child was grown up in the state of 'neglect'. Later, having some mental problems, he wasn't adapted to the school, ran away from home, and took to thieving. This case was committed to the Center for the Prevention Child Abuse and finally he was fully recovered. Until his conduct disorders were eliminated and the proper home environment for his growth was made, the client was put in the child therapeutic center in which he received six group therapies for early adaptation and seventeen play therapies. This study focuses on play therapy. After he was given play therapy, his mental trauma made by the abuse was cured. Consequently, he quitted delinquencies and recovered emotional stability, the client returned to his home with proper environment. 현재 우리나라는 아동학대에 관한 법과 제도적 장치의 마련으로, 그 어느 시기보다도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가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에 미치는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가 아동의 심리적 성장․발달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알아보고, 피학대 아동에 대한 놀이치료 적용을 보여주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 아동은 부모의 이혼 후, 오랫동안 방임적 환경에서 자라면서 심리적 문제를 갖게되었고 나아가 학교부적응, 도벽, 가출 등의 문제를 보이면서 아동학대예방센터에 의뢰되었다. 연구대상 아동에게는 안정된 환경의 제공과 함께 문제행동의 소거를 위해 초기적응을 위한 6회의 집단치료와 19회의 개별놀이치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놀이치료를 중심으로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아동은 놀이치료를 통하여 학대로 인한 심리적 외상을 치료하고, 정서적 안정을 찾고 문제행동이 소거된 후, 안정된 양육환경이 마련된 가정으로 되돌아갔다.

      • 정서장애 아동 어머니와 일반 아동 어머니의 아동기 학대 경험 차이 비교 연구

        이경숙,이선우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2 놀이치료연구 Vol.6 No.1

        부당대우(maltreatment)에는 신체적 학대, 성적 학대, 방치, 정서적 학대 범주가 포함되는데, 아동기의 학대나 방치와 같은 특별한 형태의 부정적 영향력을 심리적 부당대우(psychological maltreament)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아동기 학대 경험은 개인의 인지, 성격, 사회적 관계 등 모든 측면에 많은 영향을 주며 특히, 부모로부터 신체적 학대를 받은 사람은 자신의 자녀에게 더 폭력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가족폭력에 대한 세대간 전이연구 결과가 항상 일치하지는 않지만, 아동기 학대 경험이 있는 부모의 경우, 자녀에게 심리적 학대를 할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서장애 아동의 어머니가 일반 아동의 어머니보다 아동기 학대 경험이 더 많은지의 여부와 많다면 어느 영역에서의 학대 경험이 더 많은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반응성 애착장애와 불안장애로 진단받은 만 2세부터 8세까지의 아동의 어머니 47명으로, 어머니의 연령은 만 24세부터 만 41세였고, 학력은 고졸(38%)과 대졸(51%)이 주류를 이루었다. 비교대상인 일반아동의 어머니는 유치원연령(만 3-6세)의 자녀를 둔 어머니들만을 50명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이경숙, 심혜원(2001)이 번역하고 타당도 신뢰도 검증을 한 척도인 아동학대 및 외상척도(Child abuse and trauma scale)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장애 아동의 어머니가 일반아동의 어머니보다 전반적으로 심리적 학대 경험을 더 많이 받았으며 특히, 신체처벌과 부정적인 가정환경 및 방치경험 그리고 혼합된 학대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ltreatment experiences on later parenting practices and symptoms of offspring. Participants were 47 mothers(clinical children group) and 50 mothers(normal children group). The mothers of emotional disorder and normal reported on their own experience of maltreatment by parents when they were children on Child Abuse and Trauma Scale. As reported by their own childhood maltreatment, the mothers of emotional disorder childre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perience abusive parenting including punishment, negative home atmosphere/neglect and mixed maltreatment. Finding indicated that abuse experienced by the parents were predictive of parental maltreatment and insecure mother-child relationship.

      • KCI등재

        집단예술치료 경험에서의 의미 탐색을 위한 합의적 질적 연구: 아동 심리재활 전공 수련생을 중심으로

        이미선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22 놀이치료연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group arts therapy experiences for trainees specializing in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for childre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uch traine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From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 3 upper categories and 35 sub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group arts therapy, participants experienced healing energy and the power of change and understood harmony through stability, relaxation, and psychological balance. Second, through the cognitive experience of this group arts therapy, participants were able to achieve inner awareness, improved insight, self-opening, and an improvement in their media and arts work. Third, as a relational experience through this group arts therapy, participants understood communication methods and patterns with others , and as the bond was strengthened, empathy and reliability improved. In summary, group arts therapy promoted improvement of the trainees’ psychological⋅emotional/cognitive/relational experiences, and showed the effectiveness of making positive life changes and improving awareness. 본 연구는 아동 심리재활 전공 수련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 및 분석하여 집단예술치료 경험의 심리적 특성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수련생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 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3개의 상위 범주, 35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집단예술치료를 통한 심리·정서적 경험으로써, 치유적 에너지와 변화의 힘을 느끼고 안정감 및 이완, 심리적 균형과 조화를 이해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집단예술치료를 통한 인지적 경험으로써, 내면에 대한 알아차림, 통찰력의 향상, 자기개방, 매체 및 작업에 대한 작업 증진 등을 이룰 수 있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집단예술치료를 통해 관계적 경험으로써, 타인과의 의사소통 방식과 패턴을 점검하고, 유대감이 강화되며 공감 능력과 신뢰가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집단예술치료는 아동 심리재활 전공 수련생의 심리·정서적/인지적/관계적 경험의 개선을 촉진하였으며, 긍정적인 삶의 변화와 알아차림의 증진 효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 및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정자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5 놀이치료연구 Vol.19 No.1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RPs(Therapeutic Horse Riding Programs) on the advancement of self-expression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are six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RPs chosen among the special school students and special class in the regular school located in city of Y. To attain the object of the research I set up the research problems below: first, do THRPs improve the self-express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do THRPs elevate the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 had done this program once a week each 60 minute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4, making a total of twelve sessions. After this investigation I conclude that THRPs are effective in the advancement of self-expression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ven though the size of sample is small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outcome of program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RPs will be helpful to the psychosocial adjustment. 본 연구는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Y시에 위치한 특수학교 및 일반학교 특수학급 학생 중 재활승마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지적장애 아동 6명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을 향상시키는가, 둘째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가이다. 프로그램은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1회기 60분씩 주 1회,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활승마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는 제한된 사례수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나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재활승마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아동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KCI등재

        게슈탈트 놀이프로그램이 학령후기 아동의 자기수용에 미치는 효과

        김채현,김숙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20 놀이치료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게슈탈트 놀이 프로그램이 학령후기 아동의 자기수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2명이다.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각각 무선 배치하였다.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자기수용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평가지를 분석하였으며, 자기수용 관련 행동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 아동의 자기수용 척도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자기수용이 낮은 행동은 감소하고 자기수용이 높은 행동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자기수용을 증진시키는 데에 게슈탈트 놀이 프로그램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referred to the effects of Gestalt play program on the self-acceptance in lat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th and 6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Each of 6 persons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o identify the change, the children's self-report peer self-acceptance tests were conducted, program evaluation were analyzed, expressions related to self-acceptance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acceptance scale score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Second, expressions with low self-acceptance decreased. And expressions with high self-acceptance were increase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Gestalt play program could be useful for promoting the self-acceptance of late school children.

      • KCI등재

        우울한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모래상자놀이에서 나타나는 상징물, 상징물의 관계성 및 심리적 표현 비교 연구

        이정자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4 놀이치료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우울한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나는 상징물, 상징물의 관계성 및 심리적 표현에 대해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Y시 S대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우울집단과 일반 집단으로 구분하여 모래놀이치료에 참석하고 싶어하는 우울한 대학생 20명과 일반 대학생 20명, 총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우울한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나는 상징물, 상징물의 관계성 및 심리적 표현에 차이가 있는지 빈도분석과 비모수 검정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상징물의 관계성에서 우울한 대학생은 낮은-혼돈관계가 45%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일반집단은 높은-대인관계가 70%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상징물의 관계성은 우울집단과 일반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표현에서는 우울집단은 불안/두려운 심리적 표현이 40%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일반집단은 편안/평화스러운 심리적 표현이 2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에너지에 찬, 만족한/긍정적인 심리적 표현은 우울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반집단은 30%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통계적으로도 심리적 표현에서 우울집단과 일반집단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figures, symbolic relationship and the psychological expression between the depressed and the normal undergraduates in the sandtray play.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first and the second year undergraduates of S university in Y city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The number of the students were 40. I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a depressed group and a normal group, each 20 persons, and carried out an frequency analysis and non-parametric test. The outcome of the research were like below: First, figures were tested to be valid in person and building. Secondly, the depressed students showed 45% point in the low confused relationship and the normal students 70% point in the high personal relationship. This means that there is a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symbolic relationship. Finally, the depressed students showed 40% point of anxious/frightened expression and the normal students 25% point of comfortable/ peaceful expression. In addition, the depressed students showed no satisfied/positive point but the normal students 30% point. This result means there is a difference statiscally in the psychological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