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과제 수행에서 대학생들이 인식한 실재감의 자기평가 및 팀 평가 예측 검증

        원지영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whether or not three types of presence: social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predict self evaluation and team evaluation when university students are engaged in a team-based project learning by using KakaoTalk(One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s used in Korea). The subjects were 107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guided to finish a team project by performing a collaborative interaction as a group of 3 or 4 students using KakaoTalk.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sk the levels of three presences: social, cognitive, and teaching presence that students perceive while they collaborate through KakaoTalk. Also, students were asked to self-evaluate and team-evaluate their collaborative learning that they preformed through KakaoTalk.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presence predicted self-evaluation. Second,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predicted team evaluat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tudents perceive high levels of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in order to experience the qualitative team-based project learning through KakaoTalk.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인스턴트 메신저,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팀 과제를 수행하는 대학생들이 모바일 상에서 형성된 학습공동체의 협업 과정에서 인식한 사회실재감, 인지실재감, 교수실재감이 협력 학습에 대한 자기평가 및 팀 평가를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A 대학교 사범대생 107명을 3~4명으로 구성된 팀으로 나누어 4주 동안 팀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 협력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상호작용 활동을 하면서 팀 과제를 완성하였다. 팀 프로젝트 과제를 끝내고 설문지를 통하여 카카오톡을 이용하여 상호작용 활동을 하는 동안 그들이 사회실재감, 인지실재감, 교수실재감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분석하였고, 자기평가와 팀 평가를 실시하여 협력 학습 성과를 평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각 실재감의 자기평가 및 팀 평가의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카오톡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 과제 수행에서 자기평가를 예측하는 실재감은 사회실재감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평가를 예측하는 실재감은 사회실재감과 교수실재감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카카오톡을 활용한 팀 프로젝트 수행에서 양질의 협력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의해야 할 실재감 유형을 파악하고 그러한 실재감의 수준을 높이는 교수 전략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강명희 ( Myung Hee Kang ),김나연 ( Na Yeon Kim ),김민정 ( Min Jeong Kim ),김지윤 ( Ji Yoon Kim ),임현진 ( Hyun Jin L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인지적실재감, 감성적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A 사이버대학에 재학중인 206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한 결과, 교수실재감이 인지적실재감(β = .50), 감성적실재감(β = .58), 학업만족도(β = .26) 및 학업성취도(β = .16)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인지적실재감이 학업성취도(β = .85)에, 감성적실재감이 학업만족도(β = .45)와 학업성취도(β = -.15)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수실재감은 인지적실재감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감성적실재감을 매개로 학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간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수실재감, 인지적실재감과 감성적실재감은 학업성취도를 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간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인 학업만족도, 학업성취도, 학습지속의향은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성공적인 사이버대학에서의 학습성과 보장을 위해서는 교수-학습 실재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인 교수설계와 학습촉진 전략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전략은 학습지속의향을 고취시켜 중도 탈락을 막을 수 있는 유용한 방안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Learning in a cyber university. 206 students enrolled in a course at a cyber university participated for this study.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ail, teaching presence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pres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Cognitive presence had a direct effect on achievement and emotional presence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Moreover, teaching pres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with the mediation of cognitive and emotion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resence(cognitive and emotional presence)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with the mediation of achievement.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role of teaching and learning presence in an e-learning course in a cyber university. Furthermore, crea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by activat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esence.

      • KCI등재

        사이버대학생과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의 이러닝 실재감과 자기효능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성열,남민우,임종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1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achievement with selected factors such as e-learning presence and self-efficacy. The learning presence was composed of 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in the study. Learning achievement consists of sub-factors such a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588 from the Open Cyber University and 1,133 from Consortium Cyber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on-line survey. The followings were the major results. First, it was revealed that cognitive presence, teaching presence and self-efficacy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with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Meanwhile, all variables including social presence affected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with the Consortium University students. Second, in terms of magnitude of the effect, cognitive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were identified having greater influence on learning achievement in the Cyber University. Third, social presence in the Consortium University was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 which affects learning achievement in comparison with the Cyber University. 이 연구는 사이버대학생과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의 이러닝 실재감(교수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과 자기효능감이 학습만족도와 지속의향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O사이버대학교 학생 588명과 O컨소시엄사이버대학교 학생 1,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대학생의 학습만족도와 지속의향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지적 실재감, 교수실재감, 자기효능감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들은 인지적 실재감,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등의 모든 변인들이 학습만족도와 지속의향의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이버대학생과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면 사이버대학생은 인지적 실재감과 교수실재감 등이,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은 인지적 실재감과 자기효능감이 다른 변인에 비해 학습성과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컨소시엄사이버대학생은 사이버대학생과 비교하여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의미있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온라인 튜터링 교양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실재감의 영향분석

        변소연(Byeon, SoYeon),추성경(Chu, SungKyung),윤혜경(Yoon HaeG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튜터링 방식으로 진행된 교양수업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간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학습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21년도 1학기 D대학교 튜터링 교양수업에 참가한 105명을 대상으로 학습실재감과 학습성과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6.0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학습자들의 튜터링 참여 전 학습실재감과 16차시 참여 후 학습실재감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진행하였고, 튜터와 튜티의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은 학습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튜터는 학습실재감 중에서 사회적 실재감(공존감, 영향력, 응집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튜티는 감성실재감의 감정인식, 인지적 실재감의 학습내용과 지식창출, 사회적 실재감의 응집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통해 학습실재감은 다양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성공적인 온라인 튜터링을 위해서는 학습실재감 변인을 포함한 학습전략 설계 및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betwee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 perceived by learners in liberal arts classes conducted through online tutoring and to present 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learning performance. Method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performan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05 people who participated in tutoring liberal arts classes at D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SPSS 26.0.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change in the learners’ sense of learning presence before participating in tutoring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16th session; and for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utors and tutees’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performances, it was performed the calculation of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learning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significantly predicts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utors significantly predicted social presence(co-presence, influence, and cohesiveness) among learning presence, and tutees significantly predicted emotional recognition of emotional presence, understand learning and knowledge constructing of cognitive presence, and cohesiveness of social presence. Conclusions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presence is an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learning performance at various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and for successful online tutoring, the need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learning presence variables was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권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다양한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사이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토론효과인식,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을 (동료)학습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으로 구분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기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성과 변인과의 상관에 있어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에 비해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 모두 토론효과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이 조금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에 대해서는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토론효과 인식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learners' characteristics. Therefore, social presence, perception of discussion effect, and overall perceived learning were surveyed among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the construct of social presence was divided into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were then analyzed separately. Research results show that, first,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learners' year (grade) in school. That is, higher grade students perceived social presence highly.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all of the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e relationships of teacher social presence with other outcome variable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learner social presence. Third,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erceived effect of discussion, but the effect of teacher social presence was only slightly stronger than that of learner social presence. Fourth, teacher social presenc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perceived learning overall but learner social presence was not. Similarily, only teacher social presence accounted for some of the variability of satisfaction, while learner social presence did not account for the vari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of the online teacher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were suggested.

      • KCI등재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각 실재감 하위요인의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예측

        이정민,오성은,정현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서 페이스북을 활용한 학습을 설계하거나 실천하고자 할 때, 적절한 학습실재감 전략을 제공하고자 페이스북을 활용한 학습에 참여한 95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페이스북을 활용한 학습성과(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를 예측하는 학습 실재감 요인과 하위요소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16주간 페이스북 상에서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활동이 끝난 후 인지, 사회, 감정 실재감과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인지, 사회, 감성실재감은 모두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지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 인지실재감 하위요인은 '학습내용 이해', '지식창출정도'였고, 사회실재감 하위요인은 '공존감', '영향력', '응집력'이었다. 또한 '감정인식'요인이 감성실재감 하위요인 중 유일하게 학습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지속의지를 유의하게 예측했던 인지실재감 하위요인은 '학습내용이해', '지식창출정도'로 학습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과 동일하였고, 사회실재감 하위요인으로는 '영향력', 감성실재감 하위요인으로는 '감정인식', '감정관리'가 유의하게 예측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에서 학습자의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를 높이기 위한 인지, 사회, 감성실재감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dictability of learning presence(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and sub-factors of each presence on the persistence and satisfaction in university lectures using facebook. TO investigate this purpose, 95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 course "career education" clas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y experienced various learning activities on facebook during 16 weeks. After the instruction, they responded learning presence(cognitive, social, emotional),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survey. Thos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ing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persistence in university lectures using facebook. second,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knowledge construction' which are subfactor of cognitive presence, 'co-presence', 'influence', 'cohesiveness' which are subfactor of social presence and 'perception' which is subfactor of emotion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satisfaction. Third,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knowledge construction' which are subfactor of cognitive presence, 'influence' which is subfactor of social presence and 'perception', 'emotional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 of emotion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persistenc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learning presence should be facilitated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in university lectures using facebook.

      • KCI등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김지심(金志心),강명희(姜明嬉)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인 이러닝의 특성에 기초하여 공급자 측면이 아닌 학습경험을 중심으로 기업 이러닝 품질을 평가하였다. 이에 학습자가 학습과정에서 지각하는 수업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인 교수실재감과 학습자의 내재적 지각을 의미하는 학습실재감의 두 요인인 인지적, 감성적 실재감, 그리고 학습효과 요인인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기업 이러닝의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러닝 설계와 운영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기업에서 이러닝을 수강한 415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교수실재감, 학습실재감, 학습효과 간의 직접적 · 간접적 효과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실재감은 인지적 실재감을 매개로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적 실재감을 매개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 이러닝의 품질 향상을 위해 설계와 운영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써,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요인인 인지적, 감성적 실재감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As e-Learning continues to grow in popularity as training program in organizations, they strive for high quality of e-learn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effectiveness perceived differently by students depending on various e-learning experienc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415 cases participating in e-learning in a corporate set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presence had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Second, the results revealed that learning presence had a direct effect on both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eaching presence had an influence on learning persistence and emotional presence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However, unexpectedly,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presence was not a highly influential factor for satisfaction and emotional presence did not directly influence learning persistence. Finally, the results revealed that cognitive pres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Also, it was seen that emotional pres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However, emotional presence did not mediate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ersistence. Consider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as the quality of e-learning,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lead to an implication that the quality of e-learning in the corporate setting will be increased by for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which can enhance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resence.

      •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하위요인이 지각된 토론효과에 미치는 영향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1) 학생의 학기차, 같은 수업에서 알고 있는 동료의 수, 토론 그룹의 크기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2) 사회적 실재감(하위요인)이 지각된 온라인 토론의 정서적,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3) 토론 그룹의 크기, 학기차, 알고 있는 동료의 수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이 지각된 토론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과 지각된 토론효과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온라인토론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사회적 실재감 촉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격대학원에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및 지각된 토론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그룹별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얼굴과 이름을 아는 동료의 수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모든 하위요인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의 모든 하위 요인은 인지적, 정서적 토론효과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 하위요인 가운데 상호집중 및 지원과 개방적 의사소통이 토론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정서적 유대감은 토론효과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넷째, 학습자 특성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회적 실재감 인식이 낮은 저학년 학생 그룹과 동료 학습자의 얼굴과 이름을 잘 알지 못하는 그룹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효과 향상을 위한 사회적 실재감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and to gain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facilitate online discu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1)the differences of social presence(and sub factors) by students’ year of online class, number of acquaintance in the class, and size of online discussion, (2)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and sub factors) on 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3) and the differences of effects of social presence by year of online class, number of acquaintance in the class, and size of online discussion. For this study, the students taking an online course in cyber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online discussion two times during a semester. After a semester, students participated the survey about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number of acquaintance in this course. The more students know the peers, the higher they perceived the social presence. Second, all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correl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outcomes of discussion significantly. Third, social presence was influential on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especially, more influential on emotional effects than cognitive effects.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mutual attention and support’, ‘open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on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however, emotional connectedness was not. Fourth, the effects of social presence were more powerful in a group of students who was lower grade and knew few or no acquaintance in the course. These group were perceived lower social presence than others compara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es of facilitating social presence to enhance the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실재감, 몰입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송윤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4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1 No.1

        최근 일반대학에서도 100% 온라인 수업이 확장되면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관한 관심과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학습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 관련 변인인 디지털 리터 러시, 실재감, 몰입과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대전소재의 B대학교와 충청소재의 K대학교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 301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 였다. 연구결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실재감, 몰입은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변 인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교수실재 감은 학습실재감 중 인지적 실재감에만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적 실재감은 몰입과 학습만족도에 긍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감성적 실재감은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몰입은 학습만족도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 몰입은 매개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이 결과 는 대학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 실재감, 몰입을 향상해 야 함을 시사한다. In the context of the recent expansion of 100% online classes in colleges, there has been a notable surge in interest and utilization of synchronous online classes. Consequently, this study aims to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tinent variables, namely digital literacy, presence, and flow. The study involved 301 university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at both B University in Daejeon and K University in Chungcheong-do. The collected data underwent thoroug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found that digital literacy, presence, and flow were predictors of learning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Digital literacy had a positive impact on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presence. Teaching presence only affected cognitive presence among learning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positively affected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Emotional 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flow and flow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Furthermore, cognitive presence, emotional presence, and flow were validated as media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gital literacy, presence, and flow should be enhanced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 KCI등재

        e-Learning 기반 온라인 토론학습의 학습실재감 차이 분석

        박기훈,김영민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empirically the difference of learning presence in online discussion based on e-learning, and to suggest its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performance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pervious studies on discussion learning and learning presence such as social prence, 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a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udents taking the course “Volunteer Work” at S Cyber University. T-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re and post difference in learning presence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type of online discu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presence increased significantly through the professor’s active social message in the case of online discussion. And cognitive presence and emotional pres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presence and teaching presence. 본 연구에서는 e-learning 방식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사이버대학에서 온라인 토론학습의 학습실재감 차이를분석하고, 온라인 토론학습의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토론과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사회적 실재감,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감성적 실재감의 차이를 측정할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고, 온라인 토론학습의 운영을 통하여 학습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e-learning 기반 온라인 토론학습의 학습실재감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S 사이버대학교의 ‘자원봉사론’ 교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토론학습에서 교수자의 사회적 메시지를 통한 개별적인 피드백 여부에따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학습실재감에 대하여 각각 사전 및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그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자의 적극적 사회적 메시지를 통해 온라인 토론학습을 진행한 경우, 학습실재감은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실재감과 감성적 실재감은 사전-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사회적 실재감과 교수 실재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