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개심술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적 고찰

        편승환,노재욱,방정희,조광조,성시찬,우종수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5

        저자들은 1993년 5월부터 1995년 5월까지 인공심폐기를 사용한 개심술을 받은 211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우리는 술후 새로이 발생한 급성 신부전에 초점을 두었기에 술전 creatinine 수치가 1.5 mg/dL이하였던 환자를 다변수 통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술전 신기능이 정상이었던 환자는 198명(74%)이었는데 이중 27명(14%)이 술후 신장 합병증을 보였다. 20명(10%)은 신기능 이상상태(1.5$\leq$serum creatinine level < 2.5 mg/dL)였고, 7명(4%)은 급성 신부전(serum creatinine level$\geq$2.5mg/dL) 상태였다. 수술 사망률은 정상에서는 5.8%, 신기능 이상 환자에서는 5%, 급성 신부전 환자에서는 43%였다(p=0.036). 술후 급성 신부전은 심혈관 합병증, 호흡기 합병증과 함께 수술 사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밝혀졌고, 다변수 분석에서 술후 급성 신부전 발생 위험인자는 고령, 응급수술, 저심박출증 등이었다. 술전 신부전을 보였던 13명에서 정상이었던 환자보다 술후 유병률과 사망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술전 신기능 이상을 보이지 않았던 환자에서 술후 급성 신부전의 발생률은 낮았으나, 신부전과 동반된 사망률은 여전히 높았다. 그러므로 술전, 술중, 술후 신부전 발생에 영향을 주는 혈류역학 인자들의 세심한 관찰이 요구된다. From May 1, 1993 to May 31 1995, the authers studied retrospectively 211 patients who underwent cardiovascular operation with cardiopulmonary bypass(CPB). Because we were interested in new development of ARF(prevalence, mortality rate, and main risk factors), we performed a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bout data of patients with preoperative serum creatinine values of less than 1.5 mg/dL. Normal renal function before operation(serum creatinine level less than 1.5 mg/dL) was registered in 198(74%) patients. Of these, 27(14%) patients showed postoperative renal complication, including 20(10%) patients classified as renal dysfunction(serum creatinine level between 1.5 and 2.5 mg/dL) and 7(4%) patients as acute renal failure(serum creatinine level higher than 2.5 mg/dL). The mortality rate was 5.8% in normal patients, 5% in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and 43% when acute renal failure developed(p=0.036). Indeed, the renal impairment proved to be an independent predictor of mortality(odd ratio 2.52∼11.25), along with cardiovascular(odd ratio 4.20) and respiratory(odd ratio 2.18) complications. Multivariate analysis identified the following variables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postoperative renal impairment : advanced age(odd ratio 1), need for emergency operation(odd ratio 3.78), low-output syndrome(odd ratio 3.66), respiratory complication(odd ratio 1.30), need for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odd ratio 1.4). The 13 patients(7%) with preoperative renal failur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morbidity and mortality rate than those without renal complications before operation. We concluded that the likelihood of severe renal complications is resonably low in the patients undergoing cardiac operation without preexisting renal dysfunction, but associated mortality remains high. A prominant role of hemodynamic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acute renal failure must be recognized during preoperativ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periods.

      • KCI등재후보

        신장 ; 당뇨병성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시행한 신장이식의 단일센터 임상성적

        손영기 ( Young Ki Son ),오준석 ( Joon Seok Oh ),오혜주 ( Hyae Ju Oh ),신용훈 ( Yong Hun Shin ),김중경 ( Joong Ky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3

        목적: 당뇨병성 말기 신부전으로 신대체요법을 시행하여야 하는 환자군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당뇨병성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신장이식이 중요한 치료법으로 자리잡고 있지만 여전히 당뇨 합병증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여전히 기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기관에서 당뇨병성 말기 신부전으로 신장이식을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생존율을 조사하였고, 비당뇨군과 비교하였다.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8년 8월까지 본원에서 신장이식을 시행한 425명의 환자 중 당뇨병성 말기 신부전을 이식을 시행한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양상과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을 조사하였고, 이를 비당뇨병성 말기 신부전으로 신장이식을 시행한 355명과 비교하였다. 결과: 수혜자의 평균 연령은 당뇨군에서 50.6±10.5세로 비당뇨군의 39.8±10.8세보다 높았고, 공여자의 연령은 당뇨군에서 33.2±9.0세로 비당뇨군의 37.5±1.3세보다 낮았다. 이식 후 1년 이내의 급성거부반응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식 후 발생한 심혈관계 질환의 빈도가 당뇨군에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0). 당뇨군과 비당뇨군에 있어서 이식신의 평균 생존기간은 각각 124, 120개월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Kaplan-Meier 누적 이식신 생존곡선과 환자 생존곡선을 비교해 볼 때 당뇨군과 비당뇨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당뇨병성 말기 신부전 환자군에서 신장이식 후 이식신 생존율과 환자생존율이 비당뇨병성 말기신부전 환자군과 비교해 볼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당뇨병성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심혈관계 질환 등 합병증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동반될 때 신장이식이 당뇨병성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의 신대체요법의 일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Diabetic nephropathy is a growing cause of end-stage renal failure, and renal transplantation is considered the best option for survival in patients who experience such renal failure. Patients with diabetes are older and frequently have comorbidity, and only a minority of these patients is considered for renal transplantation.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having diabetes treated with transplantation has improved, although the long-term prognosis has not been determined.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outcome of rena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having diabetes compared to that in nondiabetic patients. Methods: We compared diabetic (n=70) and nondiabetic (n=355) groups of patients for whom medical records were available for more than 3 months at our hospital from March 1998 to August 2008. Results: The recipients were significantly older in the diabetic group (50.6±10.5 vs. 39.8±10.8 years), while donor age was significantly younger in that group (33.2±9.0 vs. 37.5±1.3 years). Cardiovascular events occurring after transplantation were more frequent in the diabetic group (11/70 vs. 10/355). Kaplan-Meier curves for cumulative survival of the renal allograft and patient survival reveal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allograft survival rate in the diabetic group was 100% at 5 years and 79% at 10 years posttransplantation. In the nondiabetic group, the renal allograft survival rate was 98% at 5 years and 75% at 10 years. The patient survival rat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100% vs. 99% at 5 years and 91% vs. 91% at 10 years for the diabetic and nondiabetic groups, respectively. Conclusions: In our study, the long-term survival of rena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diabetes equaled that of nondiabetic patients. Graft survival was also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kidney transplantation may be another therapeutic option for end-stage diabetic nephropathy. (Korean J Med 77:321-327, 2009)

      • KCI등재후보

        신장 ; 다발성 골수종에서 신부전 발생의 위험인자 및 신기능 회복 예측인자

        황현철 ( Hyun Chul Whang ),고은실 ( Eun Sil Koh ),김정관 ( Jeong Gwan Kim ),정성진 ( Sung Jin Chung ),신석준 ( Seok Joon Shin ),박철휘 ( Cheol Whee Park ),장윤식 ( Yoon Sik Chang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2

        목적: 신부전은 다발성 골수종에서 종종 발생하며 나쁜 예후를 보인다. 아시아의 다발성 골수종의 발생빈도와 특징은 서양과는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들에서 신부전 발생의 위험인자 및 치료 후 신기능 회복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처음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신부전의 발생과 관련된 인자를 조사하였고, 12주간의 치료 후에 신부전의 회복과 관련된 인자를 찾았다. 결과: 진단 당시 221명의 환자 중 86명(39%)에서 신부전이 발생하였다. 이변량 로지스틱 회기 분석에서 낮은 헤모글로빈(OR = 0.813, p = 0.02), 높은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OR = 1.006, p < 0.01), ACEi (OR = 2.783, p = 0.04) 사용이 신부전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나타났다. 12주간의 치료 후, 86명 중에서 25 (29%)명의 신기능이 회복되었다. 항암치료에 반응을 보인 경우(OR = 6.044, p < 0.01)와 높은 eGFR (OR = 1.084, p < 0.01)이 회복과 연관된 인자로 나타 났다. 결론: 헤모글로빈 수치,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 ACEi의 사용이 한국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 있어 신부전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이며 항암 치료에 반응여부와 진단 시의 eGFR이 신기능 회복의 예측인자이다. Background/Aims: Multiple myeloma (MM) is frequently accompanied by renal insufficiency,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MM. It is known that the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MM in Asia differ from those in Western countr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renal impairment and to investigate reversible factors for renal failure in patients with MM. Methods: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MM from 2005 to 2008 were included. We investigated factors associated with renal insufficiency and those related to recovery from renal dysfunction after 12 weeks of treatment of MM. Results: Renal failure was recognized in 86 (39%) of 221 patients at diagnosis. In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ow hemoglobin (odds ratio [OR], 0.813; p = 0.02), high β2microglobulin (OR, 1.006; p < 0.01), and use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CEi) (OR, 2.783; p < 0.04) at initial presentation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renal failure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After 12 weeks of treatment, 25 of 86 (29%) patients with renal failure had recovered renal function. Good response to chemotherapy (OR, 6.044; p < 0.01) and higher eGFR (OR, 1.084; p < 0.01) were associated with renal function recovery. Conclusions: Levels of hemoglobin and β2microglobulin, and use of ACEi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renal failure in MM patients. The response to chemotherapy and eGFR at diagnosis significantly influenced recovery of renal function. (Korean J Med 2014;86:190-197)

      • KCI등재후보

        신장 ; Ezetimibe가 말기 신부전 환자의 혈중 지질 및 혈전 지표에 미치는 영향

        박경선 ( Kyung Sun Park ),여영선 ( Young Sun Yeo ),유미현 ( Mi Hyun Yoo ),최준석 ( Jun Seok Choi ),장지웅 ( Ji Woong Jang ),부선진 ( Sun Jin Boo ),유동준 ( Dong Jun Yoo ),김순배 ( Soon Bae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4

        목적: 고지혈증은 말기 신부전 환자의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주요한 위험인자 중 하나로, 고지혈증의 교정으로 심혈관계 질환의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많은 수의 말기 신부전 환자들이 고지혈증에 대한 약물 치료를 시행함에도 혈중지질 이상이 적절하게 교정되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었던 지질강하제와 다른 작용 기전을 갖는 새로운 약제인 ezetimibe는 정상 신장기능을 가진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우수한 지질 교정 효과와 내약성 및 안정성을 보였다. 이에 본원에서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을 시행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들을 대상으로 ezetimibe 단독치료 시와 ezetimibe와 simvastatin을 병용하였을 때의 지질 강하 효과와 항 염증 효과 및 항 혈전 효과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원에서 3개월 이상 혈액투석 및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중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가 100 mg/dL 이상인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ezetimibe 단독투여군과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으로 나누었다. ezetimibe 단독투여군에 속한 환자에게는 ezetimibe 10 mg을 하루 1회 복용하도록 하였고,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에 속한 환자에게는 ezetimibe 10 mg과 simvastatin 10 mg의 혼합 제재를 하루 1회 복용하도록 하였다. 두 군 모두 8주간 약제를 복용하였다. 두 군의 환자 모두 연구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에 채혈을 하였다. 지질 지표로서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수치를 측정하였다. 염증 표지자로서 hs-CRP와 fibrinogen을 사용하였고, vWF는 내피세포 손상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혈관 내 혈전 생성의 지표로 D-dimer를 측정하였다. 결과: Ezetimibe 단독투여군과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 간에는 평균 연령, 성별, 투석 기간, 체질량지수에 차이가 없었다. 말기 신부전을 초래한 원인 질환에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간 질환, 갑상선 질환의 유병률에도 차이가 없었다. Calcium-channel blocker, β-blocker,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및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의 사용 빈도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중 지질수치의 기저치 및 hs-CRP, fibrinogen, vWF, D-dimer의 기저치에서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제사용 8주 후 ezetimibe 단독투여군에서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각각 14.7%와 21.9% 감소하였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 지방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hs-CRP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고, fibrinogen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vWF와 D-dimer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지만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약제사용 8주 후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에서 총 콜레스테롤 수치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각각 29.8%와 42.4% 감소하였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 지방수치는 변화가 없었다. hs-CRP, fibrinogen, vWF, D-dimer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지질 지표와 hs-CRP, fibrinogen, D-dimer 수치의 변화 정도는 투석방법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vWF는 ezetimibe 단독투여군과 ezet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 모두에서 복막투석 환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Ezetimibe 단독투여군과 ezetimibe/simvastatin 병용투여군 간에 부작용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결론: Ezetimibe는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단독사용 시에도 비교적 안전하게 혈중 지질 개선 효과를 보였으나, 내피세포 손상을 포함한 지혈 요소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tatin과의 병용사용 시에는 단독사용 시와 비교하여 훨씬 더 우수한 혈중 지질 강하 효과를 나타내었고, 지혈 요소들도 증가하지 않았다. 따라서 ezetimibe는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보다 statin과의 병용 투여 시에 말기 신부전 환자의 혈중 지질이상을 교정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제라고 할 수 있다. Background/Aims: Dyslipidemia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end-stage renal disease (ESRD) patients. Most of them are dyslipidemic despite the use of lipid-lowering agents. Ezetimibe is a novel chemical entity that inhibits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dietary and biliary cholesterol.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ezetimibe on the lipid profile, inflammation markers, endothelial injury, and thrombogenesis in ESRD patients. Methods: Sixty-five patients with serum low-density lipoprotein (LDL)-cholesterol levels≥100 mg/d were recruited: 33 patients were on hemodialysis and 32 patients were on peritoneal dialysis. They were assigned randomly to the ezetimibe (10 mg) monotherapy group and the ezetimibe (10 mg) plus simvastatin (10 mg) combination therapy group. Both drugs were administered for 8 week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aseline demographic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onotherapy group, the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reduced by 14.7 and 21.9%, respectively.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high-density lipoprotein (HDL)-cholesterol or triglyceride levels. Fibrinogen increased significantly (p=0.04). In the combination therapy group, the tota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reduced by 29.8 and 42.4%, respectively. There was an additional 15.1% reduction in total cholesterol and an additional 20.5% reduction in LDL cholesterol compared with monotherapy. Several patients complained of minor adverse effects and only one patient in the ezetimibe monotherapy group discontinued medication, because of diarrhea. Conclusions: In ESRD patients, ezetimibe used as combination therapy with a statin is more effective than ezetimibe monotherapy in ESRD patients. (Korean J Med 77:461-471, 2009)

      • KCI등재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구강보건교육이 구강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정지나 ( Ji-na Jeong ),조은숙 ( Eun-suk Cho ) 대한보건협회 2017 대한보건연구 Vol.43 No.2

        연구목적 : 만성신부전증 환자에게 구강보건교육(잇솔질 교육과 구강세정기 사용)후 구강건강 행위, 치면세균막 지수, 구강 증상의 변화를 통하여 구강건강증진효과와 구강관리능력을 개선을 시키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교육을 진행하지 않은 만성신부전 환자 26명(대조군), 잇솔질 교육을 진행한 만성신부전 환자 26명(잇솔질군), 잇솔질 및 구강세정기 사용 교육을 진행한 만성신부전 환자 27명(잇솔질 및 구강세정기군 )의 세 집단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사전조사, 1차 검사, 2차 검사를 통하여 구강건강 행위, 치면세균막 지수, 구강 증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 구강건강행위는 교육 후 잇솔질 횟수와 시간, 닦는 부위에서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증상은 교육 후 구취, 구강건조증상, 잇몸출혈, 치아통증이 개선되었다. 치면세균막 지수는 교육 후 잇솔질 및 구강세정제군이 개선 효과가 가장 높았고, 잇솔질군도 개선되었으나 대조군은 변화가 없었다. 결론 : 구강보건교육(잇솔질 교육, 구강세정기)으로 지속적인 관리를 한다면 만성신부전증 환자들의 구강위생 상태가 향상되고 만성신부전증 환자들의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 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ral health education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Method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9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who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education, and the expeimental group received 2 kinds of education, toothbrushing (GroupⅠ) or toothbrushing and water flosser (GroupⅡ). Their oral health behavior, oral symptoms were tested to analyze whether they underwent any changes in two weeks and four weeks after they received education, and PHP Index (Patient Hygiene Performance Index) was additionally conducted. Results: As for oral health behavior, after the education toothbrushing group and the toothbrushing/water flosser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including toothbrushing frequency, pre-bedtime toothbrushing, and toothbrushing time. In terms of oral symptoms, after the education toothbrushing/water flosser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wo and four weeks later in symptoms of toothache, gingival bleeding, pain halitosis or xerostomia. In terms of PHP Index, the toothbrushing/water flosser group showed the best improvement, and the toothbrushing group also showed some improvement. The control group underwent no change. Conclusion: Therefore sustained oral health care through the right toothbrushing and the use of water flosser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oral hygiene and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to the promotion of their oral health.

      • 급성신부전의 이해 및 치료

        한만길 로얄에이알씨 주식회사 2006 로얄동물임상의학 Vol.4 No.1

        급성신부전 (ARF)은 허혈성에 의한 손상과 독성물질에 의한 손상으로 발생한다. 허혈성에 의한 손상은 탈수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마취를 하였거나 심한 중증의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Gentamicin과 같은 Piminoglycofs 계통 약물이 신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며, Ethylene glycol은 신장을 손상시키는 대표적인 독성물질이다. 급성신부전의 예후는 신장의 손상이 가역적인지, 얼마나 빨리 신부전을 확인하였는지 또는 적극적인 치료를 하였느냐에 따라 다르다. 손상이 가역적이고 더 이상 손상되지 않도록 빨리 적극적인 치료를 하였다면 회복될 가능성이 높다. 급성신부전의 치료는 신혈류량을 정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수액처치와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이다. 정확한 수액처치를 하기 위해서는 배뇨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수액처치만으로 요가 생성되지 않으면 신혈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뇨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에도 요가 생성되지 않으면, 혈액투석 또는 복강투석을 실시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Predicting the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Failure using Serum Creatinine factored for Height

        김교순,Kim, Kyo-Sun,We, Harmon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200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4 No.2

        목 적 : 만성신부전 완자에서 1/scr, log Scr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신부전의 진행을 예측하고 있으나 연령에 따라 creatinine 생성율의 차이가 있는 소아에서는 정확한 진행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신장(height, Ht) 은 creatinine 생성율에 관여하는 중요한 인자이므로 따라서 저자들은 1/scr에 신장 (height, ht)을 도입한 Ht/Scr과 1/scr, log Scr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만성 신부전의 진행 예측도의 정확성을 비교하고저 하였다. 방 법 :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된 환아 63 명을 대상으로 혈청 크레아티닌 (Scr) 이 2 mg/dl에서 5 mg/dl 될 때까지 매 환자에서 1/Scr, log Scr, Ht/Scr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이들로부터 회기방정식을 구하여 Scr 이 10 mg/dl 이상인 시기를 예견하였다. 예측오차는 Scr 이 10 mg/dl 이상인 예측시기에서 실제시기를 뺀 것으로 하고 세군 간의 예측오차를 비교함으로써 만성신부전증 진행 예측의 정확도를 관찰하였다. 결 과 : 1) Ht/Scr 의 예측오차는 0.01 개월로 1/Scr, log Scr 의 예측오차인 2 개월, 10.6 개월보다 적었다(P<0.0001). 2) 선천성 신질환 환아의 Ht/Scr의 예측오차는 1.2 개월로 1/Scr, log Scr 의 예측오차인 3.2 개월, 8.2 개월보다 적었다 (p<0.000l). 사구체신염 환아의 경우 Ht/Scr, l/Scr, Ht/Scr의 예측오차는 각각 0.9 개월, 0.5 개월, 9.9 개월이었고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3) 13 세이전의 경우는 Ht/Scr 의 예측오차가 가장 적었고 그 이후 연령의 경우는 1/Scr의 예측오차가 적었으나 Ht/Scr과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4) Log Scr의 예측시기는 실재시기보다 늦었다. 결 론 : 소아 만성신부전 환아에서 시간에 따른 혈청 크레아티닌의 역수와 신장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찰함으로서 신부전의 진행 및 투석시기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었다. Purpose : Effects to predict tile progression of chronic renal failure (CRF) in children, using mathematical models based on transformations of serum creatinine (Scr) concentration, have failed. Error may be introduced by age-related variations in creatinine production rate. Height (Ht) is a reliable reference for creatinine production in children. Thus, Scr, factored for Ht, could provide a more accurate predictive model. We examined this hypothesis. Methods : The progression of of was detected in 63 children who proceeded to end-stage renal disease. Derivatives of Scr, including 1/Scr, log Scr & Ht/Scr, were defined fir the period Scr was between 2 and 5 mg/dl. Regression equation were used to predict the time, in months, to Scr > 10 mg/dl. The prediction error (PE) was defined as the predicted time minus actual time for each Scr transformation. Result : The PE for Ht/Scr was lower than the PE for either 1/Scr or log Scr (median: -0.01, -2.0 & +10.6 mos respectively; P<0.0001). For children with congenital renal diseases, the PE for Ht/Scr was also lower than for the other two transformations (median: -1.2, -3.2 & +8.2 mos respectively; P<0.0001). However, the PEs for children with glomerular diseases was not as clearly different (median: +0.9, +0.5 & +9.9 respectively). In children < 13 yrs, PE for Ht/Scr was tile lowest, while in older children, 1/Scr provided the lowest PE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for Ht/Scr. The logarithmic transformation tended to predict a slower progression of CRF than actually occurred. Conclusion : Scr, floored for Ht, appears to be a useful model to predict the rate of progression of CRF, particularly in the prepubertal child with congenital renal disease.

      • KCI등재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삶의 질

        김혜원,최스미 기초간호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5 No.2

        만성 신부전 환자는 기술적, 약물적 중재의 효과로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은 동반 질환, 치료와 관련한 부작용 등의 결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Tong et al., 2009). 최근에는 생명 보존과 수명 연장을 중시했던 기존의 가치관에서 벗어나 생의 의미와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어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차원적이고 포괄적인 관심과 간호가 필요하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된 경우와 신장의 손상과 무관하게 3개월 이상 사구체 여과율이 60 mL/min/1.73 m2 미만으로 유지되는 경우로 정의된다(The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02).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는 사구체 여과율이 60 mL/min/1.73 m2 미만이며 아직 투석을 시작하지 않은 환자로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분류상 3단계에서 5단계에 해당하는 환자이다(NKF, 2002).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경우, 수분 및 전해질 불균형, 산-염기 불균형, 칼슘과 인의 대사 문제, 빈혈, 면역 기능, 피부 기능, 성 기능, 약물의 배설 등의 문제로(Dinwiddie, Burrows-Hudson, & Peacock, 2006), 피로, 수면 장애, 식욕 부진 등의 신체적 문제뿐 아니라 두려움과 불안, 우울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경험한다(Dinwiddie et al., 2006; Gutierrez Vilaplana, Zampieron, Craver, & Buja, 2009; Tong et al., 2009). 따라서 지속적인 신기능의 감소로 인해 환자의 삶의 질은 장기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Fukuhara et al., 2007). 이에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는 신기능의 지표인 추정 사구체 여과율이 60 mL/min/1.73 m2 이하인 환자들은 규칙적으로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09; NKF, 2006). 따라서 투석 전 만성 신부전 환자의 사구체 여과율에 따른 각 단계별 삶의 질의 정도를 조사하여 단계별 특성을 이해하고, 잔여 신기능의 차이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투석을 시행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위험인자

        오형중 ( Hyung Jung Oh ),김승준 ( Seung Jun Kim ),박선영 ( Sun Young Park ),유동은 ( Dong Eun Yoo ),이한성 ( Han Sung Lee ),구남수 ( Nam Su Ku ),문지애 ( Ji Ae Moon ),김동기 ( Dong Ki Kim ),이태희 ( Tae Hee Lee ),문성진 ( Sung Jin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6

        목적: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전체 사망 중 3~7%는 상부 위장관 출혈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이 호발하는 이유 및 위험인자에 대한 국외 종종 있었으나 이에 대한 국내 보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투석을 시행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임상상 및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에서 위장관 출혈이 발생하였던 말기 신부전증 환자 65명(환자군)과 연령, 성별 그리고 투석 방법이 대응되는 위장관 출혈이 없었던 말기 신부전증 환자 65명(대조군)을 대상으로 위장관 출혈의 임상상 및 독립적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심부전증(40.0% vs. 21.5%, p<0.05), 관상동맥 질환(32.3% vs. 4.6%, p<0.005) 그리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력(18.4% vs. 1.5%, p<0.01) 모두 위장관 출혈 환자군에서 의미있게 많았다. 반면에 혈청 알부민 농도는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다(2.53±0.67 g/dL vs. 3.56±0.63 g/dL, p<0.005). 다변량 분석상 관상동맥 질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그리고 혈 알부민 수치가 위장관 출혈의 독립적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 odds ratio는 각각 23.0, 12.5, 2.9이었다. 결론: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환 동반시 위장관 출혈 발생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겠으며, 출혈의 예방적 차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사용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영양상태의 유지 및 관리도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Gastrointestinal bleeding (GIB) is not a rare complication in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patients on dialysis and the occurrence of GIB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higher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However, reasons for the high incidence of GIB are not clear.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not only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GIB but also to elucidat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GIB in Korean ESRD patients. Methods: One hundred thirty ESRD patients on dialysis at the Severance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5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65 patients with GIB (the GIB group) and 65 age-, sex-, and dialysis modality-matched patients without GIB (the C group). Clinical characteristics, medic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Compared to the C group, congestive heart failure (40.0% vs. 21.5%, p<0.05), coronary arterial occlusive disease (CAOD) (32.3% vs. 4.6%, p<0.005),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use (18.4% vs. 1.5%, p<0.01)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GIB group. The baseline serum album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IB group than in the C group (2.53±0.67 g/dL vs. 3.56±0.63 g/dL, p<0.005).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AOD (OR=23.0), NSAID use (OR=12.5), and lower serum albumin levels (OR=2.9)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GIB (p<0.05). Conclusions: Careful attention must be paid to ESRD patients with CAOD, taking NSAIDs, or with low serum albumin levels in view of GIB. (Korean J Med 72:616 624, 20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