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투석을 시행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위험인자

        오형중 ( Hyung Jung Oh ),김승준 ( Seung Jun Kim ),박선영 ( Sun Young Park ),유동은 ( Dong Eun Yoo ),이한성 ( Han Sung Lee ),구남수 ( Nam Su Ku ),문지애 ( Ji Ae Moon ),김동기 ( Dong Ki Kim ),이태희 ( Tae Hee Lee ),문성진 ( Sung Jin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6

        목적: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전체 사망 중 3~7%는 상부 위장관 출혈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이 호발하는 이유 및 위험인자에 대한 국외 종종 있었으나 이에 대한 국내 보고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투석을 시행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위장관 출혈의 임상상 및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에서 위장관 출혈이 발생하였던 말기 신부전증 환자 65명(환자군)과 연령, 성별 그리고 투석 방법이 대응되는 위장관 출혈이 없었던 말기 신부전증 환자 65명(대조군)을 대상으로 위장관 출혈의 임상상 및 독립적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심부전증(40.0% vs. 21.5%, p<0.05), 관상동맥 질환(32.3% vs. 4.6%, p<0.005) 그리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복용력(18.4% vs. 1.5%, p<0.01) 모두 위장관 출혈 환자군에서 의미있게 많았다. 반면에 혈청 알부민 농도는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다(2.53±0.67 g/dL vs. 3.56±0.63 g/dL, p<0.005). 다변량 분석상 관상동맥 질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그리고 혈 알부민 수치가 위장관 출혈의 독립적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 odds ratio는 각각 23.0, 12.5, 2.9이었다. 결론: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환 동반시 위장관 출혈 발생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겠으며, 출혈의 예방적 차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사용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영양상태의 유지 및 관리도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Gastrointestinal bleeding (GIB) is not a rare complication in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patients on dialysis and the occurrence of GIB has also been associated with higher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However, reasons for the high incidence of GIB are not clear.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not only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GIB but also to elucidate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GIB in Korean ESRD patients. Methods: One hundred thirty ESRD patients on dialysis at the Severance Hospital of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5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65 patients with GIB (the GIB group) and 65 age-, sex-, and dialysis modality-matched patients without GIB (the C group). Clinical characteristics, medic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Compared to the C group, congestive heart failure (40.0% vs. 21.5%, p<0.05), coronary arterial occlusive disease (CAOD) (32.3% vs. 4.6%, p<0.005),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use (18.4% vs. 1.5%, p<0.01)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GIB group. The baseline serum album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IB group than in the C group (2.53±0.67 g/dL vs. 3.56±0.63 g/dL, p<0.005).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AOD (OR=23.0), NSAID use (OR=12.5), and lower serum albumin levels (OR=2.9)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GIB (p<0.05). Conclusions: Careful attention must be paid to ESRD patients with CAOD, taking NSAIDs, or with low serum albumin levels in view of GIB. (Korean J Med 72:616 624, 2007)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성인 미세변화 질환 환자에서 치료 반응에 따른 병리학적 소견 및 신조직 내 유전자 발현의 차이

        박선영 ( Sun Young Park ),한승혁 ( Seung Hyeok Han ),김승준 ( Seung Jun Kim ),유동은 ( Dong Eun Yoo ),오형중 ( Hyung Jung Oh ),이한성 ( Han Sung Lee ),이태희 ( Tae Hee Lee ),문성진 ( Sung Jin Moon ),최훈영 ( Hoon Young Choi ), 대한신장학회 2007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6 No.1

        목적: 성인 미세변화 질환 (minimal change disease, MCD) 환자의 경우 소아에 비하여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이 늦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스테로이드 반응성과 관련된 임상 및 검사실 소견에 대한 보고는 종종 있었으나, 스테로이드 반응성과 신조직 내 유전자 발현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성인 MCD 환자를 대상으로 스테로이드 치료 반응에 따른 병리학적 소견과 신조직내 네프린 및 Glucocorticoid receptor (GCR) 유전자의 발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 1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본원에서 신장 조직검사상 MCD로 확진된 성인 신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스테로이드 치료 반응에 따른 병리학적 소견 및 신조직 내 네프린과 GCR mRNA의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는 스테로이드 반응에 따라 치료 4주 이내에 Complete remission (CR) 상태에 도달한 경우에 early responder (ER), 4주 이후에 CR이 동반된 경우에는 late responder (LR)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는 총 28명으로, ER군이 20명, LR군이 8명이었다. CR까지의 기간은 ER군에서 LR군에 비하여 의의있게 짧았다 (16.5±0.9일 vs. 52.0±4.9일, p<0.005). 신조직검사 소견상 메산지움 내 미약한 IgM 침착이 동반되었던 환자는 LR군에서 ER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으며 (75.0% vs. 30.0%, p<0.05), 스테로이드 치료 기간별 완전 관해율도 IgM 침착이 동반되었던 환자에서 의의있게 낮았다 (p<0.05). 신조직 내 네프린과 GCR의 mRNA 발현을 실시간-중합효소 연쇄반응 (real time-PCR)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네프린 mRNA의 발현은 양 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GCR mRNA의 발현은 ER군에 비하여 LR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05). 결론: 성인 MCD 환자에서 사구체 내 IgM 침착 유무와 신조직 내 GCR mRNA의 발현 정도가 스테로이드 반응성 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Compared to children, adult MCD patients tend to have a slower response to steroid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hologic findings or the expression of certain gene and the response to steroid treatment in adult-onset MC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athologic findings and the mRNA expression of nephrin and glucocorticoid receptor (GCR) in renal tissue according to steroid responsiveness in adult-onset MCD. Methods: Twenty-eight adult patients who presented with idiopathic nephrotic syndrome at our institution and fulfilled the criteria for MCD clinically and pathologically were chosen for this study. Based on the response to steroid treatment,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arly responders (ER) in whom CR was achieved within 4 weeks of steroid treatment; late responders (LR) in whom CR was achieved after 4 weeks of steroid treatment. Results: Of the 28 patients, ER consisted of 20 patients. Time to CR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ER compared to LR (16.5±0.9 vs. 52.0±4.9 days, p<0.01).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minimal IgM deposition on immunofluoresc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R compared to ER (75.0% vs. 30.0%, p<0.01). On the other hands, the mRNA expression of GCR, assessed by real time-PCR, was significantly lower in LR than that in ER (p<0.005), whereas nephrin mRNA express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presence of glomerular IgM deposition and the amount of GCR in renal tissue may be useful predictors of steroid responsiveness in adult MCD patients.

      • KCI등재후보

        호중구 감소성 발열을 보인 고형암 환자의 임상양상 및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위험인자

        구남수,김준형,최유경,정세진,오형중,윤기태,김연아,신소연,김명수,김영근,박윤선,최준용,송영구,이경원,김준명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5

        목적 : 항암요법을 시행받고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한 고형암환자에서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그람양성균균혈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 종양내과에서 고형암으로 진단받고 항암요법을 시행받은 18세 이상의 암환자에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있었던 28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항암요법을 시행받은 고형암 환자 중 288예에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하였다. 이중 원인을 찾을 수 있었던 경우는 130예로 전체 45.1% 이었으며 미생물학적 확인감염(microbiologically documented infection, MDI)은 53예(18.4%) 이었다. 균혈증이 동반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의 원인균 분포를 보면 총 53예에서 그람양성균이 27예 분리되어 50.9%를 차지하였고 그람음성균이 25예(47.2%), 진균 1예(1.9%) 순이었다. 그람양성균 중에서 methicillin 내성 포도상구균의 비율은 35% 이었다. 호중구 감소성 발열 환자에서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중심정맥 카테터와 연관된 감염이 있는 경우, 구내 점막염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서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위험이 높았다. 결론 :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한 고형암 환자에서그람양성균 균혈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특히 중심정맥 카테터와 연관된 감염이 있는 경우, 구내 점막염이 발생한 경우, 그리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이 발생한 경우에서 그람양성균 균혈증의 위험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한 고형암 환자에서 발열 당시에 위와 같은 위험인자가 있을 경우 glycopeptide의 조기 사용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s : Recently, there has been a rise of prevalence of gram positive infection among cancer patients with febrile neutropenia. The proportion of antibiotic-resistant gram positive infection has been growing lately,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 rate of MRSA infection was over 70%. It brings to careful consideration of early glycopeptide treatment in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if gram positive infection is suspected. Also until now, most studies concerning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ere mainly related to hematologic malignancy rather than solid tumor. Materials and Methods : We evaluated clinical manifestations and risk factors for gram positive bacteremia in a cohort of 288 solid tumor patients who were more than 18 years old and had neutropenic fever after chemotherapy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4 at the Department of Oncology, Yonsei Cancer Center, Seoul. Results : We identified the cause of fever in 130 (45.1%) cases, of which 53 (18.4%) cases were blood stream infection. Gram positive organism was isolated in 27 cases which comprises 50.9% of blood stream infections, followed by gram negative organism (47.2%) and fungus (1.9%).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gram positive bacteremia was associated independently with central venous catheter (CVC) infection, oropharyngeal mucositis,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 in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with solid tumor. Conclusions : Gram positive bacteremia was common among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in solid tumor and was associated with CVC infection, oropharyngeal mucositis,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 The early use of glycopeptide must be taken into account in such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