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소설 「순애보」와 영화 <순애보> 연구

        강옥희 ( Ok Hee Kang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1930년대 대중의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던 대중소설 「순애보」와 그것을 원작으로 한 영화 <순애보>의 분석을 통해 1930년대의 대표적인 대중소설 작품인 「순애보」가 어떻게 1950년대 영화원작으로 기능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그것을 위해 소설 「순애보」과 영화 <순애보>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문학텍스트의 어떤 점이 1950년대의 문화콘텐츠로서 매력 있는 소재로 작용했는지 그리고 그 한계는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해보았다. 「순애보」는 소설로는 해방 이후 최초의 OSMU(One Source Multi Use) 였던 정비석의 「자유부인」의 성공 이후 나온 문학텍스트의 문화 콘텐츠로의 전환과정을 보여준 작품으로 당시 영화제작자들과 대중의 기대를 받았던 작품이다. 「순애보」가 영화의 원천 소스로 기능할 수 있었던 이유는 1930년대 작품이지만 작품 안에 근대적이고 이국적인 정서가 매우 세련되게 드러나 있고, 교훈성과 대중적인 삼각 갈등이 주는 재미와 선정성 등이 적절하게 어우러졌기 때문이다. 또한 숭고한 사랑에 대한 대중의 열광과 원작의 인기에 편승하고자 했던 영화 제작자들의 상업적인 욕구, 문예영화를 부응시키고자 했던 문예당국의 요구가 맞아 떨어진 것도 한 원인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순애보는 「자유부인」이 성취했던 만큼의 대중적 인기는 얻지 못했다. 1950년대 물밀듯 들어온 미국문화를 경험한 당대 대중에게 1930년대에는 새로운 감각이었던 이국성, 숭고하고 이상적인 사랑, 종교적 감화를 강조했던 소설 「순애보」는 더 이상 새로운 텍스트가 아니었으며, 원작이 지니고 있던 재미마저 배제한 채 이상과 감화만 가득한 영화는 더 이상 대중의 사랑을 받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것은 1930년대의 소설속의 새로움은 1950년대에는 일상화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현실이 됐고, 그리하여 영화화된 1930년대의 이야기는 1950년대의 대중에게는 이전시기만큼의 새로움을 담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The current study analyses the hit popular novel of the 1930s, “Love to Death” as well as its film adaptation. Through the analysis, it looks upon how the major work of the 1930s functioned as a 1950s film content. In order to do s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vel and its film adaptation were compared. It also analyses the aspects of the literary text that was appealing as a material for a cultural content as well as the limitations. A much anticipated work by film producers and the general public alike, “Love to Death” showed how a literary text transitioned into a cultural content after the success of the first OSMU(One Source Multi Use), Jung Bi-seok`s “Madam Freedom”, “Love to Death” had worked as a basis for a film because, though it was a work of the 1930s, the novel demonstrated a modern and exotic zeitgeist in a very sophisticated manner. It also comprehensively contained a public allure and salaciousness evoked by a three-way conflict. Moreover, the public passion for hallowed love, the greed for commercial success by taking advantage of the popularity of the original work and the request of the literary authorities that wished to promote literature all coming together can be understood as one of the factors.

      • KCI등재

        순절(殉節)하는 사랑의 시대

        정혜영(Jung, Hye-young) 한국어문학회 2012 語文學 Vol.0 No.1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al fact of ‘love’ shown in 〈Extreme love (殉愛譜)〉 written by Park Gye-joo published in 1939. 〈Extreme love (殉愛譜)〉 written by Park Gye-joo is a work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Mail Sinbo』after winning a prize of one thousand Won in special literature public subscription for managerial innovation led by Mail Sinbo. It is known that special literature public subscription of Mail Sinbo was a kind of cultural planning shrewdly making use of function of the public culture as part of project to unite national people. In such a point, a form of ‘love’ shown in ‘Extreme love (殉愛譜)’ written by Park Gye-joo can be understood in the close context of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period of Daehan Empire. The time of publication for ‘Extreme love (殉愛譜)’ was 1939 when Sino-Japanese war called sacred war was being fiercely developed. As it were, that time eagerly required awakening of Chosun people as Imperial Subjects, that is, subjects of Japan. Then ‘Love’ of ‘Extreme love (殉愛譜)’ surpassed range of personal and romantic passion between man and woman, even range of altruistic love in Christianity for all the mankind. The final goal of ‘love to sacrifice oneself’ was empire Japan under an emperor, not human or god.

      • KCI등재

        일제강점기 대중가요 속의 "서울-모던-여성"의 풍경

        길진숙 ( Jin Sook Kil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8

        본 논문은 1930년대 대중가요에 그려진 서울-모던-여성의 풍경을 통해 근대의 출구에서 서울-여성들의 욕망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1930년대 대중가요 속에서 빌딩, 고와 스톱을 외치는 네거리, 네온사인의 밤거리로 표상되는 근대의 서울은 청춘들의 도시이자 연애에 몸살을 앓는 도시로 자신의 이미지를 정립하고 있었다. 대중가요는 서울의 거리를 지향 없이 활보하며 속물적인 생활로 시간을 소비하는 모던한 청춘 남녀들을 풍자하기도 하고, 혹은 소비적이고 물질적인 근대도시의 세태를 긍정하며 청춘남녀들에게 연애지상의 가치를 부추겼다. 1930년대 대중가요는 여성들에게 결코 공존할 수 없는 `순결과 자유연애와 결혼과 스위트홈`에 대한 동경을 하나의 욕망으로 결합시켰다. 신식 교육과 신식 라이프스타일로 무장한 모던 여성들은 자유로운 연애를 통해 결혼에 이르고, 물질적 정신적 행복과 안락함이 보장되는 스위트홈이 영원하기를 꿈꾸었다. 대중가요에서 모던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성적인 해방이나 계급적인 해방을 의미하지 않았다. 근대적 자유연애와 근대적 가족제도에 입각한 결혼이 모던 여성의 욕망이었다. 한편 1930년대 대중가요에서는 하룻밤의 로맨스와 기생과 여급의 사랑이 `순애보와 스위트홈`이라는 공식과 결합되면서 신파적 멜로로 그려졌다. 근대적 결혼제도 안에 진입하기 위해 기생과 여급은 순애보적 사랑을 증명했다. 목숨을 아끼지 않는 순애보만이 일부일처제 결혼제도의 견고한 틀에 편입될 수 있었다. 진정 사랑한다면 죽음을 통해 한 남자의 아내로 인정받거나, 영원한 사랑을 보장받는 역설은 기생과 여급에게 주어진 바, 근대가 드리운 운명의 그림자였다. 대중가요에 드러난 대중들의 욕망을 정리해보면, 당대 여성들이 자유연애와 스위트홈의 환타지를 꿈꿀 때, 남성들은 순정의 환타지를 꿈꾸었다. 여성과 남성의 환타지가 결합하여 신파적 멜로는 대중적으로 확대 재생산되었다. This essay examined the desire of Seoul-women on the popular music that step into Modern age in 1930s. On the popular music modern Seoul was stood for the building, crossroads that shout out `go and stop`, the night streets of a neon sign in 1930s. Modern Seoul worked out a image of young city & amour city. On the popular music the writers hinted censure of young man and young girl who toddled round a street of Seoul and spend time for a life of snobbery. Then again they affirmed consumptive & material life in the modern city. They incited the young men and young women to a value of amour supermacy. On the popular music the writers grew into one desire for free love, marriage, sweet home that yearned. Modern women armed themselves to a new style of education and a new style of life. And then they drew a fine picture of his future happiness that they marriage into free love and secure the sweet home with material richness, easy sprit. On the popular music a living of modern women not stood for a liberation of women and a liberation of class. A desire of modern women was that is free of love and marriage on the basis of modern family system. On the other hand a love of Gysaeng(기생) & Waitress(여급) grew into one with pure heart and sweet home. A love of Gysaeng & Waitress is described a melodramatic scenes of new school. Gysaeng & Waitress demonstrated a pure heart to death, trying to push into a monogamy system. If they really loved, they should have the credit of wife or should be secure a endless love in spite of the death. This is a shadow of fate that the modernity hang down to women. When women dreamed a free love and sweet home, men dreamed a fantasy of pure heart. A melodramatic of new school made expansive reproduction, holding together women and men`s fantasy.

      • KCI등재

        1950년대 장덕조 신문소설 연구

        남금희(Nam Geum Hui)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현대소설연구 Vol.- No.20

        In 1950s. the Korean War was ended and started the confusion and disorder within the country led many people to corruption and fighting for power. Many people read serial novels with concern of popularity and common custom in newspaper. In 1950s. Mrs. Jang Duck Jo wrote 5 Novels in `Daegu-Maeila Press. In general many seriel novels have exiting stories through newspapers, these are sexual love discription between men & women and patternised common love sense. I analysed these novels in the view of popular love pattern and love conclusion. One of them was called Jade and it was the story about a woman that was tempted by a rich man to become his mistress and live with him. But the lady fought the temptation and continued to live the life she desired, not the one that the man desired. She has a high standard of morality about self-control or Self-ideal. I called it a good self-recognition. Three of 5 novels, (The Women of Middle-30s years), (the Shape of Woman). and (The Current Flows Upriver), are the long storiesa bout women that have adulterous affairs but their fates are all different. One ends with the relationship being exposed, another ends with the woman dying and the third ends with the woman being involved in a gun accident. I called them sensual love. The final novel is called (The Evening Bell Cries) and is a love story of true love. This one tells of a man and woman in love and the man has an adulterous accident and becomes handicapped but the woman continues to love and take care of him. A story of this true kind of love called Agape Love. I called it mental love. These 5 novels of Mrs. Jang Duck Jo were shown the shape of love triangle after the Korean war. These were a true reflection of women`s lives having to live in adultery, a time of corruption and money yielding power, but also one that true agape love still existed. These novels appeared serielly with popular concern. As a result, Mrs. Jang Duck Jo was a writer of popular love story maker in 1950s.

      • KCI등재
      • KCI등재

        순절(殉節)하는 사랑의 시대 - 박계주 ‘순애보(殉愛譜)’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2012 語文學 Vol.0 No.115

        <P>&nbsp;&nbsp;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al fact of ‘love’ shown in 〈Extreme love (殉愛譜)〉 written by Park Gye-joo published in 1939. 〈Extreme love (殉愛譜)〉 written by Park Gye-joo is a work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Mail Sinbo』after winning a prize of one thousand Won in special literature public subscription for managerial innovation led by Mail Sinbo. It is known that special literature public subscription of Mail Sinbo was a kind of cultural planning shrewdly making use of function of the public culture as part of project to unite national people. In such a point, a form of ‘love’ shown in ‘Extreme love (殉愛譜)’ written by Park Gye-joo can be understood in the close context of political situation in the late period of Daehan Empire. The time of publication for ‘Extreme love (殉愛譜)’ was 1939 when Sino-Japanese war called sacred war was being fiercely developed. As it were, that time eagerly required awakening of Chosun people as Imperial Subjects, that is, subjects of Japan. Then ‘Love’ of ‘Extreme love (殉愛譜)’ surpassed range of personal and romantic passion between man and woman, even range of altruistic love in Christianity for all the mankind. The final goal of ‘love to sacrifice oneself’ was empire Japan under an emperor, not human or god.</P>

      • KCI등재

        문화콘텐츠로서 대중소설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1950년대 대중소설을 중심으로

        강옥희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1950년대 영화의 원작으로 쓰였던 대중소설을 대상으로 원작과 전환매체인 영화의 서사구성 원리를 분석하여 매체간의 상이성과 공통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950년대의 대중소설 중 영화화 되어 사랑을 받았던 작품과 영화를 비교분석하여, 어떤 점이 대중소설을 영화라는 매체로 전환시킨 요인이 되었는지,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로서 대중소설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1950년대의 대표적 대중소설인 정비석의 『자유부인』, 김래성의 『인생화보』, 『애인』, 『실락원의 별』, 박계주의 『순애보』, 방인근의 『화심』으로 영화의 원작이 된 작품들이며 소설뿐만 아니라 영화도 대중들의 폭발적인 사랑을 받았던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 중 현재 필름이 남아있는 것은 <자유부인>, <순애보>, <화심> 세편인데 영화가 남아있는 작품들은 영화와 작품 시나리오를 함께 비교 분석했고, 다른 작품들은 원작과 시나리오의 실증적인 정리와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모티프의 상관성, 대중친화적인 요소 등 원 장르와 OSMU 복합콘텐츠 간의 유기적인 연관성을 살피고, 문화콘텐츠로서 대중소설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작품들 중 정비석의 『자유부인』은 소설연재 - 연극 - 영화로의 매체 전환을 통해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보여준 OSMU (One Source Multi Use)이다. <자유부인>은 이후 대중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의 탄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1950년대 대중소설 텍스트가 영화로 만들어진 가장 큰 이유는 대중성이며 이 대중성은 대중의 욕망과 당대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