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에서 수면장애와 폐기능 및 호흡증세와의 관계

        이상현(Sang-Hyun Lee),김문종(Moon Jong K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 No.4

        연구배경 : 노인에서 수연장애는 흔하게 보고된다. 노인의 수면장애와 관련된 교정 가능 요인 중 호흡기 관련 질환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호흡기 질환은 약물로 증세 완화 및 호흡기능 호전이 가능하여 호흡기능 호전은 수면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서 수면장애와 폐기능 및 호흡증세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 인하대병원 건강진단 센터를 내원한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수면과 폐기능 및 호흡증세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연구 대상 590명 중 남성이 286명, 여성이 304명이었고, 평균연령은 남성이 64.3세, 여성이 64.9세였다. 수면장애 중 수면유지장애는 여성이 40.1%, 남성이 21.3%, 수면유도장애는 여성이 7.2%, 남성이 2.8%로 여성이 남성보다 수면장애 유병율이 높았다. 남성에서는 호흡곤란증세가 있는 군이 수면유지장애가 더 많았으나(p<0.001), 여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침 증세는 남녀 모두 수면유지장애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폐기능은 남녀 모두 수면유지장애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성별, 연령, 체질량지수, 호흡곤란, 기침증세, 흡연, 운동,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I)과 노력성 폐활량(FVC)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여, 수면유지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수면유지장애에 대한 교차곱비가 2.19배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호흡곤란 증세가 있는 경우 수면유지장애에 대한 교차곱비는 1.63배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외 다른 변수들은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노인에서 수면유지장애는 여성에게 흔하고, 호흡곤란 증세가 있는 경우 더 많이 수면유지장애를 호소하였으나 폐기능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Background : Sleep complaints are common among the elderly. Among the illness associated with disturbed sleep, respiratory symptoms and functions may be improved by the proper treatment. The improvement of respiratory symptoms and functions may affect better effect on slee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the pulmonary function and symptoms in the elderly. Methods : We investigated 590 people aged 60 years or older who visited Health Care Center of Inha University Hospital in 1998. Sleep disturbance and the pulmonary function and symptoms were evaluat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disturbance maintaining sleep (DMS) was 21.3% in men and 40.1% in women whereas the prevalence of disturbance initiating sleep (DIS) was 2.8% in men and 7.2% in women. The frequency of DM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lderly men with dyspnea than those without dyspnea. We could not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DMS and the other respiratory symptoms such as c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f pulmonary function according to DMS. Throug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MS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gender, dyspnea.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DMS and factors such as age, body mass index, cough, smoking, exercise, FEVl and FVC. Conclusion : DMS was more common in the elderly women than the elderly men. DMS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dyspnea in the elderly men.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pulmonary function and DMS

      • KCI등재

        수면장애와 동반된 위식도역류질환에 관한 연구

        최주영,정혜경,노선희,태정현,김성은,심기남,정성애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5

        Background/Aims: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leep disturbance, which may, in turn, provoke or worsen GERD.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GERD, 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 and extra-esophageal syndrome in subjects with self-reported sleep disturbance. Methods:Subjects presenting for a health check-up were enrolled. Vali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provided information about reflux symptoms and sleep disturbances. We defined insomnia as self-reported sleep disturbance that occurred at least twice a week. GERD was defined as at least weekly symptoms of heartburn or acid regurgitation. Factors affecting sleep disturbance were revealed by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We recruited 1,701 subjects (men 57.5%; mean age 45.0 ± 15.0 years). The prevalence of sleep disturbance was 16.3%. GERD was reported in 14.8% of the subjects with insomnia and 7.1% of controls (p < 0.001). The prevalence of NERD was 13.7% in subjects with insomnia and 6.2% in controls (p < 0.001). The prevalence of extra-esophageal symptoms was higher in the insomniacs than control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extra-esophageal symptoms and the frequency of sleep disturbance.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having GERD, NERD, extra-esophageal symptoms, and high depression and anxiety scores were predictors of sleep disturbance. Conclusions:The prevalence of GERD is higher in subjects with sleep disturbance. The number of extra-esophageal symptoms was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poor sleep quality,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erosive change. These findings have therapeutic implications for GERD, NERD, and extra-esophageal syndrome in patients with sleep disturbance, and future trials are warranted. (Korean J Med 2011;81:602-610) 목적: 수면장애는 성인에서 매우 흔한 질환으로 전세계적으로 그 유병률이 10-35%에 달한다. 위식도역류질환은 수면장애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고, 수면장애로 인해 위식도역류질환이 악화되고 삶의 질 저하와 주간의 생산성 악화가 초래된다. 본 연구는 성인에서 수면장애 여부에 따라 위식도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non-erosive reflux disease, NERD), 역류성 식도염, 식도외 증상증후군의 유병률을 비교하고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2009년 3월부터 5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부속 목동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성인남녀 중, 수면장애와 위장증상에 대한 자가설문지를 시행하고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받은 검진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장애는 최소 1주에 1회 이상 불면증상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고 대조군은 수면장애가 없는 검진자로 하였다. 결과:전체 대상자 1,701명 중 수면장애군은 16.3% (277명)이었고, 위식도역류질환은 수면장애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호발하였다(14.8% vs. 7.1%, p < 0.001). 수면장애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NERD (13.7% vs. 6.2%, p < 0.001)와 식도외 증상증후군(27.8% vs.15.5%, p < 0.001)도 유의하게 호발하였으나 역류성 식도염의 발생은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위식도역류질환, NERD, 식도외 증상증후군, 높은 우울과 불안 증상 점수가 수면장애 발생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식도외 증상 개수가 증가할수록 불면증의 주간 발생 빈도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론:수면장애가 동반된 환자에서 위식도역류질환, NERD와 식도외 증상증후군이 호발하였고, 식도외 증상증후군의 동반 증상 개수와 불면증의 주간 빈도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수면장애가 있는 환자에서는 위식도역류질환 동반 유무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치료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중추신경계질환 동반 여부에 따른 렘수면 행동장애의 임상 특성과 수면다원기록소견 소견 비교

        이유진,정도언,Lee, Yu-Jin,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1

        목 적:중추신경계 질환의 병발 여부에 따라 렘수면 행동 장애 환자들을 두 군으로 나눈 후, 인구학적 특성, 임상양상, 수면 변인들을 비교하여 차이점과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서울대학교병원에서 야간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렘수면 행동장애로 확진받은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과 수면다원검사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필요한 경우 전화문진을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중추신경계 질환력과 뇌 자기공명검사 소견을 근거로 전체 대상을 중추신경계 질환을 동반한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과 그렇지 않은 특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으로 이분하였다. 그 후 두 군 사이의 인구학적 특성, 임상양상, 수면 변인을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전체 대상군 81명 중 남자는 64명, 여자는 17명이었다. 그리고 전체 대상중에 21명(25.9%)에서 중추신경계 질환이 동반되어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으로, 나머지 60명(74.1%)에서 그렇지 않아 특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으로 분류하였다. 동반된 중추신경계 질환은 파킨슨병(11명), 올리브뇌교소뇌위축(olivopontocerebellar atrophy)(3명), 다발신경계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2명), 파킨슨병을 동반하지 않은 치매(2명), 뇌경색(1명), 뇌교부종(1명), 뇌종양(1명)이었다. 전체 대상에서 수면장애가 병발된 경우는 74.1%로서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폐쇄성무호흡증이었다. 주기성 사지운동증(사지운동 지수>5)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호흡장애지수>5)의 유병율이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p=0.0042, Fisher 검증). 심한 정도를 나타내는 주기성 사지운동지수와 호흡장애지수도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p=0.017, 독립 t-test). 수면변인 중 서파수면분율과 수면효율은 병발성 렘수면 행동장애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0.001, p=0.017, 독립 t-test). 고 찰:렘수면 행동장애 환자의 25%에서 중추신경계 질환이 동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추신경계 질환이 동반된 렘수면 행동장애에서는 주기성 사지운동증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같은 다른 수면장애가 더 흔하게 병발하였고 그 정도 역시 더 심하게 나타났다. 수면구조에서도 특발성 렘수면 행동장애에 비해 서파수면과 수면효율이 모두 더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Objectives: REM sleep behavior disorder (RBD), characterized by excessive motor activity during REM sleep, is associated with loss of muscle atonia. In recent years, it has been reported that RBD has high co-morbidity with CNS disorders (especially, Parkinson's disease, dementia, multiple system atrophy, etc.). We aimed to assess differences in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among RBD patient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entral nervous system (CNS) disorder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and polysomnographic data of 81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having RBD were review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ssociated RBD (aRBD, i.e., with a clinical history and/or brain MRI evidence of CNS disorder) and idiopathic RBD (iRBD, i.e., without a clinical history and/or brain MRI evidence of CNS disorder) groups. Twenty-one patients (25.9%) belonged to the aRBD group and 60 patients (74.1%) belonged to the iRBD group.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Periodic limb movement disorder (PLMD), i.e., PLMI (periodic limb movement index)>5,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the aRBD group than in the iRBD group (p<0.001, Fisher's exact test). Also,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e., RDI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5,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aRBD group (p=0.0042, Fisher's exact test). The percentages for slow wave sleep and sleep efficienc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RBD group than in the iRBD group. Conclusion: We found that 1 out of 4 RBD patients had associated CNS disorders, warranting more careful neurological evaluation and follow-up in this category of RBD. In this category of RBD patients, we also found more frequent PLMD and OSAS. These patients were also found to have lower slow wave sleep and sleep efficiency. In summary, RBD patients with associated CNS disorders suffer from more disturbed sleep than those without them.

      • KCI등재

        정상인과 수면장애 환자군 간의 주간졸림증 비교 및 임상적 의미 분석

        이진성,김석주,최종배,정도언,Lee, Jin-Sung,Kim, Seog-Ju,Choi, Jong-Bae,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2 수면·정신생리 Vol.9 No.2

        배 경 : 주간 졸림증은 흔한 증상으로서 수면 습관, 수면 박탈, 그리고 야간 작업 등과 관련된다.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수면장애의 중요 증상이다. 문헌 조사에 의하면 그간 국내에서 주간 졸림증에 대한 소수의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다수의 정상대조군과 수면다원기록법을 사용해 확진된 수면장애 환자들 간에 주간 졸림증의 임상적인 특징을 비교한 체계적인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야간 작업을 하지 않는 직장인, 만성적인 수면 박탈로 인해 주간 졸림증이 심할 것으로 추측되는 의과대학생, 그리고 수면다원기록법을 사용해 확진된 수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주관적인 주간 졸림증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수면장애 환자에서 주관적인 주간 졸림증과 수면다원검사 변인들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야간 근무를 하지 않는 병원 직원 103명, 의과대학 3학년 학생 137명, 그리고 수면다원검사를 사용해 확진 된 수면장애 환자 5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면장애에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주기성 사지운동증, 불면증, 그리고 기면병을 포함하였다. 주관적인 졸림증의 정도를 한국어로 번안, 제작된 Epworth 졸림증 척도로 측정하여, 정상군과 졸림증군 그리고 수면장애 환자군 사이의 주관적인 졸림증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각 수면 장애 환자군에서 수면 장애가 심한 정도를 반영하는 수면다원검사 변인과 주관적인 졸림증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정상군, 수면장애 환자군, 의과대학생군 간에는 Epworth 졸림증 척도 점수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68.190, df=5,752, p<0.00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에서 주관적인 졸림증의 정도는 평균 혈중산소포화도(p=0.062), 호흡장애지수(p=0.807)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주기성 사지운동증 환자군에서 주기성 사지운동 지수와 졸림증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761). 기면병 환자군에서 입면잠복시간 반복검사(MSLT)에서 측정한 평균 입면잠복시간과 졸림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5). 결 론 : 주관적인 졸림증의 정도는 정상군, 수면장애 환자군, 그리고 의과대학생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각 수면장애 환자군 내에서 주관적인 졸림증의 정도는 수면장애의 심한 정도를 반영하는 객관적인 수면다원검사 변인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주관적인 졸림증의 평가가 임상적으로 중요하나 수면다원기록법과 같은 객관적인 평가방법을 대체할 수는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Daytime sleepiness is a common symptom and is associated with sleep behavior, sleep deprivation, and night shift, etc. It is also one of the most important symptoms of sleep disorders like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ccording to our survey on Korean literature, a few studies have dealt with daytime sleepiness, and we have not been able to locate any study comparing normal subjects with polysomnography-proven sleep disorder patients regarding daytime sleepiness. We aimed at comparing daytime sleepiness among normal healthy daytime workers, medical students being expected to have daytime sleepiness due to chronic sleep deprivation, and patients having sleep disorders diagnosed with polysomnography. We also studied the association between subjective daytime sleepiness and objective polysomnographic findings in patients with sleep disorders. Methods: One hundred three hospital workers, 137 medical students, and patients with sleep disorders were studied. Sleep disorders included OSA, periodic limb movements in sleep (PLMS), insomnia, and narcolepsy. The degree of subjective sleepiness in each group w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Epworth sleepiness scale and compa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somnographic findings reflecting severity of sleep disorder in each patient group and subjective sleepiness was analyzed. As for patients with narcoleps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sleep latency and subjective sleepiness was studi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ESS score (F=68.190, dF=5.752, p<0.001) among daytime workers, medical students, and sleep disorder patients. In OSA patient group, the degree of the sleepiness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either with mean O2 satuaration (p=0.062) or with RDI (p=0.807). In PLMS patient group,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eriodic limb movement index (PLMI) and subjective sleepiness (p=0.761). In narcolepsy patient group, the subjective sleepiness had no correlation with mean sleep latency measured with MSLT (p=0.055). Conclusion: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ubjective sleepiness among daytime workers, medical students, and patients with sleep disorders. However, no consiste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verity of subjective sleepiness and objective polysomnographic findings reflecting severity of each sleep disorder. This research confirms that the evaluation of subjective sleepiness is important clinically, but it cannot substitute the objective measures such as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MSLT.

      • KCI등재

        신체활동이 2형 당뇨병환자의 수면의 질 및 수면장애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신윤아,차은석,정경혜,송류리,김현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1

        이 연구는 2형 당뇨병환자의 수면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신체활동이 2형 당뇨병환자의 수면장애및 이와 관련된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2형 당뇨병환자의 수면의 질 개선에 적절한 신체활동량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2형 당뇨병환자 176명의 병원 진료기록을 이용하여 당뇨 유병기간, 공복 시 혈당, 당화혈색소, 고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중성지방 (triglyceride),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SBP)과 이완기 혈압(distolic blood pressure, DBP) 및 병력 등 수면장애 관련 요인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면장애 유무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조사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5점을 기준으로 수면장애가 있는 군 (5)과 없는 군(<5)으로 분류하였다. 신체활동 측정은 신체활동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후 신체활동 참여여부, 빈도, 강도(고강도, 중강도 및 저강도 활동시간)을 사정하였다. 수면장애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며(p<.05),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도 수면장애에 영향을 미쳤다(p=.050). 수면의 질은 나이 많을수록 (p<.05), BMI가 높을수록 좋지 않았다(p<.05). 수면 지연 시간은 HDL-C와 양의 관련성을나타냈고(p<.05), 수면 지속시간은 BMI, DBP가 높을수록, 신경병증이 있을수록 긴 것으로 나타났다(p<.05). 수면제 복용은 BMI가 높을수록(p=.056), 신체활동을 하지 않을수록(p<.05) 많았으며 주간 기능장애는 BMI와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고(p=.055), SBP 및 HDL-C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나타냈다(p<.05). 총 수면의 질은 BMI가 높을수록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p<.05). 신체활동강도과 수면장애와의 관련성은 고강도 신체활동 시간이 길수록 HDL-C가 높았고(p<.05), 빈도가 많을수록 SBP가 낮았다(p<.001). 수면장애와 신체활동과의 관계는 남성, 여성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고강도 신체활동 시간이 길수록 HDL-C가 높았고(p<.01), 중강도 신체활동 시간 역시 HDL-C 및 당화혈색소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신체활동 빈도는 고강도 활동의 경우 SBP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나타냈고(p<.01), 중강도 활동의 경우 당화혈색소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p<.05). 여성의 경우 고강도 신체활동 빈도는 나이및 SBP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였고(p<.05), 중강도 신체활동 빈도는 나이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p<.05), 저강도 신체활동 빈도는SBP와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나타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당뇨병환자에 있어 신체활동은 수면장애와 관련된 임상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체활동의 강도에 따른 임상요인과의 관련성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으므로 2형 당뇨병환자의 신체활동의 강도는 성별에 따른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 KCI등재

        정신과에 의뢰된 환자 중 수면장애에 대한 ICSD와 DSM-Ⅳ 진단 비교

        이분희,김린,서광윤,Lee, Bun-Hee,Kim, Leen,Suh, Kwang-Yoon 대한수면의학회 2001 수면·정신생리 Vol.8 No.1

        Background: Sleep disorders are prevalent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 medical practice. Three diagnostic classifications for sleep disorders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ition (DSM-IV) a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edition (ICD-10). Few data have yet been published regarding how the diagnostic systems are related to each other. To address these issues, we evaluated the frequency of sleep disorder diagnoses by DSM-IV and ICSD and compared the DSM-IV with the ICSD diagnoses. Method: Two interviewers assessed 284 inpatients who had been referred for sleep problems in general units of Anam Hospital, holding an un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with each patient and assigning clinical diagnoses using ICSD and DSM-IV classifications. Results: The most frequent DSM-IV primary diagnoses were "insomnia related to another mental disorder (61.1% of cases)" and "delirium due to general medical condition (26.8%)". "Sleep disorder associated with neurologic disorder (38.4% of cases)" was the most frequent ICSD primary diagnosis, followed by "sleep disorder associated with mental disorder (33.1%)". In comparing the DSM-IV diagnoses with the ICSD diagnoses, sleep disorder unrelated with general medical condition or another mental disorder in DSM-IV categories corresponded with these in ICSD categories. But DSM-IV "primary insomnia" fell into two major categories of ICSD, "psychophysiologic insomni" and "inadequate sleep hygiene". Of 269 subjects, 62 diagnosed with DSM-IV sleep disorder related to general medical condition or another mental disorder disagreed with ICSD diagnoses, which were sleep disorders not associated with general medical condition or mental disorder, i. e., "inadequate sleep hygiene", "environmental sleep disorder", "adjustment sleep disorder" and "insufficient sleep disorder". Conclusion: In this study, we found not only a similar pattern between DSM-IV and ICSD diagnoses but also disagreements,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by clinicians and resulted from various degrees of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the sleep disorders among clinicians. Non-diagnosis or mis-diagnosis leas to inappropriate treatment, therefore the clinicians' understanding of the classification and pathophysiology of sleep disorders is important. 목 적 : 최근 수면장애에 대한 3가지 진단 분류 체계가 발달하였다. 즉 국제 수면장애 분류(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 ICSD),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 판(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ition, DSM-IV) 그리고 국제 질병 분류 제 10 판(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edition, ICD-10)이다. 국내에는 이들 진단 체계간의 비교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다. 본 저자들은 수면 문제로 정신과에 의뢰된 환자를 DSM-IV와 ICSD에 따라 진단하고 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고려대학부속 안암병원에 입원 환자 중 수면장애로 정신과에 의뢰된 2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ICSD를 숙수면장애에 대한 ICSD와 DSM-IV 진단 비교 44지하지 않은 정신과 전공의와 ICSD를 숙지한 정신과 전공의가 비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하고, DSM-IV와 ICSD의 진단 기준에 따라 임상적 진단을 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DSM-IV 진단 분류에는 "기타 정신장애 관련 불면증"(전체의 61.1%)과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섬망"(26.8%)이 빈도가 가장 높았다. ICSD에서는 "신경과적 장애가 동반된 수면장애" (38.4%)와 "정신과적 장애가 동반된 수면장애" (33.1%)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DSM-IV와 ICSD의 비교에서, DSM-IV에서 신체적 질환이나 정신과적 질환과 무관한 수면장애로 진단된 환자군은 대부분 ICSD와 일치하였고, 이들 중 DSM-IV의 "일차적 불면증"은 ICSD의 "정신생리적 불면증"과 "부적수면위생"으로 구분되었다. DSM-IV에서 신체적 질환이나 정신과적 질환에 의한 수면장애를 가진 269명 중 62명(23%)이 ICSD와 불일치하였고 이들 중 대부분이 ICSD에서 신체적 질환이나 정신과적 질환과 무관한 수면장애인 "부적수면위생", "환경성 수면장애", "적응성 수면장애" 그리고 "수면결핍장애" 등이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DSM-IV와 ICSD의 진단 체계가 많은 부분 일치하였으나, 간과할 수 없는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차이는 수면장애에 대한 임상의의 태도를 반영한다. 즉, 수면장애에 대한 개념화와 원인에 대한 임상의의 이해 정도에 따라, 수면장애를 진단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DSM-IV와 ICSD에 대한 임상의의 이해 정도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

        문화식,Moon, Hwa-Sik 대한수면의학회 1995 수면·정신생리 Vol.2 No.1

        수면중에는 여러 가지 호흡생리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호흡의 수의적 조절은 경미하고 대부분 대사성조절에 의해 호흡이 유지되며, 탄산가스와 산소변화에 의한 화학자극 및 호흡기계통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환기반응이 감소하고, 늑간근 및 상기도근육들과 같은 보조호홉근의 기능이 억제되며, 체위변동 즉 누운 자세에서는 여러 가지 호흡기능의 변화가 온다. 이러한 호흡생리의 변화로 정상인에서도 수면 중에는 경미한 환기장애(저환기)를 보일 수 있으며, 수면 무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환기장애가 더욱 현저하다. 환기장애 즉 만성 폐포저환기를 동반하는 질환은 심폐질환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환기장애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만성 폐포저환기를 보이는 환자는 원인질환에 관계없이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심해지며 특히 수면 무호흡이 빈번하게 동반되는 경우에는 중증의 임상경과를 보인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반복되는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수면장애증상 이외에도 전신 고혈압과 심부정맥이 흔히 동반되며, 주간에도 저산소증을 보이는 심폐질환자에서 수변 무호흡증후군이 동반되는 경우 폐동맥고혈압과 폐성심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은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장기사망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며, 중증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 급사할 수도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심폐혈관계 합병증과 장기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법이 요구되며, 환기장애(만성 폐포저환기)의 다른 원인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의 치료와 병행하여 이들 질환의 치료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During sleep, relatively major respiratory physiological changes occur in healthy subjects. The contributions and interactions of voluntary and metabolic breathing control systems during waking and sleep are quite different Alterations of ventilatory control occur in chemosensitivity, response to mechanical loads, and stability of ventilation. The activities of intercostal muscles and muscles involved in regulating upper airway size are decreased during sleep. These respiratory physiological changes during sleep compromise the nocturnal ventilatory function, and sleep is an important physiological cause of the nocturnal alveolar hypoventilation. There are several causes of chronic alveolar hypoventilation including cardiopulmonary, neuromuscular diseas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an important cause of nocturnal hypoventilation and hypoxia. Coexistent cardiopulmonary or neuromu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OSA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diurnal alveolar hypoventilation, diurnal hypoxia and hypercapnia. The existing data indicates that nocturnal recurrent hypoxia and fragmentation of sleep in patients with OSAS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ystemic hypertension and cardiac bradytachyarrhythmia, and diurnal pulmonary hypertension and cor pulmonale in patients with OSAS is usually present in patients with coexisting cardiac or pulmonary disease.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untreated patients with OSAS had high long-term mortality rates,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of OSAS had a major effect on mortalit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OSAS significantly decreased mortality.

      • KCI등재후보

        수면장애 노인에 대한 귀자극요법의 적용효과

        이재온 ( Jae On Lee ),권영숙 ( Young Sook Kwon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본 연구는 간호계에서 한국적 간호중재의 필요성이 주창되면서 시도되고 있는 이압요법의 우리말 표기인 귀자극요법을 수면장애 노인에게 적용해보는 연구이다. 2000년 무렵부터 피 내침에 의한 이압요법(耳壓療法)이 우리나라 간호계에서 시도 되었고 노인들의 수면장애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몇 편 발표 되었다. 귀자극요법의 한 종류인 압환법(壓丸法)은 간호에 적용한 사례들이 소수 있었으나 아직 초기 단계이며, 수면장애에 대 해 적용한 사례는 없었다. 이에 노인들에게 흔한 건강문제인 수 변장애에 대해 압환법(壓丸法)으로 귀자극요법을 적용하여 간 호중재 효과를 보고자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장애가 있는 실험군 노인들에게 왕부류 씨앗으로 4주 동안, 주 1회씩 귀자극요법을 적용하였다. 아무런 처치룹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귀자극 처치를 받은 실험 군에서 처치 후 수면측정 점수(t=-4.717,p<.001)와 수면만족 도 점수(t=-6.09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피내침에 의한 이압요법이 불면중에 효과가 있었지만(Sok & Kim, 2000, 2005-a, 2006-a), 씨앗으로도 귀자극요법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왕부류 씨앗을 이용한 귀자극요법이 효과가 있었다는 본 연구결과와 다른 연구도 있었다. Suen 등(2007)은 요통 노인에게 3주 동안 실험군에게는 자석 알갱이를 적용하고, 대조군에게는 왕부류 씨앗을 적용하였는데, 자석 알갱이를 적용한 실험군에서는 유 의한 통증 완화가 나티났지만, 왕부류 씨앗을 적용한 대조군에 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압훤법에 의한 귀자극요법 연구로는 두통 환자에게 게르마늄 소재의 구형 알갱이를 적용한 사례와 백개자 씨앗을 적용한 연구, 월경곤란에 백개자 씨앗을 적용한 연구 등에서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Bae et al., 2005; Lee, 2005; Lee, 2006; Lee, 2007). Barker 등(2006)은 병원으로 이송 중인 급성 고관절 환자 중 대조군에게는 고관절 반응점이 아닌 곳에 플라스틱 구슬을 부착하고, 실험군에게는 골반부 반응점에 구슬을 부착하였는데, 실험군이 통증과 불안을 덜 느꼈고 심박동수 도 낮았다고 하였다. 수면장애뿐 아니라 노인의 만성질환에도 적용해보거나 대조군에게 적용하는 재료나 적용하는 처치 등을 달리 하여 적용해 보는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첩압을 하는 부위와 기통환을 첩압하는 개수에 대해, Oleson (2003)은 불면증 첩압부위로서, 불면중1, 불변증2, 송과부, 심장, 마스터뇌증, 영점, 신문, 시상점, 앞이막 후두, 뇌, 신장 등 12개 부위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수면장애에 대 한 효과는 있으면서, 대상자나 간호중재를 하는 입장에서 부담 이 되지 않도록 첩압 위치를 신문, 심장, 수전, 뒷머리, 이애비 반응점으로 제한하였지만(Kim et al. 2008) 중재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ok과 Kim (2000, 2005-a, 2006-a)은 불 면증 노인에게 이압요볍 적용 시 이배혈 위 자리에 매침법으로 4일 처치하거나, 진정(鎭靜)과 백령(百靈)에 4일 매치하거나 3 일 동안 매치하고,4회 반복 적용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Lee 와 Kim (2007)은 혈액투석 환자의 수면장애 해소를 위해 신문 (神門), (신)(腎), 心(심), 침(枕)에 번갈아가며 이압칩을 매침한 후 누르게 하는 방법으로 2주간 6회 시행하였었다. 백개자 씨앗으로 첩압한 연구에서 두통에 신문, 액점, 침점, 태양점. 내분비점 (Lee & Kim, 2006),월경불편감에 대해, 교감, 자궁, 신문, 내 분비접 (Kim, 2006), 두통에 신문, 피질하, 내분비, 앞머리점 등을 적용하여서,5개 내외의 반응점에 적은 첩압을 하는 것도 좋다고 판단하였다. 금번 연구에 사용된 왕부류씨앗은 통경락 (通經絡)작용이 우수하고, 백개자 씨앗보다 크고 단단하여 첩압하기에 용이하였다. 지역사회노인에게 압환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이유는 씨앗을 활용히는 것은 칩(needles)만큼이나 감 염의 위험은 적으면서 효과는 있다는 점이다(Oleson,2003). T침을 이용한 이압요법으로 하절기에 오랜 시간 매치할 경우 감염의 우려가 있고 특히 지역사회노인은 간호사가 수시로 확인하고 점검하기 어려우므로 지역사회에서 수면장애에 귀자극 요법을 적용한다면 압환법으로 하는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압환법에 의한 귀자극요법은 한방과 갈등의 소지가 없고 대상자의 약물치료 중단우려도 없고, 환자에게 불편감을 주지 않는 비침습적 중재로서 짧은 시간에 시술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간호중재로 권장할 수 있을 것이다(Barker et al. 2006). 의사가 원인치료를 해야하거나 진정제,수면제를 처방해야하는 상황이아니라면,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좋은 간호중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의 수면장애에 대해 기존의 피내침에 의한 이압요법뿐 아니라,씨앗에 의한 귀자극요법도 효과가 있으므로 간호중재로서 확대하여 적용해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진행상 몇 가지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1개 시의 다른 구에 속한 노인복지관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실험군과 대조 군이 연령면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즉, 가설은 지지되었지만 실험군과 대조군 의 연령면에서 동질성이 확보되지 않았던 것은 제한점이었다. 수면은 객관적 점수보다 주관적 호소가 중요하다고 보아 수면 측정 접수가 60점 만점에 46점으로 수면상태가 양호한 대상자 도 실험군, 대조군에서 각각 1명씩 있었으나 연구 대상에서 이 들을 배제하지 않았다. 다음 연구에서는 수면측정 점수가 일정 범위내의 대상자로 한정하는 것이 연구결과를 정확하게 얻는데 더 용이하리라 본다. 또한 특정 지역에서,적은 인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해서 해석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riculotherapy on sleep disorders in the elderly. Methods: The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post-test. The participants were 43 elderly, members of community senior centers, experimental group were 23 elderly, and control group were 20 elder-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small seeds (semen vaccaria) were applied to five locations of both auricular skin surfaces: shen men, heart, anterior lobe, occiput, and spleen of posterior surface. The seeds were applied every week, and remained in surfaces for 5 days. The procedure were repeated 4 times.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12.0 version and the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greater improvement in sleep scale score (t=-4.717, p<.00l) and sleep satisfaction score (t=-6.095, p<.00l)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Auriculotherapy by small seeds (semen vaccaria) is effective in allaying sleep disorders in the elderly. The results may be useful to community health nurses.

      • KCI등재

        재활승마 프로그램 참여가 자폐성 장애인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

        손성민(Sungmin Son),전병진(Byoungjin Je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4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인들의 수면 문제와 수면 패턴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수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치료적 접근으로 적용 가능한 재활승마 프로그램을 규칙적으로 제공하여 대상자들의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자폐성 장애인들의 취침시간, 기상시간, 총 수면시간, 수면 중 깨는 빈도를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에서 거주하고 있는 자폐성 장애인 10명이며, 2015년 03월 01일 부터, 05월 31일까지 총 12주간 재활승마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재활승마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면 평가지를 통해 취침시간, 기상시간, 총 수면시간, 수면 중 깨는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기술통계, 프리드만 검정(Friedman)을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취침시간이 빨라졌으며, 총 수면시간이 증가하였고, 수면 중 깨는 빈도가 감소하여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대상자들의 수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재활승마 프로그램 적용이 참여 대상자들의 수면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자폐성 장애인들에게 시설 내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in rehabilitation horseback riding program on the sleep,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by analyzing the sleep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is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0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iding in a residential care facility fo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y participated in the 12 weeks rehabilitation horseback riding program regularl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this program on sleep, subjects’ sleep time, wake-up time, total sleep time and wake-up frequency during sleep were measur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iedman 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 the sleep. As a reulst of anlysis, it was found that the sleep time came earlier, the total sleep time increased, and the wake-up frequency during sleep reduced. Therefore, the rehabilitation horseback riding program participa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s’ sleep. Since the application of this program can act as a positive factor in the sleep of the participation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in-facility program for the resi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KCI등재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와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의 임상적 특성 및 수면다원검사 소견 비교

        김석주,이유진,김의중,정도언,Kim, Seog-Ju,Lee, Yu-Jin,Kim, Eui-Joo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1

        배 경 : 본 연구에서는 수면다원검사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을 보이는 환자 중 수면 중 이상행동을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6년 6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수면다원검사실에 의뢰된 환자들 중, 야간 수면다원검사 시행결과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이 관찰된 5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수면다원검사 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이 관찰되며 수면 중 이상행동을 호소하는 32명을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 군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 증가 소견은 관찰되나 수면 중 이상행동은 호소하지 않는 20명을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 군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총 연구대상 52명 중 42명이 남성이었으며 10명이 여성이었다. 평균연령은 $55.1{\pm}19.1$세였다. 연령은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군($61.59{\pm}13.5$세)에서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군($44.70{\pm}2.76$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야간 수면다원검사 중 관찰된 수면 중 이상행동은 잠재성 렘수면 행동장애군(50.0%)에 비해 발현성 렘수면 행동장애군(81.3%)에서 더욱 흔하게 관찰되었다. 두 군 사이에 남녀비, 병발질환의 빈도, 그리고 수면 변인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본 연구는 수면 중 이상행동의 호소를 하지 않아도 수면다원검사 소견만으로 렘수면 행동장애의 조기 징후를 찾아낼 가능성을 시사한다. 야간 수면다원검사 상 렘수면단계에서 근긴장도가 증가하는 소견이 나오면 렘수면 행동장애로 진행하는 지 여부와 갑자기 나타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임상적 관심이 필요하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ossible differences in clinical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bjective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in patients with RWA on polysomnography. Method: We reviewed patient records and polysomnographic data of patients referred to the Sleep Laborato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6 through October 2002. We defined the manifest RBD group (n=32) as patients having both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and RWA on polysomnography. The latent RBD group (n=20) consisted of patients who exhibited RWA on polysomnography but did not complain of abnormal sleep behavio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lysomnographic finding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Fifty-two subjects had RWA, as detected by polysomnography (42 males and 10 females, mean age of $55.1{\pm}19.1\;years$). Subjects in the manifest RBD group were significantly older than those in the latent RBD group ($61.59{\pm}13.5$ vs. $44.70{\pm}2.76\;years$, independent t-test, p<0.01). More subjects in the manifest RBD group exhibited abnormal REM behavior on polysomnography than did subjects in the latent RBD group (81.3 vs. 50.0%, Fisher's exact test,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found in the prevalence of brain disorders and primary sleep disorders, gender proportion, and sleep architecture. Conclusion: No difference in sleep architecture was found between the manifest and the latent RBD groups. Only age and the presence of abnormal sleep behavior on polysomnography differentiated the two groups. We suggest that RWA on polysomnography without complaints of abnormal sleep behavior may be early manifestation of manifest RBD. Attention to RWA on polysomnography is necessary to help prevent full-blown RBD from develo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