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이념으로서의 세계시민주의 (Cosmopolitanism)에 대한 비판적담론분석

        박휴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3 No.2

        This paper analyzes the discourses of cosmopolitanism, which is currently in vogue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the perspectives of Critical Theory. This paper especially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national curricula have adopted the ideology of cosmopolitanism in their curricula. By analyzing the national curriculum statements of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as written discourses, this paper finds that the cosmopolitan ideology is confined by the Euro-centric paradigm, which consists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rationalism, and individualism; furthermore, it also finds significant that the cosmopolitanism is expedited by the vicious tid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To provide an alternative perspective for cosmopolitan ideology, this paper suggests Critical Cosmopolitanism and Ecological Curriculum as a practical solution. By adapting these Critical Cosmopolitanism and Ecological Curriculum as a new approach for the planning of curricula objectives, we may have more insights to conceive national curricula that could overcome the Euro-centric paradigm and the negative influenc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본고는 학교현장에서 회자되는 세계시민주의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각국의 국가적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교육목표들 중의 하나로 세계시민주의가 포함되어 있음을 주목하고, 이 세계시민주의가 서구유럽 중심적 패러다임-모더니즘, 이성주의, 개인주의-에 갇혀있어서 바람직한 교육목표로서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지적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세계시민주의의 기원과 성격, 그리고 세계시민주의에 내재된 모더니즘, 이성주의, 개인주의적 성격에 대해 논의하고, 아울러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이러한 세계시민주의에대한 잘못된 환상을 부추기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어서 세계 주요국가의 교육과정 진술들을 민주시민양성, 인권, 문해/평생학습이라는 세 가지 핵심어를 통해 분석해봄으로써, 세계시민주의 이념이 가진 교육과정 목표로서 근본적인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그 대안으로서 비판적 세계시민주의의 관점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세계시민주의 이념의 실천적 방법론으로서 생태주의교육과정의 교육목표의 성격과 그 적용방안을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서 세계시민주의 교육이념에 대해 신중하면서도 건설적인 담론의 장을 열고자 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세계시민주의와 세계시민권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양해림 ( Hae Rim Y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4 No.-

        세계시민주의의 개념과 역사는 정치사상만큼이나 오래되었다. 세계시민주의의 기원은 B.C. 4-5세기 사이에 고대 그리스의 키니코스(Cynicos)학파로 거슬러 올라간다. 세계시민주의는 오랜 고대 그리스시대에 고안된 용어이지만, 오늘날에도 잘 어울리는 개념으로 여전히 작동하고 있다. 세계시민주의는 최근 한국을 비롯한 미국과 독일, 프랑스 유럽에서 다양한 철학자, 정치학자들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오고 있는 주제이다. 지금 우리는 지구촌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다. 무엇보다 우리는 지구촌 세계를 살아가면서 종족 민족적, 종교적 전통을 살아가며 넘나드는 교류 속에서 활기차게 세계의 상식을 창조하고, 타자의 다름을 인정하도록 정신을 일깨우고, 일면적 관점에서 세계시민적 시야로 지평을 전환할 것을 그 어느 때보다 요구받고 있다. 세계시민적 관점이란 문화적 타자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거기서 각 개인의 생존이해를 결합하는 것을 뜻한다. 이때 세계시민주의는 유럽 근대성의 위대한 이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종족주의, 공산주의, 사회주의, 신자유주의라는 역사적으로 마모(磨耗)된 것을 뛰어넘는 것을 뜻한다. 하버마스는 상호공존이라는 보편주의적 원칙을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국민들이 참여하는 공화주의적, 입헌 애국주의적 자기이해’ 토대를 둔 ‘통일된 유럽국가’의 수립을 강조한다. 의사소통에 의한 합리적 동의를 묵시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입헌적 애국주의는 하버마스에게 있어 새로운 세계시민적 질서를 창출할 수 있는 중요한 토대의 기반이다. 칸트는 『영구평화론』에서 국제법이 헌법화됨으로써 스스로를 넘어 세계시민권으로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말한다. 전통적인 국제법은 "상호관계 속에 놓여 있는 국가들과 연관되어 있는 반면, 세계시민권은 인간들이 “보편적인 인간국가의 시민들로 간주될 수 있는 한 인간들 사이의 법적 관계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하버마스는 200년 전 칸트에 의해 이루어졌던 고전적 국제법의 질서가 새로운 세계시민적 질서로 변형될 가능성을 함축하고 있었다고 본다. 거기서 칸트는 그 구성원이 입헌적 공화국이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따라서 필자는 세계시민주의 기원 및 개념, 세계시민주의와 헌법애국주의, 세계시민권: 국가적 구상과 민주주의적 구상, 세계시민권: 정치적 세계질서와 세계시민권, 세계정부 없는 세계 내 정책: 세계시민적 상태 등을 살펴 볼 것이다. Definitions and history of cosmopolitanism can be traced back as far as political philosophy. Cosmopolitanism can be traced back to Cynics of ancient Greece between the 4th to 5th centuries BC. The term ‘cosmopolitanism’, which was invented in ancient Greece, still has been universally applicable today. Cosmopolitanism is a subject that a wide variety of philosophers and politicians from the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France in Europe, and Korea have discussed. Above all, we are living in a world like a global village where common knowledge of the world is created with active exchanges of ethno-national, religious traditions being promoted, and where the spirit is evoked to acknowledge differences of others, and the conversion of a unilateral point of view into a cosmopolitan insight is required more than ever. A cosmopolitan point of view means that we should respect the dignity of cultural others along with each individual’s understanding of the survival. For this point, cosmopolitanism dates back to a great idea of European Modernity, which outstrips what has been historically worn out such as Tribalism, Communism, Socialism, and Neoliberalism. Habermas stresses the founding of a united European nation in which a variety of citizens participate to pursue coexistence as a universal principle, based on self- understanding of republican, constitutional patriotism. A constitutional patriotism that is implicitly premised on rational agreements by communicative actions is a critical basis for creation of a new cosmopolitan order. In his essay 『Perpetual Peace』, Kant argues that international law should be transformed into cosmopolitan right because a cosmopolitan right represents the legal relations among people who can be regarded as citizens of a universal human nation whereas a conventional international law is related to interrelations among sovereign nation-states. Habermas observes that the classical international legal order, suggested by Kant 200 years ago, implies the possibilities of being transformed into a cosmopolitan legal order. Kant insisted that members of the cosmopolitan legal order be constitutional republics. Therefore, the origins and definitions of cosmopolitanism, cosmopolitanism and constitutional patriotism, cosmopolitan right, a political world order and cosmopolitan right, world policies without a global government, and a cosmopolitan status will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 KCI등재

        세계화의 양면성과 세계시민주의의 전망

        손경원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0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시민주의에 관한 논쟁을 분석하고 세계시민주의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경제적 세계화가 초래한 국제관계의 불평등과 민주주의의 결핍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세계시민주의에서 그 대안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시민주의는 하나의 관점이기보다 경제, 정치, 문화, 도덕적 측면에서 상이하게 전개되는 다면적 이념이며, 견유학파이래로 무수한 세계시민주의의 관점의 충돌과 대립을 포괄하는 복합적 이념이다. 어떤 세계시민주의냐는 자국의 문화와 시민으로서의 충성, 지구적 정의 실현을 위한 세계시민의 위상과 의무, 초국가적 제도 및 정부에 대한 다른 지침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화의 한계와 세계시민주의를 둘러싼 이념사와 논쟁을 검토하고 세계시민주의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지역 문화의 존중 및 애국주의를 배제하지 않는 뿌리내린 세계시민주의가 되어야 한다. 둘째, 지구적 빈곤문제 해결과 정의실현의 최소한의 원조 의무를 수용해야한다. 셋째, 개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국내외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비지배의 원리에 기초하여 초국가 기구와 제도를 개혁하려는 세계시민주의적 공화주의 전망을 가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cosmopolitanism through the critics of arguments about cosmopolitanism. It has been increasing to investigate the cosmopolitan approach to revise the problems of globalization by critically reviewing the both of unequality and lack of democracy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The conceptions of cosmopolitanism, however, are various approach of views which have complex and multiple perspectives in the economics, political, cultural, moral aspect. It depends on the conception of cosmopolitanism which suggest differently their own culture, the loyalty of civic duty as a their fellows and country, supernational institution and global government. This study investigates not only the limit of globalization but also critically reviews the arguments about the conceptions of cosmopolitanism, and then suggests the direction of cosmopolitanism. First, the conception of cosmopolitanism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loyalty of local country and the patriotism of their country. Second, It have to considered at least the duty of global justice to deal with the problem of poverty in the underdeveloped country. Third, it must be included the prospect of cosmopolitan republicanism based on super national institution and agency to protect the human right as well as to expand the practice of democracy in the world.

      • KCI등재

        교과내용학 : 세계화의 양면성과 세계시민주의의 전망

        손경원 ( Kyung Won S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0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세계시민주의에 관한 논쟁을 분석하고 세계시민주의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경제적 세계화가 초래한 국제관계의 불평등과 민주주의의 결핍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세계시민주의에서 그 대안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시민주의는 하나의 관점이기보다 경제, 정치, 문화, 도덕적 측면에서 상이하게 전개되는 다면적 이념이며, 견유학파이래로 무수한 세계시민주의의 관점의 충돌과 대립을 포괄하는 복합적 이념이다. 어떤 세계시민주의냐는 자국의 문화와 시민으로서의 충성, 지구적 정의 실현을 위한 세계시민의 위상과 의무, 초국가적 제도 및 정부에 대한 다른 지침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화의 한계와 세계시민주의를 둘러싼 이념사와 논쟁을 검토하고 세계시민주의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지역 문화의 존중 및 애국주의를 배제하지 않는 뿌리내린 세계시민주의가 되어야 한다. 둘째, 지구적 빈곤문제 해결과 정의실현의 최소한의 원조 의무를 수용해야한다. 셋째, 개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국내외 민주주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비지배의 원리에 기초하여 초국가 기구와 제도를 개혁하려는 세계시민주의적 공화주의 전망을 가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cosmopolitanism through the critics of arguments about cosmopolitanism. It has been increasing to investigate the cosmopolitan approach to revise the problems of globalization by critically reviewing the both of unequality and lack of democracy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The conceptions of cosmopolitanism, however, are various approach of views which have complex and multiple perspectives in the economics, political, cultural, moral aspect. It depends on the conception of cosmopolitanism which suggest differently their own culture, the loyalty of civic duty as a their fellows and country, supernational institution and global government. This study investigates not only the limit of globalization but also critically reviews the arguments about the conceptions of cosmopolitanism, and then suggests the direction of cosmopolitanism. First, the conception of cosmopolitanism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loyalty of local country and the patriotism of their country. Second, It have to considered at least the duty of global justice to deal with the problem of poverty in the underdeveloped country. Third, it must be included the prospect of cosmopolitan republicanism based on super national institution and agency to protect the human right as well as to expand the practice of democracy in the world.

      • KCI등재

        세계시민주의, 공동체주의, 자유주의

        김지현 ( Ji Hyun Kim ),손철성 ( Cheol Sung So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2

        우리는 하나의 동심원이 아니라 여러 동심원, 즉 가족, 도시, 민족, 국가, 인류 공동체 등 다양한 공동체로 이루어진 삶의 공간 속에 살고 있다. 그런데 우리는 이러한 동심원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충돌할 때 어느 것에 우선적인 도덕적 가치를 부여해야 하는지를 선택해야 하는 문제에 부딪친다. 세계 국가를 세우려는 극단적인 세계시민주의를 제외한다면 대부분의 세계시민주의는 다양한 동심원을 인정하기 때문에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대한 관심이나 충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세계시민주의는 가장 중요한 동심원이 인류 전체이고 따라서 인류 전체나 보편적인 도덕적 가치에 대한 충성이 일차적이라고 본다. 모든 인간은 동등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출신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차별 대우를 받지 않고 세계시민으로서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세계시민주의는 보편주의 관점에서 인권과 같은 보편적인 기본 권리와 더불어 인류애의 관점에서 모든 인간에 대한 사랑을 중시한다. 그런데 대체로 공동체주의는 세계시민주의와는 다르게 보편적인 도덕적 가치를 부정하면서 특정 공동체에 타당한 특수한 윤리 규범을 인정하며, 인류 전체에 대한 사랑과 헌신보다는 특정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연대성, 사랑, 헌신을 더 중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동체주의는 세계시민주의와 양립하기 어렵다. `다원적 공동체주의`와 `다원적 세계시민주의`는 지역적 공동체성과 더불어 세계시민성의 가치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서로 가까이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복수의 공동체들이 추구하는 가치들이 서로 충돌할 경우에 어떤 공동체의 가치를 더 우선시할지에 대해서는 서로 입장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양자는 더 이상 가까워지기 어렵다. 세계시민주의는 공동체주의보다는 자유주의와 양립 가능성이 더 높다. 자유주의는 보편적 권리를 인정하고 그것의 차별 없는 평등한 적용을 주장하는데, 이것을 국가를 넘어서 세계적 차원으로 확대 적용한다면 자유주의는 세계시민주의로 나아갈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자유주의자들은 실제로 이러한 자유주의의 관점을 국내에만 적용시킬 뿐이고 세계적 차원까지 확대 적용시키지 않고 있기 때문에 세계시민주의자로부터 비판을 받는다. 그리고 `자유주의적 세계시민주의`는 `급진적 세계시민주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인류애를 요구하기 때문에 해외 원조에 소극적일 뿐만 아니라 때로는 국경선에 따른 원조 수준의 차이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급진적 세계시민주의와는 입장 차이를 보인다. Cosmopolitanism insists that the most important community is the community of all human beings and we should give our first allegiance to all human beings and universal moral values. It insists that all human beings have equal rights and they should be treated equally as cosmopolitans. Cosmopolitanism emphasizes universal human rights and the love of mankind on the viewpoints of universalism and philanthropism. Communitarianism denies universal moral values and approves special ethical norms applied to a certain community. It emphasizes the communal values and solidarity and insists that we should give our first allegiance to a regional community or a national community. So that communitarianism is inconsistent with cosmopolitanism. Plural communitarianism and plural cosmopolitanism are near in that they approve the values of regional community and global community. But they can not be nearer because they seek different values and have different position when the values sought by plural communities are conflict. Cosmopolitanism is more consistent with liberalism than communitarianism. Liberalism emphasizes universal human rights and insists that all human beings should be treated equally. If the ideas of liberalism are expanded to global dimension beyond national dimension liberalism may go forward to cosmopolitanism. But most of libertarians approve the liberal ideas only in the national dimension and do not expand the liberal ideas to global dimension. So that the advocates of cosmopolitanism criticize that kind of liberalism. Liberal cosmopolitanism requires the relatively lower level of love of mankind than radical cosmopolitanism and is not positive in the duty of foreign aid and sometimes approves the different level of foreign aid according to border line. In those points liberal cosmopolitanism are different from radical cosmopolitanism.

      • KCI등재

        세계시민주의의 기원과 의미

        오유석(yu-suk oh)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1

        최근 한국사회에서는 세계시민주의가 주요한 논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미 세계시민주의는 한국 교육의 주요한 목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세계시민 주의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본 논문은 세계시민주의가 헬레니즘시 대에 어떻게 등장했고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밝힘으로써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세계시민 주의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헬레니즘 세계시민주의는 대체로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오늘날 한국교육이 인류사회 의 세계시민임과 동시에 한국이라는 특정한 국가시민이라는 정체성을 함께 추구한다는 점에 서, 우리 교육이 추구하는 세계시민주의는 로마시대 스토아학파의 세계시민주의와 유사하다. 하지만 스토아 세계시민주의는 우주가 이성적 원리에 의해 생성되었다는 이성주의 형이상학에 기초해 있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의문시되며, 개인과 공동체 그리고 인류 일반의 관계를 하나 의 동심원적 구조로 간주했다는 점에서 오늘날 다양한 공동체의 다중적 동심원 구조를 설명하 지 못한다. 따라서 철저한 합리주의에 기반한 스토아학파의 일원적 세계시민주의는 복수의 공동체에 도덕적 가치를 부여하는 다원적 세계시민주의로 대체되어야 할 듯하다. Recently, cosmopolitanism has become major object of discussion in Korean society. Furthermore, it is already one of main targets of Korean education. Nevertheless, it is unclear what exactly is the cosmopolitanism we pursue. This paper tries to raise a question about the meaning of cosmopolitanism we are after, analyzing the origin and various meanings of cosmopolitanism in the Hellenistic period. The Hellenistic cosmopolitanism can be classified as five categories. The cosmopolitanism in Korean education is similar to cosmopolitanism of Roman Stoics, as far as Korean education pursues not only a cosmopolitan ideal but also the specific identity of Korean society. But Stoic cosmopolitanism fails to persuade us in that it is based on the metaphysical assumption that the universe is created by rational principle. Moreover, Stoic cosmopolitanism cannot explain multi-centric circles of modern world, because it regards the relation among individual human being, nation and humanity as co-centric circles. Finally, we have to replace the monistic cosmopolitanism of Stoics based entirely on rationality with a pluralistic cosmopolitanism that grants moral values to various human communities.

      • KCI등재

        세계 시민주의의 도덕교육적 함의

        김상범 ( Kim Sang-bum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1 No.1

        본 연구는 세계 시민성 함양이라는 도덕과 교육의 주요 교육 목표의 사상적 근거로서 세계 시민주의가 갖는 도덕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구촌 시대에는 국가 구성원으로서 지녀야 할 국가 정체성 및 건전한 애국심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책임감에 기초한 세계 시민성이 서로 갈등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이러한 조화의 당위성은 오늘날 많은 세계 시민주의자들이 `포용적인` 세계 시민주의를 지향하고 있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현대의 세계 시민주의자들은 모든 개인이 도덕적 관심의 궁극적 단위로서 지구적 지위를 지니며, 따라서 그의 국적이나 소속과 무관하게 평등한 존중 및 고려를 받을만한 도덕적 자격을 지닌다는 가정을 공유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본 가정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론적 쟁점들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쟁점들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는가에 따라 세계 시민주의의 다양한 유형들이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오늘날 세계 시민주의는 국제적 차원의 분배 정의 문제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롤스의 국제 정의론에 대한 대안 이론으로 제시된 포기, 베이츠 등의 지구적 평등주의가 그러한 세계 시민주의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와 같은 학문적 논의와 시대적 요청을 근거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도 세계 시민성과 세계 시민주의를 중요한 내용 요소로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 시민주의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도덕과 교육에서 세계 시민성과 세계 시민주의 관련 내용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관한 교육적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osmopolitanism, which i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main moral educational goal that is cultivating world citizenship.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national identity supported by citizens` patriotism and world citizenship based on their global responsibility must be harmonized without conflict. This obligation of harmony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fact that many contemporary cosmopolitans have pursued `inclusive` cosmopolitanism. Contemporary cosmopolitans basically assume that every person has global stature as the ultimate unit of moral concern and is therefore entitled to equal respect and consideration no matter what his citizenship status or other affiliations happen to be. There are, however, lots of important theoretical issues with relation to such a basic assumption of cosmopolitanism. We may distinguish various types of cosmopolitanism according to which position cosmopolitans take concerning those theoretical issues. Also, contemporary cosmopolitans tend to show a keen interest in the problem of global distributive justice. Especially, this tendency is well exemplified by global egalitarianism of Thomas Pogge and Charles Beitz as a convincing alternative to John Rawls`s theory of international justice. Based on these theoretical discussions and request of our times, current moral subject curriculum and text books include world citizenship and cosmopolitanism as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s. This study tries to provide moral educational guidances about how to teach the contents related with world citizenship and cosmopolitanism.

      • KCI등재

        다문화·세계화시대를 위한 세계시민주의의 담론과 함의

        허영식 한독사회과학회 2012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2 No.3

        이 글은 최근 세계시민주의에 대한 주의와 관심이 다시 제고되고 있다는 진단을 배경으로 하여, 세계시민주의에 관한 담론과 동향에 대하여 개관하고, 여기에 기초하여 다문화·세계화시대를 위한 정책적·교육적 과제설정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에 다가가기 위하여 세계시민주의의 개념과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세계시민주의의 개념과 접근방안에 대한 회의적인 입장을 다루었다. 그 다음 세계시민주의의 정책적·교육적 함의에 관해 기술하였다. 이상의 논의에서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세계시민주의의 개념은 세계화현상을 초 국민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경험적인 문제제기를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방법적 대안으로서 간주되고 있다. 윤리적 혹은 법적 보편주의에 입각한 전통적인 세계시민주의와 비교해 볼 때, 사회과학적 세계시민주의는 보다 더 현실주의적인 개념을 설정하려고 한다. 둘째, 세계시민주의의 개념에 대해서는 탈식민주의의 관점, 엘리트 세계시민주의의 관점, 그리고 신슈미트주의의 관점에서 회의적 입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이것은 결국 세계시민주의적 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문제제기로 연결된다. 셋째, 세계시민주의의 정책적·교육적 함의와 관련해서는 특히 세계시민주의적 능력 혹은 간문화능력의 함양 및 신장이 요청된다. 그리고 이 능력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인 세계시민주의적 관점취득 혹은 세방적 관점취득에 중점을 두고 실천적·교육적 방책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다문화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통합의 문제를 평화적으로 다루기 위해서 논쟁문화의 활성화가 요청된다.

      • KCI등재

        이방인으로서의 타자를 위한 환대 담론 - 데리다와 사도 바울의 세계시민주의를 중심으로 -

        신문궤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코즈모폴리터니즘, 즉 세계시민주의 역사는 헬레니즘 철학의 역사만큼이나 사상적 뿌리가 깊다. 세계시민주의는 헬레니즘 철학의 키니코스 학파로부터 시작하여 스토아 학파를 거치면서 기독교 복음을 통해 비전을 가진 사도 바울에 의해 제1차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난다. 바울 사상을 계승하는 아우구스티누스, 아퀴나스, 루터 등이 전개한 세계시민주의는 관용으로서의 조건적 환대를 구체화한 칸트에 의해 제2의 패라다임 전환이 발생한다. 게다가 데리다는 조건적 환대를 훨씬 뛰어넘어 아포리아 지평에 놓 여 있는 무조건적 환대를 포괄하는 세계시민주의를 위한 제3의 패라다임 전환을 시도 한다. 그러한 측면에서 우리는 바울의 세계시민주의와 데리다의 세계시민주의를 보다 진정한 의미에서 ‘새로운’ 세계시민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 세계시민주의의 근저에는 인류애를 통한 인간의 보편적 존엄성, 모든 인간의 평등 성 내지 동등성, 세계 시민들과 공동의 사랑을 나누는 새로운 세계의 지향성, 국가나 민족의 시민성과 세계 시민성의 공존, 진정한 환대를 실천하는 공간 등이 존재한다. 그러한 세계시민주의는 문화적 상대주의, 동질화 내지 획일화하는 세계화 내지 전지 구화, 문화 제국주의, 문화 식민주의, 세계화주의 등을 결코 고려하지 않는 담론이다. 한편, 세계시민주의 단초로서의 환대 담론에는 두 유형이 있다. 칸트의 관용으로서 의 조건적 환대와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가 바로 그것이다. 조건적 환대인 관용이란 이름을 물을 수 있는 환대임과 동시에 손님보다는 주인에게, 객체보다는 주체에게, 이 방인보다는 자국민에게, 타자성보다는 주체성에 관심을 가지는 ‘주체 중심적 환대’로 서의 가능성의 환대이다. 반면,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는 이름을 묻지 않는 환대, 주 인이나 자국민이나 주체성보다는 손님이나 이방인이나 타자성에 관심을 두는 ‘타자 중심적 환대’로서의 절대적 환대를 말한다. 여기에서 데리다는 그의 환대 담론을 바울 의 환대 담론의 지평에서 이해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방인으로서의 타자’를 위한 환대 담론을 통해 두 차원의 세계 시민주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나아가 세계시민주의의 근거나 단초로 작동하는 두 유 형의 환대 담론에 관해 다루려고 한다. 하나는 세계시민주의를 구축하는 칸트의 조건 적 환대이고, 다른 하나는 데리다의 무조건적 환대이다. 더 나아가 궁극적으로 칸트식 의 조건적 환대 담론을 넘어서는 데리다식의 무조건적 환대 담론과 그 맥락을 같이 하는 바울의 환대 담론을 다루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The history of cosmopolitanism is as deeply rooted in ideology as the history of Hellenistic philosophy. Within the horizon of cosmopolitanism began with the Cynics school of Hellenistic philosophy and passed through the Stoics, the first paradigm shift occurred by the Apostle Paul who had a vision through the Christian gospel. In thought of cosmopolitanism developed by Augustine, Aquinas, and Luther who inherited Paul’s thought, the second paradigmshift occurred by Kant who embodied conditional hospitality as tolerance. Moreover, Derrida attempts the third paradigm shift for cosmopolitanism that goes far beyond conditional hospitality and encompasses the unconditional hospitality that lies on the horizon of aporia - possibility of impossibility. At the root of cosmopolitanism is the universal dignity of human beings through love for humanity, the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the orientation of a new world in which we share common love with the citizenship of the world, the coexistence of cosmopolitanism with the citizenship of nations and peoples, the cosmopolitan citizenship, and a space where true hospitality is practiced. Cosmopolitanism is a discourse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cultural relativism, homogenizing globalization, cultural imperialism, cultural colonialism, globalization, etc.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types of discourse on hospitality as a foundation for cosmopolitanism. Kant’s conditional hospitality as tolerance and Derrida’s unconditional hospitality are just that. In especially the conditional hospitality as opposed to unconditional hospitality, it is a ‘subject-centered hospitality’ that is interested in the host rather than the guest, the subject rather than the object, the subjectivity rather than the otherness, and the own people rather than the strang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wo dimensions of cosmopolitanism through the discourse of hospitality for the ‘other as strangers’. Furthermore, I will address the two types of hospitality discourses that operate as the basis or foundation of cosmopolitanism. One is Kant’s conditional hospitality that establishes cosmopolitanism and the other is Derrida’s unconditional hospitality. Event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al with Derrida-style discourse of unconditional hospitality that ultimately goes beyond Kantian discourse of conditional hospitality and Paul’s discourse of hospitality in the same way.

      • KCI등재

        한나 아렌트와 세계시민주의 재고: ‘권리를 가질 권리’ 개념을 중심으로

        박치완 한국하이데거학회 2024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72

        ‘유럽의 유럽화(Europeanisation of Europe)’를 기치로 최근 유럽학계에서는 세계시민주의를 계몽주의적 가치를 부활시키는 것과 동일시하는 경향이 있다. 하버마스와 데리다가 그 대표주자이다. 이들에게 세계시민주의는 어디까지나 유럽과 유럽인을 위한 세계시민주의를 의미하는 데 그치기 때문에 불행히도 ‘지역주의’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이들의 유일한 목표는 ‘세계시민적 유럽’을 재구성해 ‘유럽의 르네상스’를 도모하는 데 있다. 그런데 아렌트는 ‘홀로코스트의 재앙’이 곧 유럽의 계몽주의가 인권을 보호하지 못한 단적인 예라고 비판하면서 유대인에게 계몽주의는 삶의 희망을 앗아간 준-인종적 사상이자 인권 상실의 상징이라고 단언하기에 이른다. 여기서 우리는 우리가 입에 발린 듯 운운하는 인권, 자유, 평등, 민주주의, 계몽주의, 세계시민주의와 같은 이념들이 얼마나 배타적이고 모난 정치적 수사에 불과한지를 새삼 되돌아보게 된다. 아렌트가 ‘권리를 가질 권리(right to have rights)’ 개념을 통해 ‘인권’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재고찰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히틀러 치하의 유대인처럼 국권도 인권도 상실한 채 자신의 권리를 요구할 아무런 권한이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은 자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것, 즉 ‘권리를 가질 권리’의 핵심이 바로 여기에 있다. 아렌트의 세계시민주의에 대한 구상도 같은 ‘권리를 가질 권리’와 같은 뿌리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연구 관점에 준해 제2장에서는 계몽주의적 이성, 보편주의, 세계화의 탈을 쓴 작금의 세계시민주의 논의가 노정한 허상에 대해 비판해 볼 것이다. 그리고 이어서 아렌트 고유의 세계시민주의적 이상(理想)을 ‘권리를 가질 권리’ 개념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세계시민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성찰하는 기회를 가져볼 계획이다. 제3장 결론에서는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 이상 “‘이즘’으로써 세계시민주의”가 아니라 “실제적 세계시민주의”라는 점을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하며, 비유럽권의 관점에서 평가할 때 아렌트의 세계시민주의적 이상마저도 ‘계몽주의적 플롯’에 갇혀있을 수 있다는 점을 되짚어 보는 시간을 가질까 한다. Under the banner of the “Europeanization of Europe”, recent European academic circles have tended to equate cosmopolitanism with the revival Enlightenment values. This tendency can be seen in J. Habermas and J. Derrida as representative scholars. For them, cosmopolitanism cannot escape regionalism in the sense that the latter translates into cosmopolitanism for Europe and Europeans. Their only goal was to promote a European Renaissance by reconstructing a cosmopolitan Europe. However, H. Arendt criticized the catastrophe of the Holocaust as a clear example of the European Enlightenment’s failure to protect human rights and went so far as to assert that for Jews, the Enlightenment was a quasi-racial ideology that took away hope for life and a symbol of the loss of human rights. Here, we reflect on the exclusivity and mediocriy of the ideologies that people discuss, such as human rights, freedom, equality, democracy, enlightenment, and cosmopolitanism, and reveal them as nothing more than political rhetoric. This is why Arendt fundamentally reconsidered the issue of human rights through the concept of “the right to have rights”, whose core is as follows: granting rights to those who, similar to the Jews under Hitler, have lost national sovereignty and human rights and have no power or authority to demand their rights. Arendt's concepttion of cosmopolitanism also originates from these roo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erspective, we criticize the illusions exposed by the current discussion of cosmopolitanism under the guise of enlightenment, universalism, and globalization. We also take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direction in which cosmopolitanism should move by analyzing Arendt's idea of appropriate cosmopolitanism,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right to have rights.” Finally, we argue that what we need today is no longer cosmopolitanism as an -ism, but a real (practical) cosmopolitanism. When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non-European countries, Arendt’s cosmopolitan ideals indicate that cosmopolitanism cannot escape the criticism that is trapped in the Enlightenment pl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