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0대 기혼여성의 성애화된(sexualized) ‘노동’의 의미와 수행에 대한 연구

        추주희(Choo Joo-Hee) 한국여성연구소 2012 페미니즘 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광주 전남지역에서 ‘행사도우미’로 활동하는 30대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성애화된 노동의 의미가 여성의 경험을 통해 재구성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출산 이후 기혼여성들은 성애화된 노동시장에 어떻게 재진입하였는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여성들은 어떤 노력을 하는가? 둘째, 이들 여성은 노동시장에서 자신들이 수행하는 일과 역할을 어떻게 평가하며, 이 과정에서 어떤 상실, 딜레마를 경험하는가? 이러한 질문을 중심으로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이라는 현상을 재조명하고, 아울러 이들 여성의 노동 특성을 포괄하면서도,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협상하고 구성하는 노동의 의미를 통해 이들의 행위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성애화된 노동시장 재진입의 틈새를 마련하기 위한 기혼여성들의 고군분투가 여성노동의 성애화와 비정규직화 경향이 맞물려 있는 지점에서 발생하며, 특히 ‘미-육체-젊음’이라는 기표를 상실하지 않은 기혼여성은 성애화된 노동시장에서 나름의 입지를 구축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기혼이라는 혼인상의 지위가 여성에게 고정되고 물화된 범주로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의 수행, 특히 섹슈얼리티의 자원화를 통해 노동시장에 재진입할 수 있게 구성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노동시장 재진입의 협상과정에는 여전히 ‘어머니’로서의 역할과 성애화된 노동시장의 여성들 간 외모 경쟁, ‘보이지 않는 기술(서비스 제공 기술, 외모 가꾸기와 같은 후면노동)’ 인식의 한계로 인한 딜레마가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how to perform 30’s married women’s sexualized ‘labor’ by presenting a case study of ‘Event-Dowoomi’ in Gwang-ju/Chonnam Region. For this, The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How did 30’s married women re-entry the sexualized labor market since giving birth? And, What effort did they do in the course of this? Secondly, How did these women evaluate what they have to do work and perform their role in the labor market? And, Did feel the women any loss and experience the dilemma in this process? These questions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labor market re-entry to illuminate the sexualized labor of married women. This article also encompa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female labor, as well as analyzes that women actively negotiate and constitute the meaning of labor and their social role. Through this, Woman’s agency wanted to show.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young, beautiful’ married women re-entered the sexualized labor market and built their position. In addition, The marital status of married women did not remain fixed and materialized into category. Rather, The performance of women, ie, through the capitalization of sexuality were reconstructed marital status in the labor market. However, 30’ married women of ‘Event-Dowoomi’ were in a dilemma in which they have to constitute a role of ‘Mothering’ and do the experience of getting older in the process of re-entry in labor market.

      • KCI등재

        근대의 ‘신여성’ 담론과 신여성 성애화

        이명선(Myung-Seon Lee)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2

        이 연구는 식민지 근대사회에서 신여성의 동장과 이를 둘러싸고 전개된 신여성 담론에서 나타나는 성애화(sexualization)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성적 존재로 재현 되고 있는 신여성 이미지가 구체적으로 ‘신여성’이라는 사회적 범주 혹은 주체 형성과 관련되는 양상과 이 과정에서 작동하고 있는 성별권력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식민지 근대’의 특성을 담지하는 1920-30년대는 오랫동안 역사의 주변인이며 종속적인 지위에 있어왔던 여성들이 가정의 울타리를 벗어나 ‘사회적 존재’로서 등장했던 시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여성교육의 제도화, 여성해방의식의 태동, 그리고 사회활동의 확대를 ‘사회적 존재’로서 여성주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 주요한 사회적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다른 한편 신여성은 사회적 등장과 동시에 ‘신여성’ 담론의 대상으로 편입되는데, 이러한 담론 안에서 신여성은 성적 존재 즉 ‘성애화된 몸’, 남성의 ‘애인’, ‘거리의 여성(탕녀)’으로 재현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성애화의 문제는 신여성의 성적 타자화와 성 통제의 측면과 밀접하게 맞물림으로써, 근대 가부장제 사회에서 성(sexuality)이 불평등한 성별권력을 매 개하는 ‘정치적 지점’이었음을 밝혀준다. 또한 신여성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의 형성 과정은 우리사회에서 처음 등장한 여성주의/여성주의 주체에 대한 가부장제 사회의 반응과 개입 양상을 드러내주는 한편 여성주의에 대한 ‘반격 담론’의 계보를 보여준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cess of forming the specific category of women 'New Women'-in the modern colonial society, and the issues of gender power involved in the process by analyzing the sexuality-related content of the 'New Women' discourses. The scope of this study ranges from the 1920's (when 'New Women' first became visible) to the late 1930's. Articles from magazines of the time are the major textual sources employed this analysis.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cond chapter of the article examines social factors and background related to the appearance of 'New Women' in modern colonial society. The target periods (1920's and 1930's) were characterized by women's emergence as "social beings" beyond their family boundaries after being marginalized in history for a long time and occupying a subordinate social status. Of particular significance in the formation of women's subjectivity was the expansion of women's social activities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a feminist consciousness, and women's employment. The chapter III examines the 'New Women', who became visible in the public sphere and became the targets of discourse, in which they were represented as sexual beings such as 'sexualized bodies', 'men's 'lovers', and 'street girls'. In the course of this 'sexualization', New Women experienced 'sexual otherness' by being defined as the object of desire that was quite distinct from their social life and identity, while men obtained an identity as desiring subjects and sexual performers in the same process. The chapter IV draws on the preceding analyses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New Women discourses centering around the emergence of modem feminism and feminists and their relations with patriarchal society. In other words, the sexualization that emerged in the discourse about 'New Women' was closely linked to sexual otherness and sexual control. In this sense it can be regarded as a 'counter discourse' against patriarchal society that hindered the formation of a feminist subject. Conclusively, this study shows that sexuality was a 'political site' revealing unequal gender power relations in modem patriarchal society. That is, the sexualization of New Women signaled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modem feminism and patriarchal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it was the site of social 'counter-attacks' against feminism and feminists.

      • KCI등재

        60년대 여성 정신병의 재현과 히스테리 : 젠더권력으로서의 의학지식과 성애화된 ‘내면’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 women’s mental illness in the 60s is represented in literary works in relation to contemporary medical knowledge with the subject of the novel 『Carousel』, which was elected by the Hankook Ilbo in 1962. This is to find out how psychoanalysis as dynamic psychiatry,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patriarchal theology superimposedly regulated and regulated women in the work of the 60s, when the discourse on psychosis was expanded due to the system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psychiatric knowledge. In the work, women are overly sexualized as a threat to the community, and women with mental illness are re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that are not managed by the superego. It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ugenic punishment by defining psychosis as a sin inherited through generations. The inner part of women was recreated as an object of fear that threatened the family, the basic community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n the 1960s.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sychoanalysis, the latest Western medical knowledge, intervened in a double way to suppress women. Furthermore, in the cause and remedy of female psychosis, psychoanalysis attacks women in combination with patriarchal theology. By presenting the cause of psychosis as a result of love with a cousin who violated the taboo and focusing the problem on the breakdown of paternal ethics, not pathological disease, the sin of deviating from the tradition and group order is transferred to women in the manner of retribution of psychosis. The son’s sense of guilt, who betrayed the voice of the father and practiced personal love and marriage, is at work, and by transferring the cause of the sin to the woman, the identity of a woman is defined as excess eros. Psychoanalysis is combined with patriarchal theology to sexualize as an eros that seduces women, and this gender discrimination is also confirmed in the salvation method.Unlike women who only preserve life through suicide, murder, death of a soldier, or self-denial that confines themselves in a convent, men are suggested to create culture and art by appropriately suppressing and sublimating guilt. Through this, men are presented as mature cultural creators who manage libido, and women are 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of excess eros that threaten the family community. The immature, sexually filled woman’s interior is always subject to surveillance and punishment threatening the community. 이 글은 1962년 한국일보 현상모집에 당선된 장편소설 『회전목마』를 대상으로 60년대 여성 정신병이 문학작품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당대 의학지식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신의학지식의 체계화와 대중화로 정신병에 대한담론이 확장되었던 60년대 작품에 역동정신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과 일제 식민지기 우생학, 그리고 가부장이데올로기가 여성을 어떻게 중첩적으로 규율하고 단속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작품에서 여성은 공동체를 위협하는 대상으로 과잉 성애화 되고 정신병을 가진 여성들은 초자아에 의해 관리되지 못한 미성숙한 아노미로 재현된다. 또한 정신병을 세대를 통해 유전되는 죄로 규정함으로써 우생학적 처벌의 필연성을 강조한다. 여성이 60년대 기초 공동체인 가족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으로 재현된 것으로 일제 시기 우생학과 최신 서구 의학지식인 정신분석이 이중으로 개입하여 여성을 억압한다. 나아가 여성 정신병의 원인과 구제 방식에서도 정신분석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여성을 공격한다. 정신병의 원인을 금기를 어긴 사촌과의 사랑 때문인 것으로 제시하고 문제의 초점을 병리적 질병이 아닌 부계 윤리의 파계에 맞춤으로써 전통과 집단의 질서를 이탈한 죄를 정신병의 응징이라는 방식으로 여성에게 전가한다. 낭만적 사랑에 의해 아버지를 배반하고 개인적 사랑과 결혼을 실행한 아들의 죄의식이 작동한 것으로 죄의 원인을 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여성의 정체성은 과잉 에로스화 된다. 정신분석학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되어 유혹하는 에로스로 여성을 성애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성차별은 구제 방식에서도 확인된다. 여성이 자살, 살해, 병사로 죽거나 수녀원에 스스로를 가두는 자아 부정을 통해 생명을 보존하는 것과달리 남성은 죄의식을 적절하게 억압하고 승화시킴으로써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는 고뇌하는 지성으로 나타난다. 남성은 리비도를 관리하는 성숙한 문화적 창조자로, 여성은 가족 공동체를 위협하는 에로스 과잉의 미성숙한 아노미적 존재로 재현된다. 미성숙하고 성애로 채워진 여성의 내면은 언제든 공동체를 위협하는감시와 처벌의 대상이 되는 것이고 정신의학은 가부장이데올로기, 우생학 등과 중첩적으로 결합하여 젠더화된 과학/지식으로 체계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 KCI등재

        “Hey 이젠 날 봐봐 Mister”: 2000년대 한국 걸그룹의 시각화(visualization)와 성애화(sexualization)에 관한 고찰

        김정원(Kim, Jungwo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1 대중음악 Vol.- No.8

        이 글은 2000년대 한국 걸그룹을 둘러싼 여러 쟁점 중 시각화와 성애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2000년대 중후반을 거치면서 걸그룹들은 한국 대중음악계에서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데, 이 배경에는 그들의 예쁜 얼굴과 날씬한 몸을 이미지로 내세운 강력한 전략이 있었다. 이 전략은 걸그룹 멤버 개인의 건강 혹은 개성 표현의 차원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기보다는, 이윤 추구를 위한 기획사의 규제에 따른 것이다. 걸그룹의 몸이 이미지로 재현될 때, 관객 혹은 시청자와 걸그룹 사이에 권력관계가 형성되면서 걸그룹은 시각적 대상화가 된다. 특히 이러한 권력관계는 남성적이고 능동적인 보기와 여성적이고 수동적인 보이기의 메커니즘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메커니즘에는 남성의 시각쾌락증, 관음증, 물신주의가 도사리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시각 매체에서 걸그룹이 재현되는 방식들에 영항을 주면서, 걸그룹이 시각적 대상에서 성적 대상에 이르도록 작용한다. 특히 여성의 신체 일부만 강조하는 방식은 전형적으로 성적인 대상으로서의 여성을 나타내기 위함인데, 미처 성인이 되지 않는 어린 걸그룹 멤버가 이와 같이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암유하는 방식으로 재현되는 동안 소아성애의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 2000년대 한국 걸그룹이 시각의 대상에서 성적 대상으로 옮겨 가는 과정에서 간과해선 안 될 부분이 있다면, 그들을 성적 대상으로 향유하는 계층일 것이다. 이 글은 ‘삼촌팬’이라 불리는 20대 중후반 이후의 남성 팬덤에 주목한다. ‘삼촌팬’은 걸그룹의 음악을 소비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자신들의 성적 욕망과 환상을 걸그룹에게 투영하고, 나아가 걸그룹을 재현하는 시각 매체에 내재되어 있는 남성 관음증과 자신의 시선을 동일시함으로써, 결국 걸그룹을 성적 대상으로 간주하기에 이른다. This paper examines the visualization and sexualization of K-pop girl groups in the 2000s. K-pop girl groups have occupied an overwhelming position in the K-pop scene. In this scene, entertainment management agencies have been using the popular images of K-pop girl groups’ cute faces and slim bodies as a powerful strategy to increase profit whether the girls themselves want this or not. Promoting the body image of the girls objectifies them, creating an unequal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girls and viewers (audiences). In particular, this power relationship involves males, who are actively look-ing and female, who are passively being looked at. This relationship stimulates the development of men’s scopophilia, voyeurism, and fetishism. Therefore, not only are the girls visually objectified but they are also sexually objectified. Particularly, the way in which visual media emphasizes the parts of the female body interprets women as sexual objects. When young girls under 20 years old are represented in a way that fe-male sexuality is metaphorically implied, pedophilia becomes an issue. This paper looks at ‘Uncle Fan,’ a middle-age male fan, as a construct embedded in visual media who projects his sexual desire and fantasies into the girl group as the audience watcher. This view ultimately results in the sexual objectification of the girl group.

      • KCI등재

        ‘코론타이당’의 사생활 - 이태준의 『구원의 여상』에 나타난 남녀관계 연구

        오양진 ( O Yang-jin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0 No.-

        이 글은 이태준의 『구원의 여상』을 근대적 섹슈얼리티 담론 확산과 이에 따른 남녀관계의 양상 변화를 반영하는 순응적 문화텍스트가 아니라 그 확산과 변화를 드러내는 동시에 문제적 시대 병리를 비판하는 저항적 문학작품으로서 주목한다. 동경에서 서울로 돌아온 영조가 ‘코론타이당’의 주장을 설파하는 일로 예시된 섹슈얼리티의 근대적 개방성 확산은 사랑과 연애와 결혼이라는 남녀관계 양상 전반에 전대와 구분되는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말하자면 근대적 섹슈얼리티의 개방성이 확산되자 전근대적 섹슈얼리티의 보수성을 수호하던 이념적 방어벽이 붕괴되면서 상대 이성을 성애화하는 자유연애의 분방한 기조는 남녀의 성적 접촉을 무분별하게 조장한다. 그리고 이것은 영조의 무책임과 그 상대역이었던 명도의 고통이 보여주듯 가부장제의 이중잣대라는 성적 편견과 결합됨으로써 남성의 성욕에는 자유의 순간이 된 것과 달리 여성의 애욕에는 이중구속의 곤경이 되어버린다. 이태준의 소설에서 명도의 행로를 통해 드러난 타락한 배신의 서사는 바로 그 사실을 가리킨다. 섹슈얼리티의 근대성으로 구조화된 성애화의 과정은 결국 남녀관계의 양상에서 여성에게 불리한 것이었고, 따라서 훨씬 더 위협적이었던 것이다. 여기서 『구원의 여상』은 시대의 성욕에 노출된 또 다른 여성 인애의 선택과 행로를 통해 본격적 반박에 나서게 된다. 다시 말해 영조와 명도의 ‘벼락사랑’에 대한 심약한 인애의 선량하고 순진하며 어리석은 대응과 그 결과로 배신의 서사 반대편에 마련된 비극적 순진의 서사를 통해 이태준의 소설은 무엇보다 그런 모던 러브에 대한 내재적 비판이 된다. 하지만 작가 이태준은 명도라는 시대적 자아를 비판하기 위해 인애라는 반시대적 자아를 내세우고 있음에도 사실 “인애에게서 명도에게로” 이행하는 시대적 자아의 변화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이행의 불가피성은 인정하면서도 다른 방식의 변화를 상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인애처럼 개방적 섹슈얼리티에 주의 깊게 대처하는 경우를 통해 예의와 의무가 제거된 근대적 남녀관계의 파탄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과 더불어 적어도 그 파탄에서 종종 불리한 입장이 되기 쉬운 여성들이 성적 편견이 초래한 곤경을 모면할 수 있는 처신을 상기시킨다. 이성교제의 당사자들이 성숙한 결정을 내리는 책임의 주체가 될 때까지는 육체적 접촉을 연기하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셈이다. 결국 이태준의 『구원의 여상』은 성적 착취와 약탈로 이어지기 십상인 불안정한 근대적 남녀관계를 안정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수양시대”를 강조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상호 간의 존경과 성적인 욕망을 결합하는 근대적 남녀관계의 다른 가능성을 상상하도록 만든다. This article focuses on Lee Tae-jun's 「The Time-Honored Image Of Woman」, which is not an adaptive cultural text that reflects the diffusion of modern sexuality discourse and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but a resurgent literature that criticizes the problematic epochal pathology while revealing its diffusion and change. The proliferation of modern openness of sexuality, which exemplified by expressing clearly the pretense of the 'Kollontai Party' as Yeong-jo returned to Seoul from Tokyo, brings about a chang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in the overall relationship aspect between man and woman, of love and marriage. In other words, as the openness of modern sexuality spreads, the ideological barrier that protects the conservative nature of pre-modern sexuality has collapsed, and the unrestrained trend of free love, which makes the opposite sex eroticized, improves the sexual contact between men and women indiscreetly. And as shown by the Yeong-jo's irresponsibility and its opponent, Myeong- do’s suffering, this, combined with the sexual prejudice of the double standard of patriarchy, has become a moment of freedom for male sexuality, but a trouble of double-bind in female desire. The narrative of fallen betrayal revealed through the course of Myeong-do in Lee Tae-jun's novel refers to that fact. In the end, the process of the eroticized, structured by the modernity of sexuality, was disadvantageous to women in the relationship aspect between man and woman, and was therefore far more threatening. Here 「The Time-Honored Image Of Woman」 comes to a full refutation through the choice and course of another woman, In-ae who is exposed to the sexual desire of the age. In other words, through the good, innocent and foolish responses shown by In-ae’s feeble-minded love about Yeong-jo and Myung-Do's ‘the love of thunder’, and the tragic innocence narratives se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narrative of betrayal as a result, Lee Tae-jun' novel is an intrinsic critique of the modern love.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put forward the anti-time self of In-ae in order to criticize the time self of Myeong-do, Lee Tae-jun does not reject the change of the time self, but seems to imagine a different way of changing while acknowledging the necessity of such a transition.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careful treatment of open sexuality like In-ae, he reminds us the way to prevent the breakdown of the modern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which has been removed from politeness and duty, and the behavior in which women who are likely to be at a disadvantage in the breakdown can escape the plight of sexual prejudice, at the same time.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ostponing physical contact until the parties to the sexual fellowship become responsible subjects for making mature decisions. Ultimately, Lee Tae-jun's 「The Time-Honored Image Of Woman」 emphasizes the "the era of fostering" as part of efforts to stabilize unstability of modern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which lead to sexual exploitation and looting. And it allows the reader to imagine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a modern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that combines mutual respect and sexual desire.

      • KCI등재

        일본군 ‘위안부’ 재현과 진정성의 곤경 - 소녀와 할머니 표상을 중심으로 -

        허윤 ( Yoon Heo )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9

        2010년대 ‘평화의 소녀상’으로 대표되는 일본군 ‘위안부’ 표상은 2015년의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와 ‘박유하 사태’를 경유하여 정치적 힘을 갖는 것으로 거듭났다. 과거 대중서사물이 일본군 ‘위안부’를 성인 여성의 성애화된 신체로 재현한 것과 달리, 최근 영화들은 소녀나 할머니로 등장하여 여성 연대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서사화된다. 영화 <귀향>(2016), <눈길>(2017)은 여성들이 서로의 이름과 생명을 이어받는 것으로 형상화한다. <아이캔스피크>(2017)와 <허스토리>(2018)는 공론장에서 증언하는 투사로서의 일본군 ‘위안부’의 존재를 형상화하며, 일본군 ‘위안부’ 재현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이러한 서사의 다양화 경향에서 중요한 것은 일본군 ‘위안부’ 재현이 갖는 ‘진정성’의 정치이다. 일본군 ‘위안부’를 다룬 영화는 ‘실화’에 근거했다는 수식어를 빼놓지 않는다. 김숨의 소설 『한 명』과 『흐르는 편지』 등은 증언집과 연구서 등을 각주로 달아서 이 이야기가 ‘진짜’임을 설득한다. 대중서사물은 실화와 증언이라는 근거를 바탕으로 이러한 폭력이 ‘진짜’ 있었던 일이며, 우리는 이를 기억할 책임이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이 ‘진짜’와 ‘실화’의 수사에서 오히려 가려지는 것은 일본군 ‘위안부’ 운동과 그 재현을 둘러싼 고민들이다. 재현과 사실을 구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리얼리즘의 전제였다. 그러나 이 명제가 일본군 ‘위안부’ 서사에서는 다시 부활하는 것은 사실상 ‘위안부’ 표상에 대한 고민을 중지하는 문제와 연결된다. 일본군 ‘위안부’를 다루는 대중서사는 윤리적 책임과 할머니에 대한 연대에 기반하고 있다고 여겨지기에 ‘실화’이거나 ‘증언’이면 충분히 그 텍스트의 정치적 효과를 발휘한다고 여겨진다. 그래서 일본군 ‘위안부’를 둘러싼 한국문학/문화의 재현은 아직도 그 몸피가 너무나 작다. Since 2011, the ‘Statue of Peace’ (Pyeonghwa ui sonyeosang) has represented the ‘comfort women’, victims of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t gained symbolic power especially after the trial of Park Yuha and the controversial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over the issue in 2015. In the past, ‘comfort women’ in mass culture reproduced adult female eroticism of the body. But recent films have depicted the women as girls and grandmothers, emphasizing female solidarity and agency. The films < Return > (2016) and < Snows > highlight the friendship between the women as they become grandmothers who share their names and lives. < I can speak >(2017) and < Herstory >(2018) opened a new chapter in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by depicting them as fighters, speaking up in court. Important in the various narratives is the politics of ‘authenticity’ in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The narratives remind us that the violence was 'real' based on true stories and testimonies with responsibility on our part to remember them. But the emphasis on ‘truth’ and ‘authenticity’ creates an aesthetic problem in the definition of realism and raises ethical questions about representation. Realism presumes that it is impossible to differentiate between representation and the real. That this problem reemerges in narratives about ‘comfort women’ is connected to the lack of reflection about representations of ‘comfort women’. It is thought that the political effect of ‘comfort women’ narratives based on true stories and testimonies are sufficient in fulfilling any ethical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toward the women. However, the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 is still too thin.

      • KCI등재후보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이 강행하는 성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곽혜원 ( Hye Won Kwa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여권신장·남녀평등 운동으로 시작한 초기 페미니즘은 급진적 페미니즘(radical feminism)을 거쳐 21세기에 들어와 젠더 이데올로기(gender ideology)로 변천함으로써 인류문명을 위협하고 있다. 나는 급진적 페미니즘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사상적 결합인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을 전체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양자를 함께 조망해야 이 시대의 위기를 근원적으로 파헤치고 실효성 있는 대처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젠더-페미니즘을 논의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글로벌 세계에서 여성 주도 성혁명을 강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 주도 성혁명의 핵심 전략 및 주요 특징으로는 1. 성별 해체의 젠더 주류화: 파워 엘리트 & 젠더-페미니스트 주도 위로부터의 혁명, 2. 성규범 해체의 성애화: 사회문화 전체에 타락과 패륜의 확산,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를 해체하는 비혼화: 여성 간 파행적 연대와 레즈비어니즘(여성 동성애) 강화를 들 수 있다. 여성 주도의 성혁명이 글로벌 세계를 횡행하는 상황 속에서 한국 사회에서는 남녀 간에 극심한 대립을 통해 사회갈등 및 국민분열을 일으킴으로써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치닫고 있다. 양성(兩性) 간에 조롱과 혐오가 극단화되다 보니, 이성(異性)에 대한 견제와 경계가 나날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급기야 남녀가 서로를 생존에 해로운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남과 여로 양극화되는 ‘성(性) 양극화’, 소위 ‘젠더 전쟁’이라 불릴 만큼 남녀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천부적으로 부여된 남녀 고유의 신체적 기능은 물론 남녀가 결합하여 이루는 결혼 및 가정이 지난 50여년 사이 급속도로 해체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성혁명의 폐해가 성규범의 해체로 이어지고, 이것이 인류문명사에 어떤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우게 될 것인지는 너무나 명약관화한 일이다. 이러한 위기상황 속에서 21세기 한국 기독교는 1. 남녀의 성별 해체를 넘어 무수히 많은 성정체성의 다원화를 추구하는 젠더 주류화의 실체 및 폐해를 파헤치는 연구자들을 양성함으로써 건강한 성정체성 형성을 공론화해야 할 것이다. 2. 패륜적 성혁명이 강타한 21세기 문명사에서 사회 전체를 성애화(sexualization)시키는 흐름에 저항하고 사회적 성화(social holiness/santification)를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에 가장 적대적인 시대적 흐름에 저항하여 건강한 가정공동체 구축과 건전한 세대 전승의 사명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여성 주도 성혁명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하면서 상생하는 남녀관계와 진정성 있는 양성평등을 구현해야 할 21세기의 시대적 요청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이제 21세기는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관계를 확립해야 할 전환점에 서 있는데, ‘성별 해체-성윤리 해체-가정 해체’로 치닫는 젠더-페미니즘에서 벗어나서,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중심주의, 남성을 억압하는 여성중심주의를 모두 내려놓고, 남성과 여성 모두의 존엄성이 회복된 공동체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Feminism in its initial stage, which started as a movement for empowerment and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s threatening human civilization by transitioning from radical feminism to a gender ideology in the 21st century. I argue that ‘gender-feminism’, an ideological combination of radical feminism and gender ideology, should be discussed as a whole. This is because only when we look at both sides together can we understand the crisis of this era at the root and find effective countermeasures. The important reason we need to discuss gender-feminism today is that a female-led sexual revolution is taking place in the global world. The key strategies and key characteristics of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are as follows: 1. Gender mainstreaming of gender deconstruction: a revolution from above led by power elites and gender-feminists 2. Sexualization of deconstruction of sexual ethics: corruption in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and the spread of infidelity, 3. Immortality that dismantles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strengthening of abnormal solidarity between women and of lesbianism(female homosexuality). In a situation where women-led sexual revolution is rampant in the global world, in Korean society, social conflicts and divisions between men and women occur due to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men and women, leading to a social pathology. As ridicule and hatred between men and women are intensified, checks and vigilance against reason are increasing day by day. As men and women perceive each other as harmful to survival, gender conflict is intensifying to the point of polarization between men and women, which is polarized into men and women, and so-called ‘gender war.’ As gender-feminism expands its influence, marriages and families made by combining men and women, as well as inherent physical functions, have been rapidly dismantled over the past 50 years. The evils of the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have led to the dissolution of sexual ethics, and it is very clear what kind of gloomy shadow this will cast o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In this crisis situation, the task of Christianity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is as follows: 1. The formation of a healthy sexual identity should be publicized by training researchers who reveal the true and harmful effects of gender mainstreaming, which seeks to diversify gender identity. 2.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hit by the sexu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resist the trend of sexualizing society as a whole and spread social holiness/santification. 3. We must resist the trend of the times most hostile to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and fulfill the mission of building a healthy family community and passing on a sound generation. Finally, it should be accepted as a request for the 21st century to realize co-prosperity relations and sincere gender equality while concluding discussions on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Now, the 21st century is at a turning point where men and women ne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here men and women coexist and coexist with each other. something to do. It is necessary to put aside both androcentricism that oppresses women and feminism that oppresses men, and move toward a community in which the dignity of both men and women is restored.

      • KCI등재

        성적 반체제자와 도시공간의 공공성

        김현철(Kim Hyun Chul)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1

        본 논문은 국내의 도시권리 담론에서 섹슈얼리티 관점이 부재했다는 점에 주목해서 기존 공간학계가 성적 반체제자(sexual dissidents)와 성애화된 도시공간(sexualized urban space)을 공론장에서 배제해왔음을 주장한다. 이에 필자는 도시권리담론을 더욱 풍요롭게 진행해나가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적 공간질서와 더불어 이성애정상가족규범적 공간체계 역시 예민하게 분석해야함을 주지하고,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를 행위자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의 참여자들은 패러디와 '되기'로의 수행, 작품적 걷기와 같은 행위를 통해 이성애정상가족규범적인 도시공간의 공공성에 저항하고 균열을 낳으려 했다. 이는 르페브르가 언급한 작품으로서의 도시를 누릴 권리와 연관되며, 또한 그의 창발적 전유와도 연관된다. 퍼레이드 지지자들의 작품적 수행을 통해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는 기존의 이성애정상가족규범적인 공공공간이 지니는 배제와 폐쇄성을 언급했으며, 더불어 도시공간을 퀴어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수행하에서 퍼레이드가 이루어진 공간은 일상에서의 LGBTQ/Queer 운동의 연대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임과 동시에 퀴어한 도시공간을 생산해나가는 '되어가는(becoming)'의 장으로서 존재했다. 2014 신촌 퀴어퍼레이드에 참여한 주체들은 기존의 이성애중심성, 정상가족중심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복수적 행위를 통해 저항했으나 결론적으로 거리에서의 노출 규범과 같은 '몸' 자체에 대해서는 여전히 규범성을 탈피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측면에 주목해 필자는 퀴어한 퍼레이드가 지속적으로 '괴이한(queer)' 장면을 생산해나가기 위해서는 몸의 노출을 둘러싼 공공공간의 규범, 더 나아가 성적 실천과 관련한 논쟁을 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claims that sexual dissidents and sexualized urban space have been excluded in Korean academical field. Human geography and Space field in South Korea have been lacking in-depth studies on the complexity of sexualized/gendered spaces. This sexuality-blindedness is also found in academic vein of the Right to the city approach. To criticize this tendency,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2014 Sinchon Queer Parade' in South Korea. There were conflicts and disputes between the parade supporters and the oppo-nents of homosexuality. The opponents, who were composed of conservative christian groups and parents groups, broke into the event location and occupied the main street of the parade. Countering their territorialized behaviors, the supporters tried to appropriate the urban public space. Especially they unrolled the bodies' perform-ances within two strategies: gender/sexuality parody and the performance of 'becoming'. These pluralized performances produce the ruptures in hetero-sexual-normal family regime, and also show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open public space-'queered urban space'.

      • 연구논문 : 1930년대 소설 속의 타자화,성애화된 직업여성 고찰

        이미림 ( Mi Rim Lee ) 한국문명학회 2014 문명연지 Vol.15 No.1

        The colonial industrialization of Korea in the 1930s gave birth to factories, where the Japanese`` city-based colonial exploitation took place, as well as capitalistic consumption patterns and a modern atmosphere. An abnomal and unsound reality was formed in Korea``s colonial cities, where coloniality was combined with modernity in the midst of war and human and physical exploitations. There was also a huge demand for working woman. Newly emerging to represent modernity were cafes, bars, department stores, and boutiques. The percentage of women working in the customer service field as maids, prostitutes, and waitresses, in the sales field, and in the office accounted for as many as 30∼40% of the entire working population in the 1930s. those women capable of their own activities like actresses, novelists and dancers experienced a sharp increase along with those women in the production field including factory girls, who were the symbol others and victims of colonial suppression. Despite the social change of increasing participation of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however, the premodern Confucianism -and patriarchy-based familiy ethics became more solid and women had to face an enormous share of pain and fetters of life being others as people of a colony, lower class, and In the midst of patriarchy, Confucianist family ethics, and colonial modernization, the image of working women was confused with that of modern girls or new women. They became the objects of sex and love and signifiers just became they``re working in the public areas. they were also objectified and exposed to sexual and material temptations regardless of types of occupation because they didn``t understand the identity of modern times being thrown into the world. Men expressed their disgust and hostility toward the sexual desire and drives for consumption of new women, who were viewed by still conservative and male-oriented perspectives. Being threatened for sexual harassment and prostitution, working women exclusively turned into others by men who were gathering and conspiring each other. Colonial capitalism and patriarchy ultimately suppressed female others in the aspects of sex, nation, and social class.

      • KCI등재

        강남다움의 한 기원, 1990년대 압구정동 문화와 문학

        송은영 서울역사편찬원 2024 서울과 역사 Vol.- No.116

        In the 1970s and 1980s, Gangnam was primarily regarded as an a place for apartment speculation, an 8th school district with a high university enrollment rate, and a residentail area for the corrupt upper class. However, in the early 1990s when Apgujeong-dong emerged as the epicenter of a new youth culture and the cutting edge of consumerism, Gangnam became associated with overwhelming economic dominance and consumerism. Yoo Ha's poetry and Lee Sun-won's novel about Apgujeong-dong, along with the topicality of Rodeo Street, played a large role in this process. These texts showed that Apgujeong-dong was a space for the purpose of consuming the space itself as well as images of Apgujeong-dong. They also represented the ways in which Apgujeong-dong is represented as a gendered or sexualized space, depicting it as a space of sexually degraded or attractive women and men who abuse political power and a huge money. By positioning Apgujeongdong as the center of Gangnam-ness, these texts provided ways to desire and emulate Gangnam-ness, while at the same time ensuring that "following Gangnam" remains a process that stimulates the "unattainable" and infinitely delays the desire to rise in economic status. 1970~80년대 강남은 주로 매력적인 부동산 투기의 공간, 대학 진학률이 높은 8학군이자 부패한 상류층의 주거지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 압구정동이 새로운 청년문화의 진원지이자 소비문화의 첨단으로 떠오르면서, 강남다움에는 압도적인 경제적 우위와 소비생활이라는 이미지가 추가되었다. 이 과정에는 로데오 거리의 화제성과 함께 압구정동을 다룬 유하의 시집과 이순원의 소설이 큰 역할을 담당했다. 이 텍스트들은 젊은이들에게 압구정동이 그 공간 자체의 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이자 압구정동의 이미지를 소비하는 풍속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이 시와 소설은 압구정동을 성적으로 타락하거나 매력 있는 여성과 권력과 자본을 남용하는 남성의 공간으로 묘사하면서, 이 공간을 젠더화된 공간 또는 성애화된 공간으로 재현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압구정동을 강남다움의 중심으로 부상시킨 이 텍스트들은, 결과적으로 강남다움을 욕망하고 모방할 방법을 알려준 동시에 “강남 따라하기”가 ‘도달할 수 없음’을 자극하고 경제적 지위 상승의 욕망을 무한히 지연시키는 과정으로 남게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