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채심리의 유효성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서복희,이근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색채가 지니는 특성과 효과를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통해 색채심리가 임상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최근 2000년부터 2010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색채심리관련 선행 연구를 통해 색채심리의 효과와 적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제 임상현장의 연구에서 색채심리와 색채의 활용은 아동의 깊은 정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자기표현의 향상을 위해 색채가 효과적으로 작용한 것을 알 수 있다. 색채를 활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시를 통해 감정표현의 증가와 심리적 이완 및 안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색채의 선택과 사용에 따라 임상증상에 따른 변별력을 제시하여 심리적 상태의 진단 및 평가 방법으로서 색채가 중요한 요소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feature and effect of colors and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the use of colors in the clinical area. The efficacy of color psychology and its application had been examined through total 82 precedent studies published by academic journal from 2000 to 2010. Consequently, it is appears that color psychology and its use could help understand deep emotional sense of children, and work effectively on development of self-expression. The result shows that colors represent various changes of human’s mentality and emotion in clinic. And the program using colors helps the clients express their emotion, relax the tension and gain psychological stabilities. In addition to this, because the selection and use of colors vary depending on symptoms, colors are important factors as assessment and diagnostic tool.

      • KCI등재

        색채가 인간심리에 미치는 특성 연구 : 1차색과 무채색 중심

        최선우(Sun Woo, Choi)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4

        색채이론과 관련하여 뉴턴(Newton)은 분광실험을 통해서 색채를 객관적(客觀的)으로 존재하는 실체로 파악하였다. 반면, 괴테(Gpethe)는 그것을 인식하는 인간의 태도에 의해 달라지는 주관적(主觀的) 실체로서의 의미로 접근하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이들 모두 색채는 인간의 심리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색채가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효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색상‧명도‧채도, 그리고 배색 등을 고려한 ‘총체적 접근’(Gestalt)이 요구된다. 한편, 색채를 객관적 관점에서 볼 때, 색채에 대한 인간의 심리 및 태도는 일정한 일치성(一致性)을 갖는다. 그러나 주관적 관점으로 볼 때, 항상 일치성만을 갖는 것은 아니다. 상반성(相反性)을 갖기도 한다. 예컨대, 비록 동일한 색채환경일지라도 잠재적 성범죄자와 잠재적 피해자가 느끼는 감정은 전혀 다르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색채가 인간심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또 색채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이의 특성을 하나하나 파악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색채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1차색(빨간색, 파란색, 노란색)과 무채색(희색, 회색, 검정색)을 중심으로, 그것이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특성을 개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총체적인 관점에서 범죄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1차색과 무채색의 색채적 특성이 인간의 공포‧두려움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In relation to color theory, Newton identified color as an objective entity through spectroscopic experiments. On the other hand, Goethe approached it as a subjective entity that is changed by the attitudes of human beings who recognize it. The important thing here is that all of them emphasize that color has a certain effect on human psychological form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color on human psychology, it is necessary to take a total approach(Gestalt) considering color, rightness, saturation, and color scheme. On the other hand, when we look at colors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human psychology and attitude toward colors have a certain consistency, but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they do not always have consistency. It may have a counter-reflective nature, for example, even in the same color environment, the feelings of potential sex offenders and potential victims are completely different. In this regard,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how color affects human psychology. Also,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or because the kinds of colors are very diverse. This study recognizes these limitations and aims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colors (red, blue, yellow) and achromatic colors (white, gray, black) that are the most basic colors in the color. This study recognizes these limitations and aims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racteristics of human psychology, focusing on primary colors(red, blue, yellow) and achromatic colors(white, gray, black) which are the most basic color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rimary and achromatic colors affect the formation of fear in humans, focusing on crime movies from a Gestalt.

      • KCI등재

        CPTED 적용에 있어서 색채활용에 대한 시론적 연구

        이도선(Do-Sun Lee),박준휘(Jun-hwi Park) 한국셉테드학회 2018 한국셉테드학회지 Vol.9 No.2

        불과 몇 년 사이에 우리 사회는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셉테드 사업과 전국의 지자체를 중심으로 하는 셉테드 시범사업이 범죄두려움 감소와 범죄의 양적 감소를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고, 최근에도 활발한 관련 연구와 적용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셉테드 사업의 주요 전략 중에서 가장 빈번히 적용하는 수단 중 하나가 낡고 쇠퇴한 골목과 공간, 시설에 대한 형형 색색의 벽화그리기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경관의 조화와 이용자의 만족을 위해 색채를 적용한 도색작업은 순기능도 있지만, 범죄예방을 위한 색채의 적용 목적보다는 주변 경관과의 조화와 기능적, 심미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셉테드 원리에 기반한 전략 중에 색채를 활용하기 위한 노력은 일본에서 시도하였던 전략을 토대로 2008년 서울 강남구에서 푸른색 보안등 설치 사업 으로 진행된 바 있다. 그러나 파란색 광원의 보안등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고, 범죄발생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 구체적이고도 과학적인 연구결 과는 없다. 다만 이러한 노력은 파란색이 주는 색채의 특성과 감성적 측면, 미적반응, 생리적 영향 등이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주민과 이용자가 느끼기에 범죄예방의 노력과 관심이 이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는 이미지를 제공해줌으 로서 얻는 심리적 안정감 향상을 기대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이 연구에서는 색채가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색채심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심리학적 관점 및 범죄예방적 관점 에서 색채의 의의를 논의하였다. 색채에 반응하는 인간의 심리적 기제를 이해 하고, 색채의 시각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환경지각, 환경인지 그리고 태도에 대한 문헌분석과 색채심리 및 환경심리 분야의 선행연구를 정리하여 셉테드의 원리에 부합하는 색채를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국내에 서도 활발히 진행 중인 셉테드 사업에 있어 지역 및 환경 그리고 시설과 공간의 디자인에 있어 자연적 감시기능 향상을 위해 주목성과 명시성을 높이고, 영역성 강화를 위해 통일성과 차별성을 적절히 안배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활동성 강화를 위해 주변 경관과의 조화는 물론, 유지·관리의 효율성을 고려하 고, 명료성 및 가독성 향상이 안전감 향상과 균형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In our society, within a few years, a CPTED project the central government led and a CPTED demonstration project focused on local authorities throughout the country was under way for reduction of the fear and the amount of crime. Also recently, related research and discussions for application are actively taking place. However, it can not be denied that one of the major strategies of CPTED project features old, weak alleys, and spaces and facilities painted variously. As an effort for using color of CPTED principle based strategies, Gangnam-gu in Seoul has attempted to install blue street lights in 2008 based on the strategy Japan attempted. There has been no specific and scientific research showing that blue street lights reduce the fear of crime and effectively reduce the incidents of crime. It is judged, however, that as the color characteristics, emotional aspect, aesthetic response, physiological effect, etc. provide the image for the residents and users in the relevant areas to feel that the efforts for crime prevention are focused on their areas, the improvement in mental stability of the residents or users is expected. This study discussed the color from the psychological viewpoint and the color from the viewpoint of crime prevention through a theoretical approach to color and examination of advanced research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lor on psychology, and by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human beings responding color summarizing the advanced research of the fields of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 the recognition of environment, the literary approach to attitude, color psychology, and environmental psychology, considering visual effects of color, suggested its implications for applying the color meeting the principle of CPTED. This implied the enhancement of attractiveness of color and explicitness for improving natural detector function and proper assignment of unity and differentiation for reinforcing territoriality and improvement of clarity and legibility for the enhancement of efficiency of harmonization with,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urrounding scenery for revitalization of activities in the design of areas, environments, facilities and spaces of the CPTED project in active progress domestically as well.

      • 아동 풍경구성법에 나타난 색채 심리 연구 - 8∼11세 중심으로-

        김향임 한국아동미술학회 2013 아동미술교육 Vol.12 No.-

        본 연구는 풍경구성법(Landscape Montage Technique: LMT)에 의해 아동이 표현한 그림 속에서의 색채지표인 5가지 항목에 대한 심리적인 상태를 연구함으로써 아동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바람직한 정서함양을 이루도 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동시에 아동의 색채와 풍경구성법에 의한 소재와의 연구가 보다 활성화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제1장은 논문의 연구배경과 목적, 아동들의 색채심리 상태의 중요성을 규 명하고 있으며, 제2.3장에서는 아동화의 발달단계, 아동색채심리.인지, 풍경구성법의 개념과 방법, 상징과 의미 등에 대해 학문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본 본문의 이론적 의미를 더하였다. 제4장은 풍경구성법에 의 해 서울 및 경기도 3곳의 미술학원생 총 130명의 유아와 초등생을 대상으로 풍경구성법 10가지 항목 및 5 가지 색채지표(항목에 따른 색의 수, 항목채색의 적절성, 혼색, 색채의 혼합, 정성)를 이용하여 아동그림에 서의 실제적인 분석을 제시한 바, 제5장 결론에서 연구자는 풍경구성법을 통한 아동의 색채 심리는 첫째, 색채 사용량은 아동의 정서적인 부분과 관련이 있으며, 둘째, 충동적인 아동은 색채에 강한 흥미를 가지는 반면, 자기 방어적이고 이성적인 아동은 10개 항목의 형태에 주로 관심을 가지는 경향으로 구분되었고, 셋 째, 풍경구성법 10개 항목의 형태적 의미와 색채와의 관계는 서로 연계성을 가지고 있어 그 해석 또한 전 체적인 연계에 따른 아동들의 심리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유의미한 결론에 이르게 되었으며, 넷째, 풍경구 성법에서의 그림의 짜임새는 아동의 그림의 크기와 화면의 배치에 따라 다르지만 실제로는 처음 이야기한 것과 나중에 이야기한 항목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psychological state and emotion of preschoolers and children based on their favorite colors and by applying the landscape montage technique in conjunction with the theories of many researchers. After the selected children's color psychology was compared by applying the landscape montage technique,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To what extent the children made use of colors in their landscape montage technique was related to their emotion. Although they continued to use their favorite color all the time, they showed a lot of interest in particular colors depending on their mood, and those who were self-defensive and rational had a tendency to be interested in the 10 items. The formative meaning of the 10 items of the landscape montage technique had something to do with color, and it seemed possible to analyze their psychology based on the overall relationship of the 10 items. If parents and art teachers closely observe what colors children use in order to grasp their psychology and try to make up for their shortcoming based on the findings of existing studies, that will make it provide children with the best education. A color has a heavy impact on growing children's sensitivity, and children's feelings toward colors are variable. So there will be a ceaseless change in their feelings toward colors. Hands-on and authentic color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children in accordance with their color development stages so that they could be taught to enrich their emotion in a positive way. Thus, they should be helped to attain a positive and sound growth by looking into their color psycholog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of use for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color psychology to step up their sound growth and development.

      • KCI등재

        SD척도법을 통한 공공시설물 환경색채에 관한 심리적 반응 연구 - 서울시 둔촌동 시설물을 중심으로 -

        강민구,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시설물은 하나의 객체로써 공공공간에 설치되어져 각각의 역할에 맞게 그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하나의 시설물이 지닌 요소는 재질, 형태 등으로 분류되며, 공간의 위치, 활용성 등에 따라 모두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이에 획일화되지 않은 요소들의 구성은 공간의 사용자에게 피로감 및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시설물의 여러 요소 중 환경색채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끼치는 색채의 영향성을 조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첫째, 공공시설물의 종류 및 색채를 규정하는 자료와 심리적 반응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대상에적용시킬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를 도출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에 도출된 색채를 적용하고, 사용자의 심리적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PAD모형에 기반한 평가어휘를 추출 후 SD척도법에 맞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조사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Cronhach-α)을 실시하고, 공공시설물의 색채와 평가어휘에 관한 내용을 기술통계 기반으로 도식화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연령대별로 공공시설물의 사용자 특성에 따라 시설물의 색채에 대해 느끼는 심리적 반응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0대의 경우 단청 빨간색의 색채 위주로 평가어휘에 대한 반응이 나타났으며, 30대는 단청 빨간색, 서울 하늘색 그리고 남산 초록색에 심리적 반응을 보임으로써 20대보다 30대가 여러 색채에 영향받고 있다는 것을발견하였다. 또한 40대는 단청 빨간색과 무채색 계열의 기와 진회색에 심리적 반응을 나타냈는데, 기와 진회색의 반응은 20~30 대와 차별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공시설물 중 자전거 거치대의 색채변화에서는 전 연령대에서 사용자의 심리에양극화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의 환경색채와 인간의 심리에 대한 연관성 모색을 통해 세분화시킨 색채를 적용한 공공시설물은 지역 시민들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추후 시설물의크기, 재질, 사용성 등 복합적인 요소들에 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공공시설물 색채의 선정에 있어서 본 연구가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환경심리학 관점의 색채연구 특성에 관한 분석

        송영민(Song Young Mi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1

        환경에서 정보획득은 시지각이 가장 우세하며, 그 중 시각적, 정서적으로 강한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것은 색채이므로, 공간 환경에 있어서 색채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관련성을 다루는 환경심리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환경심리와 환경색채의 선행연구를 통해 색채연구의 흐름과 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환경심리학 관점의 색채연구 특성을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발전적인 환경색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335편의 학술논문들이 어떤 주제와 목적, 방법, 그리고 어떠한 하위영역으로 구분되고 내용이 전개되는지 살펴 본 결과, 현장측색 등의 사례조사 및 색채계획이 상당수로 나타났다. 실제적이며 구체적인 계획, 해결방안 등을 제시하여 실무에 적용하는 실용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것이다. 환경색채의 연구목적이 다양한 것에 비해 연구방법과 내용이 일관된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처럼 색채현황 및 색채제안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라는 점, 색채연구의 과정이 도식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환경색채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환경색채의 이론, 원리등의 기초연구가 경시되고 있어 체계적인 학문의 토대를 다지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공간 환경의 산업적 요구과 연관되는 응용학문으로서 결과에 대한 신뢰 구축을 위해 기초연구에 집중해야 한다. 환경심리학 관점의 색채연구는 학문적, 실용적 발전 잠재력이 많은 분야로, 인간의 본질적 심리를 다루는데 있어서 심층적인 실험과 과학적인 조사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visual perception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acquire information, and color can induce a strong response both visually and emotionally. Therefore, color should b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al psychology by focusing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 and human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flow, outcome, and problem through a pilot study on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environmental color, to analyze the study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to suggest systematic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future environmental color research. In an examination of the themes, goals, methods, and sub areas of 335 theses, it was revealed that case studies and color plans were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s. The theses were usually practical studies that could be applied to actual works by suggesting actual, specific plans and solutions. While the study goals were diverse, the study method and contents were consistent. Considering that most previous studies focused on color status and proposal as well as the schematization of color study, study of environmental color is rather new. In addition, as basic study of the theory and principles of environmental color is insufficient, continuous study to determine the ground of systematic study is required. Especially, as an applied science related to spati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on basic study in order to ensure quality results. In addition, environmental color is a field with potentia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in-depth experim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essential psychology of humans.

      • KCI등재

        아동발달심리를 기반으로 한 어린이도서관 색채환경 연구

        양은지,이민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6

        For children, colors are a tool they use to express themselves and a medium through which they sense and recognize their environment so the psychological reactions and developments that colors cause for children should be understood together. Colors affect children in various aspects such as child development, psychology (emotion), learning, and character building and libraries are a space that develop the body and emotions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reading and learning so colors that follow activity regions and the development stages of children should be applied. There are many current cases in which the colors used in children’s spaces do not fully take the development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children into consideration. Despite the importance of colors mentioned above, the children’s library space design field lacks the provision of color environments that are age appropriate and color application standards that suit spatial characteristics. At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child development psychology based on the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environments in child spaces, apply child development psychology, and analyze the color environments of child space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while it is a meaningful attempt to apply colors that children prefer to induce positive effects and reactions, if the environment color standards of children’s spaces are not put into consideration, they may bring about negative agitation and interpretation instead of positive reactions. Therefore, research that analyzes children’s color recognition and reactions along with their psychological effects must be conducted.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base material that can provide and improve “color environment standards’ that are appropriate for children. 아동에게 색채는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이자 환경을 지각하고 인지하는 매개체로 색채가 아동에게 미치는 심리적 반응과 발달을 함께 이해하여야 한다. 아동에게 색채는 아동발달, 심리(정서), 학습. 인격형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도서관은 독서와 학습 이외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신체와 감성을 발전시키는 공간으로 활동영역 및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른 색채를 적용하여야 한다. 현재 아동공간에 사용되는 색채는 아동의 발달과 심리적 측면을 충분히 고려되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다. 위와 같은 색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어린이도서관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연령에 맞는 색채 환경과 공간 특성에 맞는 색채 적용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아동발달심리를 적용하여 아동 공간의 색채 환경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를 토대로 색채 환경연구에서 집중하지 못했던 빛과 색채의 상관관계에 따른 아동의 인지변화와 반응을 파악하여 교육환경에 맞는 색채 환경을 제공한다면 보다 향상된 공간 환경을 제공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채심리치료의 고찰 연구

        조윤진(Yeoun-Jin Jo),윤천성(Chun-Sung Yo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14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1 No.2

        본 고찰연구는 우리 인간이 특정한 색을 보는 순간 느껴지는 심리와 정서, 신체에 미치는 여러 영향과 색선호도의 일반적인 특성, 상담현장에서 사용되고, 연구되는 색채심리치료 프로그램에 대해 논리적이며 체계적으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으며, 분석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간에게는 특정한 색에서 느끼는 연상 및 상징성과 심리적, 정서적 경향이 있다. 2. 색채심리치료에는 다양한 명칭과 여러 분야 치료법이 있다. 3. 색채에는 아동, 청소년 발달 단계에 따른 특정색 선호도와 특성이 있다. 4. 색채심리치료는 상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치료 프로그램이 있다. 5. 색채심리의 치료기법은 상담현장에서 상담도구로서 효과가 있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상담현장에서 색채심리치료를 더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프로그램들에 대한 개발과 객관적이 검증이 가능하며, 신뢰와 타당성 있는 임상연구가 더 많아지기를 바란다. This study explores a psychology, an emotion and the various effect on the body that we as human beings feel, at the moment, when we see a particular color, and on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the color preferences, as well as on the psychotherapy program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field of psychological counseling to verify the effect logically and systematically; the object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Human being feel an evocation, symbolis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endency in a specific color. 2. Color Psychotherapy has various names and treatment in several fields. 3. There is a preference for a particular color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child and adolescent. 4. Color Psychotherapy have many program that can be applied i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field. 5. Color Psychotherapy has an effect in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field as a counseling tool. That is the effect of the Color Psychotherapy that will have to be verified objectivel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linical research should be made and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research in this area will continue to increase.

      • KCI등재후보

        피카소 작품세계에 나타난 색채심리와 색채 치료적 효과

        오현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06 美術治療硏究 Vol.13 No.2

        본 연구는 피카소의 생애와 그의 작품 세계에 나타난 색채의 사용을 시대별로 알아보고 작품속에 표현되어진 색채를 통하여 작가의 내면의 심리와 삶을 분석하여 심리적인 치유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로써 작품 속에 나타난 색채사용의 역사(color history)를 이해하여 작가의 색채표현이 심리치료로서 멘탈케어에 영향을 준 부분을 시대별로 구분하였다. 피카소의 절친한 친구 카사헤마스의 죽음과 함께 정신적인 방황의 시대를 표현한 청색시대(1901~1904) 작품연구는 청색의 색채를 통하여 색채치료(color therapy)의 효과로 작가의 정서적 심리상태에 영향을 주었으며, 청색시대와 장밋빛 시대에 나타난 과도기적인 회색과 노랑의 색채 표현은 고통과 좌절에서 희망의 모습을 예고하였다. 피카소가 사랑의 체험을 통하여 여성에 이끌려 새로운 감각을 나타낸 장밋빛 시대(1904~1906)의 분홍의 사용은 질병이 치료되고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이 싹트는 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1937~1945년도에 표현된 모노크롬 색상은 시대의 절망과 고통, 우울, 분노, 절규를 찾아 볼 수 있었다. 피카소는 자신의 인생을 색채를 통하여 생의 역동을 표현하여 주었으며 그 속에서 절망과 좌절, 우울, 빈곤, 병마, 행복, 사랑, 분노 등을 시대적으로 작품 속에 표출하여 주었다. 한 작가의 색채의 히스토리가 색채치료로서 작가의 심리와 멘탈케어(mentalcare)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연구되어 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Picso's life and the chronical use of color in his works, analyze the painter's inner world and the psychological effect of color therapy through the color used in his works. Based-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lor history in his works, the influence of the painter's color expression to his mental health and mental care as color therapy was divided by the time period. It was expressed as a blue period(1901-1904) for his deranged mental condition because of his close friend Kasahemas' death. During this period it was found out that the blue color showed the psychological effect to the painter and also foretold the grey color meant pain and disaster and the yellow color the hope. It also was found out the pink color could be used to encourage one's confidence and self-esteem and heal the disease through his own love experience. The monocrom color used from 1937 to 1945 revealed despair, pain, depression, anger, and exclamation of that time. Picaso expressed his life energetically and displayed despair, depression, poverty, sickness, happiness and anger in his works chronically through the color. It was investigated the painter's color history could be used the therapy and influenced to his mentality and the mental care. Key Words : Color Psychology, Color History, Color Therapy

      • 색채 심리학 관점의 자연경관 색채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광안대교를 중심으로 -

        주현달(Zhu Xianda),정호남(Zheng Xianheng),조정형(Cho Joung hyung) 한국색채학회 2023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4

        색채 심리학의 관점에서 한국 부산시 광안대교를 중심으로 한 자연경관의 색채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같은 장소의 서로 다른 시기에 광안대교를 중심으로 한 자연경관의 색채 표현을 관찰하고 조사한 결과, 청색과 황색계열이 광안대교를 중심으로 한 자연경관색채에서 비중이 가장 큰 색채 계열임을 알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색채는 인간의 지각과 정서적 경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색채이기도 하다. 파란색은 평온함과 깊이를 나타내고 노란색은 따뜻함과 활력을 나타낸다. 본 논문은 광안대교를 중심으로 한 자연경관 색채에서 이러한 색채의 역할과 인간의 감정 및 문화와의 연관성을 탐구하였다.연구결과에 따르면 광안대교를 중심으로 한 자연경관의 색채가 색채 심리학에서 좋은 표현 및 효과를 발휘하여 관광객에게 아름다움과 정서적 즐거움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