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 이민자의 미국사회로 통합과 차이나타운(Chinatown)의 역할

        이민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6 중소연구 Vol.39 No.4

        This paper compares the differing modes of Chinese immigrant integration into American society before and after 1943. Three key questions are raised: First, why did Chinese choose to go to the United States and how did they enter? Second, how did changes in American immigration policy impact their adaptation into American society? Third, what roles did Chinatowns play in the settlement of Chinese immigrants in America? The research concludes first, that Chinese adapt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Chinatowns. Chinese immigrants who entered the United States after 1943 were “integrated” into American society. In the course of integration, Chinatowns remained a bastion of Chinese culture.  Second, economic resources, educational level, and professional advancement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iffering adaptive modes of Chinese immigrants. Early Chinese immigrants demonstrated an “isolated” adaptation to American society due to their lower educational level and working-class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more recent Chinese immigrants have entered the United States with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enabling them to be “integrated” into mainstream American society with their high income-level professions based upon this capital. 이 논문에서는 중국인 이민자의 미국사회 적응방식의 차이를 1943년 전후 이민자로 구분하여 비교했다. 핵심 질문은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중국 이민자들은 왜 미국 이민을 선택했고, 어떤 경로를 통해 미국으로 입국하게 되었는가? 둘째, 미국의 중국인 이민정책의 변화가 중국인 이민자들의 미국사회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셋째, 중국인 이민자가 미국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차이나타운(Chinatown)은 어떤 역할을 했는가?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의 미국사회 적응방식과 차이나타운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새로운 중국인 이민자(1943년 이후 미국으로 입국한 중국인)들은 미국사회로 ‘통합’되고 있다. 통합과정에서 차이나타운은 중국문화를 유지하는 근거지 역할을 하며 발전하고 있다. 둘째, 중국인 이민자의 적응방식의 차이에는 경제력, 교육수준, 전문직 진출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초기 중국인 이민자들은 저학력 육체노동자였기 때문에 미국사회에 ‘고립’되어 적응했다. 새로운 중국인 이민자는 경제․ 문화적 자본을 가지고 미국으로 입국했다. 이런 자본을 바탕으로 고소득 전문직에 취업한 중국인들은 미국 주류사회로 ‘통합’되고 있다.

      • KCI등재

        이민 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민 한국보건사회학회 201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7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nd how family and co-ethnic networks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Data analyzed are from a survey in which 810 marriage immigrant women residing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re outcomes to captu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immigrant women. In the findings, immigrant women who had co-ethnic networks in Korea prior to immigration are likely to have greater depressive symptoms. Also, analyzing the effects of post-immigration networks, strong tie with spouse and family members are beneficial to psychological well-being. Co-ethnic networks after immigration, however,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but have an advers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t 10% level. Finally, the findings show that timing of co-ethnic networks matters. Immigrant women who have co-ethnic networks before arriving in Korea or at both time points (i.e.,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a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ve symptoms than those who do not have any co-ethnic networks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Also, immigrant women who have co-ethnic networks at both time points are likely to have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co-ethnic networks/ties are not always beneficial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ggest that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ethnic network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immigrant women in Korea should be cond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이민 전과 후에 형성된 한국 내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 자료는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이 2006년에 수집한 ‘경기도내 국제결혼이민자가족에 대한 조사: 외국인 부인 가족’이며 응답자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총 810명의 결혼이민자여성이다.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로 측정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변량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본국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민 전에 한국 내에 존재하였던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은 우울도와 정적 관계를 가졌으며 이민 후 한국 내에 형성된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 효과를 이민 전후의 시점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이민 전 혹은 이민 전후에 모두 본국 출신 동료이민자와의 연결망이 있다고 응답한 여성들이 연결망을 전혀 갖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우울도가 높았다. 반면 이민 전후에 모두 본국 출신 동료와의 연결망이 있는 여성들은 동료와의 연결망이 전혀 없는 여성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낮은 삶의 만족도를 가졌다. 본 연구는 본국 출신 동료이민자와의 연결망 혹은 연계(co-ethnic tie)가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상식적인 예상을 벗어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이민 후, 즉 조사시점의 연결망뿐 아니라 이민 전의 연결망효과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와 조사가 필요함을 함의한다.

      • KCI등재

        중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와 중국식 발전모델

        이민자 (李民子 LEE Min-Ja)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2

        중국 경제개혁의 특징은 ‘외국인 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를 중심으로 수출주도형 경제발전을 추진하여 고도성장에 성공한 것이다. 중국 FDI에 관한 기존연구는 경제발전의 시각에서 순기능과 역기능을 설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2001년 이후 중국의 FDI 정책이 변화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이며, 이런 FDI 정책 변화를 ‘중국식 발전 모델’의 시각에서 어떻게 볼 수 있는지, FDI가 중국의 사회․정치적 변화의 차원에서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 논문은 1992년부터 2001년 WTO 가입 이전까지 FDI 의존적 발전, 2001년 이후 FDI 개방 확대, FDI 우대정책 폐지 및 관리 강화라는 정책변화를 ‘중국식 발전모델(Beijing Consensus)’의 시각에서 연구한다. 핵심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시아국가들이 차관 의존적 발전을 한 것과 달리 중국은 1992년 이후 왜 FDI 의존적 발전방식을 선택했는가? 둘째, 2001년 이후 FDI 정책 변화의 핵심 내용은 무엇이며 왜 이런 변화가 발생했는 가? FDI 정책 변화는 ‘중국식 발전모델’의 시각에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셋째, 중국정부의 FDI 정책이 중국의 민주화를 지연시키고 공산당 통치체제 유지에 기여했는가? 이런 의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을 통해 중국의 ‘경제개혁 심화’와 ‘공산당체제 유지’를 중국식 발전모델의 특징으로 설명하고 있다. Chinese economic reform has successfully accomplished high growth of economy by adopting export promotion policy on the basi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Studies about Chinese FDI policy, until now, have focused on good and bad effects on economic developmen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on the cause of Chinese FDI policy change after joining WTO in 2001, its relations to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the influence of FDI policy on socio-political change. This study focuses on Chinese FDI policy change on the basis of Beijing Consensus: i. e., FDI dependent development from 1992 to joining WTO in 2001, open-door policy for FDI after 2001, and the abolition of preferential policy for FDI and intensification of management. I raised four questions in detail. First, why China chose FDI dependent development after 1992 while other East Asian countries chose foreign loan dependent development? Second, what was the contents of main change of FDI policy after 2001 and the meaning in terms of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what was the reason? Third, did Chinese FDI policy change contribute to sustain the governing of communist party and to delay democratization? Answering these questions, I explained Chinese ‘strong economic reform’ and ‘the sustenance of communist party system’ as the special feature of Chinese development model.

      • KCI등재

        시진핑 집권 1기 반부패운동의 정치적 목적

        이민자(Minja LEE)(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7 신아세아 Vol.24 No.1

        반부패운동은 시진핑(習近平) 주석과 왕치산((汪岐山)이 주도하는 중앙기율검사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추진되고 있다. 이 논문은 시진핑 집권 1기 반부패운동에 담긴 다양한 정치적 목적을 사례분석을 통해 설명했다. 반부패운동의 정치적 목적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중앙수준에서 반부패운동은 성역 없는 조사를 통해 시 주석의 정치적 반대세력을 제거함으로써 당 중앙 및 시진핑 주석으로 권력을 집중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지방수준에서는 지방 관료에 대한 통제와 공산당의 통치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방 관료에 대한 부패 감찰을 통해 당의 기강을 확립하여 당 중앙의 통제를 강화하고, 2017년 19차 당대회를 앞두고 문제 있는 지방 관료를 시진핑 세력으로 교체하여 차세대 리더십을 조정하려 한다. 공산당의 통치 정당성을 훼손하는 지방 관료의 부패척결은 국민의 지지를 확대하기 위한 통치전략이다. 셋째, 개혁에 걸림돌이었던 정치적 야심가를 제거하여 개혁을 심화하기 위한 체제정비가 진행 중이다. 즉, 당 기율을 위반하고 당을 분열시키는 정치적 야심가를 제거하여 개혁에 대한 저항을 약화시키려 한다. 특히 시장을 왜곡하는 석유방(石油幇)과 같은 기득권 세력을 공격하는 이유는 시장이 자원 분배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여 지속적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반부패운동은 경제개혁을 방해해 온 국유기업 부문의 기득권을 해체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This paper offers a case study of the comprehensive political purposes of the Anti-Corruption Campaign of the Xi Jinping(習近平) regime. The Central Discipline Inspection Commission (CDIC), steered by President Xi Jinping and Chairman Wang Qishan, has been driving the Anti-Corruption Campaign. The political purposes of the Anti-Corruption Campaign are first, it aims to eliminate Xi s political rivals, which would increase the centralization of power i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and Xi. Second, the campaign intends to consolidate the Party s domination. Rebuilding party discipline by investigating local officials gives the Party stronger control, and replacing corrupt local officials increases the Party s power before the 19th National Party Congress in 2017. Third, the campaign is justified as “an eradication of politically ambitious people” and “deepening reforms.” Enhancement of the Party s domination through the eradication of “politically ambitious people” who break party discipline is a veiled attack on political rivals. Attacks against vested interests groups, like the Oil Gang (石油幇, Shiyoubang), that distort the market, deepen reforms which in turn supports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친구는 많을수록 좋은가?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중학생의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민아(李旼娥),신철균(申鐵均),강정한(姜政漢)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친구 연결망이 긍정적 친구관계 및 상호협조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친구 연결망의 속성에 따라 영향이 다른지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2,465명의 중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결과 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으며, 친구 연결망의 속성을 (1)응답자가 친한 친구라고 지목한 학급 내·외 학생의 수, 즉 외향연결 친구수(outdegree)와 (2)응답자를 친한 친구라고 지목한 학급 내·외 학생의 수, 즉 내향연결 친구수(indegree)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내향연결 친구수의 수가 증가할수록 응답자의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의 수준이 높아졌다. 그러나 내향연결 친구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외향연결 친구수는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에 역U자형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응답자가 생각하는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증가하면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의 수준이 증가하다가 중간 수준을 넘는 크기의 연결망은 다시 긍정적 친구관계와 상호협조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친구 연결망의 속성에 따라 친구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사실과 중학생 본인이 생각하는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오히려 친구관계에 대한 부담과 긴장을 증가시켜 관계의 질이 떨어질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friendship networks and quality of friendship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cooper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if and how friendship networks have independent and different effects on the quality of friendship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We analyzed survey data from 2,465 students from 22 middle schools in Korea collected in 2015. Respondents reported their friends’ within their class and in their school. For each student, we measured two friendship network size variables by generating the number of friends that a respondent reported (i.e., outdegree), and the number of schoolmates who claimed him/her as a friend (i.e., indegre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indegree of friendship network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positiv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with friends, which means that the quality of friendship increased as the size of friendship indegree increased. In contrast, outdegree of friendship network had significant, but non-linear effects on positiv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with friends. The quality of friendship increased as the size of friendship outdegree increased, but excessive size of outdegree reduced the quality of friendship. This study suggests that friendship networks have differential effects depending on by whom friendship networks are reported, and the too many friends that an ego recognizes might have harmful effects on the quality of friendship.

      • KCI등재

        중국 호구제도 개혁과 농민공(農民工) 2세의 시민화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5 신아세아 Vol.22 No.1

        시진핑(習近平) 정부가 신형도시화 정책을 제시한 후 호구제도 개혁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연구 목적은 호구제도(戶口制度) 개혁이 ‘농민공(農民工) 2세’의 시민화에 어떤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는지 설명하는 것이다. 호구제도 개혁에 따라 농민공 2세가 도시에서 시민화 되는 과정을 ‘분할된 통합(segmented incorporation)’이라는 용어로 설명했다. 이 개념을 통해 농민공 2세가 도시에서 호구에 인하여 시민으로 완전히 통합되지 못하고 중국정부가 허용하는 제한된 영역에서만 시민으로 대우받는 상황을 보여주었다. 첫째, 호구제도 개혁에도 불구하고 대도시 농민공은 특정 허용된 영역에서만 시민 대우를 받는‘분할된 통합’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농민공 자녀는 대도시에서 공립학교 입학으로 제도적으로는 통합되었지만, 현지 사회의 문화적 저항으로 인해 ‘공간적 격리(spatial segregation)’를 겪고 있다. 둘째, 농민공 자녀는 대도시에서 대입 시험에 응시할 수 없는 ‘제도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지만, 2014년부터 일부 도시에서 농민공 자녀에게 대입시험 응시자격을 허용한 것은 ‘분할된통합’이라 볼 수 있다. 셋째, 외자기업에서 주로 일하는 농민공 2세는 집단저항과 연대파업을 통해 제도적 차별에 저항하며 노동자로서 권리를 찾아가며 시민으로 정착을 시도하고 있다. The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hukou) has been rapidly reformed since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announced a new urbanization policy.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the institutional and cultural incorporation of second-generation migrant workers in the reformed hukou system in China. It argues that the hukou system still represents a critical social boundar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oreign factories where second-generation migrant workers are working. Despite the reforms, second-generation migrant workers are unable to be full residents in big cities such as Beijing and Shanghai. They can only be accepted as “full residents” in the limited sphere that the Chinese government has permitted. This paper applies the term “segmented incorporation” to characterize differences between urban residents and migrants.

      • KCI등재

        중국식 민주와 공산당 체제의 공존

        이민자(李民子)(LEE Min-Ja)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3 신아세아 Vol.20 No.3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mitation of political reform in Xi Jinping administration, I have compared Chinese-Style Democracy with Western Democracy and clarified the distinction. The reason that Chinese government criticizes Western liberal democracy, representing a multiparty system, a free election and separation of the three branches of government, and emphasizes ‘Chinese-Style Democracy’ is to justify one-party rule of the Communist Party. ‘Democracy within the Party’ is pushed forward with strategic intentions that the Communist Party solidifies its ruling foothold and expands its support base and ultimately ensures stability of Community system and justifies the Community system. In conclusion, ‘Chinese-Style Democracy’ and ‘Democracy within the Party’ is a strategy of the Communist Party’s long-term seizure of power that delays ‘liberal political democratiz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자원봉사 연구의 경향분석

        이민창(李敏彰)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원봉사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1988년부터 2007년 까지 81종의 학술지에 게재된 129편의 연구논문을 수집 정리하여 분석한 결과, 처방 지향적 연구가 활발한 성향을 띠고 있는 반면 기초이론 분야에 대한 연구나 학제적 연구가 부족한 현상이 발견되었다. 연구대상 분야로는 사회복지 자원봉사에 관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현상도 발견되었다. 즉, 기존 자원봉사 연구의 경향은 사회복지분야연구의 높은 비중, 기초이론연구의 부족과 규범적 처방적 연구에 편중되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향후 학술적 측면에서 자원봉사 연구의 경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통해 자원봉사 연구의 외연과 내연의 확장 및 심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is to scrutinize some trends in volunteerism studies. To do this, 129 papers published in 81 journals a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trends or characteristics drawn are as below. Firstly, prescriptive studies are abundant but interdisciplinary research is insufficient. Secondly, social welfare studies are overwhelming. But studies on theoretical basis are in deficiency. The result shows us that research on basic and various theoretical fields such as motivations, efficiency, management theories etc. henceforward could provide in depth contributions with the development of volunteerism studies.

      • KCI등재

        중국의 시장화와 사회제도 개혁: 2000년대 호구제도 개혁 논의를 중심으로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6 신아세아 Vol.13 No.2

          계획경제 운영을 위해 만들어졌던 호구제도의 폐지는 시장화의 결과 중국 정부의 사회관리 방식이 변화되고 있는 중요한 사례라는 점에서 중국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호구제도 개혁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2000년대 진행되고 있는 호구제도 개혁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특히 호구제도가 왜 개혁 혹은 폐지되고 있는지를 개혁기 사회ㆍ경제적 변화의 맥락에서 설명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논문에서는 2000년대 호구제도 개혁을 둘러싼 중국 내 지배적 담론을 공안부(公安部), 인대(人大), 학자 등 세 그룹의 입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호구개혁 논의의 배경을 시장화, 도시화, 행정적 통제 약화, 집단적 저항이라는 4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설명했다. 호구제도 개혁은 시장화 및 도시화라는 ‘위로부터의 개혁’과 행정적 통제 약화 및 집단적 저항이라는 밑으로부터의 ‘자발적 집단행동(Collective Action)’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아울러 호구제도 개혁에 관한 연구를 통해 개혁기 경제개혁과 마찬가지로 사회제도 개혁 과정도 점진성, 실험성이라는 ‘중국적 특수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e abolition of the hukou system, established for the operation of the planned economy, draws attention within and outside China, showing an important case of a changing social management style of the Chinese state with the advancement of marketization. However,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systematic research on the subject, given the importance of the hukou system reform. In particular, little scholar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issue of why the hukou system has been reformed or abolished from a context of social change in China during the reform period.   The study examines dominant discourses over the hukou system reform during the first half of 2000s from positions of three groups: policy executor (the Ministry of Public Security), decision-maker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and academics. Furthermore, the study explains the cause of the hukou system reform with reference to marketization, urbanization, weakening of administrative control, and collective resistance. The hukou system reform can be regarded as an outcome coming from 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the "reform from above," resulting from marketization and urbanization, as well as the "spontaneous collective action," resulting from the weakening of administrative control and collective resistance. The study also reveals the "Chinese characteristics" of gradualism and experimentalism in the process of social institutional reform like those of economic reform during the reform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