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담관계의 두 가지 측면: 작업동맹과 실제관계

        최한나 ( Han Na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2

        본 연구는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형성하는 상담관계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상담관계에 대한 모호하거나 편협한 이해를 가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국내에서 이루어진 상담관계와 관련된 연구들은 상담관계의 한가지 특성으로 이해될 수 있는 작업동맹에 국한되어 있으며, 그 용어에 있어서도 작업동맹을 치료적 동맹, 혹은 치료적 관계라는 용어와도 혼용하여 사용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측면 중에서 작업동맹과 실제관계에 대해 변별적으로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작업동맹과 실제관계에 대한 개념, 연구동향, 그리고 상담실제에서 해당 개념들의 측정에 대한 항목으로 나눠 경험적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상담관계의 상담자-내담자 간 인식차이, 상담과정을 통한 상담관계의 발달적 특성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작업동맹과 실제관계 간의 상호관련성 등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상담관계에 대한 세분화된 이해를 높이고 상담자들을 위한 임상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of understanding therapeutic relationship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rapeutic relationship has been confused with working alliance or therapeutic alliance in previous studies on counseling relationship. In this paper, we explained how these concepts have been developed and why they have been used with confusion. We attempted to clarify therapeutic relationship using two primary perspectives: working alliance and real relationship, which are similar but theoretically different. We provided the definitions of working alliance and relationship, research trend, and empirical research in the related field. We particularly examin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ounseling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nd clients, change of therapeutic relationship across the counseling sessions,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working alliance and real relationship. We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탈근대주의의 목회상담과 상호적 관계 지향에 관한 연구

        정푸름 한국목회상담학회 2020 목회와 상담 Vol.34 No.-

        이 시대의 목회상담의 역할은 자아가 확장되는 상호성을 지향해야 한다. 교회 또는 임상현장을 위한 목회상담은 상호적 관계의 내용을 담아내고 이를 위한 실천적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기존에는 자아확장성과 상호성의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았다. 자아의 확장만 강조되던지 아니면 자아확장성은 보장되지 않는 채 관계자체, 상부조직, 공동체만을 위한 관계가 존재해야 하는 형태였다. 그 속에서 개인과 그 맥락은 무시되었으며 더 큰 대의를 위해 희생되어 온 측면이 있다. 신학은 때때로 개인이 무시되고 자신의 목소리를 제시할 수 없는 상황을 합리화하는데 잘못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관계는 자아가 확장되지 않는 관계다. 자아가 확장된 관계는 상호적일 때 가능하다. 상호성이란, 서로의 주체성과 주관성을 존중하며 관계를 중심으로 사고하는 것이다. 누구의 희생을 담보로 형성되는 관계가 아닌, 상대를 존중하며 각자의 고유성이 관계를 더 확장시키는 요소라고 인식하는 관계가 상호적 관계다. 상대의 주체성과 독특성을 인정한다는 것은, 일방적인 수용이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 그것을 수용하는 자아의 확장도 함께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목회상담의 탈근대적 관점에서 자아확장과 상호적인 관계가 함께 존재할 때, 그 안에서 개인의 성장, 관계의 성장, 다양성의 확장이 일어날 수 있음을 주장한다. 탈근대적인 관점만이 목회상담에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목회상담에는 성서적 전통, 그 위에 서있는 교회의 풍성한 의례들, 신학적 이해와 인문사회과학의 이해 등등, 모두가 요구된다. 하지만 사람들의 삶의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책임을 가지고 있는 목회상담은 지배담론에서 벗어나 상황적 이해, 사회문화정치적인 이해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이해들이 포괄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자아와 관계의 상호성이 요구되어 진다. 이를 체계적으로 주장하기 위해 본론에서 우선적으로는 목회상담을 간략히 정의하고 설명하고 목회상담의 기준이 되는 관점들을 정리한다. 그 이후에는 목회상담에 대두된 탈근대적인 관점을 논의하며 비판적 상관관계방법과 Carrie Doehring의 삼중초점 렌즈를 대표적인 예로 설명하며, 상황과 권력의 주 개념들을 강조한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여성주의상담의 상호성, 목회상담의 상호성 그리고 Martin Buber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상호성에 관한 논의를 펼친다. The role of pastoral counseling in this era should be directed toward the mutuality in which the self expands. Pastoral counseling for the church or clinical field should contain the contents of the mutual relationship and be able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Previousl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ansion of the self and mutuality was unclear. In relationships, only the self was emphasized. Or to an extreme, self was not even guaranteed a place, because relationship itself, community, and the system was superior to the self. The individual and the context have been neglected, and sacrifices have been made for greater causes. Sometimes theology has been misused to rationalize situations in which individuals are neglected and unable to represent their own voices. This relationship is one in which the self is not expanded. Expansion of self is possible when the relationship is mutual. Mutuality means being relationship-centered with respect to each other's subjectivity. Rather than a relationship based on someone’s sacrifice, mutual relationship respects the other person and recognizes each other in their own uniqueness and realizes that this is a factor that further expands the relationship. Recognizing the other's subjectivity and uniqueness is different from unilateral acceptance. It means the self is experiencing expansion through the process of mutuality. This paper argues that in the post-modern perspective of pastoral counseling, when self-expansion and mutual relationship exist together, individual growth, relationship growth, and diversity expansion can occur. A post-modern perspective is not a requirement only for pastoral counseling. Biblical tradition, the rich rituals of the church, theological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tc., are all required for pastoral counseling. However, pastoral counseling, which is responsible for responding to the needs of people's lives, must move beyond the dominant discourse and include contextual and socio-political understandings. In order for these understandings to work comprehensively, the reciprocity of self and relationship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make this claim, this paper will first of all briefly define and explain pastoral counseling and summarize the perspectives that are the basis for pastoral counseling. Subsequently, the paper will discuss post-modern perspectives presented in pastoral counseling, using critical correlation methods and Carrie Doehring's trifocal lenses as examples and emphasizing the main concepts of situation and power. In the final part of the paper, the mutuality of feminist counseling, the mutuality of pastoral counseling, and Martin Buber’s concept of relationship will be discussed.

      • 게슈탈트 상담에서의 교 정적 관계 경험: 4단계 상담절차에서 상 담자 개입과 내담자 반응을 중심으로

        김민찬 ( Minchan Kim ),라수현 ( Soohyun La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게슈탈트 상담에서의 교정적 관계 경험의 특성과 다양한 현상들을 상세히 기술하고 그 의미들을 탐색하여 상담 성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게슈탈트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5명의 내담자들을 인터뷰하여 그들이 받았던 게슈탈트 상담에서의 교정적 관계 경험을 확인하고, 그때 영향을 미쳤던 게슈탈트 상담사의 개입에 대해 탐색하여 교정적 관계 경험으로 인한 내담자의 변화와 교정적 관계 경험의 유무에 있어서 다른 이론의 상담과 게슈탈트 상담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더하여, 5명 중 한명의 내담자를 단일 상담 사례로 선정하여 교정적 관계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게슈탈트 상담사의 개입과 이때 내담자의 반응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매 회기 상담일지와 축어록을 분석하는 절차를 거쳤다. 연구결과, 게슈탈트 상담의 대화적 관계의 적용 절차에서 상담자의 자기개방과 지금 여기의 활용 절차에서 알아차림 작업하기가 교정적 관계 경험에 영향을 주었다. 교정적 관계 경험의 성과를 확인한 결과, 다양한 알아차림이 변화하였고 상담사 및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성이 회복되었다. 다른 이론의 상담과 달리 게슈탈트 상담의 지금 여기에서 관계를 체험하는 방법, 수평적인 관계, 상담사의 자기개방이 교정적 관계 경험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various phenomena of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 in Gestalt counseling were described in detail, and their meanings were explored to reveal the counseling performance outcome. To this end, we interviewed five clients who had undergone gestalt counseling to confirm their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 in Gestalt counseling, explored the intervention of the Gestalt counselor which gave an impact in that moment, and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counseling from other theories and Gestalt counseling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 In addition, we selected one client out of five as a single counseling case and proceeded analyzing the counseling log and verbal transcripts of each session in order to more closely analyze the Gestalt therapist’s intervention and the client's response affecting the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unselor's self-opening in the conversational relationship application procedure of Gestalt counseling and the awareness work in the here-and-now application procedure showed effect on the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erformance outcome of the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 various awareness had change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ounselor and important others were recovered. It was reported that unlike counseling from other theories, the method of experiencing relationships in the here and now of Gestalt counseling, the horizontal relationship, and the counselor's self-opening had facilitated the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기업 내 상담자의 비성적(非性的) 다중관계 경험과 대처방식

        변시영,윤아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non-sexual dual relationship experiences of corporate counselors.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10 counselors were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analysis resulted in a total of 5 areas, 3 categories, and 27 sub-categories. The 5 areas were: Types of Dual Relationships; Reasons for Dual Relationships; Perceived Difficulties; Experience with Dual relationships; Growth and change; Recommendations for Coping with Dual Relationships. Participants experienced dual relationships more frequently in corporate counseling settings than in general counseling settings. Additionally, their ability to cope with them gradually improved over time. This study expands dual relationships research, and also reveals uniqu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corporate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s make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urriculum and guidelines for managing non-sexual dual relationships in the counseling context. 본 연구는 국내 기업 상담자들이 주로 경험하고 있는 다중관계는 어떤 것인지, 그에 따른 어려움은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탐색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총 10명의 기업 상담자를 심층 인터뷰하였고,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총 5개 영역, 3개의 하위영역, 2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이 중 5개의 영역은 ‘기업 상담자가 경험하는 다중관계 상황’, ‘다중관계가 발생하는 이유’, ‘다중관계에서 상담자가 느끼는 정서적 어려움’, ‘다중관계에 대한 대처 경험’, ‘다중관계 경험 후 상담자들의 변화’였다. 참여자들은 기업 상담이라는 독특성으로 인해 일반 상담에 비해 더 빈번한 다중관계를 경험하고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 전-상담 장면에서-상담 후’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대처전략을 사용하면서 점차 다중관계 해결역량이 향상되어가는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다중관계 연구를 확장시키는 것은 물론, 기업 상담만의 독특한 특징 또한 밝힘으로써 상담자들의 다중관계 관련 교육 과정, 기관별로 특화된 다중관계 대응 가이드라인 개발에 활용될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상담자 발달수준과 상담회기평가의 관계: 상담자가 인식한 실제관계의 매개효과

        윤정흠,최한나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2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al relationship perceived by the counsel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developmental level and the counseling session evaluation in counseling. In particular, the study aimed to verify the real relationship perceived by the counselo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development levels and counseling outcome. For measuring counseling outcome, Session Evaluation Questionnaire which measures immediate counseling outcome was used in this stud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unselors who have a case more than 3 sessions across the country. Based on a total of 209 data, SPSS 23.0 was used for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fter tha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the bootstrapping procedure were conducted using AMOS 25.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counselor develop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ssion evaluation. Second, the levels of counselor develop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real relationship perceived by the counselors. Third, the real relationship perceived by the counselo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ssion evaluation. Fourth, the real relationship perceived by the counselo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counselor development and the session evalua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unselor development levels and the real relationship perceived by the counselors significantly affect the counseling outcome. In addition, the study found a new counseling relationship variable, the real relationship which has not been studied much in Korea by verifying that real relationship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development levels and counseling outcome. 본 연구는 상담에서 상담자발달수준과 상담회기평가의 관계를 상담자가 인식한 실제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온라인으로 모집한 3회기 이상 진행한 사례를 가진 전국의 상담수련생 및 상담자 209명으로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KCLQ), 상담회기평가 질문지(SEQ Form4), 한국판 실제관계 척도-상담자용(K-RRI-T)으로 측정하였고 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 발달수준과 상담회기평가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담자 발달수준은 상담자가 인식한 실제관계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셋째, 상담자가 인식한 실제관계는 상담회기평가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상담자가 인식한 실제관계는 상담자 발달수준과 상담회기평가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담 성과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으로써 상담자 변인인 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상담관계 변인인 상담자가 인식한 실제관계의 유의미함을 확인하고 변인들의 관계를 통합하여 상담성과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담실제와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교정적 관계 경험 개념의 정교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우울하고 적대-순종 유형인 내담자들을 중심으로

        라수현,김창대,류미나,이승기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4

        Corrective relational experience(CRE) is defined as client's internal experience in counseling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ounselor. Despite the agreement on the importance that CRE is closely related to changes of the clients, there is only few empirical studies about the concept of CRE or how CRE effects counseling outcom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mbiguous aspects of CRE which are difficult to be captured in real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isting concept by exploring the phenomena of CRE perceived by the client and to analyze CRE in its relational aspects and corrective aspects. 32 clients participated in 8 to 12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and they were required a reflective writing after each session. 250 of 361 writings reported to had new relationship experiences with the counselor were categorized based on repeti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method. As a result, the factors of counseling relationship newly recognized by the clients were reported as follows; Firts, four categories such as; counselor's words, non-verbal behaviors of the counselor, counselor's existence itself and the relationship with counselor were derived as, Second, the reason for newly recognizing of the counselor was because of the different responses than their expectation, and lastly because new insights were fou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study reviewed all categories perceived by clients correspond to the concept of CRE, and among the concepts of CRE, issues that elaboration was needed were discussed.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s a basic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교정적 관계 경험은 상담에서 내담자가 상담사와의 관계를 통해 교정 경험을 하는 내담자의 내적 체험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정적 관계 경험이 내담자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중요성에 대한 합의에도 불구하고, 교정적 관계 경험 그 자체나 혹은 교정적 관계 경험이 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험적으로 연구된 바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적 연구가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교정적 관계 경험의 개념이 실제 사례에서 포착하기에 모호한 측면에 주목하였다. 이에 내담자가 인식하는 교정적 관계 경험의 현상을 탐색하여 기존의 개념들을 점검하고, 이를 관계적 측면과 교정적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2명의 내담자들이 각각 8~12회기의 개인상담을 진행하면서 매회기 교정적 관계 경험에 관한 상담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361개의 상담일지 중 상담사와 새로운 관계 경험이 있었다고 보고된 250개를 반복적 비교분석 방법에 근거하여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담자가 새로움을 인식한 상담관계의 요소로는 첫째, 상담사의 말, 상담사의 비언어적인 행동, 상담사 존재 자체, 상담사와의 관계의 네 가지 범주가 도출되었고, 상담사가 새롭게 인식된 이유로는 상담사의 반응이 예상과 달랐고,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내담자가 인식한 모든 범주들이 교정적 관계 경험에 해당되는지를 검토하는 한편, 교정적 관계 경험의 개념 중에서 정교화가 필요한 지점에 대한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기초적 연구로서의 의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부모자녀관계중심 학부모상담모형 구안

        강진령,강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1

        Parents have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source in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parent counseling model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parent and child that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student's adaptability to school life. To achieve the purpose, the principles of constructing a model, procedure, and components were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 On the basis of these literature review, the parent-child relationship-focused parent counseling model was constructe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focused parent counseling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omponents: elements, structures, contents, and procedures as well as skills for each step. Each step is constructed to proceed in order of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children, setting goals, and practice.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focused parent counseling model constructed in this study was testified. In addition, more empirical studies are to be conducte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as well as to enhance its quality. 학교와 가정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의 학업, 진로, 인성․사회성 발달을 돕기 위해 학부모와 학생 자녀의 관계증진에 초점을 맞춘 학부모상담 모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관계에서 도움이 필요한 학부모들을 위한 상담의 과정, 단계별 절차, 기법 및 전략 등을 설정하여 학교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부모자녀 관계에 초점을 맞춘 학부모상담모형을 구안하는 것이다. 모형구안을 위해 학부모 상담의 특성 및 부모자녀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학부모의 요구 및 실태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모형의 요소 및 구조와 내용, 단계별 절차와 기법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 가지 모형 도식과 상담의 과정을 제시하는 한편, 세부구조로는 자기이해, 자녀이해, 목표설정, 그리고 실행의 4단계로서 재순환 과정을 거치도록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된 부모자녀 관계중심 학부모상담모형의 현장 적용을 위한 다양한 개입방법에 대해 논의되었다. 또한 구안된 학부모상담모형의 효과검증을 위한 다양한 경험적 연구와 모형의 질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 KCI등재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적 원천에 관한 연구: 슈퍼비전관계와 슈퍼바이저에 관한 신념

        허립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1

        A tripartite model of relational efficacy beliefs which explains how self-efficacy developswithin close relationships was applied to the context of counseling supervision to confirmrelational sources of counselor self-efficacy. Survey data about relational efficacy beliefs werecollected from 153 counselors and analyzed using AMOS 21.0.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that counselor self-efficacy is well predicted by counselors' beliefs about how their supervisorsperceive counselors' ability(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RISE), and counselors' beliefs aboutthe supervisors' ability(other-efficacy) and counselors' length of counseling experience moderatethe strength of this relationship. Furthermore, other-efficacy predicts RISE and supervisoryrelationships. It is suggested that RISE and other-efficacy play important roles as relationalsources of counselor self-efficacy in a supervisory relationship.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 안에서 발달하는 과정을 설명한 관계적 효능감 신념의 삼분법적 모델을 상담 슈퍼비전 맥락에 적용하여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적 원천을 살펴보았다. 상담자 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관계적 효능감 신념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AMOS 21.0 프로그램으로 경로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상담자의 능력에 대한 슈퍼바이저의 평가를 상담자가 어떻게 인식하는지(관계추론 효능감)은 상담자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 영향력의 강도는 슈퍼바이저의 능력을 상담자가 어떻게 인식하는지(타인효능감)과 상담자의 상담 경력에 의해 조절되었다. 또한 타인효능감은 관계추론 효능감 및 슈퍼비전 관계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관계적 원천으로 상담자의 관계추론 효능감과 타인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효과적 기독교상담의 상담관계 : 애착의 관점에서

        반신환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기독교상담의 상담관계에서 비대칭적 측면을 설명하기 위해 애착이론이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상담관계의 구성요소로 공감과 동맹이 강조되었다. 이들은 상담관계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칭적 측면을 강조하는 공통점이 있다. 공감은 신경생리적 과정 을 기반으로 상담자와 내담자는 서로 동조하고 이해하는 의사소통이다. 동맹은 상담 목표와 상담과정에 대한 내담자의 능동적 참여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상담자와 내담 자의 수평적 협력과 합의이다. 그러나 기독교상담을 비롯한 상담에서 형성되는 상담 자와 내담자의 관계는 비대칭적 측면을 포함한다. 이 비대칭적 측면을 애착이론으로 설명한다. 애착은 비대칭성을 갖는데. 개인은 애착인물에게 애착행동체계를 형성하지 만, 애착인물은 그 개인에게 애착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담관계에서 상담자는 애착인물이다. 애착중심의 상담접근들은 상담관계에서 상 담자의 심리적 민감성과 접근성을 강조한다. 내담자와 조율된 기독교상담자의 접근가 능성과 반응성이 내담자에게 안정애착관계를 제공하는 상담관계를 형성하도록 촉진한다. 그리고 애착행동체계에 대한 내담자의 탐색을 촉진하는 반성적 태도를 강조한다. 상담자의 반성적 태도가 애착인물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내담자가 사용하는 애착의 유 형과 전략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우리나라 기독교상담에서 내담자의 안정애착을 촉진하는 상담관계의 발달을 위한 4개 제언을 구성했다. 첫째, 기독교상담자는 내담자와 애착관계를 형성하지 않는다. 상담자의 명확한 심리적 경계선의 내면화와 외상적 경험에서 상담활동의 중지를 제시 했다. 둘째, 기독교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안전기지의 역할을 한다. 내담자와 조율된 정 서적 민감성과 접근가능성과 유연성의 필요를 강조했다. 셋째, 기독교상담자는 내담자 에게 반성적 태도를 갖는다. 내담자의 반성적 능력을 존중하고 그것을 탐색하도록 촉 진하는 상담자의 반성적 태도를 강조했다. 넷째, 기독교상담자는 애착행동체계에 대한 내담자의 탐색을 촉진한다. 특히, 기독교 신앙공동체에서 애착인물들과의 상호작용과 신앙대상과의 관계에서 사용하는 애착유형과 애착전략에 대한 탐색을 강조했다. Attachment theory is applied to the relationship of Christian counseling to explain its asymmetric aspect. Empathy and alliance have been identified to be its primary constituting elements. Both of them focus on its symmetry. Its empathy is the mutual communicative attunement and understanding between a counselor and a client, on the basis of their neurophysical processes. Its alliance is their horizontal collaboration and consensus on their aims and process of counseling with the client’s more active participation. However, there is asymmetry in their relationships. The asymmetric aspect is explained in terms of attachment theory. Attachment is asymmetry in that it is natural for an attachment figure not to have the attachment behavioral system towards those seeking attachment. A counselor is the attachment figure. Attachment integrated counseling approaches suggest that counseling relationships are consisted of the counselor’s sensitivity and availability to facilitate the client’s secure attachment.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counselor’s reflective attitude is contained to enhance the client’s exploration of his or her own attachment behavioral system. The attitude enables to explore the pattern and strategies of attachment he or she employs in interacting with the attachment figures. To enhance the secure attachment in the Korean Christian counseling relationships, 4 suggestions are constructed. First, it is good for a Christian counselor not to form attachment towards his or her clients. It includes the internalization of clearer boundary and suspension of the counseling due to the traumatic experience. Second, it is good to take the role of safe haven. It includes emotional sensitivity, availability, and flexibility. Third it is good to hold the reflective attitude. It includes the respect for the client’s reflective functioning and facilitation of exploration on his reflective functioning represented in the counselor’s behaviors. Last, it is good to enhance the client’s exploration on his or her attachment behavioral system. Particularly, it includes the client’s exploration on his or her attachment behavioral system he or she employs in interacting with the attachment figures in the Christian communities and with the objects of the Christian faith.

      • KCI등재후보

        재판이혼 중 비자발적 내담자-상담자간 상담관계-내담자-상담자간 작업동맹 관점에서-

        이숙영 ( Suk Young Lee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0 아동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재판이혼 중 법원 내 상담실에서 아동과 치료자, 부부와 치료자간의 상담관계 특성과 상담 성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담관계 특성으로 비자발적인 내담자로 구성된 재판이혼 상담관계의 특징과 상담관계에서 내담 아동과, 부부, 치료자간의 상담관계에 대한 상담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재판이혼 중 부모와 함께 상담자에게 상담을 받는 부부와 6세 이상 자녀 총 5가족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재판이혼 중 비자발적 내담자의 특징과 내담자-상담자간 상담관계에서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고, 이러한 특성이 상담 성과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재판이혼 중 비자발적인 내담자-상담자간 상담관계는 내담자 아버지는 목표와 유대가 가장 높았으며, 어머니는 유대를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상담자는 목표, 과제, 유대에서 전반적으로 고른 반응을 보였다. 내담 아동과 -상담자간 상담관계 사전, 사후검사를 살펴본 결과사전보다 사후검사에서 부정적 감정관계가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는 비자발적인 부부와 상담자간 상담 관계에서 상담을 협력하는 관계로 상담 전보다 후에 긍정적인 상담관계가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 재판이혼 중 비자발적 내담자는 상담 초기에는 부정적인 감정이 많은 내담자이다. 그러므로, 재판 이혼 중 비자발적인 내담자들은 상담자로부터 지지와 공감, 위로 등의 긍정적인 상담관계가 이루어지길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긍정적인 상담관계는 점차로 부정적인 감정이 낮춰지고 자발적으로 부부와 자녀 문제를 상담 하면서 상담성과가 높아지는 것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재판 이혼 중 부부와 아동 상담의 필요성을 알게 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국가가 재판이혼 과정에서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I surveyed the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persons who are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and their children. Also, another purpose is to ascertain the effect of the counseling on them by the therapist and how it influences their relationships. These families aren`t spontaneous applicants for counseling.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five families who are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including their children.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nseling for those families, and how the relationships had changed after the counseling was finished. The stud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fathers in those families tends to be oriented towards control and have close ties. The mothers have the close ties tendency as the first value. The therapist appears generally balanced in the test. After pre and post tests were performed on those children,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ose children, the result of the post test showed the positiv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since the pre test took place.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couples who are in the process of filing for divorce were also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feelings. The study found that those people who are not spontaneous applicants for counseling have uncomfortable feelings about the program at first. Thu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console, support and empathize with them when they begin to be counseled by the therapist. By counseling them in this way, the therapist could guide them into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It means that the negative feelings between them can be dispelled, and they can enjoy positive relations. As the counseling proceeded, they become spontaneous applicants for that and it improved the effects of the counseling. I hope that this study helped the counseling during a judicial divorce to b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process in the divorce su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