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사회과교육 방안 모색

        한동균(Han, Dong K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공감 능력의 신장을 위한 사회과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사회적 공감의 의미와 구성 요소, 사회적 공감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사회적 공감은 개인적 공감을 바탕으로 맥락적 이해와 거시적 관점을 수용하여 사회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그동안 사회과교육은 이성 중심의 지식과 사고 학습에 치우쳐 배움이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회과교육에서의 정서적 확장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감성 교육으로서 사회적 공감교육을 사회과교육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과교육에서의 사회적 공감기반 수업모델을 구안하였다. 그리고‘난민’을 주제로 사회적 공감기반 수업모델에 적용한 사회과 수업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공감기반 수업은 사회 문제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이성과 감성을 아우르는 해결방안 모색과 합리적인 의사 결정, 그리고 사회적 책임감을 바탕으로 한 시민적 참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사회과에서 사회적 공감교육을 처음 적용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이를 위해 사회적 공감기반 수업모델과 구체적인 사회과 수업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적 공감 수업의 사례를 적용하고 보완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ethod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for the enhancement of social empathy. To this end, first, the meaning and components of social empathy and the need for social empathy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was discussed. Social empathy, based on personal empathy, embraces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macro-perspective-taking, an enabling in-depth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social problems. However,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been criticized for its bias toward rational-centered knowledge and thinking learning, which does not lead to practice. Thus, the affective expans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is necessary to overcome this. To this end, social empathy education as emotional education was presented as a new alternative to social studies edu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approaches to enhancing social empathy and devised a social empathy-based lesson model in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them. It also presents examples of social studies lessons applied to the social empathy-based lesson models under the theme ‘immigrant’. These social empathy-based lessons will enable us to lead to in-depth understanding of social problems, in seeking solutions encompassing reason and emotion, rational decisionmaking, and civic participation based on soc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to apply social empathy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and for this purpose, it presents social empathy lesson models and specific cases of social studies lessons. It is necessary to apply and supplement the examples of social empathy lessons presented in this study through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사회적 공감능력 함양을 위한 초등 사회과 수업의 구안 및 적용

        한성범(Seong Beom Ha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2

        Modern society is living in an era of "unsympathetic" that has become insensitive to other people's sens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empathy-based social studies classes to cultivate students' social empathy skills based on the need for social empathy and to change students'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aspects. In particular, the approach to social empathy beyond personal empathy can lead to a three-dimensional and multifaceted approach to unequal social structures and vulnerable groups in marginalized societies beyo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cultivate the proper social empathy abilit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ety and develop the qualities of a democratic empathy citizen who creatively and reasonably solve modern society's problems. Accordingly,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analyzed, and social studies classes were organized and implemented for fifth-grade students based on a social empathy-based model. After applying social studies classes,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paired sample t-test to measure the cultivation of students' social empathy skills. In addition, students'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chang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using methods such as pre- and post-test papers, impressions, diaries, class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social empathy skills through this clas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spects. 현대 사회인들은 타인의 감각에 무감각해진 ‘공감 불능’ 시대에 살고 있다. 공감의 부재는 각종 폭력과 증오범죄, 집단 간 혐오,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 등 타인에 대한 공감 부재를 넘어 아픔에 공감하는 사람들을 비난하거나 혐오하기에 이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공감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사회적 공감 능력을 함양하고 학생들의 인지·행동·정의적 측면의 변화를 위해 공감기반 사회과 수업을 제안한다. 특히 개인적 공감을 넘어선 사회적 공감으로의 접근은 타인을 향한 이해와 배려의 차원을 넘어 불평등한 사회 구조와 소외된 사회의 취약계층에 대한 입체적이고 다면적 접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올바른 사회적 공감 능력을 함양하여 사회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현대사회의 문제를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민주적 공감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길러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사회적 공감 능력 함양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초등 사회과 수업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개인적 공감에서 나아가 사회적 공감 능력 함양을 위한 사회과 수업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사회적 공감 기반 모형에 근거하여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과 수업을 구성하여 실행하였다. 사회과 수업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사회적 공감 능력 함양을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양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사전·사후 검사지, 소감문, 일기, 수업 관찰, 심층면접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서의 절적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양적·질적 분석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본 수업을 통해 사회적 공감 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으며, 인지적·정서적·행동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AI 시대, 사회적 공감 교육의 필요성과 방안

        한동균 ( Han Dong K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특별호2

        본 연구에서는 AI 시대 사회적 공감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 AI를 활용한 구체적인 사회적 공감 교육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미래 사회에는 AI가 발달함에 따라 창의성과 전략, 감성이 필요한 직업만이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당분간 AI가 지니기 힘든 감성은 AI와 차별화되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미래 사회의 주역인 학생들에게 AI와 차별화될 수 있는 인간성으로서 감성과 관련된 정서적 능력을 키워줄 필요가 있다. 특히 AI 감성 로봇과 가상공간의 발달은 사람 간의 감정적 소통과 관계 형성을 회피하게 하여 아이들의 공감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간 본연의 특성으로서 공감과 소통 능력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인간의 능력으로 부각될 수 있다. 미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생들이 갖춰야 할 시민적 자질로 공감 능력이 필요한 것이다. 특히 사회적 공감은 개인적 공감을 확장하여 사회문화적 맥락과 거시적 관점에서 당사자를 더욱 폭넓게 이해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사회적 공감 능력은 AI 등장으로 인해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진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I 시대 사회적 공감 교육은 첫째, AI와 차별화되는 인간성으로 감성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둘째, AI 등장으로 인해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진 사회적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공감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책임감과 시민적 참여를 증진시켜 사회정의에 이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AI를 교육적 도구로써 활용하는 AI 기반 사회적 공감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선행연구의 사회적 공감 학습 모델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단계별 사회적 공감 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특히 학생들이 다양한 AI 기반 시뮬레이션과 가상현실 체험해본다면 더욱 효과적인 공감 능력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향후 AI가 더욱 발달함에 따라 AI를 활용한 사회적 공감 교육의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meaning of and the need for social empathy education in the AI era and seek specific AI-based social empathy education plan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only the jobs requiring creativity, strategies and sensitivities would survive in a future society due to the advancement in AI. This is why there is a need to improve a sensitivity-related emotional ability of students, which is a human nature differentiated from AI, as students are leaders of future society.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AI emotional robot and virtual space can weaken empathy abilities of children by making them avoid emotional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Empathy ability is a civic attribute that students, as members of future society, must have. In particular, expanding personal empathy, social empathy is an ability to understand others more broadly from a socio-cultural context and macro perspective. This social empathy ability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more various and complicated social issues caused by the emergence of AI. Therefore, the expected contributions of social empathy education in the AI ara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mpathy education can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as a human nature differentiated from AI. Second, social empathy education can be helpful in understanding more various and complicated social issues caused by the emergence of AI. Third, social empathy can have positive effect on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by increasing responsibility for social issues and civic participation.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sought social empathy education plans that use AI as an educational tool and devised specific phased social empathy education contents using social empathy learning models of the previous studies. As AI is expected to develop more in future, there will be a need to keep discussing AI-based social empathy education plans.

      • KCI등재

        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구신실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 and social abilitie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empathy and social ab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social ability, to analyze the impact on a empathy ability conflict social abil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2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tudying in general schools and special schools in P C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empathy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type.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chool level, disabilities's type. Differences in social ability were found betwe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level, disabilities's type and class type.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gender. Seco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their empathy and social ability on some variables. But there were obvious relationships in variables on empathy and social ability. Third, as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 empathy ability's variables were social ability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반학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의 중고등부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92명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공감능력은 성별에 따라 공감적 각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재학상황에 따라 관점 취하기, 전체 인지적 공감, 전체 공감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급과 장애유형에 따른 공감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장애학생의 사회적 능력은 학교 급에 따라 주도성, 인기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재학상황에 따라 주도성, 인기도, 전체 사회적 능력, 사교성, 대인적응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장애유형에 따라 사교성, 사회참여도, 인기도와 전체 사회적 능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장애학생의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의 상관분석 결과, 대인적응성과 상상하기, 사회 참여도와 공감적 각성, 사회참여도와 전체 정서적 공감, 인기도와 공감적 작성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적 능력과 공감능력의 하위변인들 간의 관계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장애학생의 공감능력은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전체 공감능력과 인지적 공감능력인 관점 취하기는 사회적 능력 중 사교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장애학생의 공감능력은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와 전체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관점 취하기는 사회적 능력 중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와 전체 사회적 능력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장애학생의 원만한 학교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공감능력과 사회적 능력은 매우 관계가 높으며,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관점 취하기와 같은 인지적 공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내면화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학교 스포츠클럽 참가 초등학생의 성과 스포츠인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감의 매개효과 분석

        고문수,곽은창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학교스포츠 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성, 인성 및 공감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 펴보는 한편, 인성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재학 중인 C, D, G초등학교 6학년 학생 620명으로 자기보고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성별에 따라 인성, 공감 및 친사회적 행동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성 및 인성 과의 관계에서는 인성이 성별에 의해 공감능력에도 변화를 주고 있었다. 한편, 매개분석 결과 인성의 자기관리, 인내심이 도와주기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인지공감과 정서공감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협력하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인성의 자기관리가 친절하기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인 지공감과 정서공감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과 인성 및 공감이 친사회적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히는 한편, 공감이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함으로 써 청소년기 친사회적 발달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s on the sport charact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20 4, 5, and 6th grades(308 males, 312 females) from elementary schools in Gyeongi-do and Incheon c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relationships on the sport character,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s by sex. Secondly,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all the subfactors. Thirdly, sport character affected empathy and prosocial behaviors, and empath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rosocial behaviors. Lastl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pathy acted as a mediator between sport character and prosocial behaviors. That 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management of sport character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through experienced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heir prosocial behavior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ort character and empathy in predicting adolescents'prosocial behavior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김경선,오오현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4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공감이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하고 그 과정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연구 설문에 동의한 전라남도 지역2개 도시 10개 학교의 중·고등학 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39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와 ANOVA, Scheffe, Cronbach’α,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기분석과 sobel 검증으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은 공감적 정서반응, 관점수용, 정서지각 순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경우 정서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 으로 정서표현, 정서조절, 정서활용, 감정이입 순으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의 경우는 하위요인에서 타인관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자기관심, 공동 체관심, 영성관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관심에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는 것은 정서지능 이었다. 그 다음으로 중·고등학생이 지각된 아버지 공감-공감적 정서반응과 지각된 전체 아버지 공감, 지각된 아버지 공감-정서지각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중·고등학생이 지각된 어머니 공감-공감적 정서반응과 지각된 어머니 공감-정서 지각, 지각된 전체 어머니 공감, 지각된 아버지 공감-관점수용, 지각된 어머니 공감- 관점수용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 공감-관점수용과 사회 적 관심에서 정서지능, 지각된 아버지 공감-관점수용과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아버지 공감-정 서지각, 지각된 아버지 공감-공감적 정서반응, 지각된 전체 아버지 공감과 사회적 관 심에서 정서지능, 지각된 어머니 공감-정서지각, 지각된 어머니 공감-공감적 정서반 응, 지각된 전체 어머니 공감과 사회적 관심에서 정서지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1) 본 연구를 통하여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이 정서지능 및 중·고등학생 의 사회적 관심에 있어서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 했다. 또한 중·고등학생이 지각한 부 모 공감과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심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 역할을 검증함으로 써 정서지능의 중요성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후속연 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중·고등학생들의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 녀에 대한 부모의 정서 지각과 공감적 반응이 중요한데 지금까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정서조절 훈련이나 자녀에 대한 공감능력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이 적었 기 때문에 관련 교육과 프로그램이 확장되어야 하겠다. In this study, it is to check how parental empathy perceiv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cial interest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process. To this end,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1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wo cities in Jeollanam-do, who agreed to the research survey, and the final 393 students were collected. The data analysis used SPSS 21.0, and the intermediate effects were recogni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Scheffe, Cronbach'α, correlation analysis, mid-term analysis, and sobel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arents' empathy, whi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late for, was in the order of empathic emotional response, perspective acceptance, and emotional percep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was followed by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control, emotional utilization, and empathy. In the ca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ocial interests, other people's interests were the highest in the lower factors, followed by social self-interest, community interest, and spiritual interest. Second, it wa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social interest. Nex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empathy for their late fathers, empathy for their entire fathers, and empathy for their late fathers. In addi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hown to be perceived mother empathy-sympathetic emotional response, perceived mother empathy-sentence perception, perceived mother empathy, perceived fa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and perceived mo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has been shown to have full mediating effects in mo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and social interest, father empathy-perspective acceptance and social interest, whi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late for. On the other h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late father's empathy-perception, perceived father's empathy-perception, perceived mother's empathy-perception, perceived mother's empathy and social interes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mpathy of parents who were late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is also meaningful that it reveal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verifying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mpathy and social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ubsequent research sugges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interes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emotional perception and empathy for their children are important, and related education and programs should be expanded because there has been less emotional control training for parents and counseling and educational approaches to improve their empathy.

      • KCI등재

        사회지배 지향성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조절효과

        황세영,강정석,강혜자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지역과 세계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dominance orientation(SDO),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welfare policy to the need, social distance toward migrants). To examine this, 293 college student-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pertaining to SDO, empathy and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 The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1)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DO and empath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DO and 2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 respective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mpathy and 2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 respectively, (2)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empathy between SDO and 2 attitudes toward the social weak, respectively, and (3) only in women,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between SDO and social distance toward migran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지배 지향성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지배 지향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의 관계에서 공감의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지배 지향성, 공감 및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빈곤층을 위한 복지정책에 반대하는 태도와 이주민에 대한 호감을 나타내는 사회적 거리감)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구성하여, 293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상관분석 및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지배 지향성, 공감 및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의 상관분석 결과, 사회지배 지향성은 공감과는 부적 상관, 복지정책에 대한 태도(복지반대) 및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는 각각 정적 상관, 그리고 공감은 복지정책에 반대하는 태도와,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각각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사회지배 지향성과 복지정책에 대한 태도 및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각각의 관계에서 공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효과를 성별로 나누어 검증한 결과, 남성의 경우에는 사회지배 지향성이 복지정책에 반대하는 태도 및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이 공감수준에 따라 다르지 않았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사회지배 지향성과 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사회지배 지향성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며, 사회지배 지향성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에서 공감이 조절효과를 갖는다는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사람들의 사회지배 지향성을 낮추고 공감력을 높이는 것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적 태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이 시사된다. 끝으로, 사회지배 지향성 감소 및 공감력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공감 잠재계층 분류에 따른 재난 이후 사회적 공유와 공동체 리질리언스의 차이

        민문경,주혜선,안현의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One of the main research topics in current trauma research is the social context of trauma.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social empathy, which extend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empathy through understanding the context appears in Korean sampl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sub factors of social empathy. Specifically, we concentrated on how differ the levels of social sharing and community resilience were as the impact of disaster on the whole society.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147 Korean respondents in their 20s to 50s from eight months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and 1000 people who experienced the accident indirectl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ocial empathy, which is consisted of five sub factors such as affective response, self-other awareness, perspective taking, emotion regulation, and macro perspective taking, was measured and the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s, three social empathy classes were identified: (a) low social empathy group (b) middle social empathy group (c) high social empathy group.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sharing and community resilience (i.e. leadership, collective efficacy, preparedness, place attachment, and social trust) were verified using ANOVA and MANOVA. The significant class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variables, suggesting that low social empathy group was lower than middle and high social empathy group in commo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ways to facilitate social empathy and the recovery after disaster as well a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최근 트라우마 연구에서 회복의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는 사회적 맥락에 주목하여, 맥락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존의 공감 영역을 확장시킨 사회적 공감이 국내 표본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공감 하위요인들의 높고 낮은 양상에 따라 분류된 집단들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사회 전체적인 차원에서 구성원들이 받는 재난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재난에 대한 사회적 공유와 지각된 공동체 리질리언스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세월호 참사 이후 8개월 시점에서 전국 20대에서 50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1147부 중 세월호 참사를 간접 경험했다고 응답한 1000부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정서적 반응, 자기-타인 지각, 관점 수용, 정서조절, 거시적 관점 수용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사회적 공감을 측정하고 잠재계층 분석을 한 결과, 총 3개의 사회적 공감 잠재계층(낮은/중간/높은 사회적 공감 집단)이 분류되었다. 또한 잠재계층에 따라 사회적 공유와 공동체 리질리언스(리더쉽, 집단적 효능감, 준비도, 지역 애착, 사회적 신뢰)에서 어떤 차이를 있는지 ANOVA 및 MANOVA를 통해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낮은 사회적 공감 집단이 중간 사회적 공감 집단 및 높은 사회적 공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공감 및 재난으로부터의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밝혔다.

      • KCI등재

        사회적 공감이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이유경 한국국제경영학회 2019 國際經營硏究 Vol.30 No.2

        최근 중국 정부는 중국의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생태문명 건설이라는 새로운 국정운영 목표를 제시 하였다. 중국의 환경과 관련된 이러한 거시적 변화는 중국 소비자들의 친환경 소비에 대한 관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의 친환경 소비시장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중국 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변인을 찾고자 다양한 분야의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변인이 중국 소비자의 환경관심 및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중국의 북경, 상해, 청도에 거주하는 327명의 중국소비자들로부터 실증분석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중회귀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의 사회적 공감은 환경관심과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공감의 세 하위요인인 정서적 반응, 인지적 공감, 거시적 관점수용 중 인지적 공감과 거시적 관점수용만 환경관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공감의 세 하위요인인 정서적 반응, 인지적 공감, 거시적 관점수용은 모두 친환경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중국소비자의 친환경 소비행동 연구 분야에서 사회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변인의 설명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의 학문적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중국의 친환경 소비시장이 거시적․미시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공감이라는 새로운 변인의 확인은 중국 진출 국내기업들에게 친환경 마케팅 전략 수립의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Chinese government has proposed a new national development goal of ‘construction of ecological civilization 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has become serious in China. And these macro-level changes in China are also affecting Chinese consumers'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green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in various study areas, in order to find new construct to explain Chinese consumers green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the Chinese green market change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e social empathy might affect the environmental concern and green purchase intention in China. This study verified the research model wit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obtained from 327 consumers located in Beijing, Shanghai, and Qingdao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empathy had a positive impact on environmental concern and green purchase intention in China. Second, the effective respons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nvironmental concern, but cognitive empathy and micro perspective-taking had positive impacts on environmental concern. Finally, effective response, cognitive empathy and micro perspective-taking had positive impacts on green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contribution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s the explanatory power of social empathy in green consumption behavior. Moreover,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faced by the Chinese green consumer market regarding macro and micro chang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effective green marketing strategies for companies in China.

      • KCI등재후보

        사회적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대학 교양 수업 사례와 효과 분석

        서영진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1 교양교육실천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liberal arts class program in college to enhance social empathy and to analyze its effect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social empathy education and its expansion to the class program are explored.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ed a class program that can enhance social empathy with design-based research methods. It is a project-based learning that understands the pain of others in the context of social empathy and experiences practical actions to change society. The degree of change before and after class was analyzed by examining social empathy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As a result of the t-test, the cla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pathy. In particular, it had great influences in role acceptance to understand the pain of others from their point of view, and awareness formation of the importance of social action to solve problems. Since social empathy can be enhanced through education, it is noteworthy as one of the content element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colleg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of this study can be actively used in classes for cultivating the social empathy for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 교양 교육에서 사회적 공감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수업 모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공감 능력의 교육 가능성과 수업의 확산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공감의 개념과 특성, 사회적 공감 교육에 대한 대학 교양 교육의 책임과 역할, 사회적 공감 교육 동향 등을 살피고, 설계기반연구 방법에 따라 사회적 공감의 구성 요인을 반영한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약자나 소외 계층이 겪고 있는 고통에 대해 맥락적 이해하기와 거시적 관점 수용하기를 시도함으로써 타자의 고통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확장하고 문제 해결의 대안을 마련하여 실천하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공감 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수업 전과 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해당 수업은 사회적 공감 능력 신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이끌어냈다. 특히 타자의 고통을 그들의 입장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관점 수용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실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형성에 큰 변화가 나타났다. 사회적 공감은 일정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신장될 수 있음을 확인한바 본 연구의 수업 모형 및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사회적 공감 능력 신장을 위한 수업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