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공감 잠재계층 분류에 따른 재난 이후 사회적 공유와 공동체 리질리언스의 차이

        민문경,주혜선,안현의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One of the main research topics in current trauma research is the social context of trauma.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social empathy, which extend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empathy through understanding the context appears in Korean sample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classified according to sub factors of social empathy. Specifically, we concentrated on how differ the levels of social sharing and community resilience were as the impact of disaster on the whole society.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147 Korean respondents in their 20s to 50s from eight months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and 1000 people who experienced the accident indirectl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ocial empathy, which is consisted of five sub factors such as affective response, self-other awareness, perspective taking, emotion regulation, and macro perspective taking, was measured and the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s, three social empathy classes were identified: (a) low social empathy group (b) middle social empathy group (c) high social empathy group.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sharing and community resilience (i.e. leadership, collective efficacy, preparedness, place attachment, and social trust) were verified using ANOVA and MANOVA. The significant class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variables, suggesting that low social empathy group was lower than middle and high social empathy group in commo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ways to facilitate social empathy and the recovery after disaster as well a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최근 트라우마 연구에서 회복의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는 사회적 맥락에 주목하여, 맥락에 대한 이해를 통해 기존의 공감 영역을 확장시킨 사회적 공감이 국내 표본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공감 하위요인들의 높고 낮은 양상에 따라 분류된 집단들이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사회 전체적인 차원에서 구성원들이 받는 재난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재난에 대한 사회적 공유와 지각된 공동체 리질리언스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세월호 참사 이후 8개월 시점에서 전국 20대에서 50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1147부 중 세월호 참사를 간접 경험했다고 응답한 1000부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정서적 반응, 자기-타인 지각, 관점 수용, 정서조절, 거시적 관점 수용 등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사회적 공감을 측정하고 잠재계층 분석을 한 결과, 총 3개의 사회적 공감 잠재계층(낮은/중간/높은 사회적 공감 집단)이 분류되었다. 또한 잠재계층에 따라 사회적 공유와 공동체 리질리언스(리더쉽, 집단적 효능감, 준비도, 지역 애착, 사회적 신뢰)에서 어떤 차이를 있는지 ANOVA 및 MANOVA를 통해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낮은 사회적 공감 집단이 중간 사회적 공감 집단 및 높은 사회적 공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공감 및 재난으로부터의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밝혔다.

      • KCI등재

        912 경주 지진을 간접 경험한 일반인의정신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 공적 신뢰를 중심으로

        민문경,주혜선,안현의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sycho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Korean public indirectly exposed to the 9/12 Gyeongju Earthquake, based on the bioecological model of mass trauma.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extent to which the systemic factors of the bioecological model, such as individual resilience, social support, social capital, and public trust, distinctly influence mental health level in various aspects, such as PTSD symptoms, psychological dysfun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2 month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9/12 Gyeongju Earthquake to members of the Korean public in their 20s - 60s; of the 395 data collected, the data of 322 respondents who reported indirect exposure to the Gyeongju Earthquak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hierarchical analysis where each systematic factor was consecutively input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and risk factors, the systemic factor variables that was the strongest meaningful predictor of PTSD symptoms was social support, a microsystem-level variable, followed by resilience, an individual-level variable, followed by social capital, an exosystem-level variable; the systemic variables that was the strongest meaningful predictor of psychological dysfunction was individual resilience, followed by social support, followed by public trust, a macrosystem-level variabl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trongest meaningful predictors were individual resilience, social capital, public trust, in that or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psychological assistance and individual and social recovery after a disast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th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mental health, and consider the multi-systemic social contexts in which the individuals who experience the disaster are situated. Finall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2016년 9월 발생한 ‘912 경주지진’을 간접 경험한 일반인의 정신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재난의 생태모델에 기반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 공적 신뢰 등 생태모델의 체계별 요인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심리사회적 부적응, 정신적 웰빙 등 다양한 측면의 정신건강 수준에 고유하게 기여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대에서 60대를 대상으로 ‘912 경주지진’ 발생 2개월 경과 시점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395부 중 ‘912 경주지진’을 간접 경험했다고 응답한 322명의 자료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위험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체계별 요인들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들의 설명력은 미시체계 변인인 사회적 지지, 개인체계 변인인 개인 리질리언스, 외부체계 변인인 사회적 자본 순으로 컸고, 심리사회적 부적응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들의 설명력은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지지, 거시체계 변인인 공적 신뢰 순으로 설명력이 컸다. 정신적 웰빙의 경우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자본, 공적 신뢰 순으로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본 결과는 재난 이후 심리지원 및 개인과 사회의 회복에 있어 정신건강의 긍․부정적 측면 모두와 함께 재난 경험자들이 속한 사회적 맥락을 다차원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공감 능력이 사회 정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 사회 인지적 관점에서

        민문경,이나빈,안현의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1 No.4

        This purposed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athy on social justice commitment from a social-cognitive perspective. Specifically, we examined how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affect social justice commitment through social justice self-efficacy, social justice outcome expectation, and social justice interest which represent a social-cognitive path of behavior. Based on the self-report survey sample of 537 people in their twenties, we first controlled social desirability, and then analyzed the measurement and structure model using Structure Estimate Modeling(SEM).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directly affected social justice commitment through the path of the social-cognitive model. However, affective empathy had a larger effect size compared to cognitive empathy. Results suggest that empathy competence has an effect on not only general altruistic behavior as known before but also social justice behavior which include the value of equality and anti-discrimination. Finally, ways for facilitating social justice commitment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공감 능력이 사회 정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인지적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이 사회 정의 자기 효능감, 사회 정의 결과 기대, 사회 정의 관심이라는 사회 인지적 기제를 통해 사회 정의 실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53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이슈 질문지,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한국어판 공감 지수 척도를 포함하는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뒤 연구 모형을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지적 공감에 비해 정서적 공감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변인 모두 사회 정의 실천에 유의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특별히 사회 인지적 기제를 거쳐 간접적으로 사회 정의 실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감 능력이 일반적인 이타행동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의 개념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실천 역시 예측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정서적 또는 인지적 공감의 측면에서 사회 정의 실천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 인지 관점에 따른 사회 정의 관심과 실천 모형의 검증: 국내 대학생을 중심으로

        민문경,안현의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processes based on the Korean college students’ development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For this study, we replicated Miller and colleagues’(2009) study, which explained the development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by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SCCT). Social desirability was controlled, and then self-reports data from 343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stimate Modeling(SEM). As a result, the final research model that social justic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ffect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was proven valid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lso, in comparison with the direct effects model(social supports and barriers affect directly on commitment), the indirect effects model(social supports and barriers affect indirectly on commitment through self-efficacy) was supported. As an unique path of social-justice domain, the indirect effect by social support on commitment through outcome expectation was proved, as well. This study covers measurement limitations,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some lessons points with regards to how Korean college students to have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본 연구는 Miller와 동료들(2009)들이 사회 정의 실천을 예측하는 이론적 틀로써 사회 인지 진로 이론(SCCT)을 사회 정의 영역에 적용한 연구를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 검증한 것이다. 국내 대학생의 사회 정의에 관한 관심과 실천에 기저하는 심리적 과정을 살펴보고 사회 정의 활동을 촉진하는 개입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교의 남녀 학생 337명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의 과대 추정을 막기 위해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회 정의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가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 정의에 대한 관심이 실천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모형이 국내 대학생들의 사회 정의 관심과 실천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가 자기 효능감을 통해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 효과 모델이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가 실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 효과 모델보다 자료를 설명하는 데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정의 영역에서만 나타난 독특한 경로로 결과 기대를 통한 사회적 지지의 간접 효과가 입증되었다.

      • KCI우수등재

        한국의 사회적 위기사건에 대한 기억특성과 사건 중심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의 매개효과: 지각된 직접 노출·간접 노출 간 다집단비교

        이나빈,민문경,안현의,천혜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9 No.3

        When societal crises occur(e.g., natural disasters, politically motivated assassination, or mass killings during anti-government movements), people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with others in person or via social media. This is referred to as social sharing. Our study aimed to find out how social sharing mediates the memory of such major events and the individuals’ capacity to integrate those events into their personal identity(i.e., event centrality). Specifically, we explored the differences among memory characteristics (vividness,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valence) as they are mediated by social sharing which eventually may help or hinder the individual to integrate those events into their personal lives.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re would be a difference between the individuals who perceive that they directly experienced the event (e.g., had be present at the scene, was a victim or knew the victim closely) versus those who were indirectly affected (e.g., watched on the new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f Korean major societal events experience, and used the scales from Memory Experience Questionnaire (Sutin & Robins, 2007) and Central Event Scale (Bernsten & Rubin, 2006) to test for our hypotheses.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was n=286, and indirect exposure group was n=532. Results from the multi-group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social sharing fully mediated vividness and the event centrality in a indirect exposure group only. And social sharing partially mediated emotional intensity and event centrality in both groups. Especially, in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the effect of emotional intensity on social sharing is more high than a indirect exposure group. In the case of negative emotional valence, a perceived direct exposure group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whereas indirect exposure group did not. Further discussion is included regard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주요 사회적 위기사건들에 대한 개개인의 기억특성이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사회적 공유가 중요한 매개요인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검증하고, 사회적 위기사건에 직접 노출된 집단과 간접 노출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1065명을 대상으로 제시한 한국의 주요 사회적 사건 목록 중 개인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한 가지 사건을 정하도록 하고, 그 사건에 대한 기억특성 및 사회적 공유(Memory Experience Questionnaire), 사건 중심성(Centrality of Event Scale)을 측정 하였다. 본 연구에는 사회적 위기사건을 가장 기억에 남는 사건으로 선택한 818명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후 ‘자신이 선택한 사건을 직접 경험했는지’를 묻는 문항에 응답한 내용을 바탕으로 818명의 자료를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N=286)과 간접 노출집단(N=532)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서 연구모형에 유의한 경로계수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는 생생함과 사건 중심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공유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반면, 간접 노출집단에서는 생생함이 사회적 공유를 완전 매개하여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미쳤다. 정서강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공유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했으며,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 정서강도와 사회적 공유의 직접 관계가 더욱 높았다. 부정정서의 경우, 지각된 직접 노출집단에서는 사회적 공유가 부정정서 수준과 사건 중심성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고 있는 반면, 간접 노출집단에서는 사회적 공유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직접 사건 중심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20대 소비자의 사회 책임적 소비행동의 실천 경로 분석 :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 모델의 적용

        천혜정,민문경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Miller, Sendrowitz, Connacher, Blanco, Miniz de la Pena, Bernardi, 그리고 Morere (2009)가 개발한 사회정의 관심 및 실천 모델(A model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을 적 용하여 한국 20대 소비자의 사회 책임적 소비행동의 실천 경로를 분석하였다. 즉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관심은 사회 책임 적 소비실천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우선 사회정의 관심 및 실천 모델이 사 회 책임적 소비행동을 설명하는데 적합한지 검증한 후 사회적 지지와 장애가 직접적으로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효과 모델과 두 변인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실천에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효과 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다 적합한 모델로 제안된 간접효과모델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 는 20대 소비자 551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0일부터 8월 28일까지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을 설명한 Miller 등의 모델은 사회 책임적 소비행동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관심, 실천 등 사회정의관심 및 실천 모델의 핵심 적인 변인들이 사회책임적 소비행동 영역에도 유용하게 적용되었다. 둘째, 맥락적 변인인 사회적 지지와 장애가 사회 책임적 소비 실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직접효과 모델과 두 변인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실천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효과 모델을 검증하여 두 모델의 적합도를 비교하였고, 그 결과 간접모델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접효과 모델의 경로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이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 고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 모두 자기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 기 효능감은 결과 기대에, 자기 효능감과 결과 기대 모두 관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천에 대한 영향에서는 결과 기대, 관심, 사회적 지지가 정적인 영향을, 사회적 장애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자기 효능감은 직접 적으로 관심에 영향을 주거나 결과 기대를 통해 간접적으로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 책임적 소비에 대한 관심 은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맥락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모두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were interested in elucidating the psychological process associated with 20s consumers’ interest in and commitment to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On the basis of social-cognitive theory, we identified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model as a plausible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This framework includes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related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interests, commitment, and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At first, it was analysed whether or not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model is satisfied with the goodness of fit to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domain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econdly, it was compared direct effect model which were supposed social support and barriers affect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behavior to indirect effect model which were estim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indirectly through self-efficacy. Lastly, we examined the more appropriate model’s path coefficient. The data came from 551 consumers between 20 and 29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Key findings of the study were (a) it supported the use of social justice interest and commitment model within the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domain. (b) it supported the indirect effects model of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over the direct effect model. (c)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as contextual factors were shown to influence self-efficacy and commit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Self-efficacy was shown to influences outcome expectation, and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were shown to influence socially responsible consumption interest.

      • KCI등재

        대학생의 우울증상 진행경로에 미치는 정서조절곤란과 외상 기억 특성의 효과: 잠재성장모형을 통한 단기종단연구

        주혜선,이나빈,민문경,안현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3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 of emotion dysregulation and trauma memory traits (i.e., involuntary recall, sensorimotor experience, disorganization) on college students’ depression progress route. A total of 203 undergraduates were assessed four times with a week interval. The growth pattern of trauma memory trait, emotion dysregulation, depression were analyzed by Latent Growth Model(LGM) and then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thre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except disorganization showed a linear decrease as time passed. In contrast, disorganization showed increasing trend during the measurement waves. Second, the decrease of sensorimotor experience and emotion dysregulation predicted the decrease of depression as time passed. Additionally, involuntary recall/disorganiz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affected depression only in initial time.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간에 따라 외상 사건에 대한 기억 특성(침습, 생생함, 비조직화)과 정서조절곤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설문 및 4주 단위로 4차에 걸친 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203부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기억 특성인 침습, 신체감각적 생생함, 비조직화와 정서조절곤란 및 우울 수준의 변화를 살펴보고 정서조절곤란을 매개변인으로 한 외상 기억 특성과 우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한편,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외상 기억 특성과 정서조절곤란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시간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변인별 분석모형에서는 모든 변인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선형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침습, 신체감각적 생생함, 정서조절곤란, 우울은 감소경향을 보인 반면 비조직화는 증가경향을 보였다. 변인간 분석모형에서는 침습과 비조직화의 경우 초기치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신체감각적 생생함은 초기치와 변화율 모두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외상경험자들의 우울을 예방하고 치료를 계획하는 데 정서조절곤란과 함께 강조되어야 할 외상 기억 특성이 무엇인지, 효과적인 개입 방안이 무엇인지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Vibrio anguillarum O1이 생산하는 Outer Membrane Vesicle (OMV)의 분리 및 OMV 내의 단백질 특성

        홍경은,김동균,민문경,공인수,Hong, Gyeong-Eun,Kim, Dong-Gyun,Min, Mun-Kyeong,Kong, In-Soo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07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2 No.2

        Vibrio anguillarum is a gram-negative bacterium that causes vibriosis in approximately 80 different fish species. V. anguillarum produces several exotoxins are correl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vibriosi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mposition of the outer membrane vesicle. Most of gram-negative bacteria produce outer membrane vesicle (OMV) during cell growth. OMV was formed from the outer membrane surface of cell and than released to extracellular environment. OMV consists of outer membrane lipids, outer membrane protein (OMP), LPS, and soluble periplasmic components. Also, they contain toxins, adhesions, and immunomodulatory. Many gram-negative bacteria were studied out forming OMV. In Vibrio sp., formation of OMV by electron microscopy has been reported from V. cholerae and V. parahaemolyticus. In present study, we isolated OMV from V. anguillarum and OMV protein was separated by SDS-PAGE. Magor band was sliced and analyzed by MALDI-TOF. The major protein band of 38kDa was identified as OmpU by MALDI-TOF MS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