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 수준과 축적노력에 대한 연구

        임진혁(Jinhyuk Rhim),이남희(Namhee Lee),곽비주(Bijou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C대학 학생들의 사회적 자본 수준을 측정하고 대학생에게 부족한 사회적 자본을 인식하고,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지방 소재 C대학 학생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 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질문 문항 17개)조사를 실시하여 학년별, 성별, 전공별 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 실태를 파악했다. C대학 학생들이 생각하는 부족한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노력해야 할 점에 대해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C대학 학생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지방 소재 C대학의 학생 112명의 설문조사와 인터뷰 조사를 통해 사회적 자본 수준과 부족한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 노력해야 할 점을 분석한 결과와 내용을 바탕으로 C대학 학생이 생각하는 사회적 자본 형성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보완과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으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수준을 높여야 한다. 사회적 자본 축적은 사회관계 속에서 형성되므로 대학생이 사회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사회관계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social capital level of C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e lack of social capital for college student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efforts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Methods For this purpose, by conducting a survey (question 17 questions) to measure social capital level for stu-dents at C university in the province, we grasped the actual condition of social capital through the analysis accord-ing to grade, gender, and major.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what C university students think is in-sufficient social capital and what they should strive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and based on this, directions for C university students to make efforts to form social capital were presented. Results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 survey of 112 students from C university located in the province, based on the results and contents of analyzing social capital level, insufficient social capital, and the points to work on social capital accumulation, the direction for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that C university students think was presented. Conclusions In order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aise students' awareness of social capital, to supplement social capital that they think is insufficient, and to raise the level of social capital by constant efforts to accumulate social capital. Since social capital accumulation is formed in social relations, ed-ucation for improving the social relations capacity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as members of society is needed.

      • KCI등재

        사회자본 개념의 도구화와 사회성의 경제화

        임운택(Lim, Woontae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0 사회와 이론 Vol.17 No.-

        이 글은 사회성을 경제성 아래 종속시키는 사회자본 개념의 도구화에 대한 비판을 그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경제(학)의 영향력 아래 도구화된 사회 자본 개념은 개념의 경계를 점차 무너뜨렸다. 따라서 경제성에 사로잡혀 인간의 행동을 탈정치화 내지는 탈사회화시키는 사회자본 연구 경향을 이데올로기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실천적, 정치적 의미에서 해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럼으로써 사회자본이라는 개념 자체가 경제관계의 우위를 암시하고, 사회관계를 경제의 하위적 변수로 취급하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의 배후에는 정책적으로 파산한 주류경제학(신자유주의)이 끊임없이 ‘사회성의 경제화’를 추구함으로써 자신들의 실책을 면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신자유주의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시장행위를 다루고 있는 적지 않은 여타 사회과학자들은 경제학의 용어와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여 경제의 사회화 분석에 매진한다는 점이다. 소위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시장문명’의 보편화 과정 속에서 사회자본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논의가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보호(patronage)와 우정을 구별하지 못하고, 공범과 연대를 구분하지 못한다면, 경제적 행위의 결과를 포함해서 일반적 인 사회관계를 이해하는 일은 더더욱 요원할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적지 않은 사회자본의 옹호론자들은 사회학과 경제학 간의 끊어진 다리를 연결 하기보다는 사회자본의 물신화에 빠져버린 듯하다. This article aims at critique on instrumentalization of the concept social capital, which makes the social conditional upon the economic. Most of all, the concept social capital instrumentaliz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economics/economy breaks up gradually its own boundaries. For that reason, it is necessary, human behavior de-politicizing and de-socializing research trend of social capital captured by the economic to decode, not only on the side of ideology, but also from the practical and political view. Consequently, I will show to what extent social capital itself represents ironically primacy of the economic relationship and increase a tendency, in which regards social relationship as dependent variable of economy. In the background stands intention of the mainstream (neoliberal) economists, who are in the bankruptcy with their policies, but try to find their exit in pursuit of ‘economization of the social’. Nevertheless, many social scientists dealing with market matters would strive for analysing socialization of the economic accepting vocabulary and concepts of the economics. That is the question, how we use social capital in proces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under influence of market civilization. It seems regretfully that many protagonists of social capital would be captured by trap of fetishism of social capital rather than bridging the sociology and economics.

      • KCI등재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그리고 배분적 형평성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지역 수준의 소득불평등을 중심으로

        도수관 대한지방자치학회 202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3 No.1

        이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그리고 양자 간의 상 호작용이 각각 지역 수준의 배분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불평등 측면에서 배분적 형평성 수준을 나타내는 다양한 측정지표들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각 측정지 표에 따라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그리고 양자 간의 상호작용이 각각 지역 수준 의 배분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탐색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였 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차원적인 속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사회자본 변수는 지니계수로 측정된 소득불평등 정도를 완화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은 대체로 지역의 상대소득지수나 지역별 1인당 GRDP 격차로 측정된 소득불평등 수준 완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였 을 경우에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은 대체로 지역의 지니계수나 소득 10분위배율로 측정된 소득불평등 수준 완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자본 의 핵심적인 하위 구성요소들을 보다 세분화하여 일반적 신뢰, 제도적 신뢰, 소극적 사회 네트워크 활동, 적극적 사회 네트워크 활동, 사회규범(시민의식) 변수들을 회귀분석에 활 용하였을 경우 이들 변수들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 변수와의 상호작용 변수들이 지니계수, 상대소득지수, 소득 10분위배율, 지역별 1인당 GRDP 격차로 측정된 지역의 배 분적 형평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배분적 형평성 측정지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이 의미하는 바는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 준 그리고 양자 간의 상호작용 관계가 배분적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는 사회자본 개념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하위구성요소와 다양한 배분적 형평성 측정지표 들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둔 소득불평등 측면뿐만 아니라 향후 배분적 형평성의 다양한 측면들을 고려하여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발휘 수준과의 연계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최근 사회적경제 영역의 확대 속에서 지속가능한 경제발전과 그에 따른 경제적 성과의 형평성 있는 배분 을 위해 사회자본 개념의 긍정적 기능과 역할을 탐색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d interac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on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in the knowledge economy in South Korea. By using various measures of distributional equity such as Gini index, relative income index, 10% income decile ratio, and GRDP per capita gap in terms of income inequality, this study explores the roles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 promoting distributional equity and estimates the impacts of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d interac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on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Results from panel regression (fixed-effect and random-effect) models indicate that multidimensional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measured by Gini index. Empirical results show that social entrepreneurship is contributable to promote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measured by relative income index and GRDP per capita gap. When various interaction terms between core constructs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generalized trust and institutional trust), social network (passive membership and active membership), and civic norm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are included in empirical models, this study shows that the impacts of the interaction terms on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depend on measures of distributional equity such as Gini index, relative income index, 10% income decile ratio, and GRDP per capita ga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new direction for policy that focuses on instruments to promote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Thus, governments of each region need to make efforts to promote social capit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because they can be contributable to promote regional equity of income distribution in the knowledge economy.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various dimensions of regional inequality as well as regional income inequality needs to be considered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and distributional equity in the knowledge economy. Finally, the positive role of social capital in distributional equity needs to be explored in detail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신입회원이 경험하는 스포츠클럽의 사회구조적 장벽: Bourdieu의 자본개념을 중심으로

        권헌수,이종영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6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9 No.4

        이 연구는 부르디외의 자본개념을 활용하여 스포츠클럽에 유입된 신입회원이 경험하는 사회구조적 장벽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스포츠클럽 참가자로 종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야구, 배드민턴, 스쿠버다이빙을 선정하였다. 종목별 임원 1명, 회원 2명씩 총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비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질적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수행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포츠클럽의 신입회원이 겪는 사회구조적 장벽은 사회자본, 경제자본, 문화(체화된)자본, 상징자본 등을 통하여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회자본에 의한 사회구조적 장벽은 축적된 사회관계의 부족과 파트너 선정의 불리함이 있었다. 경제자본에 의한 사회구조적 장벽은 경제적 비용의 부담과 시간투자의 부담이 있었다. 문화(체화된)자본에 의한 사회구조적 장벽은 운동기술의 숙련도 부족과 운동경쟁의 조건 불리함이 있었다. 상징자본에 의한 사회구조적 장벽은 전문성의 부정적 효과가 있었다. 즉 사회자본, 경제자본, 문화(체화된)자본, 상징자본 등과 같은 자본을 통하여 신입회원은 자신이 소유한 자본들이 부족할 경우 스포츠클럽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ocial cultural barriers experiencing by the new member in sports club.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9 members (1 as board member, 2 as old member for each sports club) in 3 sports clubs (baseball club, badminton club and scuba diving club).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on-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The social structural barriers were experienced through the dynamics of social, economic, cultural(embodied) and symbolic capitals among the old and new members of sports clubs. The social cultural barrier concerning with social capital was come from lack of accumulated social relations and disadvantages in selecting playing partners. The social cultural barrier concerning with economic capital was come from economical burden and lack of enough time for participation. The social cultural barrier concerning with cultural(embodied) capital was come from lack of sports skills and disadvantage in competition. And also the social cultural barrier concerning with symbolic capital is the negative professional effect. Consequently, having less social, economic, cultural(embodied) and symbolic capitals made it difficult for new members to keep continuously participating in sport clubs.

      • KCI등재

        취업 여부에 따른 기혼 여성의 사회자본 특성

        이윤주(Yoonjoo Lee),진미정(Meejung Chin)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자본 이론을 적용해서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기혼 여성의 사회자본을 알아보는 것이다. 만 5세 이하의 자녀를 둔 취업 여성 284명, 비취업 여성 287명에게 수집한 자료로 이들의 사회자본 특성과 취업 여부에 따른 차이, 그리고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기혼 여성의 사회관계망은 취업 여부에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취업 여부에 따라서 이들이 접근할 수 있는 사회자본에는 차이가 없었던 반면, 경제적 지원과 돌봄 지원을 위해서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은 취업한 여성에게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 변수는 돌봄 지원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을 유의하게 예측했으며, 사회관계망 관련 변수들의 영향은 기혼 여성이 동원하고자 하는 사회자본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취업과 자녀 양육에 대한 기혼 여성의 선택이 돌봄 지원을 위해 동원할 수 있는 사회자본에 반영됨을 시사한다. 또한 기혼 여성의 친족 관계의 중요성과 사회자본을 형성하기 위한 지원방안이 논의되었다.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accessed and mobilized social capital of married women with young childre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social capital in terms of their employment status. Factors related to accessed and mobilized social capital a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are 571 married women (284 employed and 287 unemployed) who have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old. Their networks are revealed to show different composition and resourc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pective employment statu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in accessing social capital depending on the employment status. However, working women are capable of mobilizing more social capital for economic resources and child-care assistance than non-working women. The employment status is significant only in mobilizing social capital related to child-caring assistance. The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social networks of married women differ according to the types of resources sought for. The choices of married women on the employment status and child-rearing are observed in the findings of the ability to mobilize social capital for child-care assistance. The importance of kin ties and various social services for building social capital are discussed.

      • KCI등재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 논의의 비판적 탐색

        정혜령(Jung, Hye Ry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의 의미를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의 한계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의 한계를 검토하여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 논의의 질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Bourdieu, Coleman, Putnam의 논의를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 개념의 전개양상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평생교육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의 의의를 도출하였다. 즉,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은 인적자본론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의 통합적 발전을 강조하고 시민의 중요성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자본 개념은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간과하고 있고, 순환논리의 오류에 직면해 있으며, 시민의 주체성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는 측면에서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평생교육이 이러한 한계를 면밀히 검토하지 않을 경우 사회불평등 재생산 기제로, 사회통제 장치로, 주체적인 참여의 내용과 과정을 간과하고 피상적인 시민참여 행동만을 강조하는 평생교육으로 기능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평생교육의 근본 목적과 사회적 맥락과 과정에 초점을 두어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 논의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ritically the approach to social capital in lifelong education. For doing this, examining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nalyzed by Borudies, Coleman, and Putnam,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s of social capital in human capital, emphasizes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social inclusion, and makes pay attention to citizenship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However, the dominant discourse of social capital has limitations in terms of overlooking unequal power relationships in the existing society, focusing only on consent for social inclusion, and not paying attention to civic subjectivity. Scholars and policy maker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have not note the limitations of social capital. That could lead that lifelong education for increasing social capital play the role as a important instrument in reproducing unequal power relationships and controlling the existing society. This study concludes that social capital in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explored critically and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fundamental purpose of lifelong education, the understanding of power relationships, and the dynamic proces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long education.

      • 건강한 노후의 영향 요인 분석: 사회자본의 다층모델(Multilevel Modeling) 적용

        어유경,김인태,홍석호,김순은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6 No.2

        사회자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노년기의 건강한 생활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게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한 노후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함이며, 다층모델 접근법(Multilevel Modeling Approach)을 적용하여 사회자본을 수준별(개인수준의 사회자본과 지역수준의 사회자본)로 나누었다. 또한 사회자본을 개인과 지역수준의 신뢰, 네트워크, 그리고 참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은 노인 개인이 신뢰, 네트워크, 참여에 대한 인식 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32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65세 이상 노인 1,0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노인문제와 지역 사회자본 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의 경우, 32개 기초지방 자치단체가 속한 지역의 이혼율 및 활동자원봉사자 수(신뢰), 다양한 결사체의 수(네트워크), 지방선거 투표율 및 정보공개 청구율(참여) 등의 변수를 통해 측정하였다. 이 밖에도, 개인수준(성별, 나이, 교육 등)과 지역수준(인구 규모, 재정자립도, 빈곤율 등)의 통제변수들을 분석모형에 포함시켰다. 연구 결과,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으로 신뢰, 네트워크, 참여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높았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의 경우, 이혼율이 낮을수록, 지방선거 투표율이 낮을수록, 노동조합의 수가 적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높았으나, 활동자원봉사자가 많을수록, 전문가 단체의 수가 많을수록, 정보공개청구율이 높을수록 노인 주관적 건강 수준이 높았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자본을 통해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간의 관계분석: 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중심으로

        김지훈 ( Ji Hoon Kim ),강욱모 ( Wook Mo Kang ),문수열 ( Su Youl Mu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3 사회복지정책 Vol.40 No.3

        본 연구는 1차년도 한국복지패널을 이용하여 베이비부머 2,269명을 대상으로 그들 자신의 삶의 질을 매개로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베이비부머 자신들이 사회적 자본 형성 주체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자 이행되었다. 연구방법은 AMOS 7.0 버전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분석한 후, 이러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Sobel(1982)검증 중 Baron과 Kenny(1986)에 의해 이용된 Aroian 검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은 삶의 질에 정적 상관을 보이는 동시에 긍정적인 삶의 질 또한 사회적 자본 형성에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은 사회적 자본 형성에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은 자신들이 경험한 삶의 질을 매개로 사회적 자본 형성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베이비부머들이 사회적 자본 형성 주체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연구에서 고려할 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ocial capital cognition and social capital formation are affected by life satisfaction among the baby boomers and then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baby boomers doing a role as the subjects in building the social capital. The subject were 2,269 baby boomers who were selected in the First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AMOS 7.0 in order to produ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y were also analyzed with an Aroian test to measure mediating effec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cogni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nd also positive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apital formation. Second, social capital cogni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apital formation. That is, baby boomers can do a role as the subjects in building the social capital by revealing that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cognition on social capital formation mediated by life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among this population. Finall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end by considering limitations of this study well a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

      • 사회자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인자,이희선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0 No.4

        본 연구는 교육성과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을 살펴보려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사교육의 매개효과 및 그들의 상대적 중요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9년 5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서울시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 사회자본의 구조와 과정, 학교 사회자본의 과정 및 지역 사회자본의 과정변수만 직 간접적으로 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성과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상대적 기여도는 가족사회자본의 과정(β=.238), 지역 사회자본의 과정(β=.209), 가족 사회자본의 구조(β=.206), 학교 사회자본의 과정(β=.130), 학교 사회자본의 구조(β=-.012)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은 교육성과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가족 사회자본의 구조와 과정, 학교 사회자본의 과정 및 지역 사회자본의 과정변수들과 결합되었을 때, 교육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소년들의 교육성과 향상에 있어서 일시적인 사교육비 투자보다 사회자본이라는 사회전반의 교육환경의 개선에 의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과 교육개혁 및 교육복지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 시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 사회자본 축적의 중요성 및 그들 간의 협력의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자본과 건강한 노후 -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을 활용한 사회자본의 영향 분석 -

        어유경 ( Yugyeong Eo ),김인태 ( Intae Kim ),홍석호 ( Seokho Hong ),김순은 ( Soon Eun Kim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한 노후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층모형 접근법(Multilevel Modeling)을 적용하여 사회자본을 개인 및 지역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결속적 사회자본과 가교적 사회자본의 개념을 적용하여 노인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은 노인 개인의 신뢰, 네트워크, 참여에 대한 인식 수준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32개 기초지방정부 내 65세 이상 노인 1,0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을 활용하였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은 지역별 신뢰 평균, 다양한 결사체의 수, 지방선거 투표율 등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수준의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높았다. 지역 수준의 사회자본의 경우, 일반화된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종교단체, 자원봉사단체, 정치단체, 산업 및 전문가 단체의 수가 많을수록, 정보공개청구율이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높았다. 반면 지역주민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시민운동단체 및 노동조합의 수가 많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낮았다. 요컨대 노인과의 긍정적인 관계에 기반을 둔 사회자본은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켰으나, 노인과 관계가 없는 사회자본은 노인의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오히려 악영향을 미쳤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자본을 통해 노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healthy aging of the elderly. Multilevel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social capital at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Also, we applied the concepts of `bon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to explain the theoretical impact of local social capital on the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Individual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 elderly person`s perception of trust, networks, and participation. For this purpose, a survey conducted on 1,060 persons over 65 years old in 32 provincial governments was used. Local-level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 average level of trust among local residents, number of various associations, local election turnout and so on. 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individual social capital were linked to a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the elderly. However, results were mixed regarding the impact of local social capital. Higher generalized levels of trust, greater numbers of religious, volunteer, political, industry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higher information disclosure application rates were linked to a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higher levels of trust among local residents and greater numbers of civil movement organizations and labor unions were linked to a lower subjective health level for the elderly. These results imply that social capital can promote healthy aging if it is based o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 but that it may have insignificant or adverse effects if it is not related to the elderly. Based on this analysis, policy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elderly through social ca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