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 이후 한국 상례 변화와 사회문화적 의미

        양순미(Soon Mi Yang),유일상(Il Sang You) 한국가족학회 2017 가족과 문화 Vol.29 No.1

        일반적으로 관혼상제 의례 중 상례는 변화에 보수적이어서 전통적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고 여기기 쉽다. 하지만 상례는 혼례와 더불어 현대사회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를 경험한 통과의례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한국 상례(喪禮) 변화 유인 요인을 제도 및 사회문화 차원에서 검토하고, 실제 상례 변화 양상을 유인하는 제도의 실효성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색ㆍ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석주의 사회과학적 관점과 삼각검증을 적용하여 해방 이후의 연구논문, 각종 보고서, 신문보도자료 등 다양한 문헌자료를 종단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해방 이후 한국 상례는 제도와 사회문화적 환경이 바뀜에 따라 장법이 매장에서 화장으로 변화하고, 음식접대 관행 및 상복 변화하고 상일장이 정착하는 등 의례 절차가 간소화하였으며, 장례식장, 장례전문지도사, 상조회사가 등장하는 등 상례산업화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유인하는데 있어서 제도는 관습의 테두리를 변형할 만큼 현실적ㆍ실용적이지 못하거나,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에 의해 새로운 제도가 만들어지거나, 시대 현실을 반영하지 않고 지나치게 앞서서 시행되어 사회문화적 여건이 부합되는 시점에 이르러 수십 년의 세월이 소요된 다음에야 실효성을 갖게 되는 한계를 드러냈다. 결론적으로 의례의 변화는 제도 그 자체가 아니라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 가치의식체계의 변화를 수반하며 자생적으로 생겨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의례와 관련된 제도 개발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Generally, funeral rites are considered so conservative against social changes that remain as traditional forms. But funeral rites have experienced dramatic changes in their forms and meanings with modernization of Korea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nges of funeral rites in Korea according to changes of legalistic institutions and sociocultural factors since the Liberation, and to demonstrate the way of people’s ritual practice. The research conducted in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ve science and way of triangulation verification, and analyzed longitudinally. By the result of research, modern funeral rites changed its forms with socio-cultural change as follows: firstly, the mode of funeral and cremation system changed from burial into cremation. Secondly, the procedures of funeral rituals were simplified with settlement of cremation on the third day after death and the transition of mourning dress from traditional style to western style. Thirdly, funeral rites are industrialized with the appearance of funeral halls, funeral directors, and funeral service companies. Even though legalistic institutions were made by the change of socio-cultural background, they were not flexible enough to transform the custom of ritual. Because legalistic institutions were acted ahead of times not reflecting social realities, they could become effective a few decades later when socio-cultural environment factors coincide. To conclude, ritual changes autonomically accompanying not legalistic institutions, but socio-cultural environment factors and value system. In the wake of the study result, some improvement plans of legalistic institution on funeral rites were suggested.

      • KCI등재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동

        박은정(Park, Eun-Jung) 한국근대문학회 2016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전시(戰時) 후방 사회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작품은 박경리의 파시와 이호철의 『소시민』이다. 이 두 작가는 한국전쟁 직후에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전후작가로 그들의 작품 세계가 한국전쟁과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1950년대에 각각 전쟁으로 가장이 된 여성과 실향민이라는 개인적인 문제를 중심으로 단편소설을 발표하였다. 1960년대에는 장편소설을 통해 개인적인 문제에서 벗어나 사회 전반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또한 1960년대 장편소설에서는 단편소설에서 담아내기 어려웠던 등장인물들의 생활상이 제시된다. 두 작품은 한국전쟁 당시 후방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어, 이 작품을 통해 그 시대상을 포착할 수 있다. 두 작가가 작품을 통해 의도적으로 부산 등의 후방 도시를 그려내려고 한 것은 아니지만, 이들 작품들을 통해 드러나는 부산의 생활상은 전쟁 이전 시대의 사회상과의 차별성을 찾아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쟁 이후의 시기인 1960년대 서울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가 이미 전시 후방 사회였던 부산에서 경험되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전쟁 당시 부산의 모습을 살핀다. 부산은 한국 전쟁 당시 인적․물적 자원이 집합된 곳으로 전쟁 중임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풍요롭고 활기차게 보이는 곳이다. 전쟁으로 인해 사람과 물자가 모여든 부산이 전쟁의 수혜지로 어떻게 비춰지고 인식되는지는 살피는 것이다. 다음으로 전쟁 수혜지에서 유통되고 소비되는 물자들로 인해 당시의 후방 경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핀다. 전시 후방 사회는 급격한 경제 변화로 부의 재편성이 일어났다. 기존의 부유층은 그대로 부를 유지하고 생활하기도 했지만, 전쟁으로 삶의 터전을 잃고 한순간에 몰락의 길을 걷기도 했으며, 전쟁이라는 혼란기를 이용하여 신흥 부유층으로 등장하는 사람도 생겨났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이런 부의 재편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살피는 것은 타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양상이다. 한국전쟁은 한국사회에 경제적 변화만 이끌어낸 것이 아니다. 전쟁 당시 한국은 미국의 경제적 영향력 아래에 있었고, 이와 함께 한국 사회에 미국 문화의 영향도 크게 자리 잡고 있었다. 갑작스러운 이질문화의 수용은 한국인들에게 많은 변화를 이끌어냈는데, 본 연구에서 문화의 수용에 따른 사회 변화 또한 살핀다. 이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혼란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불법과 부조리를 통해 신흥 부유층이 등장하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또한 외국문화의 수용과 함께 당시 사람들, 특히 여성들의 성인식 변화를 살필 수 있는데, 이는 아프레 걸과 기존의 성 역할 인식에 도전하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당시 성 인식의 변화는 기존 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질서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변화를 통해 한국전쟁 당시 부산 사회가 전후 한국사회의 변화를 앞서 보여주는 곳이었음 알 수 있다. 『파시』와 『소시민』은 전쟁이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전쟁 당시 후방에서의 사회변화를 제시함으로써 다른 소설들과의 차별성을 가진다. 이로써 한국전쟁 소설의 폭을 광범위하게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사회 교과서 속 다문화 관련 내용 분석 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설규주 ( Seol Kyuj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2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사회 교과서 속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이 어떠한 양상과 맥락으로 기술되어 있는지 그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8년에 보급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통합사회>, 고등학교 <사회·문화> 교과서 총 14권을 분석하였다.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을 다룰 때 사회 변동의 인식틀을 주로 활용한다는 점을 착안하여, 기본 적으로는 그 틀에 따르면서 교육적 측면도 고려하는 방식으로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다문화 사회의 정의, 다문화적 변화의 배경과 요인, 다문화적 변화의 긍정적/부정적 측면, 다문화적 변화에 대한 대응, 다문화 관련 내용 기술의 적절성 등을 준거로 활용하여 각 교과서의 내용과 서술 방식을 기술, 분류하고 연관성을 파악한 후 그에 대한 해석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발견하였다. 첫째,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이 함께 사는 사회’라는 다문화 사회의 정의 속에 중립적인 의미와 규범적인 의미가 두루 담겨 있었는데 이중 일부는 다문화 사회의 현실적 특성과 상충되는 측면이 있었다. 둘째, 다문화 사회의 배경으로는 세계화가, 한국 사회의 다문화적 변화 요인으로는 취업, 결혼, 유학, 탈북 등이 주로 제시되어 있는데 객관적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 셋째, 다문화 사회 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모두 제시되어 있었는데 두 측면의 관계에 대한 기술은 미흡했고 전반적으로 추상적인 진술이 많이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사회에 대한 대응 방안은 의식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이 모두 제시되어 있는데 역시 추상적인 내용이 많은 편이었다. 다섯째, 일부 다문화 사회 구성원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을 형성할 소지가 있는 표현이 사용되었다. 향후 사회 교과서 개발을 위한 몇 가지 사항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변동이나 문화 등과 같은 사회과학적 인식틀과 사회과교육적 처방이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 관련 내용의 정합성을 더욱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 사회의 긍정적 측면, 부정적 측면을 보다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묘사해야 한다. 넷째, 다 문화 사회에 대한 대응 노력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왜곡이나 편견이 발생하지 않도록 표현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topic of multicultural change is described in social studies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is purpose, 14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analyzed. The analysis criteria are such as the defini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backgrounds and factors of multicultural change, the goods and bads of multicultural change, the correspondence to multicultural change, the appropriateness of description of multicultural change, which mainly come from the epistemological frame of social change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s of multicultural society deliver both neutral and normative meanings, some of which do not reflex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globalization is the background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foreign workers,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international stude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are the factors of multicultural change in Korea. Some of the details are inconsistent with the facts. Third,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cover bot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ulticultural change, but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is not described enough. Fourth, the improvement of both attitude and policies are emphasized to cope with multicultural change, but the description of it is abstract overall. Fifth, some words or expressions in the textbooks can arouse negative stereotypes on certain members in multicultural society. These are several suggestions for better social studies textbooks when it comes to the theme of multicultural change. First, epistemological frames of social science and normative countermeasures of social studies should keep balance with each other in textbooks. Second, content element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should be more coherent in describing the multicultural change. Third, it is necessary that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hould be included. Fourth, the efforts to cope with the multicultural change should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Fifth, more attention must be paid to avoid the expressions that can possibly bring about stereotypes on the multicultural members.

      • KCI등재

        사회 지속성에 대한 이해 - 한반도 청동기시대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

        이희진 호서고고학회 2022 호서고고학 Vol.- No.52

        One of the cardinal global issues of our time is to ferret out determinants of sustainability of human society. Archaeology has long identified and addressed endogenous and exogenous variables and mechanisms which are keys to elucidating continuity and termination of past societies. This critical review addresses a brief overview of some major theoretical constructs – overshoot, diminishing marginal returns and resilience theory – as they are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discourses. Their applicability in archaeological research settings and limitations thereof are also discussed. A rigorous review of the research on the demise of the Bronze Age sub-periods in Korean peninsula reveals that the related research is scarce except for studies considering climate change as the main variable. Paleo-environmental and climatic reconstruction at an enhanced higher resolution show it is not easy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limatic conditions and the social changes through Bronze Age. In order to lucidly articulate and delineate emergence and decline of Bronze Age sub-period cultures and societies, environmental, social and cultural resilience must be reconsidered. In particular, the role of rice agriculture played in the contexts of social complexity and economic systems ought to be reexamined and reassessed. Ultimately, it is suggested that employing a heuristic model would contribute to heightening our present understanding of the diversified developments and demise of the Bronze Age cultures. 무엇이 사회를 지속 혹은 단속시키는 가는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해 고고학계에서는 과거 문화의 지속과 단속을 불러오는 사회 내부 메카니즘에 관한 논의가 있어왔다. 대체적으로 경제학적 논리 하에, 그리고 환경 및 기후변화를 내·외적주요변수로 두고 과거 사회의 소멸의 원인과 과정이 연구되었고, 이에 붕괴학(collapsology)이라고 불릴 정도로 집중적 탐구가 이루어지는 분야로 성장하였다. 본고에서는 지속성과 관련하여 학사적 맥락에서 주요 논의들-오버슛, 한계 수익 체감의 법칙 및 복원력 이론-을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고고학 자료를 해석하는데 있어 이들의유용성과 한계 및 최근의 응용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같은 시각에 기반하여 한반도의 청동기시대 분기별 문화의 쇠퇴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물질문화 변화상에 대한 풍부한 연구에 비해 문화쇠퇴의 원인과 과정에 대한 논의는 그다지 활성화 되지 않은 편으로, 변인으로는 자원의 소모나 기후 변화 등이 지목되어 왔다. 최근 들어기후 변화에 대한 정밀한 자료가 축적되고 있지만 기후 변화만으로몇 가지 주요 문화적 변곡점(전기 문화의 교체(변환), 중기 송국리 문화의 발생 확산과 쇠퇴)을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다루기 위한 이론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한편, 이 시기 도작문화의 경제, 사회적 의미, 사회복합화 정도, 사회적·문화적 복원력 등에 대한 연구가 장려될 필요가 있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청동기시대 문화의 지속와 단속에 이르게 된 과정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진성리더십이 사회복지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조직변화몰입과 조직변화저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은희(Kim, Eunhee),유영미(Yoo, Youngmi)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변화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은 사회복지조직의 유연한 조직문화 형성이라 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의 진정성과 변화를 받아들이는 구성원들의 태도를 중심으로 조직 내부의 변화관리 요소를 살펴보았다. 진성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구성원들의 조직변화몰입과 저항태도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산・경남 소재의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종사자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2.0과 Process macro 3.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중매개효과 검증의 주요 결과는 첫째, 진성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유연성을 지향하는 집단・개발문화의 수준이 높아졌다. 둘째, 구성원들의 태도 매개효과는 조직변화몰입태도는 진성리더십과 집단문화 사이에 정적인 효과를, 조직변화저항태도는 진성리더십과 위계문화 사이에 부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복지조직이 변화를 위한 유연한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리더의 진성리더십 개발과 구성원의 변화에 대한 태도를 고려한 조직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hange management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rough organizational culture, authentic leadership, and attitude toward chang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chief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ommitment and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attitude in this relationship. For analysis, SPSS 22.0 and PROCESS macro v3.1 was used.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ocial welf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 According to multipl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level of authentic leadership, the higher the level of group and development culture that is flexible. Second, the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hange of the social worker have a static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authentic leadership and the group culture. And the social worker’s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had a negative mediating effect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hierarchical culture. This implies that authentic leadership increases commitment attitudes and decreases the resistance attitude for the organizational change of the social worker.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suggests that the level of group culture can be raised and the level of hierarchical culture can be lowered. This study sugges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that takes into account the attitude of the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and change of social workers.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민용성,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총론 문서상에 제시된 다문화 내용 요소를 분석한 후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으로 하나의 체제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교육과정 각 구성 요소별로 지향해야 할 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즉, 정체성과 다양성 있는 목표 구성, 소수 인종과 문화 집단의 총체적 관점이 포함된 내용 선정, 교과 및 교과 외 활동을 통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기회를 통합적인 방법으로 제공, 목표, 내용 및 방법 등과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네 가지 요소를 하나의 체제로 연결할 수 있는 인적․물적 지원도 개발 방향의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은 일부 소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뿐만 아니라 내용, 방법, 평가 그리고 기타 인적․물적 지원까지도 다문화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체제와 방향으로 구성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은 즉흥적이고 일시적인 필요에 의한 프로그램 제공이 아니라 체계적인 틀을 갖춘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향후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atching up to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which relat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searched the changes from school-based curriculum in the present. Also analyzed the multicultural contents element which is presented in 7th and 2007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The result for the search of th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 Fir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preferentially aimed at purposing not only identity of the minority race but diversity of culture. Second, reasonable and various contents which contain general perspectives of the minority and cultural community should be selected. Thirdly, to provide selected contents efficiently, equal opportunity should be given through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and utilize only the integration methods. Fourth, in evaluating aims, contents and methods should be consistent and systematic. Lastly, this process can provide the ground for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positive through only the correlation and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presented as follows : First,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for not a minority but all the various and different students. Second,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constituted toward the system and direction for realization of multi-education for not only aims, contents, methods, evaluations but various personal and material support. Thirdly, contents presented by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not provide an extemporaneous composed program but be developed to the direction with systematic struc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current and significant points to draw the pla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ey Words : multicultural society,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atic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Cultural Adjustment of Retail Services to Social Norms of the Corona Pandemic in the Mongolia

        Tungalag Jargalsaikhan,Otgonsaikhan Nyamdaa,Munkh-Erdene Tuvshintugs,Munkhbayasgalan Ganbold 한국글로벌문화학회 2021 글로벌문화연구 Vol.12 No.2

        전 세계적으로 비대면 시대 상황에 따른 다양한 사회 경제적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사회 각 분야의 업무는 신속하고 직접적으로 전자전환에 적응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가 ‘Corona 팬더믹’을 선포한 이후, 2020-2021년까지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통행금지 및 질병통제 조치를 부과하여 많은 사회 문화적 활동이 축소되는 반면에, 많은 거래가 e-transaction으로 전환되는 등 비대면 시대에서 몽골은 전국적으로 사회와 문화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Corona 팬더믹의 영향으로 몽골의 사회 및 문화적 변화와 몽골 대외거래 부문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소매업체의 거래문화와 운영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팬더믹에 따른 비대면시대로의 전환이 몽골의 사회, 경제, 문화적 측면에서 변화수준을 계량적으로 확인하였다. 몽골정부는 자체 사회문화적 규모와 경제 정책을 수정하고, 코로나 펜더믹 기간 동안 임시 법 및 규정을 제정했다. 본 연구는 새로운 프레임 워크 내에서 정부의 기업과 시민을 위해 일정량의 재정 지원과 문화지원 조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사회공간의 폐쇄기간 동안 몽골정부는 시민의 사회 문화적 적응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하여 소프트론 정책 및 금리 할인과 같은 재정 지원을 확대를 적정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Globally, socio-cultural change was made due to Corona pandemic. Everything is moving very fast to the electronic transition. As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named it a pandemic, by 2020-2021, many countries worldwide have repeatedly imposed curfews and disease control measures, which has reduced the profits of many businesses and affected them to close their doors. At the same time, many companies have switched to e-transition. This study is objected to examine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Mongolia under the influence of Covid and the situation of retailer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Mongolia"s trade sector, and how their operations are transitioning electronically. We imagine that this transition will show how Mongolia"s socio-economic culture is changing. As each country defined its own political and economic policies, temporary regulations and laws were enacted during the Covid period. Within this framework, governments implemented a certain amount of financial aid and some supportive measures for their businesses and citizen. Mongolia also provides financial assistance such as soft loan policies and interest rate concessions for businesses during a lockdown. All of them are bringing many changes to the country"s society and economy.

      • KCI등재

        Lortie의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재조명 : 학교 변화 사례를 중심으로

        정바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Lortie(1975)의 기념비적인 저작인 ‘교직사회’를 변화의 관점에서 재음미해 보려는 탐색적 시도이다. 본 연구는 Lortie가 ‘교직사회’에서 시사한 변화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통해 그 변화 실행 이론을 심화, 발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질적 사례연구 기법을 통해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약 10여년에 걸쳐 자생적으로 학교 변화를 이룬 한 초등학교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주의, 보수주의, 그리고 현재주의의 극복을 통해 학교 변화와 학교 개선이 가능하다는 Lortie의 변화 가설을 지지해주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기술-기능주의적 관점에 기반한 학교 변화 접근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간 간과되어 온 정치적, 사회적 측면에도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재문화화를 학교 변화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 그 변화 실행 전략의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This study revisits Lortie's 'School teacher: A sociological study' in terms of a school change case.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examine the change thesis Lortie indicates in his classic School teacher and contribute to much needed theory building around school change under his legacy. The data came from a qualitative case study tracing of a school change over a decade since 2001. In consistent with the change thesis Lortie (1975) implies, the results show that school can become transformed by breaking the unholy trinity of presentism, individualism, and conservatism (See also, Hargreaves, 2010; Hargreaves & Shirley, 2009b).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by overcoming the technically-driven interpretation of conservatism and incorporating the political and social meanings embedded in it more democratic and sustainable forms of school change can be more likely attained.

      • 문화를 통한 사회복지실천 경향 분석

        신상수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이론을 통해 문화와 사회복지의 역동성을 찾고, 사회변화에 따른 사회복지 영역의 다양화를 함축하여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트렌드를 구축하는데 있다. 또한 불확실성의 현대사회에서 개인과 사회의 융합적 시대적 소명을 이루고자 하였다. 그동안 사 회복지실천의 궁극적 목표를 가치의 실현에 두고 지식과 기술을 터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가치기준의 사회학적 의미와 개인의 경험적 검증에 따른 과학적 기술, 도덕적․ 시민사회에 대한 헌신이 요구된다. 이러한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트렌드 구축은 문화와 사회복지의 역학관계를 인본주의 심리학과 사회학을 토대로 개인적 성향인 자기절제나 내적의지의 표현인 예술과 도덕, 윤리 등 감정영역의 확대에서 찾아야 한다. 특히 사회복지실천에서 문화적 차이를 엿볼 수 있는 칼 로저스의 개인적인 경험과 관점 즉 개인 간 의사소통의 기술이 중요하다고 보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정확하고 정직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구조로부터 많은 종류의 책임, 요구, 의무 따위들이 부과되면서 합리적 행위자 (Rational agents)에게 욕구 외적 이유의 문제 해결이 대두된다. 그리고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이 인과적으로 충분한 조건이 미리 결정된 것은 아니고 작용 공간 혹은 여지를 상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유의지가 전제되지 않고는 삶의 영위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능동적인 행동이 요구되는 어떤 경우에서도 자유의지는 전제되어야 하며 의식의 구조상 자유의지를 상정하지 않을 수도 없는 것이다. 결국 자유의지와 경험성의 차이에서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트렌드는 칼 로저스(C. R. Rogers)와 아브라함 매슬로우(A. H. Maslow)의 인본주의적 존재의 심리학에서 마틴 셀리그만 (M. E. P. Seligman)의 실존주의적 긍정심리학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역시 사회적 측면에서도 사회는 우리가 인정하는 한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성격의 것임에도 불구하고 인간사회의 제도적 장치는 집단 지향성 능력이며 고유의 문화적 활동인 것이다. 이 시대 진정한 사회복지실천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망라하여 사실로부터 당위를 이 끌어 낼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고 도덕과 윤리가 합리적으로 실현되는 장이다. 평균윤리라 할 수 있는데 일상적 삶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윤리적 목표가 고상하고 의지가 강한 사람으로 변화는 것이다. 이것이 달성되어야 원칙적 명령과 요구를 의미하는 개인의 존재와 사회의 지표가 되는 준거점이 정립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a new trend of social work practice by seeking dynamics in culture and social welfare through a culture theory and connoting diversification in social welfare area according to a social change. Also, the aim was to accomplish a convergence-based periodic mission in an individual and society in modern society with uncertainty. An ultimate goal of social work practice was put on the realization of value and has focused on acquiring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meantime. On the other hand, a devotion to scientific technology and ethical․civil society is demanded now according to the sociological sense in the value criterion and to an individual's empirical verification. In terms of implementing a new trend of this social work practice, the dynamics between culture and social welfare should be sought in the expansion of the emotional spectrum such as self-discipline, which is individual propensity, or as morality․ethics, art, which correspond to the expression of an internal will based on humanistic psychology and sociology. Especially, it is what delivers own emotion and thought accurately and honestly with regarding Carl Rogers's individual experience and perspective, which can be observed a cultural difference in the social work practice, namely, an individual-based communication skill as important. However, problem-solving is emerged about an external reason of a desire in rational agents with being imposed many kinds of responsibility, need, obligation and others from the social structure. And our all behaviors are not those that were previously determined a causally enough condition, but need to be proposed the functional space or room. That is because managing life is impossible without being premised a free will. Even in any case of being requested an active behavior, a free will need to be premised. In light of a structure of consciousness, a free will cannot help being proposed. Ultimately in a difference between a free will and experientiality, a new trend of social work practice needs to be changed into the existential positive psychology by M. E. P. Seligman from the humanistic existential psychology by C. R. Rogers and A. H. Maslow. Even in the social aspect, society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exist just as far as we recognize. Nevertheless, there is a need to realize that an institutional device in society is the group-oriented ability and the peculiarly cultural activity. The true social work practice in this era can be said to be a place of implementing the foundation available for drawing the appropriateness from a fact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of being rationally realized morality and ethics. Making a suggestion, it can be mentioned to be the average ethics and is what changes into a person who satisfies a demand of daily life, whose ethical goal is noble, and whose will is strong. Only when this is achieved, the standard point will be established that becomes an indicator of an individual's existence and of society implying a principle-based command.

      • KCI등재

        한국어의 변화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민현식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2

        광복 70돌을 맞아 한국어의 변화를 사회문화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언어변화는 좋은 것도 아니고 나쁜 것도 아니다. 문법 규칙에는 규범적 처방규칙과 설명적 기술 규칙이 있다. 전자만 옳다고 할 수는 없다. 변이형이 규범에 어긋나더라도 변이형이 대세로 자리잡았으면 다수형의 논리를 추인하여 개신형으로 인정하고 가르쳐야 한다. 한국어는 위기 상태로 한국어의 변화는 사회경제의 변화와 밀접하다. 도시화와 산업구조의 변화와 방언 소멸의 위기, 저출산과 핵가족 사회와 언어전승의 위기, 대중문화의 확산과 언어 비속화의 위기, 세대 차이의 심화와 세대간 언어불통의 위기, 남북 갈등과 언어 이질화의 위기, 외국어 범람의 위기 등을 겪고 있어 국어대각성을 위한 국어정비운동이 절실하다. 광복 70년 동안 한국어 시대어의 변화는 시대상의 변천을 보여 준다. 아울러 발음, 형태, 통사, 의미 차원의 언어변화도 상당히 나타났다. ㅐ 와 ㅔ의 혼동, 된소리의 확산, 복수 표준형 인정 문제, 형용사 기원법설정(건강하세요, 행복하세요) 필요, 애 불규칙(해, 바래) 설정 문제, 과잉 높임법(나가실게요) 범람 등은 규범의 보전과 개정의 갈등에서처방 규칙과 기술 규칙의 두 축을 조화롭게 제시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21세기 한국어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현실언어를 기반으로 규범적처방문법과 설명적 기술문법이 융합된 국제표준문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In the time of the 70th anniversary of the restoration of national independence, a sociocultural approach to the change of the Korean language is necessary. There are normative prescriptive rules and expository descriptive rules in the grammar rules. It is not proper to say that the normal descriptive rules are always right; if the variants are settled as a general trend, although the variants are against the norms, reformed variants should be acknowledged and taught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of the evidence of the majority type and its logic. The Korean language is in a state of crisis. The change of the Korean language is closely connected with socioeconomic changes. Language changes in the level of pronunciation, form, syntax, and meaning have occurred considerably. In the problems of confusion between ㅐ and ㅔ, proliferation of fortes, acceptance of plural standard forms, setting of the adjective optative and irregular ‘-ㅐ’, and overuse of honorification, the efforts to present prescriptive rules and descriptive rules harmoniously in the conflict between the maintenance of the norms and the modification of the n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