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사용 음성워드프로세서를 위한 사용성 평가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임철일,박태정,최소영,홍원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No.4

        사용성은 사용자가 어떤 제품을 사용하여 사용 목적을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달성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사용성 평가는 이를 확인하는 절차로 사용자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이의 결과를 제품의 개선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성 평가는 특정 제품과 사용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평가 요소와 기준, 절차, 방법이 최적화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용 음성인식 워드프로세서의 사용성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성 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와 음성인식 소프트웨어의 특징에 대한 분석을 기초로 사용성 평가 초기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방법론은 사용성 평가 방법 전문가 5인에게 평가요소와 기준, 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한 타당도를 받아 수정되었다. 수정된 방법론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 5인에게 타당성과 현장 사용 적합성을 검토 받아 이를 바탕으로 최종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최종 방법론의 평가 요소는 효과성, 만족도, 접근성으로 구성되며 평가 절차인 ‘계획, 준비, 실행, 분석 및 종합’은 단선적인 형태가 아닌 순환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다. 향후 개발될 장애인용 음성인식 워드프로세서의 사용성 평가 과정에 적용하여 개선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현장 적용을 높여줄 평가 방법을 안내하는 구체적인 매뉴얼과 샘플의 개발이 요구된다. Usability means ‘the extent to which specified users can use a certain product to accomplish their usage goals easily, quickly and conveniently’. As a dynamic process of affirming the usability, usability testing aims to evaluate the user’s usabil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based upon the evaluation results. In accordance with a particular product and specific users, usability testing should be optimized in terms of its evaluation factors, criteria, methods, and procedures.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 usability testing methodology for a speech recognition word processor for the physically disabled, especially those who cannot move arms and leg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irst methodology for usability testing was developed by reviewing the previous literature on usability testing and analyzing speech recognition softwares. The first usability testing ethodology was revised by five experts’validation reviews on its evaluation factors, criteria, methods, and procedures. The revised second methodology was examined by five software developers on its validation and field application. On the basis of their review results, the final methodology was suggested. The evaluation factors included in the final usability testing methodology are effectiveness, atisfaction and accessibility. As a key concept of Universal Design, the accessibility which is divided into operability, understandability, and robust technologies means free access for everyone including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Additionally, the evaluation procedure which is not linear but recursive and repetitive consists of four stages, namely planning, planning, preparing, implementing and analyzing & synthesizing. Future works can be made to apply this methodology to a prototype for the speech recognition word processor and find out its improvements.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specific manuals with authentic samples which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ts field application.

      • 인지기능 기반 사용성 평가 항목개발 연구

        김영근 ( Kim¸ Young-geu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20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9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사용성 평가를 위하여 인지 중심의 사용성 평가 핵심지표를 도출하고 인지기능 기반 사용성 평가 항목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간 인지특성, 사용성 원리, 사용성 평가 관련 최근 문헌을 탐색하고 분석·종합하였다. 1단계에서는 8가지 영역(인지기능, 지각기능, Norman의 설계원리, 유니버설 디자인원리, 시스템 유저빌리티척도, Nielson의 사용성 차원, 사용성 평가 임상 연구, 수행 측정 데이터)으로 범주를 나누어 문헌을 조사하였다. 2단계에서는 조사한 문헌에서 사용성 핵심요소를 추출하였으며, 3단계에서는 인지차원의 사용성 평가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핵심 키워드를 다시 분석하여 인지기능 중심의 사용성 평가 핵심지표를 만들고, 전문가의 타당성 검증을 통해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결과: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5가지 인간 중심의 사용성 원리를 선정하였고, 인간의 정보처리관련 핵심 요소를 추출한 후에 이를 근거로 인지차원의 사용성평가 핵심지표 43개를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전문가 그룹을 통하여 지표에 대한 내용타당성을 조사한 후 40개의 인지기능기반 사용성 평가 항목을 개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존 사용성 평가 수행영역에 인지영역을 확장하였으며, 다양한 제품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인지기능 기반 사용성 평가 항목을 개발한 것에 의미가 있다. 휴리스틱 사용성 평가와 인지적 시찰 평가를 실행가능하게 하는 평가도구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cognitive-centered usability testing key indicators for effective usability evaluation and to develop cognitive function-based usability evaluation items. Research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recent literature related to human cognitive characteristics, usability principles, and usability evaluation was searched, analyzed, and synthesized. In the first stage, the literature was categorized into eight areas (cognitive function, perceptual function, Norman’s design principle, universal design principle, system usability scale, Nielson’s usability dimension, usability testing clinical study, and performance measurement data) and investigated the literature. In the second step, the core elements of usability were extracted from the researched literature, and in the third step, the core key words for the cognitive-level usability evaluation were derived. Core key words were analyzed again to create core indicators centered on cognitive function, and evaluation items were selected through validation of expert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previous studies, five human-centered usability principles were selected, and after extracting key elements related to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43 key indicators for cognitive usability testing were extracted. Then, by examining the content validity through an expert group, 40 cognitive function-based usability testing items were develop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that the usability testing has been extended to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cognitive function-based usability testing items that can be universally applied to various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 KCI등재

        사용성 평가 계획 및 수행을 위한 웹 기반 시스템

        박단비(Danbee Park),홍기형(Ki-Hyung Hong) 한국정보과학회 2015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1 No.4

        사용성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사용성 평가 계획의 수립과 진행, 평가결과의 수집과 분석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사용성 평가는 크게, 사용성 평가 계획 수립, 실제 평가 진행, 평가 후 결과 수집 및 분석의 절차를 가지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사용성 평가의 전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웹 기반 사용성 평가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따라서, 사용성 평가에 참가하는 참가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기기에 상관없이 효과적으로 사용성 평가에 참여하고, 사용성 평가 책임자는 평가 관련 문서와 결과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평가의 전 과정의 진행에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웹 기반 사용성 평가 시스템은 제품의 사용성 평가를 실제 사용하는 장소에서 바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과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 대상 제품의 사용성 평가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한다. Usability has become an important consider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and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need for systems and tools that can support usability test projects. However, few studies so far have developed such systems and tools. During a usability test project, many participants take up different roles, such as project managers, usability testers, and subjects. We implement a web-based usability test system with which a project manager can manage and control all participants and documents throughout the entire usability test process, from the design of a usability test project to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A usability test generates many documents, such as subject agreement forms and before/after questionnaires. Since many different subjects can participate in a usability test, consistency during testing with different participants and efficient document management are the keys to success for a usability test. Since all users that participate in usability test projects can access web-based usability test systems through a web browser, regardless of the place where they are, the reliability of the testing results can improve since the tests are conducted in the locations where the target products are meant to be used. In particular, our system is useful for disabled individuals who cannot move.

      • KCI등재

        고기능 욕실 제품에 대한 소비자 참여형의 사용성 평가 연구

        김정현(Kim, Jeong Hyun),고영준(Ko, Young Jun),김종배(Kim, Jong Ba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을 살펴보면, 지난 10여 년 동안 우리나라의 장애인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의학의 발달과 삶의 수준 향상으로 인해 장애인의 인구도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과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른 사회적 기반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주거 공관과 환경이 장애인과 고령 인구가 생활하기에 사용성과 접근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유럽을 비롯한 서방 국가에서는 이미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다양한 주거 환경 접근성 제품을 시장에 내놓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품을 국내로 수입하고자 하는 기업들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인구 또는 장애인을 위해 개발되고 상용화 된 고기능 욕실 제품에 대해 국내 지체 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해외 또는 국내 고기능 제품이 국내 소비자들의 사용성과 접근성을 만족시키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방법과 내용 및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성 평가에 사용된 욕실 제품은 세면대, 샤워의자, 샤워수전, 팔걸이이며, 이는 유럽의 헬스케어 제품과 재활보조기기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업체의 제품 중 하나이다. 이를 평가하기 위해 국내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 5명을 피실험자로 모집하였다.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과제 중심의 사용성 평가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피실험자와 1:1 방식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과제 시나리오를 수행하였다. 사용성평가를 통해 정량적 결과값으로 효과성과 효율성, 만족도를 도출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를 통해 제품에 대한 피실험자의 의견을 수집하고 조직화 하였다. 사용성평가 결과 과제 성공률은 92%였으며, 효율성은 3.9점이었다. 그리고 제품의 기대치에 비해 얼마나 만족했는지를 알 수 있는 만족도는 3.8점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고기능 욕실 제품의 소비자인 장애인의 사용성과 접근성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소비자 참여형 연구 기반의 사용성 평가가 제품을 개발하고 상용화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번 사용성 평가를 통해 도출 된 수정 및 보완 사항을 바탕으로 새롭게 연구 제작된 제품을 동일한 절차로 재평가하여, 이번 연구에서 제시된 사용자의 의견들이 얼마나 사용성을 향상시켰는지에 대한 연구도 진행할 필요가 있다. In the last 10 years, the population of people with a disability in South Korea has been on a steadily rising trend, and with strides made in the field of medicine coupled with the rising standard of life, the population of people with a disability is also becoming more elderly. Despite thi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re is a lack of social infrastructure in place to support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ncluding those with a disability, and it has also been suggested that the living spaces and environments do not adequately meet the needs of neither people with a disability nor the elderly population, in terms of usability and accessibility. To overcome this problem, western countries, including European countries, have put out in the market various products targeting people with a disability as well as the elderly which are designed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their living environment. As for South Korea,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domestic companies looking to import these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usability of high-end commercial bathroom products from Europe which are developed for the elderly or people with a disability, and the assessment was done targeting people with a physical disability in South Korea. In other words,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household products from Europe and overseas satisfy domestic consumers in terms of usability and accessibility. The bathroom products which were assessed included a sink, a shower chair, a shower faucet, and an armrest. They are among the products of a company in Europe that develops and sells healthcare products and rehabilitation aids. To carry out the study objective, a total of 5 people with a physical disability or encephalopathy were recruited as the test subjects. A task-centric usability assessment scenario was written up to conduct the usability assessment, and the test subjects did one-on-one interviews and performed the task scenario. From the usability assessment,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level of satisfaction were determined as the quantitative results, and from the interviews the test subjects’ opinions on the products were collected and systematized. This study assessed high-end bathroom products for their usability and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a disability as the user. Furthermore, it found that carrying out usability assessment by having the actual consumers (people with a disability and the elderly) try out various products is important when it comes to developing and commercializing products.

      • KCI등재

        모바일 기반 현장체험학습 시스템 사용성 평가

        강영옥,조나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모바일기반 현장체험학습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실제 학교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시스템 개발의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자 한다. 사용성 평가 도구는 교육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사용성 평가항목을 기초로 하여 모바일기반 현장체험학습 시스템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사전조사에서 나타난 문제들에 대해 기능적인 부분을 대폭 보완하고 2차 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스템 전반적으로 보면 2차 조사에서 교수 설계 영역이 95점, 기술적 특성 영역 85점,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 82점, 학습내용 영역 70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번에 걸친 사용성 평가에서 학습내용영역의 점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나머지 3영역에서는 평가점수가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적으로는 지도 기반의 탐구활동 기능, 학생들의 위치정보와 탐구활동 진행과정 확인 기능, 학생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 기능 등이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학습내용 영역과 관련하여 어떤 탐구활동 문제를 저작했을 때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지에 대해서 문제 유형을 달리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향후 과제로 현장체험학습 사후단계에서 수행하는 학습활동을 분석하고, 사후단계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도출하여 시스템에 추가 보완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a system development framework that can be utilized at school by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s. A tool was designed for usability evaluation on the basis of usability evaluation items which are needed in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system. In this study usabi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twice. The 2nd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after revising and complementing the syst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1st usability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2nd usability evaluation in four areas of evaluation are as follows: 95 points in instructional design, 85 points in technical characteristics, 82 points in user interface, and 70 points in learning contents, respectively. The evaluation points in the areas of instructional design,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user interface have soared up while the point in the area of learning contents has increased slightly. As seen from the evaluation contents, it is evaluated that the items such as inquiry activity based on the map, location information of students and confirmation of progress of inquiry activity, and feedback of students activity are useful. In the area of learning content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what types of inquiry activity problems could increase user satisfac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evaluation system by analysing learning activities in the post-stage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coming up with functions required in that stage.

      • KCI등재

        사용성 평가를 통한 척수손상장애인용 실내 핸드바이크의 디자인 개선

        김기원(Kim, Kiwon),고영준(Ko, Youngj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1

        연구배경 척수손상장애인은 경수 손상으로 인해 물리적 활동이 감소하고 심혈관계 질환, 비만, 당뇨, 골다공증 등의 위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할 수 있도록 기존 연구에서는 척수손상장애인을 위한 운동기구인 실내용 핸드바이크가 제안되었다. 하지만 척수손상장애인의 사용성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아 사용성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용 핸드바이크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사용성이 개선된 실내용 핸드바이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척수손상장애인 대상 사용성 평가를 통한 실내용 핸드바이크 디자인 개선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한 척수손상장애인과 핸드바이크에 대한 이해를 하였다. 둘째, 전문가 검토를 통한 평가지표 선정 및 연구대상자인 척수손상장애인 7명을 모집하였다. 셋째, 핸드바이크의 사용단계인 진입, 운동, 조작, 퇴장 4단계를 수행과업으로 설정한 후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넷째, 사용성 평가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개선방향을 토대로 실내용 핸드바이크 디자인과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3가지 평가지표(효과성, 효율성, 만족도)에 대한 평가결과를 토대로 실내용 핸드바이크의 PUI, GUI, 기타구성요소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이후 개선방향을 적용한 실내용 핸드바이크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PUI의 주요 개선사항으로는 동작 중 휠체어의 흔들림을 고정해줄 수 있도록 바닥지지대에 요철 추가 및 휠체어 고정위치 표시, 핸들에 손목 고정을 위한 보조 액세서리를 적용하였다. GUI의 주요 개선사항으로는 친숙하고 직관적인 사용성을 고려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방안을 적용하였다. 기타 구성 요소는 다양한 신체조건을 고려한 6단계 높이조절 기능과 안전성, 오염방지를 위해 핸드바이크 프레임과 휠, 크랭크에 커버를 적용하였다. 결론 실내용 핸드바이크의 사용성 평가결과 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척수 손상범위에 따른 신체가동범위와 이동 보조기기의 종류에 따라 사용성이 크게 차이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성 평가를 통해 디자이너, 작업치료 전문가, 재활공학 전문가가 참가하여 사용자의 행태를 직접 관찰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종합하여 사용성 및 디자인, 재활효과, 인체공학적 설계 측면에서의 개선방향을 도출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Background Spinal cord injury disorders have decreased physical activity due to spinal cord injury. These problems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diabetes, and osteoporosis. Existing studies have proposed an indoor handbike, an exercise device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to prevent such problems. However, the usability of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to indoor handbike has not been verified. Therefore, usability evaluation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pose indoor handbike with improved usability by conducting usability evaluations on indoor handbike. Methods For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literature examination, we understood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and handbike. Second,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lected through expert review. Seve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ies were recruited. Third, the four stages of entry, movement, manipulation, and exit, which are the stages of use of the handbike, were set as performance tasks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urth,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presented for the problems derived through usability evaluation. Fifth, based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handbike designs and prototypes for indoor use were presented. Result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three evaluation indicator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indoor handbike are derived. Subsequently, the interior handbike design was proposed with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s a major improvement in GUI, smartphone usage is applied considering familiar and intuitive usability. Other components incorporate a six-stage height adjustment function that takes into account a variety of physical conditions. In addition, covers are applied to handbike frames, wheels, and cranks to prevent user safety and contamination. Conclusion Analysis of the usability evaluation results of indoor handbike showed that the usability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type of mobility aids according to the scope of spinal cord damage. It is significant in that designers, work therapy expert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experts participated in the usability evaluation to directly observe users" behavior and draw up improvement directions in terms of usability, design, rehabilitation effect, and ergonomic design.

      • KCI등재

        제품의 심미적·형태적 반영을 고려한 디자인 사용성 평가 제안 : 플라스틱 사출 자전거 디자인 사용성 평가를 중심으로

        김별 ( Kim Byeol ),하은영 ( Ha Eun Young ),유아현 ( Yu A Hyeon ),조운대 ( Cho Un Dae ),조광수 ( Cho Kwang Soo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5 No.1

        연구배경 최근 기업들은 제품 디자인에 사용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성 평가를 사용하는 추세다. 하지만 일반적 사용성 평가의 결과만으로 제품 디자이너가 제품에 사용자의 니즈를 온전히 반영할 수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사용성 평가와 함께 시각적 요구사항이 반영될 수 있는 평가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사용성 평가에 제품의 시각적 평가가 포함된 평가방법인 가칭‘Visual Pointing’을 제안하고 그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제품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일반적 사용성 평가의 단점을 보완한 비주얼 포인팅을 제안한다. 둘째, 비주얼 포인팅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제품의 심미적, 형태적 반영을 고려한 사용성 평가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다. 셋째, 비주얼 포인팅을 적용한 실험 결과를 확인하여 보완점을 찾고 개선안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일반적 사용성 평가의 결과만을 가지고 디자이너에게 제품에 심미적, 형태적 개선 방향을 제안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주얼 포인팅을 적용한 결과, 일반적 사용성 평가와 함께 보완된 시각적 평가가 가능하며 심미적, 형태적 결과 도출을 통해 제품 디자이너에게 더욱 명확하게 결과를 전달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일반적 사용성 평가를 보완한 시각적 평가방법인 가칭‘Visual Pointing’을 제안하고 새롭게 재구성된 평가항목을 적용한 실험을 통해 보완된 사용성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겠다. Background Recently, companies are using Usability Testing to reflect various needs of users in product design.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product designers can fully reflect the needs of users in their products only as a result of a general Usability Testing.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testing that can reflect visual requirements along with Usability Testing. Therefore,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propose the provisional name Visual Pointing, an testing method that includes a visual assessment of the product in the Usability Testing, and confirm its potential. Methods First, we propose Visual Pointing that complements the defect of general Usability Testing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 designers. Second,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Visual Pointing, feasibility is verified through Usability Testing experiments considering aesthetic and morphological reflection of the product. Third, we check the experimental results applied with Visual Pointing to find complementary points and propose an improvement plan. Results With only the results of the general Usability Testing, we confirm that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suggesting aesthetic and morphological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product to designers.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Visual Pointing confirmed that complementary visual evaluations along with general Usability Testing are possible and that aesthetic and morphological results can be more clearly communicated to product designers. Conclusion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proposing a provisional ‘Visual Pointing’, a visual evaluation method that complements general Usability Testing, an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 complementary Usability Testing through experiments with newly reconstructed evaluation items.

      • KCI등재

        영유아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 사용성 평가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국내 연구 중심으로

        김현경,장완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연구목적: 영유아의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사용성 평가는 안전, 효율성, 편리함 등을 평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실시된 영유아 관련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한 연구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사용성 평가의 연구 경향 및 대상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데이터베이스 RISS, Science ON, Dbpia, KCI를 이용해, ‘영유아 OR 유아 OR 영아 AND 사용성평가 OR 사용성’라는 키워드로 2000년 이후 문헌을 검색하였다. 포함 기준과 배제 기준을 통해 총 8개의 문헌이 선정되었고 이 문헌들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 관련 사용성 평가는 지속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다. 교육 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영유아의 부모와 영유아가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영유아는 주로 관찰을 통해 평가되었다. 연구 대상자 수는 평균 15.2명으로 나타났다. 연구 방법은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둘 다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그중에서도 설문지를 사용한 방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사용성 평가의 요소는 8가지로 범주화되었으며, 그중에서도 효율성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사용성 평가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영유와 관련 사용성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사용성 평가 관련 연구를 위해 다양한 방향을 제공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이조은(Joeun Lee),권지은(Jieun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2

        사용자 중심 디자인과 콘텐츠 개발이 대두되면서 사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와 항목 정립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특정 분야에 대한 디지털 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최근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 폰의 발달로 자기 정량화(Quantified-self) 또는 라이프 로깅에 대한 사용과 콘텐츠 개발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라이프로깅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성 평가 항목과 요인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첫째,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요인을 정립하기 위하여 기존의 사용성 평가 항목을 수집하고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초기 항목을 선정하였다. 둘째, 선정된 초기 항목에 대한 사용성 평가 설문을 진행하여 그 결과에 대해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히였다. 셋째, 통계 분석 결과를 통해 28가지 사용성 평가 항목과 4가지 요인인 인식성, 기능성, 심미성, 만족성을 정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립된 사용성 평가에 대한 활용 기대와 한계점을 논의할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는 계속 증가하고있는 라이프로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평가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되어 효과적인 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As user-centered design and content development emerge, the research and the establishment of items on usability evaluation are becoming more important. However, research on usability evaluation for digital systems in specific areas of mobile applications is still incomplete.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and smartphones, development and usage of quantified-self and life-logging application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evaluation items and the main factors for the usability assessment of the applications that support life-logging services. In order to establish evaluation factors for life-logging application usability, we first gathered existing usability assessment items and selected the initial items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Second, we conducted user assessment surveys on the selected initial questionnaires and performed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rd,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we established 28 usability assessment items and four factors: recognition;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atisfaction. Finally, we discussed the expect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established usability assessment. The results from this paper could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usability assessment of life-logging applications and thus will contribute to effective content development.

      • KCI등재

        모바일 앱에서 휴리스틱 평가 방법을 사용한 사용성 평가

        조정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Evaluation methods used to assess the usability of computer applications have long been an integral aspect of HCI research. Recently, a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have become widesprea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evaluate and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Apps. Mobile Apps need to evaluate usability quickly and easily, as they have shorter planning and development time than general applications. Evaluating usability is to determine whether a mobile App is accurate, useful, and acceptable, and to address the usability issue of a mobile App. In this paper, we conducted usability evaluation method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mobile App. To do this, we conducted a heuristic evaluation method involving experts on mobile Apps in actual use. The usability test resulted in major usability problems. The study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purpose of the mobile App, the problems it faces, and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mobile App.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평가 방법은 오랫동안 HCI 연구의 필수 요소였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모바일 앱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모바일 앱은 일반 애플리케이션에 비하여 기획 및 개발 기간이 짧은 만큼 빠르고 쉽게 사용성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은 모바일 앱이 정확하고 유용하며 채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인지 확인하는 것이며, 모바일 앱의 사용성 문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모바일 앱의 개발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사용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로 사용 중인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전문가가 참여하는 휴리스틱 평가 방법을 수행하였다. 사용성 평가 결과 주요 사용성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 논문의 연구는 모바일 앱의 사용 목적, 직면한 문제점 및 모바일 앱의 사용성 평가를 측정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