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대중음악 속 사랑의 제 모습: 노래책 『대중가요』 제1, 2, 3집 수록곡을 중심으로

        장유정 ( Zhang Eujeong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1

        본고는 1950년대 말에 발간된 노래책 『대중가요』 1, 2, 3권 속 사랑 노래를 고찰한 것이다. 노랫말을 중심으로 노래에서 사랑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를 몇 가지 형태의 사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누가 누구를 향한 어떤 사랑인지를 중심으로 해서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 연인에 대한 미련과 집착, 이국 여성에 대한 동경과 환상으로 나누어 보았다. 먼저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을 표출한 노래는 대체로 아이가 부모 내지 어머니에게 전하는 말이나 남매 중 오빠가 여동생에게 건네는 말로 이루어진 노래가 있었다. 이러한 노래들은 1950년대 당시 전쟁 이 후 발생한 전쟁고아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전장에서 어머니와 고향을 그리워하는 병사들의 목소리와도 연관된다. 다음으로 연인에 대한 미련과 집착을 보여주는 노래들은 성별을 단정할 수 없는 노래 화자의 방백으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특히 이별 후 노래 화자가 느끼는 외로움과 그리움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노래들은 그 이전 노래들이 보여주었던 이별의 정서를 계승하는 측면이 있었다. 즉 ‘현재는 없으나 과거에는 존재했던 임’과 ‘시적 화자의 수동적인 태도’가 그것이다. 그런데 그 내용을 보면, 떠난 임에 대한 미련과 집착을 보여준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1950년대 사랑 노래에는 이국 여성에 대한 동경과 환상이 드러났다. 이는 6.25 전쟁 이후에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무수한 이국과 관련이 있다. 영화를 위시한 수많은 서양 문화를 접하면서 이국 여성에 대한 동경과 환상을 키웠다. 이국 남성을 사랑의 대상으로 선정한 노래가 거의 없는 것과 달리, 이국 여성이 노래 화자의 사랑과 이별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은 대중가요의 작사자가 대부분 남성이었다는 것과도 연결된다. 하지만 이러한 노래가 많이 나왔음에도 다소 공허하게 들리는 것은, 이것이 실제라기보다 현실을 도피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한 환상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1950년대는 그 누구도 6.25 전쟁의 영향과 여파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사랑을 다룬 노래에서도 이러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연인간의 사랑을 다룬 노래들은 그 이전 시기나 이후 시기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 하지만 노래에서 남매를 위시한 가족이 소환된다든지, 이국 여성과의 사랑을 다룬 노래들은 1950년대 대중가요에서 유독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즉 전쟁 이후의 특수한 상황이 노래에서 가족이나 이국 여성을 소환했다고 볼 수 있다. 1950년대 이후 대중가요에서 가족이 소환되더라도 군인 신분의 아들이나 부모 잃은 남매의 모습을 찾기 어렵다는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더 이상 이국이 동경의 대상이 아니라 실제 접할 수 있는 대상이 되면서 이국 여성과의 사랑을 다룬 노래도 찾기 어려워졌다. 연인간의 사랑의 경우, 시대와 상관없이 오랫동안 대중가요의 중요 소재이다. 노래는 그러한 사랑을 반영하고 사랑에 아파하는 사람들을 대신해서 울어주었다. 그리고 이것이 노래가 존재하는 이유이다. 1950년대 남녀간의 사랑 노래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연인간의 사랑 노래에서는 1950년대만의 특징을 찾기 어려웠다. This paper considers the aspects of love in a song book, Popular songs vol. 1, 2, 3 published in the late 1950s. We divided how love is portrayed in the song with the words of the song into several forms of love. They include longing and love for family, lingering and obsession with lovers, yearning and fantasies about exotic women. First of all, there were songs that expressed longing and love for family, which consisted mostly of words delivered by a child to his parents or mother, or words given to his younger sister by his brother and sister. These songs are related to the war orphans that occurred after the war in the 1950s. It is also related to the voices of soldiers who miss their mother and hometown on the battlefield. Next, the songs that show lingering attachment and obsession with lovers were characterized by the gender-definite release of the song speaker. In particular, most of the cases focused on the loneliness and longing felt by the singing speaker after the breakup. These songs inherited the sentiment of parting that previous songs showed. In other words, "lover who is not present but existed in the past" and "passive attitude of poetic speaker." However, according to the contents, it shows the lingering attachment and obsession of the person who left. Finally, love songs of the 1950s revealed their yearning and fantasies about foreign women. This is related to the myriad foreign countries experienced directly or indirectly by Korean people after the Korean War. By experiencing numerous Western cultures such as movies, he developed his yearning and fantasies for foreign women. Few songs have selected foreign men as objects of love. However, the fact that foreign women have become the subject of love and farewell by songwriters is also linked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song's lyricists were male. In the 1950s, no one could be free from the effects and aftermath of the Korean War. Such traces can be found in songs about love. Songs that deal with love between lovers have many similar aspects to the period before or after that. However, songs about family members such as siblings are summoned in the song, and love with foreign women are particularly prominent in popular songs in the 1950s. In other words, the special situation after the war can be said to have summoned family members or foreign women in the song.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even if a family is summoned from a popular song after the 1950s, it is difficult to find a son of military status or a brother and sister who lost their parents. In addition, it has become difficult to find songs dealing with love with foreign women as foreign countries are no longer subject to admiration, but are subject to actual contact.

      • KCI등재

        릴케를 통한 시적 전신(轉身) ― 전봉건의 ‘사랑의 노래’를 중심으로

        송현지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6

        By analyzing that Jeon Bong-keon's poetic transition - delivery and discontinuance of ‘song about lo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at Jeon Bong-keon sought attitude and method as a poet fighting back against the ruins of postwar period through Rainer Maria Rilke. This was done with the judgment that Jeon Bong-keon referred to Rilke at every aspect of thinking about what to write as a poet at this moment, at this place based on his confession that he took Rilke’s attitude as poet as his own poetic mirror.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Jeon Bong-keon changed his poetic direction by singing ‘song about love’ after questioning his identity as a poet to Rilke. The direct cause of singing ‘love' so abruptly, for a person who had been writing war poems based on participating in a war, was discovering vital power from ‘love’. However, when seeing that such a transition took place right after questioning Rilke and that ‘love’, which he chose as a way of fighting back, was eros, it can be assumed that he had been influenced by Rilke since Rilke not only emphasized recovery of humans’ basic and simple desire such as sex as a way to resolve problems of contemporary era but also suggested the vocation of a poet which Jeon Bong-keon tried to achieve through ‘song about love’ by seeing poet as the existence who can give birth to new life like women. His poetic strategy to overcome ruins through ‘love’ discontinues after 「Repetition for Love」, 「Chunhyang Yeonga」, and 「Inner Sea」 and he changed direction toward singing about the scars of war again since he realized that ‘song about love’ cannot be a sound way of overcoming reality in the process of singing ‘song about love’ through the mouths of Chunhyag and Cheoyong. The next step he took through Chunhyang and Cheoyong after confronting impossibility of love shows that he obtained an answer from the essay on poetry by Rilke. Their accepting impossibility of love, facing reality, and neutralizing life and death, hope and despair, and confrontation between scar and love coincides with the step of ‘woman in love’ who faced impossibility of love which Rilke praised. Jeon Bong-keon acknowledging that the scars of war are always accompanied in life after discontinuing singing ‘song about love’ and not trying to overcome them and accommodating them in reality was the way of love ultimately pursuing Rilke and the way of writing poems. Jeon Bong-keon practiced Rilke's poetry by going beyond and singing another ‘love’. 본 연구는 ‘사랑의 노래’의 타전과 중단이라는 전봉건의 시세계에서의 두 번의 시적 전환이 전봉건이 릴케의 시학을 능동적으로 전유한 흔적임을 분석함으로써 전봉건이 릴케를 통해 전후의 폐허에 응전하는 시인의 태도와 방법을 모색해갔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릴케의 시인으로서의 태도를 자신의 거울로 삼았다는 그의 고백에 기대어 그가 지금-이곳에서 시인으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선택해야 했던 기로마다 릴케를 참조하였다는 판단에 의해서였다. 전봉건은 전후의 폐허에서 시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시인의 소명에 대해 궁구하며 릴케에게 질문을 던진 이후, 폐허에 응전하는 첫 번째 방법으로 ‘사랑의 노래’를 부르는 것을 선택하였다. 전투시를 쓰던 그가 시적 방향을 선회한 직접적인 원인은 사랑에서 생명력을 발견하였기 때문이었지만, 그러한 전환이 릴케에게 질문을 던진 직후에 이루어졌으며 그가 선택한 사랑이 에로스를 뜻한다는 점에서 이는 릴케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릴케 역시 현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性)과 같은 인간의 기본적이고 소박한 욕구 회복을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인을 여성과 같이 생명을 낳을 수 있는 존재로 봄으로써 전봉건이 ‘사랑의 노래’를 통해 의도한 시인의 소명을 선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랑을 통해 폐허를 극복해보려는 그의 시적 전략은 「춘향연가」와 「속의 바다」를 거친 후 중단되고, 그는 전쟁의 흔적이 남은 현실을 노래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꾼다. 그것은 ‘사랑의 노래’가 전쟁의 폐허를 극복할 수 있는 온전한 방법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그가 춘향과 처용의 입을 빌려 ‘사랑의 노래’를 부르는 과정에서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사랑의 불가능성 앞에서 춘향과 처용은 좌절하기보다는 현실을 직시하며 이를 다른 창조의 가능성으로 승화한다. 이러한 춘향과 처용의 모습은 릴케가 찬양하였던 ‘사랑하는 여인들’의 행보와 일치하는데 이는 그가 여전히 릴케의 시론에서 모종의 해답을 얻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사랑의 노래’를 중단한 후 전봉건이 전쟁이 남긴 상처를 극복하려 하기 보다 그것이 언제나 삶과 함께 하는 것임을 인정하고 전쟁의 기억을 소환하는 것은 우리의 삶이 전쟁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전쟁이 남긴 상처는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님을 그가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는 처용이 ‘일식의 춤’을 추었던 것처럼 폐허에 맞서는 방법으로 폐허를 노래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다른 이에게 각인된 전쟁의 상처를 포용하게 된다. 이는 릴케가 궁극적으로 추구하였던 융합과 헌신, 그리고 유대로서의 사랑이라는 점에서 그가 전(全) 전 시작 과정에 걸쳐 릴케의 시학을 실천하였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

        사설시조 사랑노래에 나타난 웃음의 의미

        조성진 ( Seong Jin Jo ) 한국시가학회 2013 韓國 詩歌硏究 Vol.35 No.-

        이 글의 목적은 사설시조 사랑노래에 나타난 웃음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웃음을 일으키는 요인을 분석한 베르그송의 이론에 기대어 웃음이 나타난 사설시조 사랑노래 텍스트를 확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텍스트를 분석하는 가운데 다음 사실을 논하였다. 첫째, 웃음은 통속성을 강화하는 구실을 한다. 웃음은 텍스트 안에서 기본적으로 진지하거나 엄숙한 것을 깨뜨리고 무거운 분위기를 누그러뜨린다. 여기에 재미와 즐거움이 있다. 그래서 당대 윤리규범에 비추어 외설적인 내용마저 사설시조 사랑노래에 수용될 수 있었다. 이런 까닭에 웃음은 사설시조의 내용적 분위기를 저속하게 만드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이로써 사설시조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며 공감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둘째, 사설시조 사랑노래에 나타난 웃음은 ‘자기풍자(self-parady)의 웃음’이다. 화자는 ‘종장의 반전’ 속에서 자기 자신마저 우스꽝스럽게 만들고 있다. 문제는 화자가 자신을 남들에게 웃음거리로 제공하는 것이 ‘의도적’이라는 데 있다. 이처럼 기꺼이 자신을 우스꽝스럽게 만든다는 것은 그러한 웃음이 자신에 대한 풍자의 의미를 지님을 뜻한다. 여기에서 ‘자기풍자’란, ‘언제든 모방의 텍스트가 될 수 있는 자기 자신에 대해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는 가운데, 자신을 웃음거리로 내어놓아 조롱하며 비판하는 동시에 연민하고 반성하는 비평적 태도’이다. 셋째, 자기풍자의 웃음은 크게 세 가지 의미를 지닌다. (1) 그것은 재미와 즐거움을 준다. 이는 화자가 자신을 웃음의 대상으로 제공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2) 그것은 사랑노래 사설시조의 문제적인 내용으로 말미암아 사회적 비난이나 공격이 예상되는 때에는 그에 따른 부담감이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는 구실을 제공한다. (3) 자기풍자의 웃음은 작중의 비극적 상황에 대해 객관적 거리를 제공하며 이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함으로써, 삶의 비감에만 함몰되지 않게 한다. 더 나아가 자신에 대한 조롱과 비판 속에서도 연민과 긍정을 놓치지 않는다. 이로써 화자는 두 가지 엇갈리는 목소리 속에서 드러났던 자기분열을 극복하고 삶의 균형감을 회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laughter in love song of Saseol-sijo. For this, this paper has confirmed the text of laughter in love song of Saseol-sijo according to Bergson`s ‘laughter theory’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ose texts as follows. Firstly, laughter does function which strengthen popularity. It Basically softens a serious and solemn atmosphere in texts. That is the source of enjoyment and amusement. Even lewd contents in the context of the ethical codes of the day could be accepted in texts of Saseol-sijo, owing to that function. Like this, laughter does function which makes an atmosphere of the text vulgar, but have Saseol-sijo texts can be read by many people and gain their sympathy in the same time. Secondly, laughter in love song of Saseol-sijo is that of ‘self-parody’. The poetic narrator makes himself comic in reverse of the last of the 3 verses of a Saseol-sijo poem. It is problematic in that the narrator`s offering others himself as a laughingstock is intentional. Narrator`s joyful burlesquing himself means such laughter is the very satire on himself. Thirdly, laughter of self-parody has three meanings as follows. (1) It gives readers enjoyment and amusement. This is originated from narrator`s offering others himself as laughingstock. (2) It gives us a plausible excuse to avoid a social criticism or an attack could be caused by lewd contents in love song of Saseol-sijo. (3) It makes an objective distance from a tragic situation of text, which let a narrator assume wait-and-see attitude, and be undepressed at the sorrow of life. Thanks to that, the narrator doesn`t miss self-pity, and affirmation about himself in self-mockery, and self-criticism. Through this, the narrator could overcomes self-dissociation, and recovers sense of balance of life.

      • KCI등재

        MENC의 미국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 고찰

        문경숙 ( Kyung-suk Moo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이화음악논집 Vol.22 No.3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음악교육가협의회(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약칭 MENC)의 미국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은 미국의 음악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 전개되기도 했고 전쟁과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국가통합에 큰 힘을 발휘하기도 했다. MENC의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을 역사적으로 고찰 해 보는 것은 미국 음악교육의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통해 한국음악교육을 개선 발전시키는데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우리에게 던져주는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ENC의 미국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의 발전과정을 1차 세계대전 전후시기(1913-1930), 2차 세계대전 시기(1940-1945), 국가 교육과정 제정 전후(1990-1996), 9.11테러 사건 이후 시기(2001-2007) 등 네 개 시기로 구분하여 연구했다. 각 시기별로 역사적 배경, 미국음악교육협회가 운동을 추진한 방법 및 활동, 노래 부르기 운동의 주요 내용, 그 결과 등에 초점을 두고 분석 했다. 연구 결과 MENC의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의 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기할만 한 점과 또 한국 음악교육에 던지는 시사점 등 몇 가지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차 세계대전과 9.11테러 등 미국이 국가적 위기를 만났을 때 미국 국민들이 국가 <성조기>(Star Spangled Banner)를 비롯해서 각종 미국 노래를 부르며 위기대처의 분위기를 높여나갔다는 것이다. 미국 노래 부르기 운동은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 해 나가는데 음악이 얼마나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로 꼽을 수 있다. 둘째, 음악 공교육의 입지와 위상을 지키고 강화시켜 나가기 위한 미국 음악 교육가들의 사명감과 열정이 크게 기여를 했다는 점이다. 셋째, 지난 100여 년간 나라를 상징하는 노래 레퍼토리를 끊임없이 발굴하고 확립시켜 온 점이다. 넷째, MENC의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은 미국의 각계 각층 모든 국민들이 참여한 대표적인 국민운동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MENC가 국민 노래 부르기 운동을 추진하는데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는 점은 한국음악교육에 시사 하는 바가 크다. America has 100 years of national patriotic singing movement. The National Conference of Music Supervisors began this campaig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Its purpose was to unite American people and the nation through the power of a group singing. The national singing movement was further fueled by the need to unite people at national crisis in the time of w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ce a history of national singing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om 1914 to 2007 and to examine features of American music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paper presented an overview of a history of American singing movement chronologically and historical periods were divided into four as follows: the World War I (1913-1930), the World War II (1940-1945),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Enactment period (1990-1996), and after 9.11 (2001-2007). Especially significant events and activities within MENC related to the national crisis at war times were mainly examined.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merican national singing movement might serve as an exemplary case which through the power of music, American people and the nation were united at the time of national crisis; that the MENC representing American music educators played a significant leading role with a sense of mission and enthusiasm for the benefits of music education in the public school; that the American singing movement contributed to developing a rich repertoire of American patriotic songs; and that the National Anthem Project campaign might serve as an example for implementing a national movement through music and for establishing a repertoire of patriotic songs in school music curriculum.

      • KCI등재

        이영훈의 기독교 음악관과 슬픈 사랑의 노래

        최두현 한국대학선교학회 2019 대학과 선교 Vol.41 No.-

        The late Lee Young-Hoon(1960-2008)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Korean popular music. His songs of sorrowful love presented through singer Lee Moon-Sae has been loved by the masses over generations. The songs are also considered to have raised the quality of Korean popular music. In recent years, he is being reconsidered not simply as a composer of popular music but as an artist who expresses one’s own world. Agreeing with that, this article understands and evaluates Lee Young-Hoon‘s songs of sorrowful love, based on his Christian view of music, to attempt a hermeneutical communication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masses. To this end, it constructs his Christian view of music and explores how the view is embodied in his songs of sorrowful love. Consequently, it argues that his songs of sorrowful love can be heard by the masses as Contemporary Christian Music(CCM). 故 이영훈(1960-2008)은 한국의 대표적인 대중음악 작곡가이다. 가수 이문세를 통해 발표된 그의 슬픈 사랑의 노래는 세대를 넘어 대중에게 사랑받아왔고 한국 대중음악의 수준을 높여주었다고 평가받는다. 근래에 그는 대중음악 작곡가만이 아니라 자신의 세계를 표현하는 예술가로서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동의하며 본 연구는 이영훈의 슬픈 사랑의 노래를 그의 기독교 음악관에 근거하여 이해하고 평가함으로써, 기독교와 대중간의 해석학적 소통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그의 기독교 음악관을 구성하고 그것이 그의 슬픈 사랑의 노래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탐구한 후, 결론적으로 그의 노래가 대중에게 현대 기독교 음악(CCM)으로서 들려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MENC의 미국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 고찰

        문경숙 ( Kyung-suk Moon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이화음악논집 Vol.22 No.2

        100여 년의 역사를 지닌 음악교육가협의회(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약칭 MENC)의 미국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은 미국의 음악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 전개되기도 했고 전쟁과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국가 통합에 큰 힘을 발휘하기도 했다. MENC의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을 역사적으로 고찰 해 보는 것은 미국 음악교육의 특징을 살펴 볼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를 통해 한국음악교육을 개선 발전시키는데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우리에게 던져주는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ENC의 미국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의 발전과정을 1차 세계대전 전후시기(1913-1930), 2차 세계대전 시기(1940-1945), 국가 교육과정 제정 전후(1990-1996), 9.11테러 사건 이후 시기(2001-2007) 등 네 개 시기로 구분하여 연구했다. 각 시기별로 역사적 배경, 미국음악교육협회가 운동을 추진한 방법 및 활동, 노래 부르기 운동의 주요 내용, 그 결과 등에 초점을 두고 분석 했다. 연구 결과 MENC의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의 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기할 만 한 점과 또 한국 음악교육에 던지는 시사점 등 몇 가지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차 세계대전과 9.11테러 등 미국이 국가적 위기를 만났을 때 미국 국민들이 국가 <성조기>(Star Spangled Banner)를 비롯해서 각종 미국 노래를 부르며 위기대처의 분위기를 높여나갔다는 것이다. 미국 노래 부르기 운동은 국가적 위기 상황을 극복 해 나가는데 음악이 얼마나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로 꼽을 수 있다. 둘째, 음악 공교육의 입지와 위상을 지키고 강화시켜 나가기 위한 미국 음악 교육가들의 사명감과 열정이 크게 기여를 했다는 점이다. 셋째, 지난 100여 년간 나라를 상징하는 노래 레퍼토리를 끊임없이 발굴하고 확립시켜 온 점이다. 넷째, MENC의 나라 노래 부르기 운동은 미국의 각계 각층 모든 국민들이 참여한 대표적인 국민운동이라 할 수 있다. 끝으로 MENC가 국민 노래 부르기 운동을 추진하는데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는 점은 한국 음악교육에 시사 하는 바가 크다. America has 100 years of national patriotic singing movement. The National Conference of Music Supervisors began this campaig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Its purpose was to unite American people and the nation through the power of a group singing. The national singing movement was further fueled by the need to unite people at national crisis in the time of w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race a history of national singing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om 1914 to 2007 and to examine features of American music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paper presented an overview of a history of American singing movement chronologically and historical periods were divided into four as follows: the World War I (1913-1930), the World War II (1940-1945),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Enactment period (1990-1996), and after 9.11 (2001-2007). Especially significant events and activities within MENC related to the national crisis at war times were mainly examined.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merican national singing movement might serve as an exemplary case which through the power of music, American people and the nation were united at the time of national crisis; that the MENC representing American music educators played a significant leading role with a sense of mission and enthusiasm for the benefits of music education in the public school; that the American singing movement contributed to developing a rich repertoire of American patriotic songs; and that the National Anthem Project campaign might serve as an example for implementing a national movement through music and for establishing a repertoire of patriotic songs in school music curriculum.

      • KCI등재

        SONGLIKE EXTRA-RITUAL POKUTTYA FOLKLORE IN THE RECORDS BY OSKAR KOLBERG: SPECIFICITY OF GENRE CLASSIFICATION

        즈비르(Zbyr),이리나(Iryna)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우크라이나 포쿠탸(Pokuttya) 지역에서 콜버그(O. Kolberg)에 의해 수집된 노래들을 분석하였다. 콜버그가 수집한 노래들은 발라드, 사랑, 가족의 삶, 유머스러운 노래, 코자크 군대의 노래, 추막(소금 판매를 직업으로 가졌던 사람들을 부르던 용어), 이주노동자들의 노래뿐만 아니라 콜로미이카 등의 노래들도 포함한다. 본 연구는 콜버그에 의해 수집된 노래들이 어떻게 장르별로 구분되었으며, 또한 어떠한 방법으로 조사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콜버그의 작품과 작업이 후대 민속연구의 방법론과 분석의 발전에 크나큰 영향을 미쳤음을 설명하고 있다. The article analyzes extra-ritual songlike Pokuttya folklore in O. Kolberg's records, namely ballads, songs about love and family life, humorous songs, Cossacks', recruits' (soldiers'), chumaky's, migrant workers' and lyrists' songs as well as kolomyyky. Particular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nomination of these folklore genres, methods of researching the material and difficulties the folklorist had faced while compiling the records from Pokuttya. However, in this sphere O. Kolberg has demonstrated all his skills as a talented collector and researcher who has managed to study, publish and preserve such valuable material for the next generations.

      • KCI등재

        아쿠타가와 류노스케(芥川竜之介)론‒가타야마 히로코(片山広子)에의 연정과 노래를 중심으로‒

        감영희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6

        Akutagawa meets his last lover (Hiroko Katayama) at Garuizawa in the summer of 13th year of the Taisho. The intellect of widow, a beautiful woman called Hiroko, who is 14 years older than him, was exposed on short poems exchanged by the two. The fact that Hiroko is 14 years older than Akutagawa may have been enough to incite the motherhood of Akutagawa. In the end, their relationship ends up with a platonic love. However, it is believed that she is a woman who can compete against him with her own talent and her coalition with Akutagawa brought intellectual pleasure and joy to Akutagawa by the exchanges of literary figures. However,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inevitable relationship between a man and a woman is hidden. The attraction to Akutagawa from Hiroko turns out to be not just love for literature, but a man and woman relationship that can be speculated through her act of throwing out a ring, which symbolizes her relationship with her late husband. Above all, Akutagawa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before falling in love with Hiroko by writing an lyric poem called "Kosibito." This suggests that the coalition was so strong. Akutagawa’s feeling to Hiroko was genuine, and it can be found in his tries to forget about his love by doing something with different rational forms 아쿠타가와는, 다이쇼13년 여름, 가루이자와에서 그의 최후의 연인이라는 가타야마 히로코를 만난다. 14살 연상의 미망인으로 재원이자 미모의 여성이었던 히로코의 총명한 지성은, 두 사람이 나눈 단시를 통해 유감없이 드러나 있다. 히로코가 아쿠타가와보다 14살 연상이라는 점은 아쿠타가와의 모정을 부추키기에도 충분했을 것이다. 결국 두 사람의 연정은 플라톤적 사랑으로 정리 되지만, 아쿠타가와의 히로코에의 연정은「재능으로도 충분히 다툴 수 있는 여성」으로서 문학자끼리의 교류 위에 지적유희와 즐거움을 아쿠타가와에게 가져다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거기에는 어쩔 수 없는 남녀의 연정도 숨겨져 있음도 검토된다. 히로코의 아쿠타가와에의 사랑은 죽은 남편과의 관계를 상징하는 반지를 내버리는 행동을 통해, 단지 문학에의 사랑만이 아니었음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아쿠타가와는 그녀를 ‘고시비토(越し人)라는 서정시를 지어 히로코와 사랑에 빠지기 전 그 위기를 넘기고자 하였다는 점이다. 그것은 그만큼 연정이 강했다는 것을 역으로 시사하는 것이다. 히로코에의 연심이 진정이었다는 것은, 다른 이성적 형태를 통해 그녀와의 사랑을 정리하고 있는 아쿠타가와의 모습에서 찾아볼 수 있다.

      • KCI등재

        <정읍사>의 발화 맥락과 화자의 기원(祈願)에 대하여

        조용호 ( Cho Yong-ho ) 한국시가학회 2021 韓國 詩歌硏究 Vol.53 No.-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된 이유는 <정읍사>를 음란한 노래로 보는 견해들에 대한 의심과 회의 때문이다.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노래 해석을 가로막거나 오해를 유발하는 구절들을 새롭게 풀었다. 그리고 그 결과를 현대어로 옮겨 노랫말의 내적인 진행 논리를 검토하고, 그런 구성 속에서 화자의 정서가 어떻게 변화하며 의미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하였다. 내가 시도한 어석은 기존 논의들과 사뭇 다르다. ‘全 져재’는 ‘온전히 저자에’로, ‘노코시라’의 목적어는 ‘짐’이 아닌 ‘달빛’으로, ‘내 가논□’는 ‘내(我)가 가는 곳’이 아닌 ‘(낭군께서) 물가를 가는데’로 풀었다. 어석을 할 때는 문법이나 직관에만 의지하지 않고, 발화의 맥락과 백제어에 대한 기왕의 연구 성과도 십분 활용하였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로 <정읍사> 해석에 걸림돌이 된 문제들을 대부분 해결할 수 있었다. 새로운 어석의 결과로, 기원을 핵심으로 하는 화자의 정서적 흐름과 노래의 전체적인 의미가 자연스럽게 이해되었다. 화자의 정서는 2단 구성의 반복을 통해 심화 되고 명료화되고 구체화 되어, 형식적으로 매우 잘 짜인 노래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화자는 떠오르는 달을 향하여 진심을 다해 남편의 안녕을 기원하는 정서로 일관한다. 이를 토대로 보면, <정읍사>가 순수한 사랑 노래라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The reason for this study was doubts and skepticism about the views of Jeongeupsa as a lewd song. To solve such a problem, first of all, I reinterpreted phrases that hindered the interpretation of the song or caused misunderstandings. I translated the result of the reinterpretation into modern language and then examined the inner logic being progressed in lyrics based on the translation. In addition, I analyzed how the female speaker's emotion changed and how the meaning of lyrics was formed in the logic of composition. The linguistic analysis I have tried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discussions. I regarded ‘全 져재’ as ‘온전히 저자에(safely in marketplaces)’, the object of ‘노코시라’ as ‘달빛(moonlight)’ not ‘짐(luggage)’ and ‘내 가논□’ as ‘(낭군께서) 물가를 가는데(on the way of passing by stream)’ not ‘내(我)가 가는 곳(where I go)’. In this process of analysis, I did not depend on factors of grammar and intuition but utilize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on the context of speech and the language of Baekje.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 could solve most of the problems that were obstacles to the interpretation of Jeongeupsa. As a result of the new linguistic analysis and interpretation, I could understand the overall meaning of the song and the emotional flow of the female speaker, which had the prayer at its core. The emotion of the speaker was clarified and embodied by the dual-two-step composition. From this point of view, I could recognize this song as a very well-formed song. The speaker maintained the emotion of praying for her husband’s well-being with all her heart toward the rising moon. Based on this, there was no doubt that Jeongeupsa was a pure love song.

      • 이효석의 「풀잎」에 나타난 월트 휘트먼의 사상

        양균원(Kyoonwon Yang),방민호(토론자)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Vol.- No.-

        이효석의 단편 「풀잎」은 월트 휘트먼의 시집 『풀잎』과 제목이 같다. 또한 이 작품은 부제에서 휘트먼의 존재가 “인류의 행복”이라고 밝히고 있고 본문에서 그의 시 세 구절을 낭독하고 있기도 하다. 이 글은 휘트먼이 이효석에게 끼친 영향의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첫째, 이효석 단편의 두 주인공인 준보와 옥실의 사랑의 방식을 살피고 둘째, 준보가 낭독한 휘트먼의 시 세 구절을 보다 넓은 원문의 맥락에서 그 본의를 들춰 비교한 후 셋째, 새 사랑의 방식의 관점에서 「풀잎」과 『풀잎』의 차이를 따져본다. 이효석의 「풀잎」은 휘트먼의 『풀잎』에 고무되어 새 사랑의 방식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주인공들이 휘트먼의 사랑에서처럼 자연의 강건함과 자유로움을 누리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부분적 실패는 이효석이, 일제 강점기의 억압적 분위기에서, 사랑 외의 것들로서 삶에 필수적인 것들, 예컨대 자유와 평등의 가치 등에 대해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휘트먼의 사랑이 우주 만물들 간의 강하고 평등한 연대를 확인해주는 동안에 이효석의 사랑은 혼전 성관계와 여성에 대해 주어져온 관습적 편견을 극복하는 데 온 힘을 소진하고 있다. "Leaves of Grass," a short story of Hyosuk Lee's, with the same title as that of Walt Whitman's collection of poetry, is subtitled "Mankind has the happiness to have Walt Whitman." and contains three citations from Whitman.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way Whitman has influence upon Lee by examining 1) the characteristics of love affairs of Joonbo and Shil, two protagonists of Lee's story. 2) three translated citations from Whitman from a wider original context, 3) "The Song of Myself" by Whitman, and 4) the differences, which Whitman's and Lee's protagonists reveal in their pursuit of love. Lee's "Leaves of Grass" embodies a new way of loving as encouraged by Whitman, but does not appear to achieve the enjoyment of Whitman's love as free and strong as nature. This partial failure seems to result from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Lee could not exert his full strength to consider other necessities than love, such as people's freedom and equality, in the milieu of the oppressive censorship during the Japan's occupation. While Whitman's love affirms the strong connection among all the elements of the universe, giving the ordinary the strength to become a democratic member of society. Lee's confines its momentum to the overcoming of the traditional prejudice against women and premarital sex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