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행지속현상에 있어 위험요인,보호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순래 ( Soon Rae Lee ) 한국범죄비행학회 2011 범죄와 비행 Vol.1 No.-

        최근에 우리나라 소년비행은 다시 증가추세에 들었으며, 특히 비행지속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험요인론과 보호요인론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비행지속현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연구원에서 구축한 청소년패널조사(NYPS) 제1차년도에서 제4차년도 자료를 활용했으며 선형성장모형을 통해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소년비행의 시간적 발전양태에 미치는 영향력을 판별했다. 본 연구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개인, 가정, 친구, 학교, 지역사회 등 5개 차원에서 검토했다. 상관관계분석에서 위험요인들과 비행행위의 발생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인 관계이었다. 개인, 가정, 친구, 학교, 지역사회의 위험요인들에 노출될수록 비행행위를 많이 저지르는 경향이었다. 반면에 보호요인의 경우는 개인, 학교, 지역사회 등의 보호요인은 비행행위와 부적(negative)인 관계였지만 가정 보호요인과 친구 보호요인은 그렇지 않았다. 비행지속이 악화하는 데에는 개인, 친구, 학교 위험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개인 위험요인의 경우에는 위험추구 성향이나 무동감적 성향이 중요한 요소였으며, 친구 위험요인의 경우는 폭력 비행친구와 술담배 비행친구가, 학교 위험요인의 경우는 경고나 징계피해가 중요한 요소였다. 비행지속을 완화하는 데에는 가정, 학교 보호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가정 보호요인의 경우는 부모와의 밀접한 상호작용과 관계된 요소들이, 학교 보호요인의 경우는 선생님과의 밀접한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소들이었다. 이를 통해 비행지속현상에 대처하기 위해 서는 개인, 친구, 학교의 위험요인들에 대한 노출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부모나 선생님은 언어적 훈육이 아니라 실제로 관심과 애정을 표출하는 행위적 상호작용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다. The number of juvenile delinquency is increasing again after a decade`s low level. Especially, the extent of persistent juvenile delinquency becomes worse. Last year as much as 36 percent of delinquent youths were persistent offender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persistent juvenile delinquency. Linear growth model is applied as an estimation method on the National Youth Panel Study data.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re measured in five areas of juvenile everyday life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peer, school, and community. Results from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all of the risk fact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delinquent incidences. Youths who are exposed to risk situation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peer, school, and community tend to commit more delinquent behaviors from the 1st year to the 4th year. Protective factors are not the same to the risk factors in terms of yearly delinquency incidences. Meanwhile, personal characteristics, peer, and school are observed to be significant risk factors leading youths to continuously commit delinquent behaviors. Risk-taking and unsympathetic traits are the concrete elements of the personal risk factor. Peers who acted violently or had the habits of drinking and smoking are such elements of the peer risk factor. Educational sanctions such as warning and suspensions are the concrete elements in the school risk factor. Family and school are shown to be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s. Behavioral interactions with either parents or teachers tend to deter the youths from persisting in delinquency. As a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much efforts should be done to reduce personal, peer, school risk factors and at the same time both parents and teachers should have intimate behavioral interactions with the youths.

      • KCI등재

        학생운동선수의 비행요인에 관한 사회이론의 통합적 검증

        김우성(Woo Sung Kim),고민수(Min Soo Ko)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사회통제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통합적 관점에서 학생운동선수의 사회통제요인, 사회학습요인 및 비행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0년 현재 대한체육회 가맹단체에 등록되어 있는 서울, 경기, 인천, 충청도 지역의 중·고등학교 운동부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집락무선표집법으로 총 702명을 표집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는 설문지로서 사회통제요인과 관련된 문항은 권순용(1992), 이성식(1986), Hirschi(1969)등의 연구를 기초로 작성하였으며, 사회학습요인과 관련된 문항은 김관훈(1987), 김지연(2008), Akers(1977) 등의 연구를 기초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비행과 관련된 문항은 구창모(1991), 현경훈(1988), Short(1957) 등의 비행행위를 질적인 측면에서 구분한 연구들을 바탕으로 비행항목을 정하고 비행행위를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AMOS 1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운동선수의 사회통제요인은 사회학습요인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학생운동선수의 사회통제요인은 비행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학습요인은 비행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사회통제요인은 사회학습요인을 통하여 비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학습요인은 사회통제요인과 비행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control factors of secondary school student-athletes, their social learning factors and delinquency in terms of the Social Control and Social Learning Theories.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selected the student-athletes 702 population of secondary school in Seoul, Gyunggi province, Incheon and Choongchung province which are registered in Korean Olympic Committee by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arried on by using AMOS 16 program. With the above methods and procedur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athletes` social control factors have an negative effect on the social learning factors. Second, student athletes` social control factors have an negative effect on delinquency factors. Third, the social learning factors have an positive effect on delinquency factors. Fourth, the social control factors have an indirect effect on delinquency through the social learning factors. That is to say, the social learning factors are important factors which conn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ontrol factors and delinquency.

      • KCI등재

        비행청소년의 비행촉발요인에 관한 연구

        강혜자 한국교정학회 2011 矯正硏究 Vol.- No.5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elinquency-causing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ts by the empirical data. For this end, It was analyzed the data of 102 juvenile delinquents whose were interviewed and tested by criminal psychologists in 3 police stations in J city and D city. The data was categorized with sex, types of crime, risk of re-delinquency. And delinquency-causing factor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with family structure, family function, school life, run away from home, personal histories of delinquency, and individual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divorce of parents, family discord, delinquent friends, difficulty of anger control, and absence of life goals are important factors, specifically. From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the necessity to make and develop policies and programs to prevent or correct of juvenile delinquency. 본 연구에서는 비행청소년들의 비행촉발요인을 실증적 조사 자료를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상반기에 전북지역 J시의 2개 경찰서와 충남지역 D광역시의 1개 경찰서에서 범죄심리사들에 의해 조사와 심리검사를 포함한 면담을 받은 비행청소년 102명에 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들을 성별, 비행명별, 재범위험성별로 분류하고, 이들의 비행촉발요인을 가족구조, 가족기능, 학교생활, 가출경험, 비행전력 및 개인적 요인으로 나누어 각 요인의 하위 문항별로 체크된 선택지의 빈도와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비행에서 어떤 요인들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성이 있는 것으로 시사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각 요인을 대표하는 하위특징으로 부모이혼, 별거 혹은 가출, 가정불화와 가족간 심리적 학대, 불량한 교우관계, 분노조절 곤란과 인생목표 부재 등이 중요 요인으로 시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청소년 비행을 예방하거나 수정하기 위해 이러한 요인들의 취약성을 보완해 줄 대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심리요인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 과다사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장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3

        This study measure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overuse in the effects of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n cyber delinquency among teenagers.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metropolitan areas,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5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10th October to 7th December, 2018. 500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teenag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nternet overuse. In particular, the social psychological sub-factor showed a relatively large off-site factor compared to the stressor. Second, the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adolescent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cyber delinquency. Particularly, the off-site factors were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stressors, among social psychological sub-components. Third, overuse of the Interne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yber delinquency factors.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deviation did not affect cyber delinquency factors although disorder of daily life and real-life classification among the subcomponents of Internet overuse had positive effects on cyber delinquency factors. Fourth, it was found that overuse of the Interne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and cyber delinquenc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causes for teenagers' cyber delinquency behavior triggered by Internet overuse. Also, it provide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to understand juvenile delinquents and prevent deviate behaviors by Internet overuse.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심리요인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터넷 과다사용의 매개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서울, 경기도 등 수도권 중심으로 중․고등학교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10월 10일부터 12월 7일까지 5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50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본 연구의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요인은 인터넷 과다사용에 정(+)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심리적 하위요인 중 소외요인이 스트레스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요인은 사이버비행에 정(+)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히, 사회심리적 하위요인 중 소외요인이 스트레스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과다사용은 사이버 비행요인에 정(+)의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터넷 과다사용의 하위요인 중 일상생활 장애와 현실구분 장애는 사이버 비행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탈은 사이버 비행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과다사용은 사회심리적 요인과 사이버 비행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과다사용 및 이로 인한 사이버 비행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청소년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인터넷 과다사용 일탈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 비행 관련 요인의 성별 및 발달적 비교 연구

        김원경 ( Kim Wonkyung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9

        청소년 비행 경험의 영향요인을 개인의 심리적,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고 청소년의 성별 및 초기, 중기, 후기 청소년기의 발달시기별로 영향요인이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실시한 2013 한국 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에서 사용한 전국 16개 시·도의 초(4~6학년), 중, 고등학생 총 9,755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 심리적 요인(우울, 불안, 게임중독, 스트레스,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정서조절, 낙관주의적 성격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부모지원, 가족유대감, 사회적지지, 교사와의 유대감, 친구관계)을 투입하고 청소년의 비행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리적 변인이 사회환경적 변인보다 비행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과 스트레스는 남녀 청소년의 모든 청소년기에 걸쳐 비행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초기와 중기 여자 청소년의 경우 생활만족도와 자존감의 긍정적 심리요인이 비행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초기 남자 청소년은 게임중독이 비행에 대한 가장 유의미한 심리적 영향요인이었다. 사회환경적 요인 중 가족유대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게 전체 청소년기에 걸쳐 비행에 대한 매우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진 변인이며 비행의 보호요인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시기별로 심리적, 사회환경적 변인이 청소년 비행의 설명에 각각 달리 적용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따른 비행의 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대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청소년의 성별과 발달시기별로 달리 적용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psychological and ecological factors affect juvenile delinquency in early-, mid-, and late-adolescence, according to gender. The data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me from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to a sample of 9,755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Both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nxiety, stress, life-satisfaction, self-esteem, self-efficacy, emotion-regulation, and optimism) and ecological factors (family relations, peer relation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ocial support) were ent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a total score of delinquency was entered as a dependent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factors were relatively more effective predictors than ecological factors on juvenile delinquency. Specifically, anxiety and stress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delinquency across the gender and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youth. Among psychological factors,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delinquency in female youth of early- and mid- stages, while game addi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in male youth of early stage. Among ecological factors, family relationship was a crucial predictor of delinquency across the gender and all the developmental stages of Korean youth. Results implied the existence of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nto this area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delinquenc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위험성 요인이 비행경험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경희,양문승 한국경찰연구학회 2015 한국경찰연구 Vol.14 No.2

        현재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204,204명(행정자치부, 2015년 1월 1일 기준)으로 초기 다문화 사회 진입하여 급증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취학연령에 진입하였고, 중도입국자녀들의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다문화 사회 진입에 따른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 다양성은 학교공간에도 점차 반영되는 추세이며, 최근 한국사회 내 출산율이 감소함에 따라 다문화가정의 영향은 한국 사회 청소년의 인구구성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으로도 다문화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으로, 특히 이들에서 태어난 자녀들에 대한 비행 및 피해, 범죄발생 및 피해, 범죄예방 및 보호를 위한 전략적인 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의 경험 및 피해 경험 실태를 살펴보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비행의 위험성뿐만 아니라 비행의 피해에 어느 정도 노출되어 있는가, 또한 어떠한 요인들이 이들의 비행 및 비행 피해에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기 위해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위험성 요인을 국가관 및 문화요인(국가정체성, 이중문화수용태도, 문화적응스트레스), 학교생활 및 친구요인(교우관계적응 및 친구의지지, 교사와의 관계적응 및 교사의지지, 학교생활정도, 비행친구정도), 개인심리적 요인(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증적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위험성 요인인 ‘국가관 및 문화요인’의 하위요인에서는 ‘국가정체성’이, 학교생활 및 친구요인의 하위요인에서는 ‘교사의지지, 비행친구정도’가, 개인심리적 요인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비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행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은 ‘국가정체성, 교사의지지, 비행친구정도, 자아탄력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위험성 요인인 ‘개인심리적 요인’의 하위요인에서는 ‘삶의 만족도’가, 학교생활 및 친구요인의 하위요인에서는 ‘친구의 지지’가 비행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행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력은 ‘삶의 만족도, 친구의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피해 경험 요인은 비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current multicultural juvenile 204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on January 1, 2015 based) soared by entering the early multicultural society a multicultural juvenile entering school age, and is the capital of the immigration of children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such as launch racial, national, cultural diversity is increasingly reflected in the trend of school space, and recent South Korean society is my birth rate decreases the influence of the youth population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 multicultural home configuration is also expected to give quite a few changes. In the future, especially in view of the multicultural home grow continuously, these children born in flight and the damage caused and the damage, crime, crime prevention and strategic policies needed for protection. The need for such research in this study, the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youth's flight home and look at the reality, as they have experienced damage to flight in addition to the dangers of being exposed to a certain extent, to the victims of the flight, flying and flight of which factors can affect damage for the sake of the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to explore. To this end, this study provides a review of the research, followed by a flight of the risk factors for youth,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business and cultural factors (national identity, 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cultural adjustment and stress), school life and friends factor (in support of adaptation and companionship friends, teacher support, adapt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school life, flying friends),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ego resilience, life satisfaction) center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as in the following example. First, there is the risk factor, the flight of youth ' multicultural families of nationhood and cultural factors in the sub factors ' of ' national identity ', school life and friends in support of the teachers, a child of the factors about friends ' flight ',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the ' ego-resilience ' appeared to be affecting the flight experience, flight experience on ' national identity, teacher support, flight followed by a couple of friends, ego resilience ' appeared. Secondly, on the flight of youth risk factor multicultural families ' psychological factors ' in the ' lower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 school life and friends in support of the sub factors of 'friends ' and the flight appeared to be affecting the victim experiences, flight victims experience on ' life satisfaction, a proponent of the ' friends of the net. Third, the flight of the harm a multicultural juvenile experience factor appeared to be affecting the flight experienc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특성에 관한 연구 : 일반적인 비행요인과 다문화 특성요인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박성훈,전영실 대한범죄학회 2017 한국범죄학 Vol.11 No.3

        Research has shown that more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at increased risk for delinquent behavior relative to their counterparts. Also, many researchers focused on the delinquent factors such as attachment for parents, delinquent peers and/or unique factors as like acculturation, ethnic identity, discrimination. The present study, however,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factors on several delinquent factors hypothesized to account for the delinquent activities. Using the samples of the 800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800 in comparative counterparts, we found that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more likely to be delinquent than their counterparts in serious activities as well as misdemeanors. Delinquent peer association and the childhood abuse were common factors of delinquency in multi-cultural youth and their counterparts. But in case of serious delinquency,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al monitoring in multi-cultural youth and attachment for mothers in their counterparts. Interactional effect analyses provided support for the moderating effects which included identity as Koreans and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This findings suggest a enhancement of identity, and a strengthening of parental role, especially the role of fa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가정에서 자란 청소년들이 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사회통합 차원에서 이들에 대해 관심과 지원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다문화가정의 청소년비행과 관련 하여 일반적인 비행요인을 검증하는데 관심을 두거나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경험할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을 중심으로만 분석을 시도하였다. 반면, 일반적인 비행요인과 다문화가정 특성요인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 논문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체성 혼란과 차별경험 등 이 들만이 경험할 수 있는 특성요인과 일반적인 비행요인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학교와 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 800명과 일반가정 청소년 800명 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에 비해 다문화청소년일수록 지위비행은 물론 심각한 비행을 더 많이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위비행을 중심으로 일반청소년 과 다문화청소년의 일반적인 비행요인을 비교한 결과, 친구의 비행성향은 공통적이나 다문화청소년의 경우 에는 부모의 감독과 가족으로부터의 학대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심각한 비행에 대한 분석 결과, 일반청소년과 다문화청소년 모두 친구의 비행성향, 가족으로부터의 학대경험이 공통적인 비행요인으 로 나타난 반면 일반청소년은 어머니와의 애착이, 다문화청소년은 부모의 감독이 심각한 비행에 대한 보호 요인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다문화가정의 자녀라는 이유로 학교나 동네에서 차별을 경험한 청 소년일수록 심각한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정의 특성요인과 비행요인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 지위비행의 경우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유무에 따라 비행친구의 효 과와 아버지와의 애착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심각한 비행의 경우에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유무나 다 문화 차별경험 여부에 따라 비행친구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정 체성 확립과 부모관계, 특히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 사한다.

      • KCI등재

        재미 한인 청소년의 비행행동과 관련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영옥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2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ie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delinquent behavior among Korean-American Adolescents in USA.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 of 301 Korean-American students in grades 6 to 12.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enerally, these data showed that most of the risk factors in all domains demonstrate a strong relationship to the delinquent behavior . Second, the most common risk factor was "laws favorable toward drug use"(60.2%) on the community domain, and this risk factor increased the odds of delinquent behavior by approximately 3 times. Third, the "opportunity for positive involvement" which is a protective factor on the school domain was reported by 82% of Korean-American youth, but this factor did not decreased the probability of delinquent behavior. Fourth, the percentage of students "resilient" on all protective factors on the family domain was much lower than that of protective factors on other domains. Fifth, the strongest predictors of delinquent behavior were shown in the peer-individual domain. All risk factors in the peer-individual domain increased the odds of delinquent behavior from 3.8 to 17.7 times, and all protective factors in this domain decreased the odds of delinquent behavior from 7.8 to 10.2times 본 연구는 재미 한인 중고등학생들의 비행행동과 관련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평가하고 그 특징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6학년부터 12학년까지의 한인청소년 301명이었다. 지역사회, 가족, 학교, 개인 및 동료영역 등 4개 영역의 거의 대부분의 위험요인들과 비행행동과는 강한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보호요인의 경우 개인 및 동료영역의 보호요인들만 비행행동과 강한 관련성을 보였고 나머지 세(지역사회, 학교, 가족)영역에서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인 청소년이 가장 많이 갖고 있는 지역사회 영역의 위험요인은 “약물사용에 대한 법적 호의성”이었는데, 이는 비행행동의 가능성을 3배 이상 높이고 있다. 보호요인에서는 82%가 학교영역의 “긍정적인 활동의 기회”의 요인을 보호요인으로 가지고 있었으나, 이 요인이 비행행동의 가능성을 줄이지는 못했다. 가족영역에서의 보호요인은 다른 세 영역의 보호요인에 비해 보호요인으로 갖고 있는 비율이 훨씬 더 낮았다. 비행행동을 가장 잘 예언해주는 변인은 개인 및 동료 영역이었는데, 개인 및 동료영역의 모든 위험요인은 비행행동의 가능성을 3.8배에서 17.7배까지 높이고 있고, 모든 보호요인 또한 비행행동의 가능성을 7.8배에서 10.2배까지 줄이고 있다.

      • KCI등재

        청소년 비행행동에 있어서 부모요인과 친구요인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

        김경 ( Kyoung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0 청소년복지연구 Vol.12 No.4

        이 연구는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과 ‘친구요인’ 사이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족요인의 하위변인으로는 ‘부모애착’과 ‘부모감독’을 친구요인의 하위변인으로는 ‘비행접촉’과 ‘비행유대’로 구분하였다. 조사는 전북지역 고등학생 1,46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부모와의 애착이 낮고 비행친구와의 접촉이 많을수록 비행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부모와의 애착이 낮고 비행친구와 유대관계가 강할수록 보다 많은 비행을 저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감독과 비행접촉 그리고 부모감독과 비행유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모애착이나 부모감독은 개별적으로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양 개념은 부모-자녀 관계방식에 있어서 상반된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자녀간의 정서 적 유대관계가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paper, the interaction effect of parents and friends which give an affect on the juvenile delinquency was analyzed. `Parent attachment` and `parent superintendence` were classified as variables under parent factor and `delinquency association` and ‘delinquency bond` were under friend factor, respectively. Parent associatio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parent superintendence means how much parents know about their children and control them. Delinquency association is the degree of contact with a juvenile delinquent and delinquency bond means how much a juvenile attach with the juvenile delinquent. The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1,466 highschool students in Jeonbuk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a juvenile who had little attachment with his/her parents and frequent contact with a juvenile delinquent had more chances to commit misdeeds. Les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more contact with a juvenile delinquent lead to more delinquency.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ent superintendence and delinquency attachment and between parent superintendence and delinquency association. Parent attachment and parent superintendence are the factors which effect juvenile delinquency but are opposi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effects juvenile delinquency.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비행의 동기, 기회와 통제요인을 통한 모형의 구성과 검증

        이성식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7 정보화정책 Vol.14 No.3

        이 연구는 기존 이론 및 연구들의 결과를 기초로 청소년 사이버비행에 대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그것을 검증하는 것에 주목한다. 여기서는 기존의 설명요인들을 크게 동기요인, 기회요인, 통제요인으로 구분하고, 동기요인으로 부모 및 학교에서의 긴장, 우울, 낮은 자긍심, 재미동기, 비행친구접촉 및 비행기회요인으로서 인터넷사용시간의 영향력을 살펴본다. 아울러 동기 및 기회요인은 비행통제요인이 없을 때 비행 설명의 필요충분조건이 된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 이들 요인이 조절변인인 통제요인(사회유대, 처벌인지, 개인태도 및 윤리의식, 자기통제력)과 상호작용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본다. 서울시 중고등학생 1,113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비행친구, 재미추구동기, 그리고 우울은 사이버비행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동기요인이 되었고, 기회요인으로서 인터넷사용시간의 영향력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조사결과는 동기 및 기회요인들이 통제요인들과 어느 정도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제시해 본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논한다. This study tries to construct a model of cyber-delinquency and test it. This study provides some explanatory factors, specifies them into motive, opportunity and control factors, and attempts to construct a model of cyber-delinquenc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otive factors(eg, parental and school strains, depression, low self-esteem, fun-seeking, and association with delinquent peers) and also tests the effect of internet using time as an opportunity factor on cyber-delinquenc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oderator factors and tests the interaction effects of motive and opportunity factors with control factors(eg, social bonds, perceived punishment, attitude, and self-control. Using data from 1,11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in Seoul, 2003, this study reveals that association with delinquent peers, fun-seeking motive, and depression have direct significant effects on cyber-delinquency and also finds that internet using time has a large effect in explaining cyber-delinquency. In addition, results show that some interaction effects of motive and opportunity factors with control factors are significant, which results support the validity of a model.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ose resul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