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효과성 분석 : 무역관련 교과목을 중심으로

        김규진(Gyoojin Kim),김영민(Youngmin Kim),강효원(Hyowon Kang)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1 전자무역연구 Vol.19 No.4

        연구목적: 코로나19의 확산이 국내를 넘어서 전 세계적인 ‘대유행(Pandemic)’이 선언되고 난 후 교육부와 교육주체들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상황에 대응하는 모습에서 벗어나 학내외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원격수업 운영지침’ 등을 제정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수업만족도와 수업성과를 고려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체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무역 관련 교과목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진행된 ‘동시적 원격수업’과 ‘비동시적 원격수업’의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학습 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구성/논리: 코로나 19 상황과 원격수업, 학습 실재감, 학습몰입 및 학습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A대학교에서 진행한 무역 관련 교과목의 동시적 및 비동시적 비대면 원격수업을 수강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신뢰성분석, 타당성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비동시적/동시적 원격수업의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 비동시적 원격수업인 LMS 탑재 녹화영상 강의에서 사회적 실재감,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 모두가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습자들은 실시간 화상강의와 같은 동시적 원격수업에서 사회적 실재감, 교수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을 더욱 높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원격강의에서도 교수자와 학습자가 능동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점이 이 같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비대면 원격수업을 동시적 및 비동시적으로 구분하여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학문적 독창성과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들은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는 시대를 대비하여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장점을 더욱 확장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수업전환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Purpose: : The spread of COVID-19 has been declared a global pandemic. In Korea,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entities have prepared a system for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that allows learners to consider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learning performance of non-face-to-face distance classes conducted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ing on trade-related subjects. Composition/Logic: This study surveyed learners who took simultaneous and asynchronous non-face-to-face distance classes in trade-related subjects. Reliability, valid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synchronous and simultaneous distance learning and social presence, teaching presence, cognitive presenc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erformance. Findings: Results showed that social, teaching and cognitive presence significantly affected the learning flow in a non-simultaneous distance learning, LMS-equipped recorded video lecture. It was found that learners perceived social, teaching, and cognitive presence more highly in simultaneous distance classes such as real-time video lectures. This is interpreted that activ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is possible even in non-face-to-face distance lectures. Originality/Value: This study has academic originality and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 by classifying non-face-to-face distance classes simultaneously and asynchronously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dditionally, teachers and learners provided a possibility to explore class conversion to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further expanding its advantages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living with the virus.

      • KCI등재

        대학 원격수업의 비대면 평가 운영 현황 및 과제수행 평가 운영 사례 분석

        이영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으로 시행된 대학 원격수업에서 진행된 비대면 평가 운영 현황 및 학습자들의 인식을조사하고, 원격강의 분석을 통하여 비대면 과제수행 평가의 원칙과 과제유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원격수업을 운영한 수도권 소재 대형 종합대학인 A대학의 재학생 총 1,062명을 대상으로 2021년 1학기 이후비대면 평가 운영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0학년도 우수 원격수업으로 선정된 9개 강좌에서 진행된 과제를 분석하고교수자 4인을 대상으로 비대면 과제 수행에 대한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 중 진행된 비대면 평가 방법은 대부분 시험(테스트) 및 과제 수행 평가의 혼합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며, 평가 운영에 대하여 학습자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비대면 시험(테스트) 방식은 주로 실시간 화상 시험 유형으로 진행되었으며, 비대면 평가는 대부분 온라인 학습시스템(LMS)를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만족도 또한 높은편이었다. 셋째, 원격수업 중 진행된 비대면 과제수행 평가는 다양한 유형의 주로 장기 진행 과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많은 교과에서 평가기준(루브릭)을 제공하였다. 넷째,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비대면 과제수행 평가는 우선 감염증 확산을 방지하고 비대면 평가의 공정성 한계 극복 및 평가를 통한 지속적 역량강화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비대면 과제수행 평가 진행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원격수업 중 진행한 과제수행 평가 사례 분석을 통하여 비대면 과제수행 평가의 방법과 내용에 따라 다양한 유형을 도출하였다. 결론 팬더믹 상황으로 갑작스럽게 진행된 대학 원격수업 학기의 학생 평가는 주로 시험과 과제수행 평가가 혼합된 비대면 평가로온라인학습시스템(LMS)를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또한 대학 교수자들은 원격수업의 학생평가를 위해서 다양한 내용 유형과 진행 방식의 비대면 과제수행 평가를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지속적 역량강화 노력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status and the assignment performance for the students’ assessment in the online classes of the university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n identify the principles and categories of the assignment performance assessments in the online classes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best cases that students are highly satisfied with. Methods For doing this, 1,062 students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status for the assessments in their online classes in 2021 at the university. Also, the assignments of the best 9 online classes were analyzed and 4 instructors of the classes were interviewed to identify the key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both the test type of examination and assignment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implemented in the online classes for the past semester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assessments was recognized positively by most students. Second, most of online examinations were conducted by real-time video test through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and then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LMS. Third, the performance assessments of the online classes were conducted in many different ways but most of the assessments were long-term period assignments with the rubrics of the assessments. Fourth, the assignment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effective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students’ learning by implementing the assignments. Fifth, the principles and types of assignments performance assessment were identified in several different categories based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s by analyzing the assignment from the 9 online classes. Conclusions It seems that the assessments in the online classes responding to the COVID-19 were implemented in effective ways through the online LMS. The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assessment in the online classes was quite positive and also many types of assignments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developed by the instructors to enhance the competence of students during the semester of distance classes.

      • KCI등재

        대학의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최효선 ( Hyoseon Choi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교수자의 정서는 학습자의 정서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감염병으로 인한 세계 건강 위기가 교육의 위기로 확장되면서 비대면 원격수업을 진행하게 된 교수자는 여러모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이 교수자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비대면 원격수업에서의 교수자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과 정서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11명의 교수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는 대면 수업에 비해 비대면 원격수업의 준비과정이 복잡하고, 학습내용이 어려우며, 학습량이 많은 방법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교수자가 비대면 원격수업과 대면수업의 특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교수자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교수자가 비대면 원격수업을 대면수업과 동일하게 인식할수록 긍정정서는 높고, 부정정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대면수업과 상이한 비대면 원격수업에서의 교수자 역할을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피드백 체제와 교수자별 맞춤형 교육을 통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지원을 제안하였다. Instructor’s emotion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learner’s emotion and their learning effects. As the global health crisis caused by infectious disease has shifted to the crisis of education, teachers who have conducted emergency remote instructions are under stress in many way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instructors’ perception of remote instructions affects the emotions, and to seek ways to support instructors in remote learning courses.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for faculties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and emotions about remote instructions, and 411 instructors voluntarily participated. As a result, instructors recognized that the preparation process for remote instructions was complicated, the learning contents were difficult, and the amount of learning was excessiv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instructors according to how they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ote learning and the traditional face-to-face cours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emotions and the lower the negative emotions, the more the instructor perceived the remote instructions as the traditional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role of instructors into remote learning courses, which are different from face-to-face courses, and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feedback system for remote learning.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support instructors’ remote learning classes through 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instructor.

      • KCI등재

        교양일본어 비대면 원격수업의 실천보고 및 개선방향 탐색 - 신라대 교양일본어 수강자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김세련 대한일어일문학회 2022 일어일문학 Vol.93 No.-

        본 연구는 21학년도 2학기 진행된 교양일본어(SJP)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운영 실태와 그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21학년도 2학기 교양필수 SJP강좌 13클래스 전체 수강자 272명이고, 설문에 참여한 사람은 179명으로, 참여율 65.8%의 응답을 얻었다. 조사목적은 SJP 비대면 원격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수강자의 인식과 요구도 분석을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학습자 참여형 비대면 원격 수업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실증적인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11월23일부터 12월7일 2주간에 걸쳐 진행되었고, 조사방법은 네이버 설문조사 URL을 공유하여 익명으로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피조사자의 (1)기초정보 (2)수업유형 (3)학습동기 (4)수업운영 (5)교수-학생 간의 상호작용 (6)성취도평가 (7)학습자요구 등에 관한 7가지 사항이다. 분석결과, 첫째, 비대면 원격 수업유형의 대부분은 ‘동영상과 실시간 원격화상’의 병행 또는 혼합수업이 68.7%로 가장 많았다. 반면, 수강자가 바라는 향후 원격수업의 유형은 비실시간 ‘동영상’수업을 가장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시간 화상수업에 참여하기 전에 반드시 동영상 수업을 먼저 듣고 참여하려는 학습동기를 보였으나, 스터디 관련 비교과 활동에 관한 관심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티칭 운영의 전체적인 만족도는 87.5%가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만족 영역은 ‘수업내용’인 반면, 불만족 영역은 ‘교수-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수업진도’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학생 간의 상호작용’의 수단은 ‘LMS의 공지사항과 게시판’활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문법수업의 패들렛(Padlet) 활용과 회화수업의 PPT 플랫폼에 흥미를 보였으며, 실시간 화상수업에서는 스피드 퀴즈게임에 적용한 Kahoot!에 흥미를 보였다. 향후 비대면 학습자 참여형 원격 수업설계의 개선 방향으로 첫째, ‘교수-학생’, ‘학생-학생’ 간의 원만한 상호작용을 위한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을 제안한다. 둘째, 학습자의 협업과 도전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비교과 활동 기획을 제안한다. 셋째, 교과목 ‘수업개선연구회’ 모임의 활성화를 제안한다. 끝으로 본고의 설문결과는 객관성과 일반화에 한계는 있지만, 비대면 원격수업의 실천보고로서의 학습효과를 가늠해 볼 수 있길 바란다.

      • KCI등재

        원격 역사 수업의 현황 및 활용 가능성에 대한 모색

        이유경,김민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remote education of history and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history lesson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For this purpose, a small-scale survey was conducted with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nd interview was made, to learn hardships they experienced and feasibility in designing remote history lessons.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teachers depended more on sharing experiences with peer teachers instead of the state-published teaching materials in designing remote history class. The types of remote lessons they used consist of “on-site class recording lectures,” “tape-recorded lectures designed for remote classes,” and “real-time interactive platform-based lectu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had experienced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individual students in remote education environments but at the same time remote education classes opened possibility of personalized communication. The biggest merits of remote history class the teachers identified were being easier for students to search topic-related materials, more convenient to record students’ activity and evaluate the learning process, possibility of student-led class and expandability of class for history education for deeper-level learning. The study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insights to leverage in opening career subjects for history and further studies on remote history education to be utilized in implement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본 연구는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및 면담 조사를 기반으로 코로나 19 발생 이후 원격 환경상의역사 수업 운영을 알아보고 역사 수업에 활용 가능한 원격 환경의 장점 및 가능성을 규명하여, 원격 환경에서 시도해볼 수있는 역사 수업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국가 발행 자료보다 동료 교사 간의 수업 사례 공유가 실제 원격수업 운영에 도움이 된다고 선호도를 밝혔다. 코로나 19 이후 실제로 활용하는 원격 역사 수업의 유형은 ‘현장 수업 녹화 강의’, ‘원격 수업을 위해 설계한 녹화 강의’, ‘실시간 쌍방향 플랫폼 이용 수업’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원격 수업의 가장 큰어려움으로 꼽은 것은 학생과의 소통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원격 수업 상황으로 인해 개별화된 소통 가능성을 열어주었다고 평가되기도 하였다. 교사들이 지적한 원격 역사 수업의 장점은 조사 학습을 위한 자료 조사의 용이함, 학생의 학습 활동 기록 및 과정 평가의 수월함, 학생 주도의 수업 구현의 가능성 및 심화된 역사학습을 위한 수업의 확장성 등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앞으로 역사과의 진로 과목 개설과 고교학점제 시행 국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격 역사 수업에 대한 연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주관적 인식유형

        김정수 ( Jung Su Kim ),김장엽 ( Jang Yeop Kim ),주익현 ( Ik Hyun Joo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1 주관성연구 Vol.- No.55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최근 대학들은 원격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원격수업 제도의 발전을 위해서 학생들의 원격수업에 대한 평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원격수업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Q 방법론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60개의 Q 표본과 25명의 P 표본을 구성하여 2020년 11월 6일부터 19일까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강제분류를 실시했으며 주성분 분석 배리맥스 방법을 통해 총 4가지 유형을 발견하였다. 첫번째 유형은 반복학습선호형이다. 이들은 원격수업 동영상을 반복재생하며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 만족하고 있었다. 두 번째 유형은 원격수업거부형이다. 이들은 비대면 원격수업이 대면수업보다 학습효과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세 번째 유형은 원격수업조건부수용형이다. 이들은 비대면 원격수업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학사운영 미비점에 대해서는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네 번째 유형은 개인주의선호형이다. 이들은 대면수업이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관계’를 자신들에게 강요하고 있으며, 비대면 원격수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이 사라졌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Because of COVID 19 pandemic, undergraduate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For development of remot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students’ appraisal of online lec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tigating students’ subjective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We used 60 Q sample and 25 P sample to survey from 6 November to 19 November in 2020. We applied forced Q soring and found four types by varimax-rotate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First type was prefering repeated learning. They satified that they can learning repeatedly by remote classes video. Second type was rejecting online distance learning. They believed that remote classes learning effect was weaker than face to face study learning effect. Third type was accepting remote class conditionally. They evaluated remote classes positively but complained about inexperienced educational management. Forth type was prefering individualism. They addressed that face to face classes forced unnecessary or too much ‘relationship’ to them and that problem disappears by remote classes.

      • KCI등재

        비대면 원격수업 사례분석을 통한 교수자의 원격수업 역량 탐색: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중심으로

        오영범 ( Youngbeom Oh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수업이 원격수업 체제로 전환되면서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원격수업 설계 및 실행 역량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원격수업 사례, 원격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및 자유 글쓰기와 같은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동성과 김영천(2014)이 언급한 개연적 삼단논법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격수업을 위한 교수자 역량을 사전 점검, 설계, 실행, 성찰의 4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각 단계에 따른 구체적인 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전 점검 단계에서는 원격수업 환경 구축 역량을 제시하였고, 하위 역량으로 원격수업 시스템 사전 점검 역량과 학습자 정보격차 관리 역량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설계 단계에서는 원격수업 설계 역량에 따라 학습자 요구분석 역량, 학습 내용 구조화 역량, 수업목표 달성도 평가 역량, 학습자 학습 관리 역량, 그리고 윤리적 문제 예방 역량을 제시하였다. 세 번째 실행 단계에서는 원격수업 실행 역량에 따라 상호작용 촉진 역량, 즉각적 피드백 역량, 이해도 점검 역량, 학습자 간 협력 관계 구축 역량, 시스템 오류 방지 및 복구 역량을 제시하였다. 네 번째 성찰 단계에서는 원격수업 성찰 역량에 따라 원격수업시스템 사후 점검 역량과 원격수업 설계 및 실행 성찰 역량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드러난 원격수업 교수자 역량은 원격수업을 실천하는 교수자에게 유용한 지침으로 작용하여 그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원격수업을 위한 교수자 역량 강화를 위해 교수자의 자발적 노력, 다양한 지원체제 구축, 단위학교 차원의 공동체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stance instruction competencies required for instructors as the general instruction was converted to a distance instruction system because of Covid-19. To this end, qualitative data such as distance instruction cases, interviews and free writing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the probabilistic three-step argument mentioned by Dong-sung Kim and Young-cheon Kim(2014).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etencies of instructors for distance education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four stages of pre-checking, design,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where distance instruction is conducted. The specific competencies for each stage are as follows. Competency for establishing distance instruction environment: Pre-checking competencies for distance instruction system, competency for managing digital divide, Design competency for distance instruction: competency for analyzing learner needs, competency to structure learning content, competency for evaluating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competency for managing learner learning, prevention of ethical problems Competencies, Distance instruction execution competency: Interaction promotion competency, instant feedback competency, comprehension check competency, learner partnership building competency, system Error prevention and recovery competency, Distance instruction reflection competencies: distance education system post-check competency, distance instruc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reflection competency.

      • KCI등재후보

        예비 교원의 비대면 수업 역량 강화에 대한 소고

        신원정(Won Jeong Shin),김종연(Jong Yeon Kim)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1 한국교육논총 Vol.42 No.3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학생들의 학교 등교가 정지되거나 제한되면서 학교의 교실수업은 비상 비대면 수업으로 급격히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교원들의 비대면 수업 역량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으며, 특히 예비교원과 교원들에게 원격교육의 기능과 기법을 교육할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수업 역량 강화와 관련된 제반 사항들을 살펴보고, 비대면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수업의 준비와 진행 과정을 비대면 교육 내용의 선정, 비대면 교육 자료의 제작, 비대면 수업용 미디어 형성, 비대면 전달의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과 장비 등을 소개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필요한 기술적 측면, 수업 내용과 기술의 결합 측면, 기타 고려 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해당 모형을 적용하여 예비 교원들의 비대면 교육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수업 콘텐츠 사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수업 콘텐츠에서의 저작권 문제, 수업 질 격차 해소,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예비 교원 양성 시스템 구축 등과 같이 예비 교원 양성의 관점에서 비대면 수업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dramatic changes in school education. Classes were suspended or students were restricted from attending school, and classroom instruction shifted toward distance learning. Accordingly, teachers’ teaching abilities related to non-face-to-face education have becom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ducation on various non-contact methods for prospective and present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ntroduced the preparation and progress of non-face-to-face classes. It has five stages: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making of educational materials, media production for non-face-to-face classes, and non-face-to-face delivery. This study introduces the necessary technologies and equipment required for each stage. In addition, we provide a case class that can strengthen the capacity of non-face-to-face teaching of pre-teachers. In addition, we discuss topics such as bridging gaps in class quality, copyright issues, and preparing teacher training systems for non-face-to-face education.

      • KCI등재

        Covid-19에 대응한 비대면 원격 수업 실행에 관한 국어 교사의 역량 탐색

        최숙기 ( Choi Sook-ki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4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에 대응하기 위하여 2020년 1학기에 전면적인 비대면 원격 수업 체제로 전환된 이후에 비대면 원격 수업에 참여한 국어 교사들이 인식한 어려움을 기반으로 하여 국어 교사들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교사 역량을 탐색하고 역량 수준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 전면 비대면 원격 수업 학기에 참여한 전국 단위 국어 교사 117명을 대상으로 하여 면담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선 원격 수업과 관련하여 국어 교사들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역량 범주 탐색을 위하여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이하 CQR)를 실시한 후 역량 범주를 도출한 후 1) 원격수업 도구 및 교육용콘텐츠 제작 역량(5개 문항), 2) 원격 수업 재구성 및 실행 역량(7개 문항), 3) 원격 수업 학습자의 수업 참여, 소통, 관리 역량(4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 도구를 개발하고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국어 교사들의 원격수업에 요구되는 국어 교사 역량 수준은 평균 3점대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고 2) 원격 수업 재구성 및 실행 역량> 1) 원격수업 도구 및 교육용콘텐츠 제작 역량> 3) 원격 수업 학습자의 수업 참여, 소통, 관리 역량의 순으로 역량 수준이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information to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e difficulties perceived by Korea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non-face-to-face distance instruction after the transition to a full non-face-to-face remote class system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in order to respond to Covid-19. It is to explore the required teacher competency and analyze the competency level. To this end,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17 Korean language teachers nationwide who participated in the full non-face-to-face remote class semester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Comprised of 1) distance learning tools and educational content production competency (5 questions), 2) remote class reconfiguration and execution competency (7 questions), 3) distance learning learner’s class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competency (4 questions) A survey tool was develop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 KCI등재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은 어려움과 지원방안

        박주만 ( Park Joo Man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1 미래음악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 있어 초등교사들이 겪었던 수업 운영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개학 이후 시작된 원격 음악수업을 경험한 초등교사 9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 음악수업 실행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으로는 첫째, 음악 저작권 이해 부족 및 사용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음악 활동의 제약으로 인한 수업 구성의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원격 음악수업 준비 및 운영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다. 넷째, 원격수업 활용 기기 사용에 대한 미숙함과 과도한 제작 시간의 어려움이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의 참여와 상호작용이 없는 획일적이고 경직된 수업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비대면 원격 음악수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방안으로는 첫째, 원격 음악수업을 위한 교수 방법 및 다양한 수업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을 위한 음악 저작권의 완화 및 자유로운 활용을 위한 공익적 성격의 음악저작물이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원격 음악수업을 위한 물리적 환경의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원격 음악수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교육용 악기 지원 및 대여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elementary teachers related to class management in the recent process of implementing remote music classes due to COVID-19 along with support plans. For this,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on 9 elementary teachers who experienced remote music classes that began after the first day of school online. Associated analysis results can be presented as follows. Difficulties experienced in remote music class implementation processes included first, difficulties with a lack of understanding of music copyrights and their use. Second, there were difficulties in class compositions due to limitations of musical activities. Third, teachers were experiencing physical and mental stress due to the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remote music classes. Fourth, there were difficulties as there was a lack of skill in the use of devices that utilize remote classes and with production time consumption. Fifth,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uniform and stiff classes that lacked studen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Support plans presented to resolve the difficulties of such untact remote music classes included, first, the development of various class material and teaching methods for remote music classes. Second, music with a public nature should be produced for the mitigated and liberal use of music copyrights for classes. Third, physical environments should be constructed for remote music classes. Fourth,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empower remote music classes. Fifth, educational instruments should be supplied and rent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