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 자산의 이익관련성 및 가치관련성 분석

        김연희,김명종,김종규 한국세무회계학회 2019 세무회계연구 Vol.0 No.60

        This study examines earnings relevance and value relevance of brand asset and verifies whether brand asset provides incremental effect on information value of other intangible asset expenditures in terms of earnings relevance and value relevance. To this end, we analyzed the earnings relevance and value relevance of brand asset for 4,265 year-firm data of non-financial listed companies from 2010 to 2016. Brand asset is analyze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 earnings relevance and value relevance. These results show that brand asset partially meets the recognition criteria of assets that provide future economic benefits and improve the usefulness of the financial statements if the brand assets are capitalize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cremental earnings effect of intangible asset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brand asset, brand asset was analyzed to provide a significant incremental effect on the earnings relevance of education expenditure and advertising expenditure. Finally, it is analyzed that brand asset provides a positive (+) incremental effect on the value relevan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 advertising expenditure and education and training expendi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advertising expenditure and education and training expenditure are not directly reflected in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corporate value. Instead, the advertising expenditure contributes to earnings relevance and value relevance through brand asset. The employee training expenditure contributes to enterprise performance and enterprise value when the employee training expenditure is linked to brand strategy. Therefore, brand asset has information value that is suitable for investor's decision making and improves information value of intangible asset expenditure. 본 연구는 기업의 핵심경영전략으로 채택되고 있는 브랜드 자산의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을 규명하고 브랜드 자산이 타 무형자산성 지출의 정보가치에 증분효과를 제공하는지를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 관점에서 검증하였다. 기존 브랜드 자산의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에 관련된 연구와 차별화하여 브랜드 자산 구축 기업뿐만 아니라, 미구축 기업을 포함한 확장기업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년에서 2016년까지 7개년 동안 비금융 상장기업의 4,265개의 년도-기업 자료를 대상으로 브랜드 자산의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 자산은 유의적인 양(+)의 이익관련성과 가치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 자산은 미래 이익과 잠재적인 기업가치 등 미래의 경제적 효익을 제공하는 자산의 인식조건을 일부 만족하고 있으며 브랜드 자산을 자본화하여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경우 재무제표의 유용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브랜드 자산의 구축에 따라 무형자산성 지출의 이익 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브랜드 자산은 교육훈련지출 및 광고비 지출의 이익관련성에 대하여 유의적인 증분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자산은 연구개발지출, 광고비 지출 및 교육훈련지출의 가치관련성에 유의적인 양(+)의 증분 효과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광고비 지출 및 교육훈련지출의 효과는 경영성과 및 기업가치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기 보다는 광고비 지출을 통하여 브랜드 자산이 형성될 때 광고비 지출은 브랜드 자산을 매개로 이익관련성 및 가치관련성에 공헌하고 있으며, 종업원의 교육훈련지출은 브랜드 전략을 연계되어 기업의 경영성과와 기업가치에 공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 자산은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목적적합한 정보가치를 가지며, 매개변수로서 무형자산성 지출의 정보가치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

        돈육 가공품의 브랜드 자산 - 선행요인과 결과 -

        한일문,지성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8 경영컨설팅연구 Vol.8 No.1

        브랜드 자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축산제품의 브랜드화와 브랜드자산에 관한 연구는 매울 드물다. 국내외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축산제품의 브랜드화가 강력히 요구되며, 특히, 브랜드자산을 강화하는 선행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연구는 뒤늦은 감이 적지 않다. 그래서 이 연구는 축산제품 중에서 비중이 증가하는 돈육가공품을 대상으로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 선행요인과 구성요소 및 그 결과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연구명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할 경우 관련 업계와 학계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present, the brand equity account for major part in the all enterprises. Especially, though the livestock is given much weight in foods because of increasing of the income and westernizing of eating habits, livestock has not been have a brand despite of almost industries has brand and any researches about livestock has not been conducted.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the antecedences(characteristics of products, advertisement, image of shops, price promotions), brand equity structural elements(perceived quality, awareness of brand, association/image of brand) and the consequences of brand equity by the antecedences and brand equity structural elements of hams and sausages.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ult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브랜드 연상네트워크가 화폐가치로 측정된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오명열(Oh Myoung Yul)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4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자산을 구성하는 제반 구성요소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브랜드자산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 브랜드인지, 충성도, 지각되는 품질과 같은 요소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 브랜드 연상과 관련해서는 선행연구가 많지 않다. 브랜드 연상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브랜드 간에 차이를 크게 나타내지 않으며, 최종적으로 브랜드의 가치를 결정하는 것은 브랜드와 관련된 연상이 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상의 본질에 대한 규정이나 측정방법, 브랜드 자산과의 관계에 대 한 연구는 많지 않다. 기존의 연구는 연상의 측정을 위해서 초기에는 자유연상 방법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이후 래더링이나 ZMET(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BCM(Brand Concept Mapping)과 같은 방법을 통해 소비자의 브랜드 연상에 대한 측정을 시도하였지만 방법론상의 문제나 실행상의 문제를 담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연상네트워크적인 관점에서 연상의 측정을 시도하였으며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에서 적용되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브랜드 연상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둘째, PSM(Price Sensitivity Measurement)방식에 의해 화폐가치로 브랜드 자산을 측정하여 연상네트워크 분석에서의 결과와 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브랜드 연상네트워크 지표는 기본지표 4가지와 중심성 지표 3가지로 측정을 하였으며, 브랜드자산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자산을 기준으로 강한 브랜드와 약한 브랜드 간에 연상네트워크 지표상에서도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나타난 지표와 화폐가치로 측정한 브랜드 자산 간의 관계분석을 통해 브랜드자 산의 측정과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학술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심리학이나 뇌과학에서 발전된 연상네트워크에 대한 개념에 사회학의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고 소비자를 인식하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인접 분야 지식의 접목이 요구된다는 점을 강조한 데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실무적으로 본다면 브랜드자산을 관리 강화해야 하는 관리자의 입장에서 관리가능한 지표로서 브랜드연상의 계량적 측정이 가지는 의미는 클 것이다. 네트워크 분석이 제시하는 다양한 지표를 통해 연상에 대한 정밀한 분 석이 가능하며, 최종적으로 브랜드자산과의 관계 규정도 가능하다는 점은 브랜드 관리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o build a strong brand, it is important to manage several components of brand equity.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effects of brand awareness, loyalty, and perceived quality on brand equity, but few about brand association.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individual brand, other factors do not seem to have much contributing power as brand associations in making a specific brand distinctive. Therefore the brand association can be said to be the key factor in building brand equity. But There are only a few researches on the in-depth meaning,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brand equity, of brand associations. Some researches had measured brand association through the free association method in the early stage. Along with these researches, other methods measuring brand association - laddering, ZMET (Zaltman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and BCM(Brand Concept Mapping) - has been developed. But these methods have some methodological and operational problem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first, this study measures brand associations quantitatively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ssociation and brand equity, using network method widely used in social network analysis. Second, this study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results of brand associations and the monetary value of brand equity measured by PSM(price sensitivity measurement) method. UCINET 6, a software in the field of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brand association networks. Even though network analysis calculate over 50 various indices, this study use two sets of indices, basic and centrality index. Network size, degree, density, and distance are the basic indices and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 centrality are the centrality indices that are used in this study. We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ive brand association network indices(network size, degree,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d brand equity. We also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rong and weak brand in terms of four indices(network size,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brand association is quantitatively measured by network analysis based on both sociology and cognitive psychology and brand equity was measured by moneytary value based on price sensitivity measurement.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that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ly measured brand association and dollarmetric brand equity. Second, this study suggests a new alternative way to solve complicated phenomena of brand association based on sociology, neural 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This study also have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Brand manager must have keen interest on brand association to build strong brand equity. Up to now, tools like free association, laddering, ZMET, and BCM have been proved insufficient to measure brand associations quantitatively, especially in real settings. Additionally there are many other network indices those are not mentioned in this study. The indices should giv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in-depth meaning of brand associative network for the brand managers. The procedure recommend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guidance to systematic management of brand equity.

      • KCI등재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이 비유사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과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초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진균,임연수,이기영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비유사 공동브랜딩 상황에서 공동브랜드를 구성하는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의수준이 어떻게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과 브랜드태도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의 수준과 함께 비유사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조절초점 성향을 제안하고 이를 2(구성브랜드 자산: 많음vs. 적음) × 2(조절초점 성향: 촉진 vs. 방어) 집단 간 요인설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유사 공동브랜딩 상황에서 실험참가자들은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이 적을 때보다 많을 때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 및 브랜드태도에 더욱 호의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과 조절초점 성향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이관찰되었는데 구체적으로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이 적을 때 촉진초점 성향자가 방어초점성향자에 비해 공동브랜드 브랜드자산과 브랜드태도 평가에 더욱 호의적이었다. 구성브랜드 브랜드자산이 많을 때는 조절초점 성향에 따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유사 공동브랜딩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on the co-branding brand equity and brand attitud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self-regulatory focus. In this experimental study, a 2(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low vs. high) × 2(self-regulatory focus: prevention-oriented vs. promotion-oriented)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00 college students. Findings of this research revealed that the 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positively affect co-branding brand equity and co-branding brand attitudes. Also, moderating role of self-regulatory focus was found in that when the 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is low, promotion-focused consumers tend to evaluate co-branding between two dissimilar product categories more favorably than prevention-focused consumers. However, no such effect was found when the brand equity of constituent brand is hig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are provided.

      • KCI등재

        브랜드 자산의 가치 및 사용료율 평가 : A지주회사 사례

        권혁준,김종일 한국회계학회 2022 회계저널 Vol.31 No.1

        Intangible assets such as brand, customer relationships, industrial property rights such as patents, trade secrets, data, and know-how have become a key driver for the creation of corporate value in most compan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brand in a broad sense including a trademark is defined as a unique combination of design, symbols, names, etc. used to imply the nature, values and attributes contained in a product or service, and has marketing functions such as distinguishing from other products and services, indicating sources, quality assurance, etc.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a holding company that owns a corporate group brand evaluates the value of brand assets and the royalty rate in order to sign a brand license agreement with a brand-using affiliate and receive brand royalties. For the evaluation of brand assets, the concept of a brand is compared with the provisions of registered trademarks under the Trademark Act, and the definition and recognition standards of intangible assets are reviewed through the relevant provisions of Korea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K-IFRS) No. 1038. According to the provisions of K-IFRS No. 1038,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an asset in accounting, identifiability, control of resources, existence of future economic benefits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must be satisfied. For an intangible asset to be identifiable, the asset must be separable or the asset must arise from a contractual or other legal right. In addition, the power to obtain the future economic benefits flowing from the underlying resource and to restrict the access of others to those benefits must be secured. Intangible assets can be measured at fair value. In K-IFRS No. 1113, fair value is the price that would be received to sell an asset or paid to transfer a liability in an orderly transaction between market participants at the measurement date. In principle, fair value measurement is based on the price in an active market. However, if there is no quoted price in an active market, fair value is measured using a valuation technique such as a income approach or a market approach. In the valuation of intangible assets that are difficult to find quoted prices in an active market, such as brand assets, the fair value measurement standard of K-IFRS No. 1113 must be strictly complied with to enhance objectivity. The fair value measurement using the valuation technique is evaluated through the cost method (cost approach), comparison method (market approach), and income method (income approach), and the value of brand assets is evaluated by the excess profit estimation method, which is a type of income method. The excess profit estimation method is a method of estimating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as a whole, assuming that intangible assets generate profits that exceed the normal profits of the industry. The value of brand assets is estimated by estimating the contribution of brand assets among the values ​​of the entire company's intangible assets. Corporate brands such as this case have the nature of collective asset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estimate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s of the entire company and to estimate the value of brand assets among intangible assets. The value of the intangible assets of an entire company can be defined as the present value of profits that exceed the normal profits generated by other similar companies in the similar size and same industry. Therefore, the excess profit estimation method is applied as the valuation technique in this case in that it estimates the value of the entire company's intangible assets to meet the definition of intangible assets. The valuation technique based on the excess profit estimation method applied in this case is a method of estimating fair value using unobservable inputs (level 3 inputs) in the fair value hierarchy. Assuming the highest and best use (use of an asset that is physicall... 브랜드를 비롯한 고객관계, 특허 등의 산업재산권, 영업비밀, 데이터, 노하우 등의 무형자산은 빅테크 기업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한 대부분의 기업에서 기업가치 창출의 핵심적인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상표를 포함하는 광의의 브랜드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함유된 본질과 가치와 속성 등을 함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독특한 디자인, 상징, 명칭 등의 결합체라고 정의되며, 타 상품 및 서비스와의 구별, 출처의 표시, 품질 보증 등의 본원적 기능과 함께 고객의 인지도와 충성도 제고 등의 마케팅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그룹 브랜드를 소유하는 지주회사가 브랜드 사용 계열사와 브랜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브랜드 사용료를 수취하기 위해 브랜드 자산의 가치와 사용료율을 평가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브랜드 자산의 평가를 위해 우선 브랜드의 개념을 상표법상의 등록상표등의 규정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무형자산의 정의와 인식 기준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제1038호의 관련 규정을 통해 검토한다. 이후 K-IFRS 제1113호에 규정된 공정가치의 정의와 측정방법을 살펴본다. 가치평가기법을 적용한 공정가치 측정을 원가방식(원가접근법), 비교방식(시장접근법), 수익방식(이익접근법)을 통해 살펴보고 수익방식의 일종인 초과이윤추정법에 의해 브랜드 자산의 가치를 평가한다. 초과이윤추정법은 업종의 통상이익을 초과하는 이익을 무형자산이 창출하는 것으로 보고 기업 전체의 무형자산의 가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기업 전체의 무형자산의 가치 중 브랜드 자산의 기여분을 추정하여 브랜드 자산의 가치를 평가한다. 공정가치 측정을 위해 복수의 가치평가기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한 가치평가기법 외에 다른 방식의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합리성을 검토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비교방식에 의한 브랜드 사용료율을 산정한 후 초과이윤추정법과 비교한다. 지주회사 체제로 기업지배구조를 개편하는 대기업 집단이 증가하면서 지주회사의 주 수익원인 브랜드 자산의 가치평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브랜드 등의 무형자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본 사례연구는 기존의 브랜드 자산의 가치평가기법으로 주로 사용되던 로열티 면제법과 다기간초과이익법 외에 초과이윤추정법에 의한 가치평가기법의 추정 사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무형자산 평가 및 재무제표 작성 관련 실무자와 경영자, 학계, 관련 기관 등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안동지역 브랜드 자산과 지역문화경쟁력

        박동수,황명숙 한국산업경영학회 2006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1 No.-

          본 연구는 지역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핵심요인으로서의 지역브랜드 자산의 결정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지역브랜드 자산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지역브랜드 자산의 선행요인으로 설정한 문화적 착근성과 지역이미지, 지역브랜드에 대한 인지 및 지자체의 지원이 지역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아울러 지역브랜드 자산이 궁극적으로 지역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각 구성개념들 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의 수집은 안동지역과 대구 및 인근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998개의 표본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데이터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을 실시한 후,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LISREL 8.3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분석 결과 첫째, 문화적 착근성의 하위 변수인 애향심과 세대간 영향력, 그리고 지역문화아이콘은 모두 지역브랜드 자산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의 문화적 이미지는 지역브랜드 자산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역의 진취적 이미지는 지역브랜드 자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났다. 셋째, 지역브랜드에 대한 인지는 지역브랜드 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지자체의 지원 역시 지역브랜드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브랜드 자산은 지역경쟁력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에 대한 요약과 논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이 제시되고 있다.

      • 문화상징적 관점에서 본 브랜드 자산가치의 형성에 관한 연구

        이근우,최경호 경북전문대학교 2007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25 No.-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것은 브랜드 자산의 개념과 그에 따른 형성과정, 그리고 브랜드 자산의 측정과정에 관한 일반적인 연구동향이다. 보통 브랜드 자산은 제품의 질과 이미지, 충성도 등이 복합적인 역할을 통해 소비자와 기업에게 각각 가치를 생산한다. 특히 마케팅 분야에서 조명되고 있는 내부 마케팅과 마케팅 믹스 요인에 의한 브랜드 자산가치의 확대는 브랜드 선점의 중요한 과정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소개한 브랜드 자산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상표를 영업권으로 인정하는 재무 회계적 측정방법과 제품 선호, 태도, 구매의도 등의 척도를 통한 상표가치의 계산을 통하여 측정되는 마케팅적 측정방법, 기타 측정방법이 존재한다. 또한 해외 유수의 기업에서 브랜드 평가 시스템은 어떤 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소개하였다. The brand, which has been defined only as an effective differentiating medium, is now being more widely accpted as a representative symbol of its age. This study begins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brand is a symbolic instrument of socio-economic communica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that the brand is forming and expanding a social network in terms of socio-cultural background facto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ut an emphasis on the examination of socio-cultural background factors for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brands. First of all, this study explains that in the brand-recognizant world this king of cultural interaction is smoothly shaped and the members of society have a common recognition. Also, it is pointed out what the brand means socially, and how consumers judge and make choices in view of a retrospective acceptor. As soon as the brand is recognized by consumers, it serves as a socio-cultural symbol via various powerful media. Therefore, the brand forms a social relationship, which in turn provides the surroundings where the brand exists long enough by the process of social consent. The brand grows in relations between value-creators and consumers, and there is a consistent circulation not merely a connection between them. Companies have to implicatively offer what can achieve sysmbolic and cultural meaning to consumers for the higher value of brands.

      • KCI등재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 국내 중대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

        김찬숙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3

        국내 금융 산업은 자본시장통합법을 시작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고, 그 어느 때 보다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금융업종 간 업무의 제한을 없애고 경쟁을 유도함으로써 금융상품의 차별성이 희석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금융기업들은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자산관리서비스를 중심으로 하는 브랜드 구축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증권사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로 대표적인 연구자들의 이론적 고찰과 각 증권사의 브랜드 체계 및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 분석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가져야 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크게 실체 요소, 의미 요소, 표현 요소로 보았다. 현재, 국내 증권사들의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는 금융상품이나 서비스와 같은 실체 요소와 의미 요소는 각 기업별로 차별성이 적은 반면, 표현 요소에 있어서는 기업마다 차별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표현 요소의 전략적 활용은 실체 요소를 보완하고 의미 요소들을 부각시킴으로서 브랜드를 타사와 보다 차별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브랜드의 체계적인 구축을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적인 핵심 요소들을 파악하여 이를 브랜드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접근 방법은 오늘날과 같은 어려운 금융환경에 있어 국내 증권사 자산관리서비스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축과 지속적 관리를 위한 전략적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다. The paradigm of the domestic financial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It is disappears boundaries among financial companies by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Financial companies are trying to build brands that are centered wealth management services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is about the building brand identity of wealth management services through theoretical study on the brand identity and the analysis of brand system and wealth management services brands of domestic brokerages. A brand identity consists of three main elements(products or services, concept or meaning, visual and non-visual) based on the major theories and models about brand identity. In the analysis of the medium and large securities companies, the elements such as product or service no less differentiation each companies. The other hand, the elements such as verbal and visual have differentiations for each brokerages. Differentiation through visual elements could be an effective and strategic way to complement product or service and to highlight brand concepts. Also, the systematic building of a brand is important to the overall structure. It will be a strategic methodology to establish the brand identity for wealth management services and to enhance corporate image and brand value.

      • 채널자산이 유통업체 브랜드 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귀정 ( Gwi Jeong Park ),정기한 ( Ki Han Chung ),박소영 ( So Young Park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1 유통정보학회지 Vol.14 No.5

        소비재 유통시장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복잡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매유통기업의 자산형성에 중요한 요소인 채널 자산(channel equity)에 관한 것이며 기존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던 채널자산을 온·오프라인 채널로 그 유형을 구분하여 측정을 시도하였다. 또한 채널자산을 유통업체 브랜드 제품으로 측정하여 어떤 채널 자산 요인이 브랜드 이미지와 유통업체 브랜드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채널자산에 관해 진행되어온 선행연구들의 연구방향은 특정점포보다는 특정상품으로 다수 소매점들의 유통 채널자산을 측정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정소매점에서 유통되는 유통업체 브랜드 제품으로 채널별 유통업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를 측정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어 진행하였다. 그 이유는 특정 점포를 방문해야만 구매할 수 있는 유통업체 브랜드가 채널 자산의 특성(매력성)을 잘 반영하기 때문이며 멀티채널 쇼핑환경에서 유통기업은 경쟁점포에 대항하기 위해 그 기업만의 매력성을 유통업체 브랜드 제품을 통해 구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소매점에 접근하는 유통채널을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채널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고 연구결과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성적 채널자산은 온·오프라인 채널 모두 PB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격, 제품구색, 점포위치, 품질의 채널 자산요인은 PB 브랜드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성적 채널 자산은 PB 브랜드 이미지와의 영향관계에서 오프라인 채널에서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성적 채널자산과PB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에서는 온라인 채널에서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성적 채널자산 요인 즉, 매장분위기, 신뢰성, 반응성, 판매원서비스는 채널 유형에 따라 영향관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PB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유형 모두 정(+)의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오프라인 채널의 경우 소비자들에게 감성적 채널 자산으로 PB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시키더라도 이는 PB에 대한 구매의도로 연결되지는 않는 것을 의미하며 온라인 채널의 경우 감성적 채널 자산은 PB 브랜드 이미지 인식이 선행되지 않아도 감성적 채널 자산만으로도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구매의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통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마케터들에게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hannel environment is increasingly complex and rapidly changing in the consumer`s goods market. this study is relates to distribution channels which an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channel equity. In previous studies, which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on channel equity. so in this study distribution channels is separated by online and offline channel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at channel equity affects PB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 In particular, previous studies has been researched channel equity on research directions to a specific product rather than a specific number of branches of retail distribution channels focused on measuring the equities, but in this study that certain retailers and distributors in the private brands to brand image and also to measure the purchase of the study was performed to focus. Why should visit a particular store to purchase private brand(PB), because the characteristics reflected. in this study retail distribution channels, both online and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divided into two type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research implications could be drawn. First, the rational channel equity on offline channels PB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 also appeared to influence positively. In other words, price, product assortment, location, quality factor of the channel equity in the PB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 positive (+) appeared to influence. Second, the emotional channel equ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B brand image in an offline channel positive (+)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In addition, emotional channel equity to help purchase intent and the effect of PB in a relationship online channel positive (+)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Third, PB brand and purchase intent both online and offline channels also positive (+)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These findings will be help the people engaged in the retail industry and will be able to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consider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