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ANDSAT 8호 열적외선 영상과 AWS 자료를 이용한 지상 기온 분포도 제작

        구자용 한국지도학회 2014 한국지도학회지 Vol.14 No.1

        Climate maps are required at both national and local scales as the interests of climate issues increase in recent years. To meet the need,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 of producing temperature maps with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data provided by Korean Meteorological Agency and Landsat 8 thermal infrared sensor (TIRS) imagery.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other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spatially interpolated outcomes of AWS data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extracted from Landsat TIRS imagery.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 method is superior to the other two approaches in accurately estimating a spatially-continuous temperature map.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incorporation of AWS data with satellite thermal infrared imagery contributes to generating regional-scale climate maps in an accurate fashion. 최근 기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전국단위 뿐만 아니라 지역 단위에서도 기후 지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무인자동 기상관측장비(AWS) 자료와 LANDSAT 8호 열적외선 영상을 이용하여 지상 기온 분포도를 제작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지상 기온 분포도 제작을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었던 AWS 자료의 공간 보간 기법, 열적외선 영상으로 부터 지표 온도 추출 기법, AWS 자료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상 기온 추출 기법을 비교하고, 지상 기온 분포도에 적합한 지도 제작 기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상 기온 분포도 제작을 위해 AWS 자료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상 기온 추출 기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지역단위의 기후 지도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기술보고 : 터널의 굴착면 전반부에 분포하는 절리의 예측

        황상기 ( Sang Gi Hwang ) 대한지질공학회 2014 지질공학 Vol.24 No.4

        터널의 굴착과정에서 막장전반부에 분포하는 절리를 예측하여 그들로 인한 붕괴를 예방하기위해 보강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빠른 굴착공정에서 절리의 분포를 충분히 조사하고 예측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본 연구는 굴착면 선단부에 분포하는 절리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통계적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될 방법은 단일 절리군에 대한 절리간격의 누적분포도를 이용한 절리분포의 예측이다. 누적분포도는 수평축에 절리를 동일간격으로 순차적 배열을 한 후, 수직축에 누적간격을 기준으로 각 절리를 하나의 점으로 표기한다. 이 도표에서, 표기된 점들이 선형을 이루면 절리의 분포양상이 규칙적임을 의미하며, 직선의 기울기는 절리의 간격을 의미한다. 기울기가 낮으면 절리사이의 간격이 적은 것 이다. 점들의 분포가 군집형을 이루면 이는 절 리의 분포양상이 군집형을 이룸을 의미한다. 현장에서 조사된 자료를 누적분포도에 점기하면 특정 절리군에 대한 분포양상이 분포도에 표기될 것이고, 이 분포양상을 연장하면 앞으로 굴착될 굴착면 전방의 절리분포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실 터널현장에서 10 m간격에서 측정된 특정 절리군에 대한 누적분포도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3 m 전방의 미 굴착구간에 대한 절리분포가 예측되었다. 예측결과를 실제 현장자료와 비교한 결과 누적분포도는 전방절리를 적절히 예측하고 있었다. 분포도의 특성상 점기된 절 리들의 선형과 등간격의 군집형태는 그 자체로 절리의 분포가 규칙적이며 누적분포도의 예측이 정확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향후 누적분포도의 분포양상에 대한 고찰과 그 결과의 넓은 공유가 있기를 바란다. Understanding of fracture networks and rock mass properties during tunnel construction is extremely important for the prediction of dangers during excavation, and for deciding on appropriate excavation techniques and support. However, rapid construction process do not allow sufficient time for surveys and interpretations for spatial distributions of fractures and rock mass properties. This study introduces a new statistical approach for predicting joint distributions at foreside of current excavation face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The proposed methodology is based on a cumulative space diagram for joint sets. The diagram displays the cumulative spacing between adjacent joints on the vertical axis and the sequential position of each joint plotted at equally spaced intervals on the horizontal axis. According to the diagram, the degree of linearity of points representing the regularity of joint spacing; a linear trend of the points indicates that the joints are evenly spaced, with the slope of the line being directly related to the spacing. The linear points which are stepped indicates that the fracture set show clustered distribution. A clustered pattern within the linear group of points indicates a clustered joint distribution. Fractures surveyed from an excavated space can be plotted on this diagram, and the diagram can then be extended further according to the plotted diagram pattern. The extension of the diagram allows predictions about joint spacing in areas that have not yet been excavated. To test the model,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during excavation of a 10- m-long tunnel. Fractures in a 3-m zone behind the excavation face were predicted during the excavation, and the predictions were compared with observations. The methodology yielded reasonably good predictions of joint locations.

      • KCI등재

        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한 횡단면적 분포도상의 적자회피 이익조정에 대한 재조명

        이은철 ( Eun Chul Lee ),손성규 ( Sung Kyu Sohn ) 한국회계학회 2007 會計學硏究 Vol.32 No.2

        Burgstahler와 Dichev(1997)의 연구 이후 횡단면적 분포도를 이용한 이익조정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 결과들을 응용하여 특정 임계치를 약간 초과한 구간은 이익조정 가능성이 크고, 약간 미달한 구간은 이익조정 가능성이 작다는 가정을 이용한 연구방법론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비연속적인 분포가 이익조정의 증거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재량적이익(nondiscretionary income)을 이익조정전 이익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횡단면적 분포도를 응용한 연구방법론의 타당성을 재검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재량적이익(이익조정전 이익)을 기준으로 0을 약간 미달한 적자 표본들이 0을 약간 초과하기 위해 이익조정을 하는 경향이 큰지에 대한 분석이다. 둘째,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0을 약간 초과한 흑자 표본들이 이익조정의 결과라 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비재량적이익을 기준으로 0에 인접한 적자 표본들의 재량적 발생액이 이와 인접한 다른 구간과 차이가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또한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0에 인접한 흑자 표본들의 재량적 발생액이 이와 인접한 다른 구간과 차이가 있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횡단면적 분포도 상에서 0을 기준으로 한 불연속적인 분포가 이익조정의 결과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미국기업을 대상으로 한 횡단면적 분포도의 형태와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한 횡단면적 분포도의 형태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적자보고를 회피하기 위한 이익조정 구간이 상이함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않고 0을 약간 초과한 구간과 0에 약간 미달한 구간간의 이익조정 정도를 비교하는 것은 연구결과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횡단면적 분포도를 이용하여 이익조정 가능성을 구분하는 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Subsequent to Burgstahler and Dichev`s (1997) study, research on earnings manipulation using a cross-sectional histogram has drawn attention. This type of methodology has been used extensively since it is based on a simple assumption that without earning manipulation there shouldn`t be any discontinuity in a cross-sectional histogram. Above all, this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discretionary accruals. Recently, there has been a new trend of research using the fact that the area in excess of a specific threshold has a high chance for earnings manipulation, while the area in short of a specific threshold has a low chance. However, the question has been raised whether the discontinuity in a histogram is evidence of earnings management or not. Also, a cross-sectional histogram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each security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n area close to 0 is an outcome of earnings management. For example, Burgstahler and Dichev`s (1997) study shows that discretionary earnings show an actual frequency which is lower than the expected frequency in an area in short of 0, and that the reverse is true in an area in excess of 0 using U.S. data. However, research by Song et al. (2004) using domestic data reports an earnings manipulation to avoid loss. In this context, an analysis without taking into account cross-section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may be misleading in the interpretation of empirical results in short/ excess of 0.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on whether a discontinuity around 0 is evidence for earnings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two research questions on the validity of research methodology of a cross sectional analysis of a histogram are examined using nondiscretionary income. First, using nondiscretionary accrual, we investigate whether the sample reporting a loss close to the 0 area has a tendency to manipulate earnings. Second, using reported earnings, we investigate whether the sample reporting profit close to the 0 area is the outcome of earnings manipulation. For this analysis, we form portfolios using nondiscretionary accruals and net income, and compare the group suspected of earnings manipulation and the group in the vicinity. The test covers a period between 1996 and 2005 and was conducted for 3,870 December 31 fiscal year-end firms. Non-discretionary income is computed by subtracting discretionary accruals from net income. Discretionary accruals are calculated using adjusted Jones model for 10 years time-series data. Empirical results show the following: First, empirical evidence using nondiscretionary income for a sample reporting loss close to 0 is not found to show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than other groups. Also, empirical evidence using the sign of the discretionary accruals for a sample reporting loss close to 0 is not found to show a higher proportion of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Second, empirical evidence using net income for a sample reporting profit close to 0 is not found to show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than other groups. The same is true for the sign of discretionary accruals. Additionally, the model using Penman and Zhang (2002) provides a similar outcome. That is, samples close to 0 are not found to have a higher chance for earnings manipulation. Empirical evidence implies that discontinuity in a histogram around 0 is not the outcome of earnings management. Since the distribution of the cross-sectional histogram is different between the U.S. and Korea, the phenomenon of earnings manipulation vari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Also, it implies that discretion should be exercised in testing earnings manipulation using a cross-sectional histogram.

      • 전략 게임 인공지능을 위한 유닛(unit) 상성 정보를 고려한 영향력 분포도(influence map)

        박진홍,박교현,윤태복,이지형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7 No.2

        전략 게임은 여러 종류의 유닛(Unit)이 존재한다. 각각의 유닛은 특정 유닛에 대해 강한 면모를 보이기도 하고, 또 다른 종류의 유닛에게는 약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유닛간의 상성이라고 한다. 상성은 전략적 선택을 하는데 기반이 되고, 심리전을 유발하여 보다 게임에 몰입할 수 있게 해준다. 게임 인공지능이 상성을 고려하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유닛 간에 수치화된 상성 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생성된 수치 자료를 토대로 유닛의 행동방법을 결정할 인공 지능도 필요하게 된다. 다음 행동 및 이동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영향력 분포도(influence map)이다. 영향력 분포도는 자신과 상대방의 세력을 수치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형태의 영향력 분포도로는 각 유닛간의 상성을 표현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향력 분포도를 상성에 맞게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여 인공지능이 지능적인 행동을 하도록 돕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길 찾기 문제에 적용하여 전략적 이동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DiSC 행동유형에 따른 공간 색채분포도 연구 - 과학영재를 중심으로 -

        김나울,손원준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3

        연구배경 공간 색채는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중하게 분석하고 계획되어야 하며 공간에 머무르는 사용자의 욕구에 충족되는 최종의 목적을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간을 사용하는 대상으로 과학영재를 선정하여 그들의 DiSC 행동유형을 파악하고, 행동유형별 선호하는 공간에서의 색채분포도를 통해 색채 경향성과 상호연계성을 확인하여 효과적인 색채 환경 공간에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공간에서의 색채의 중요성과 DiSC 행동유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문헌연구에 따른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대상인 과학영재의 DiSC 행동유형 조사 및 그들이 선호하는 공간에 대한 리서치를 진행한 후 행동유형별 분포도가 높은 순서대로 분석, 분류하였다. 이후 KSCA 프로그램을 이용해 공간 내 보여 지는 색채 분포도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의 DiSC 행동유형은 S형- C형- I형- D형 순으로 분포되었으며 이는 과학영재들의 70%가 차분하고 내성적인 유형인 내향형에 해당하고 나머지 30%는 열정적이며 사교적인 외향형에 해당됨을 의미한다. 또한 과학영재의 선호 공간 색채분포도는 DiSC 행동유형별 특징과 색채경향성이 대체로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행동유형과 색채분포도의 상호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과학영재를 위한 공간의 색채 계획 시 그들의 DiSC 행동유형을 고려하여 공간 색채를 반영하고 그들의 내재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색채 계획을 구상하여 색채 환경 공간을 조성함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분포도 방식의 청사진 이진화

        우홍체 대구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8 情報通信硏究 Vol.5 No.1

        A simple and robust method is suggested for binarizationof blueprint images. Blueprint images should be kept for a long period because of building maintenances and legal issues. The algorithm is based on the shape of histogram in gray levels of the blueprint image. Threshold value for image binarization is basically obtained by finding the minimum point in bimodal histogram. C. Antoine etc have proposed a robust thresholding algorithm based a 4th order Butterworth filter and the first derivative of smoothed histogram. Their algorithm takes a high complexity because of Butterworth filtering and derivative procedure. Our algorithm which is a modified version of C. Antoine method is based on simple moving average filtering and delta modulation for threshold decision. The proposed algorithm produced good quality two-level blueprint images with a low computation complexity 청사진 영상에 대한 단순하면서도 강인한 이진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청사진 영상은 건물의 유지보수 혹은 법률적인 문제로 인하여 오랜 기간 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본 알고리즘은 청사진 영상의 명암값의 분포도 모양에 기반하고 있다. 영상 이진화의 문턱치는 일반적으로 2개의 봉우리를 갖는 분포도의 최저점을 찾으므로 얻어진다. C. Antoine 등은 4차 Butterworth 필터와 평탄한 분포도의 1차 미분에서 강인한 문턱치 알고리즘을 얻었다. C. Antoine의 알고리즘은 Butterworth 필터 과정과 미분 처리 과정으로 인하여 높은 복잡도를 가지고 있다. 높은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여기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단순한 이동평균 필터 과정과 델타 변조를 응용하여 문턱치를 구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낮은 계산 복잡도에서 양질의 청사진 영상의 이진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적자회피를 위한 4분기 이익조정 분석

        김형순(Kim, Hyung-Soon)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4 經營經濟 Vol.47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익의 분포도 상에서 3분기까지의 누적이익이 0에 인접한 구간에 속한 기업들이 연차보고서에서 적자를 회피하기 위한 이익조정을 수행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2003년부터 2011년까지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분석에 필요한 재무자료가 존재하는 4,777 기업-분기 자료를 이용하여 이익의 분포도를 작성하고, 이익의 분포도 상에서 소량적 자구간과 소량흑자구간에 속한 기업의 4분기 이익보고 행태와 비교집단에 속한 기업의 4분기 이익보고 행태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 - 3분기에 소량적자구간에 속한 기업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이익을 상향조정하여 흑자로 보고하는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3분기에 소량흑자구간에 속한 기업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연차보고서의 구간과 3분기 구간이 동일한 경우는 유의하게 높고, 3분기 구간보다 연차보고서의 구간이 하락하여 적자로 전환되는 가능성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시사점 - 본 연구 결과는 연차보고서에 흑자를 보고하기 위하여 3분기까지의 누적이익이 소량적자구간에 속한 기업은 이익을 상향하고, 3분기까지의 누적이익이 소량흑자구간에 속한 기업은 이익이 하락하는 것을 회피하는 이익조정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감사인이 감사를 수행할 때 3분기의 누적이익을 고려한 감사를 수행한다면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irms with small cumulative losses or profits at the end of the third quarter report small annual profits rather than small losses. Design/Methodology - 4,777 samples were selected from 2003 to 2011 listed firms on Korean Stock Exchange. The study uses cumulative earnings and annual earnings, ratio analysis and logistics regression models to demonstrate that firms with small cumulative losses or profits at the end of the third quarter report small annual profits rather than small annual losses compared to control groups. Findings - It is found that significantly large number of small loss firms at the end of the third quarter report small annual profits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Also, it is found that significantly large number of small profit firms report similar level of profits in the annual report. Implications -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firms that make a small loss or profit manage earnings upward to report small profit in their annual repor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external auditors to focus more on the third quarter cumulative earnings to detect earnings management.

      • KCI등재

        서울시 토지이용과 교통량에 따른 미세먼지의 공간분포

        정종철,이상훈,Jeong, Jong-Chul,Lee, Peter Sang-Hoon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8 지적과 국토정보 Vol.48 No.1

        서울시의 대기오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그동안 환경부는 운영하고 있는 대기오염 측정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왔다. 측정되는 대기오염 물질 중 미세먼지는 인체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데, 우리나라의 오염도는 OECD 국가 중에서도 두 번째로 높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의 미세먼지 분포도를 PM10과 PM2.5에 대해 작성하고, 미세먼지 농도의 분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공간적인 요인들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반경 500m의 원을 포함하는 헥사곤을 기준단위로 하여 서울 전역을 구획화하고 보간법 중 거리반비례기법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농도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출, 퇴근 시간대의 미세먼지 농도분포를 지역별로 분석하고, 토지이용도 및 교통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M10과 PM2.5의 농도분포는 지역별, 시간대별로 각기 다른 패턴을 나타내었고, 토지이용형태 측면에서는 상업지역 및 교통지역의 면적이 미세먼지 농도분포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녹지의 유무도 농도의 분포 변화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추후 세부적인 토지이용도 및 녹지분포도 등을 통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미세먼지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에서의 공간요소를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o sustainably monitor air pollution in Seoul, the number of Air Pollution Monitoring St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by Korea's Ministry of Environment. Although particulate matters(PM), one of the pollutants measured at the stations, have an significant influence on human body, the concentration of PM in Korea came in second among 35 OECD member countries. In this study, using the data of PM concentration from the stations, distribution maps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over Seoul were generated, and spatial factors potentially related to PM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Based on a circumscribed hexagon about a circle in radius of 500 meters created as a basic unit, Seoul was sectionalized and PM concentration map was generated using the interpolation technique of 'inverse distance weighting'. The distributions of PM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with commuting time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he outcome was related with land-use type and volume of traffic. Results from this analysis indicated distribution pattern of PM10 concentra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PM2.5 by administrative district and time. The distribution of PM concentration was strongly related to not only the size of business and trafficked areas among the land-use type, but also the existence of urban green. Furthe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M concentration and detailed land-use and urban green maps can be helpful to identify spatial factors which have an impact on the PM concentration on the regional scale.

      • KCI등재

        ArcView GIS의 Avenue<sup>TM</sup> Language를 활용한 수문지질도 작성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김규범,손영철,김종욱,이장룡,Kim, Gyoo-Bum,Son, Young-Chul,Kim, Jong-Wook,Lee, Jang-Yong 한국지리정보학회 2005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8 No.3

        지하수 조사 및 개발에 필수적인 수문지질도 및 부속도면의 작성은 표준화와 함께, 도면 작성의 전산화가 요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지질도의 주요 도면인 stiff diagram 분포도와 우물(지하수위) 분포도 작성의 전산화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과 부속도면인 지질구조선 분포도의 작성과 분석에 필요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유동 통로 또는 부존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지질구조선(lineament)은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 판독을 통하여 추출한다. 지하수 조사 및 연구에 있어서 GIS를 활용한 지질구조선의 통계적 해석은 성과의 정확도를 제고할 뿐 아니라 신속한 과업수행에도 도움을 준다. 지질구조선의 분석은 지하수 조사, 개발과 관리를 위한 필수 항목으로서 지질구조선의 추출, 방향별 통계 계산, 단위면적내 지질구조선 밀도(길이밀도, 교차점밀도 등) 계산 등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ArcView GIS 3.x의 Avenue$^{TM}$ script를 활용하여 지질구조선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단위면적내의 지질구조선 밀도 통계 계산에서 격자형 단위 셀을 적용할 경우 격자의 모서리 방향에 따른 지질구조선 길이의 가중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분석결과의 왜곡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향별 가중을 일으키지 않는 원형 셀을 적용하여 지질구조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영암 및 강진지역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프로그램은 지질구조선뿐만 아니라 디지타이징된 선형구조에 대한 통계 및 밀도분포를 계산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 Korea, MOCT and KOWACO published a standard for lineament map drawings, "The Handbook for the Drawing and Management of Hydrogeologic Map" in 2003. According to this guideline, hydrogeologic and related thematic maps should includ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y and quantity. These maps are generally drawn with ArcView GIS 3.x software. The activities of well notation on groundwater level map and Stiff diagram drawings on groundwater quality map require a great deal of efforts because hundreds or thousands of well data, water level data and hydrogeochemical data are produced through many kinds of investigations. As well, lineament density map is very important to survey and explore groundwater in a deep aquif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some modules for well notation, Stiff diagram drawings, and lineament density value calculation with Avenue$^{TM}$ script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can be very useful and easy for drawing groundwater thematic maps.

      • UAV를 이용한 양파 주산단지 생육인자 분포도 작성

        나상일 ( Sangil Na ),박찬원 ( Chanwon Park ),이경도 ( Kyoungdo Lee ),형성득 ( Seongdeuk Hyeong ),이예은 ( Yeeun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농산물 가격안정은 농업인 소득안정과 물가안정 등 국민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농업정책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특히, 채소류는 재배면적과 단수 변동, 비탄력적 수요 등으로 가격폭등과 하락을 반복하며, 수급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주요 수급 불안품목에 대해 수급조절 매뉴얼 운영 등 다양한 수급안정 대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수급 및 가격 안정에 초점이 맞추어진 생산 및 유통 관련 정책들이며, 관련 연구들 또한 계약재배, 직거래 방안 등 생산 및 유통부문을 주로 다루어 왔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로는 합리적 영농계획 수립 지원에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요 채소류의 작황에 대한 신속하고 선제적인 평가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 (UAV)를 채소 작황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실증연구로 UAV를 이용하여 양파 주산단지인 창녕군, 합천군을 대상으로 양파 생육인자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들녘단위(100ha) 재배단지를 대상으로 UAV를 이용하여 양파 전 생육기간동안 주기적으로 가싱광선(RGB) 및 근적외선(NIR) 영상을 촬영하였고, 현장 생육조사를 통해 생육 시기별 생육인자(초고, 엽수, 생체중)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생육시기별 UAV NDVI와 생육인자간의 상관계수는 창녕군과 합천군 모두 0.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두 인자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각 생육인자 별로는 창녕군의 경우, 초고(r=0.837) > 생체중(r=0.757) > 엽수(r=0.601) 순으로 나타났으며, 합천군의 경우 초고(r=0.885) > 엽수(r=0.754) > 생체중(r=0.680)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이용하여 작성된 선형회귀모형을 UAV 영상 전체에 적용하여 각 생육인자별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분포도를 바탕으로 필지 단위 생육상황 변화에 따른 이상판별 및 필지간 생육차이 파악 등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