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복합 물수지 모델 개발 및 활용성 평가

        권용현(Gwon, Yonghyeon),손경환(Son, Kyunghwan),이경도(Lee, Kyoungdo),최계운(Choi, Gyewoon)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water balance model capable of daily analysis of the water supply situation in a multi-composite area, evaluate the utility of the model, and conduct a water balance analysis. The multi-composite water balance model, which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daily water balance in an area, includes five modules: Weather data build and area mean data, Rainfall-runoff analysis, Benefit area and demand estimation, Reservoir water balance analysis, and River basin water balance analysis. The study selected eight cities in northwestern Chungcheongnam-do in Korea as target areas and evaluated the utility of the water balance model. Further, the study used observation and model simulation data for its analysis, which found a high degree of accuracy as well as correlation. In addition, daily water balance analysis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otential supply, demand, supply, shortage, surplus supply, and shortage days in the river basin, while the ratio of shortage to demand was also determined to identify areas vulnerable to drought.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drought countermeasures and facility operation plans by identifying areas with water supply vulnerability using the developed model. 본 연구는 다중복합지역에서의 물공급 현황을 고려한 일단위의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한 물수지 모델을 개발하고, 모델의 활용성 평가 및 물수지 분석을 진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중복합 물수지 모델은 기상자료 구축 및 유역평균값 산정, 강우-유출분석, 수혜면적 및 수요량 추정, 저수지 물수지 분석, 하천유역 물수지 분석의 5개 모듈을 활용하여 일단위 물수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충남 서북부 8개 시·군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물수지 모델의 활용성 평가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측자료와 모델분석결과를 활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대부분 정확도가 좋게 산정되어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일단위 물수지 분석을 진행하여 하천유역의 잠재공급량, 공급량, 부족량, 잉여공급량과 부족일수를 분석하고, 수요량 대비 부족량 비율을 검토하여 가뭄 취약지역을 파악하였다. 향후 개발된 모델을 활용하여 물공급 취약지역을 조기에 파악하여 가뭄 대책 및 시설물 운영 방안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UAV 기반의 고랭지배추 주산단지 재배현황맵 활용방안

        나상일 ( Sangil Na ),박찬원 ( Chanwon Park ),이경도 ( Kyoungdo Lee ),민병걸 ( Byoungkeol Min ),백신철 ( Shinchul Baek ),한중곤 ( Junggon Han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배추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채소 중 하나로서 출하되는 시기에 따라 월동배추(3~4월), 봄배추(5~6월), 여름배추(8월~9월), 가을배추(10월~11월)로 구분된다. 그 중 여름배추는 높은 온도와 습도로 인한 생리장해와 병해충으로 평지에서 재배하기 어려워 대부분 고랭지 지역 노지에서 재배되고 있어 고랭지배추라고도 한다. 고랭지는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점차 낮아지는 기후특성 때문에 포장재배 가능 기간이 짧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평난지에서 고온으로 재배가 어려운 각종 채소작물의 단경기 고품질 생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재배면적 감소와 기상이변으로 가격 변동이 커짐에 따라 고랭지배추 가격은 매년 사회적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은 채소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재배 면적 및 단수 예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 채소 작황과 관련된 연구에 무인비행체 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랭지배추 주산단지 중 하나인 강원도 강릉시 안반덕의 재배현황맵 작성 현황 및 활용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재배현황맵이란 무인항공기(UAV)로 촬영한 영상 분석 결과와 현장 표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필지별 정식시기, 작물 분포, 생육 상황 등을 지도에 표시한 것으로 이를 통해 수확시기 추정, 재배면적 산정, 생육 이상 평가 등이 가능하다. 특히, UAV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은 10cm 내외의 고공간해상도로 들녘 단위 재배단지의 필지별 생육상황 파악이 가능하고 기상이변 등에 따른 작황변화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주산지별로 정보가 축척되면 생산량 변동을 신속·정확하게 추정하여 채소 가격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UAV를 이용한 양파 주산단지 생육인자 분포도 작성

        나상일 ( Sangil Na ),박찬원 ( Chanwon Park ),이경도 ( Kyoungdo Lee ),형성득 ( Seongdeuk Hyeong ),이예은 ( Yeeun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농산물 가격안정은 농업인 소득안정과 물가안정 등 국민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농업정책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이다. 특히, 채소류는 재배면적과 단수 변동, 비탄력적 수요 등으로 가격폭등과 하락을 반복하며, 수급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주요 수급 불안품목에 대해 수급조절 매뉴얼 운영 등 다양한 수급안정 대책을 추진 중에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수급 및 가격 안정에 초점이 맞추어진 생산 및 유통 관련 정책들이며, 관련 연구들 또한 계약재배, 직거래 방안 등 생산 및 유통부문을 주로 다루어 왔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로는 합리적 영농계획 수립 지원에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요 채소류의 작황에 대한 신속하고 선제적인 평가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인항공기 (UAV)를 채소 작황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실증연구로 UAV를 이용하여 양파 주산단지인 창녕군, 합천군을 대상으로 양파 생육인자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하여 들녘단위(100ha) 재배단지를 대상으로 UAV를 이용하여 양파 전 생육기간동안 주기적으로 가싱광선(RGB) 및 근적외선(NIR) 영상을 촬영하였고, 현장 생육조사를 통해 생육 시기별 생육인자(초고, 엽수, 생체중)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생육시기별 UAV NDVI와 생육인자간의 상관계수는 창녕군과 합천군 모두 0.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두 인자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각 생육인자 별로는 창녕군의 경우, 초고(r=0.837) > 생체중(r=0.757) > 엽수(r=0.601) 순으로 나타났으며, 합천군의 경우 초고(r=0.885) > 엽수(r=0.754) > 생체중(r=0.680)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이용하여 작성된 선형회귀모형을 UAV 영상 전체에 적용하여 각 생육인자별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작성된 분포도를 바탕으로 필지 단위 생육상황 변화에 따른 이상판별 및 필지간 생육차이 파악 등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한 동계작물 재배면적 추정

        나상일 ( Sangil Na ),박찬원 ( Chanwon Park ),이경도 ( Kyoungdo Lee ),형성득 ( Seongdeuk Hyeong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최근 농림수산식품부는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인한 주요 곡물생산국의 생산량 감소와 곡물시장 불안에 적극 대응하고 겨울철 국내 유휴농지를 활용하여 밀, 보리 및 조사료 재배 확대로 경지이용률을 제고하겠다는 다목적 측면에서 동계작물 재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동계작물의 재배면적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과 함께 재배지의 공간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재배면적 및 공간분포 현황 정보는 작황의 기본 자료이고 수량 및 생산량을 산정하기 위한 필수 정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식량의 수급 조절, 가격 예측, 농가 소득 보전을 위한 정책 수립의 판단자료로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범위한 지역의 재배면적 및 공간분포를 신속하고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원격탐사 정보의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UAV)와 Landsat-8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시군단위의 동계작물 재배면적 추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군산시의 동계작물 시험포장을 대상으로 휴대용 분광복사기를 이용하여 동계작물의 분광반사 특성을 파악하고 생육기간동안 주기적으로 촬영한 UAV 영상에 적용하여 재배면적 추출을 위한 위성영상 최적 시기와 식생지수 임계값 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Landsat-8 위성영상에 적용하여 군산시 동계작물 재배지의 공간분포를 추정하고 재배면적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서 확인한 동계작물 재배지 분포 현황과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군산시 농업기술센터에서 파악한 동계작물 재배면적과 비교하여 1% 내외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추후 동계작물 분류기법 개발을 통해 작물별 재배면적을 산출하고 공간분포 현황을 파악하면 동계작물 재배 확대 추진을 위한 영농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