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가정 부부의 대화시간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영철,전지은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는 부부의 대화시간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유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50명의 기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의사소통 유형 체크리스트, 결혼만족도 검사, 하루 평균 부부 대화시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집단 간 비교에서는 초이성형에서만 남자가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밖의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는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화시간은 산만형과 초이성형, 결혼불만족도와는 부적상관이 있었고 일치형과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대화시간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유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치형과 산만형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초이성형은 매개효과가 없었다. 연구 결과는 부부의 대화시간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유형이 중요한 매개변수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mmunication–typ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rsation–time and marital–satisfaction. This surveyed 250 married adults to measure the checklist of communication–types, the test of marital–satisfaction, and an average time on couple–commun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male and female groups, me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only in super–reasonable type,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other communication–types and marital–satisfaction. Second, conversation–tim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istracting, super–reasonable type, and marital–dissatisfaction, 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gruent typ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time and marital–satisfaction based on the correlation, there was a partial–mediating–effect in congruent, distracting types,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in super–reasonab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unication–typ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time and marital–satisfaction, and the significance/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주식 공매도차익 과세와 조세회피 방지를 위한 입법방안

        손영철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21 세무와 회계 연구 Vol.10 No.4

        Short sale transactions that make profits by borrowing and selling stocks through loan transactions, by buying stocks at low prices and returning them when the stock price is expected to fall, is necessary to treat fairly about both investment outcomes under the tax law taxing the profits, like taxing capital gains tax on the profit in case where profits are made by buying stocks and selling them at a high price when the stock price is expected to rise. To this end, the following legislative measures are proposed. First, in a loan transaction that meets certain requirements, the lender is treated as continuing to own the rental stock for taxation. It is clarified that the lender's loan and return are not transfer and acquisition of new stocks under the tax law. Second, it is clarified that borrowing and return of stocks by short sellers are not also acquisition or transfer of stocks under the tax law as in the case of lenders. Third, profits from short selling ar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acquisition price of stocks from the short selling price, and the period of attribution of profits from short selling shall be the tax year in which the return date, the end date of the transaction, belongs. On the other hand, short sale against the box made while owning stocks is a form of short sale but in substance it only has the same economic effect as selling owned stocks. This transaction does not cause any change in either direction of profit or loss. Since it is only a mean to delay the taxation period, short sales against the box transaction needs to be recharacterized and taxed to prevent tax avoidance as follows. First, a short sale against the box transaction applies to a tax law, regardless of the transaction form, as transferring the owned stocks at the time of short sale (in the case of returning owned stocks) or as transferring the owned stocks at the time of short sale and acquiring the new stocks at the time of return (in the case of buying and returning in the stock market). Second, if convertible bonds or bonds with warrant with the nature of stocks are used instead of stocks, or if forward contracts, futures contracts, put option purchase contracts are used instead of short sale, they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application of the above legislative measures in view of short sales against the box.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대차거래를 통해 주식을 차입하여 매도하고 낮은 가격으로 매수하여 반환함으로써 이익을 취하는 공매도거래는, 주가 상승이 예상될 때 주식을 매수하고 높은 가격으로 매도함으로써 이익을 취하는 경우 그 이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과세하는 것과 같이, 그 이익에 대하여 과세하여 두 투자결과에 대한 세법상 공평한 취급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입법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대차거래에 있어서는 과세상 대여자가 대여주식을 계속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취급한다. 따라서 대여자의 대여와 반환이 세법상 양도와 새로운 주식의 취득이 아님을 명확히 한다. 둘째, 공매도자에 의한 주식의 차입과 반환 역시 대여자의 경우와 동일하게 세법상 주식의 취득이나 양도가 아님을 명확히 한다. 셋째, 공매도차익은 공매도가에서 주식의 취득가액을 차감하여 계산하며, 공매도차익의 귀속시기는 거래의 종료일인 반환일이 속한 과세연도로 한다. 한편, 주식을 소유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소유주식 공매도(short sale against the box)는 그 형식은 공매도이지만 그 실질은 소유한 주식을 매도한 것과 같은 경제적 효과를 얻을 뿐 이 거래로 이익과 손실 어느 방향으로도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다. 오로지 과세시기의 이연을 위한 수단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조세회피 방지를 위하여 소유주식 공매도(short sale against the box) 거래는 다음과 같이 재구성하여 과세할 필요가 있다. 첫째, 소유주식 공매도(short sale against the box) 거래는 그 거래형식에도 불구하고 공매도한 시점에 소유주식을 양도한 것으로 보거나(소유 주식으로 반환한 경우) 또는 공매도한 시점에 소유주식을 양도하고 반환일에 새로이 취득한 것으로 보아(주식시장에서 매수하여 반환한 경우) 세법을 적용한다. 둘째, 주식을 대신하여 주식의 성격을 갖는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사채 등을 이용하거나, 공매도(short sale)를 대신하여 매도포지션을 취하는 선도계약, 선물계약, 풋옵션 매수계약, 스왑계약, 콜옵션과 풋옵션의 조합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이를 소유주식 공매도(short sale against the box) 거래로 보아 위 입법방안의 적용대상에 포함하여야 한다.

      • KCI등재

        소득세법상 차익거래 및 헤지거래 과세의 문제점 검토

        손영철,임동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조세와 법 Vol.10 No.2

        Being as profits from arbitrage and hedge transactions are profits from trading, it is reasonable to be taxed on the basis of capital gains. However, the article 16 (1) 13 and 17 (1) 10 of the Income Tax Act are taxed as interest income or dividend income when arbitraging or hedging transactions of interest-bearing and dividend-based products directly developed or sold or intermediated by financial institutions. The reason for the taxation is to prevent the tax avoidance using the new financial products. But, arbitrage or hedge trading is a transaction to take profits or eliminate the risk of price fluctuation by taking the abnormal phenomenon of the basic asset price as an investment opportunity and there is no reason to regard it as a tax avoidance. This is because the Japanese-Yen Swap Deposit, which became the legislative opportunity of this regulation, is also a fairly simple form of buying arbitrage, in order to gain risk free profit by taking the abnormal phenomenon of exchange rate as investment opportunity. Therefore, the article 16 (1) 13 and 17 (1) 10 of the current Income Tax Act shall be deleted as it is reasonable to impose taxation on the transfer income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arbitrage or hedge transaction. And it is reasonable to newly define it in the article 94 (1) 5 of the Income Tax Act. The income from Sell Arbitrage Trading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axation, and risk-free arbitrage transactions not involving financial institutions need to be included in the taxable income. Such legislation would be reasonable with the spot exchange taxation. If the legislat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regulation on arbitrage and hedge transactions as mentioned above is difficult in the short term, it is reasonable to transfer the provisions of the article 16 (1) 13 and 17 (1) 10 of the Income Tax Act to the article 94 (1) 5 of the Income Tax Act and prescribe them as transferable income. 차익거래와 헤지거래로 인한 이익은 매매로 인한 이익이므로 양도소득 또는 자본이득으로 보아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소득세법 제16조 제1항 제13호 및 소득세법 제17조 제1항 제10호는 금융기관이 직접 개발․판매하거나 금융기관의 중개 판매한 이자부․배당부 상품을 기초자산으로 차익거래하거나 헤지거래한 경우에는 그 이익을 이자소득이나 배당소득으로 과세하고 있다. 이렇게 과세하는 이유를 신종금융상품을 이용한 조세회피 방지에 있음을 입법취지로 들고 있다. 차익거래나 헤지거래는 기초자산 가격의 이상현상을 투자기회로 삼아 이익을 취하거나 가격변동위험을 제거하기 위한 거래일 뿐, 이를 조세회피 행위로 볼 이유가 없다. 이 규정의 입법계기가 되었던 엔화스왑예금 사건 역시 환율의 이상현상을 투자기회로 하여 무위험 차익을 얻고자 한 매우 단순한 형태의 매수차익거래로 봄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행 소득세법 제16조 제1항 제13호 및 소득세법 제17조 제1항 제10호는 차익거래 또는 헤지거래 본래의 성격에 따라 양도소득으로 보아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에 이를 삭제하고, 소득세법 제94조 제1항 제5호에서 새롭게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매수차익거래뿐만 아니라 매도차익거래로 인한 이익도 과세범위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금융기관이 개입하지 않는 무위험 차익거래도 과세대상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입법은 현물환과세와 함께 시행하여야 합리적일 것이다. 위와 같은 차익거래 및 헤지거래에 대한 포괄적 과세규정의 입법이 단기적으로 어렵다면 현행 소득세법 제16조 제1항 제13호 및 소득세법 제17조 제1항 제10호의 규정을 소득세법 제94조 제1항 제5호로 이관하여 양도소득으로 규정하는 것이 차선책으로 타당할 것이다.

      • KCI등재

        환매조건부매매 및 대차거래에서의 세법상 실질주의 적용에 관한 연구

        손영철 한국세법학회 2011 조세법연구 Vol.17 No.3

        환매조건부매매와 증권대차거래는 증권을 이용한 금융의 한 형태로서, 사법적 성질은 증권의 소유권이 이전되는 유가증권매매거래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실질은 증권을 담보한 금전소비대차거래(환매조건부매매의 경우) 또는 증권을 일시적으로 차용하는 증권소비대차거래(증권대차거래의 경우)로서 형식적 소유권이 거래 상대방에게 이전되지만 실질적 소유권은 종전과 동일하게 유지되는 증권금융의 수단일 뿐이다. 이들 거래의 경제적 실질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현행 세법은 이들 거래의 사법적 성질을 존중하여 법형식주의에 따라 과세하고 있으며, 단지 채권을 대상증권으로 한 거래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실질주의에 의한 과세를 하고 있다. 이처럼 법형식주의에 따라 과세하는 것은 이들 거래의 경제적 실질을 제대로 반영한 것이 못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첫째, 조세회피가능성이다. RP거래의 경우 증권의 매수자 입장에서 자금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받는 이자가 증권의 매수가격과 매도가격의 차이로 인식하고 있어서 만일 이들 거래에 대해 법형식주의를 적용할 경우 자본이득이 되어 국내거래는 물론 국제거래에 있어서 우리나라 과세권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이중과세문제이다. 이들 거래의 형식적 소유자에게 증권소득이 귀속된 이후 그 소득이 다시 실질적 소유자인 당초 매도자 또는 대여자에게 귀속될 때에 다시 과세된다. 셋째, 이들 거래를 양도거래로 보는 문제이다. 따라서 증권이 이전될 때 그 증권이 주식인 경우에는 양도소득세를 부담하여야 한다. 그러나 증권을 이전한 이후에도 실질적 소유자인 매도자 또는 대여자가 그 증권으로부터 발생하는 가격상승이익과 가격하락손실을 부담하게 되어 이들 거래를 소득세법상 양도의 범위에 포함시키는 것에는 논리적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선 실질주의에 의한 과세를 전면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세법은 우선 경제적 실질에 맞는 내용으로 RP거래 또는 대차거래를 지금보다 엄격히 정의하고, ‘이들 거래로 인하여 증권이 거래상대방에게 이전된 경우에도 종전 소유자가 동 증권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과세한다’는 내용의 포괄적 규정의 신설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Repurchase Agreement(RP) and Security Lending transactions, as financial applications of securities, can be classified as securities transactions in which the ownership of the securities is transferred, in terms of their legal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their, however, as financial vehicles for securities, they are no more than transactions of cash loans for consumption (RP) or securities loans for consumption (Securities Lending), because the substantial ownership is still retained by the original owners as before although the formal ownership has been transferred to the counterparties. Despite the economic substance of these transactions, the existing tax laws levy taxes based on legal formalism respecting their legal characteristics, with the exception of transactions with bonds as object securities where taxes are levied limitedly according to substance over form. This way of levying taxes based on legal formalism may lead to many problems, because it could not fully reflect the economic substance of these transactions. Firstly, it may cause tax avoidance. In the case of RP, from the standpoint of the buyers of the securities, the buyers provide cash and the interest obtained as consideration is regard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le price and the purchase price. If legal formalism is applied to these transactions, the interest will be taken as capital gain, and thus not only domestic transactions but also cross-border transactions securities income, will be taxed again when these income are passed back to them. Lastly, the issue of taking these transactions as transfer transactions. Because of this, during the transfer where the securities are stocks, the substantial owners are taxed on the transfer income. However, after the transfer, the sellers or lenders, as the substantial owners, would still gain or suffer from the price volatility of the securities. There is insufficient theoretical support to include these transactions in. It is necessary to fully introduce taxation based on the substance over form to solve the above issues. In order to do so, the tax laws should define RP and Security Lending more strictly, conforming to their economic substance. A general amendment is thus proposed as follows:for transfer of title to the counterparties in these transactions, the original owners are considered to be still holding the same securities and will be taxed accordingly.

      • KCI등재

        파생상품 이익의 소득구분과 수입시기에 관한 연구

        손영철 한국세법학회 2015 조세법연구 Vol.21 No.2

        The derivative transaction is mere spot trading which has long-term performance period. If the gains from spot trading is taxed as capital gains tax, the gains from derivative transaction should be tax as same manner. Under current Income Tax Act, capital gains tax is levied for the gain from the sales of shares. If the shares are purchased and sold at the performance period for the physical settlement of forward contract, under the current taxation, capital gains are assessed and there is balance between spot trading and derivative transaction from the tax perspective. However, all of derivative transactions as well as forward contracts are settled for the net of contracts at the performance period or closed with taking opposite position. Even though the economic effect from the net settlement or closing with opposite position is same as that from physical settlement, if these gains are not taxe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se transactions method does not accompany transfer of share ownership, there is no fairness. The revised Income Tax Act levies capital gains tax on the gain from the transaction of KOSPI200 futures & options. However, the scope of taxation in the spot transactions is more wide than that of KOSPI200 futures & options. Therefore, fairness in taxation should be pursued by extending the scope of taxation in derivative transaction. The gains from derivatives comes from spot transaction in essential. So, it is right to treat the character of this gain as capital gain. And the gain from derivatives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realized at the time of performance of derivative contract. The classification whether it is long-term or short-term should be decided based on the period from the contract date to performance date. It is principal to treat gains from derivatives as capital gains and realized at the time of performance. However, to prevent tax avoid, legislation should be also considered to recharacterize of gain as interest income and it is realized at the time of contract or at the fiscal year end. The transaction may have the form of share transfer with purchasing shares and selling forward of that shares at the same time. However, in substance, if the effect from this transaction is same as lending money and collecting principal and interest after the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reasonable to treat the gain from this transaction as interest income rather than capital gain. The gain from derivatives should be treated as realized at the time of performance. However, in case of derivatives traded in the Exchange, evaluation gain of the transactions is under control of investor by daily settlement system.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reasonable to treat that the gain is realized daily basis. To avoid complexity of taxation, it may be treated that it was realized at the time of performance date. However, if the performance date is long-term, to prevent tax avoidance by deferring taxation, it is more resonable to treat that the transaction is realized at the end of fiscal year-end. In case of “short-against-the-box” which deferring selling time by holding marketable shares and taking short-position of forward contract without selling those shares, it is required to prevent tax avoidance from deferring taxation by the legislation that the derivatives is realized at the time of contract rather than performance date. 파생상품의 거래는 이행기가 장기인 현물거래에 지나지 않는다. 현물거래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이 양도소득세로 과세된다면 파생상품거래로 인한 경우에도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 것이 타당하다. 현행 소득세법에서 주식의 양도에 대하여 양도소득세를 과세하고 있다. 선도계약에서 현물결제의 방법으로 이행일에 주식을 매수․매도하는 경우에는 현행 세법상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므로 현물거래이든 선도거래이든 두 거래에 따른 과세상 형평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선도계약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파생상품거래가 이행일에 차액결제되거나 포지션마감을 통해 종료된다. 차액결제 또는 포지션마감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현물결제에 따른 경제적 효과와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거래방식이 주식의 소유권 이전을 전제로 하지 않기 때문에 차액결제 또는 포지션마감으로 인한 소득이 과세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 개정 소득세법은 장내파생상품 중 KOSPI200 선물․옵션의 거래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만 양도소득세를 과세하고 있지만 현물거래로 과세되는 범위가 이보다 넓기 때문에 지금보다 과세대상인 파생상품거래의 범위를 확대하여 현물거래와의 과세형평을 도모하여야 한다. 파생상품의 이익은 그 본질이 현물거래로 인한 이익이므로 그 성격은 양도소득으로 보는 것이 옳다. 수입시기는 파생상품 계약의 이행일로 보아야 하며, 그 이익이 단기이익인지 아니면 장기이익인지의 여부는 파생상품계약의 체결일부터 이행일까지의 기간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파생상품의 이익이 양도소득으로 구분되고 그 수입시기를 이행일로 보는 것이 원칙이지만, 조세회피 방지를 위하여 파생상품 이익의 성격을 이자소득으로 재구성하거나 수입시기를 회계연도 말일 또는 계약체결일로 조정하는 입법도 고려하여야 한다. 주식의 매수와 그 주식의 선도매도계약을 동시에 체결하여 마치 매수차익거래인 것처럼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그 실질이 자금을 대여하고 일정기간 이후 원리금을 회수하는 것과 동일하다면 이 거래로 얻은 이익은 양도소득이 아니라 이자소득으로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 파생상품의 수입시기를 이행일로 하여야 할 것이지만, 장내파생상품의 경우에는 일일정산제도에 의하여 매일의 평가이익이 투자자의 지배하에 있으므로 매일을 수입시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과세의 번잡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행일을 수입시기로 할 수는 있겠지만 이행일이 지나치게 장기인 경우에는 과세이연에 따른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하여 매년의 말일을 수입시기로 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 또한 시가성 있는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이를 증권시장에 처분하지 아니하고 선도계약의 매도포지션을 취하여 매도시기를 미래의 시점으로 이연하는 소위 short-against-the-box 거래의 경우에는, 파생상품의 수입시기를 이행일이 아니라 계약체결일로 규정하여 과세이연에 따른 조세회피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현행 금융세제의 문제점과 정부의 금융세제 선진화 방안에 대한 평가

        손영철,김일석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조세와 법 Vol.13 No.2

        The current tax law levies tax on profits as dividend income if there are profits on derivative linked securities and collective investment funds, and there is no compensation if there are losses. This is problematic/ wrong because it is dealing unfairly with both returns and losses resulting from the investment. Also, this law has a problem with taxing differently on mixed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such as derivative linked securities and collective investment banking, by dividing them into transparent, opaque and translucent entities. It is reasonable to tax on profits as capital gains ( or investment incomes), not as dividend incomes when it comes to the profits resulting from derivative linked securities and collective investment ones. Even though these securities are different in the legal form, they have no differences in their economic function of investment tool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impose tax on them all as opaque.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find a solution to non-balanced taxation between financial instruments by imposing income tax on capital gains from bonds, stocks and derivatives that are components of these two instruments. For fair taxation on financial instruments, taxation on returns on bonds, stocks and derivatives is an inevitable choice. The plan to advance the financial tax system which wa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on June 25, 2020, faithfully accepts the demands above as well as accurately recognizes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financial tax system. It treats derived-combined securities and collective investment securities as opaque, and classifies them as financial investment incomes rather than dividend income to take investment losses into account. Considering the past taxation administration, it appears unconventional. However, it was a move to have to be taken earlier. It is also logical to expand the scope of these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into the entire ones including bonds, stocks and derivatives. However, the government’s plan(20.6.25) still classifies income from holding financial investment instruments among financial investment incomes as interest income, or dividend income. The income gained(earned) by withdrawing the principal of the investment is just an economic gain. Interest or dividends acquired while holding a financial instrument can also be seen as a form of original recovery. It is right to combine interest, dividends and capital gains into one group. I think it is right to operate a “differential income tax system” in which total financial income is taxed separately and at a low rate, rather than at a progressive tax rate combined with earned income. Therefore, I think the shift to a dual income tax system is the direction that the nation should move forward. 현행 세법은 파생결합증권과 집합투자증권에 대하여 이익이 있으면 배당소득으로 과세하고 손실이 있으면 세법상 보상이 없다. 이는 투자의 결과로 인한 이익과 손실 양방향에 대하여 불공평한 취급을 하는 것이므로 문제가 있다. 또 파생결합증권, 집합투자증권과 같은 혼합금융투자상품에 대하여 투명체, 불투명체, 반투명체로 구분하여 달리 과세하는 것 역시 문제가 있다. 파생결합증권과 집합투자증권의 이익에 대해서는 배당소득이 아니라 손실에 대한 세법상 보상이 가능한 자본이득(또는 투자소득)으로 과세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들 증권의 법적 형태에는 차이가 있지만 투자도구라는 경제적 기능에 차이가 없으므로 모두 불투명체로 취급하여 과세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아울러 이들 상품의 구성요소가 되는 채권, 주식, 파생상품의 자본이득에 대해서도 소득세를 부과하여 금융상품간 과세불형평 문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채권, 주식, 파생상품의 자본이득에 대한 과세는 금융상품간 공평과세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다. 2020년 6월 25일 발표한 정부의 금융세제 선진화 방안은 현행 금융세제의 문제점을 정확히 인식하고 위의 요구를 충실히 수용하고 있다. 파생결합증권과 집합투자증권을 불투명체로 취급하되 배당소득이 아니라 금융투자소득으로 분류하여 투자손실을 고려하도록 한 것이다. 그 동안의 과세행정을 고려하면 매우 파격적이지만 과세 논리적으로 보면 너무도 당연한 조치를 이제야 하고 있는 것이다. 통산의 범위도 이들 금융투자상품을 포함하여 채권, 주식, 파생상품 등 금융투자상품 전체로 넓히고 있는 것도 논리적으로 매우 타당하다. 다만, 정부의 금융세제 선진화 방안은 금융투자소득 중 금융투자상품의 ‘보유’에 따른 소득은 여전히 이자소득, 배당소득으로 구분하고 있다. 투자원본을 회수한 나머지 현금유입이 경제적 의미의 소득일 뿐이다. 금융상품 보유 중에 취득하는 이자나 배당도 원본회수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자・배당 및 자본이득은 하나의 그룹으로 서로 통산하는 것이 옳다. 통산된 금융소득은 근로소득 등과 합산하여 누진세율로 과세할 것이 아니라 따로 분리하여 저율로 과세하는 ‘이원적 소득세제’로 운영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이원적 소득세제로의 전환은 천천히 그러면서도 확고하게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