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훈련이 아동의 분노조절능력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미라,이영만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8 초등상담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또래와 관계있는 분노유발상황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분노유발경험과 분노조절 능력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총 16회기로 구성하였다. 1~10회기는 분노감정을 알아차리고 인지적 측면에서 분노유발과정을 이해하며 자동적 사고와 인지적 오류를 확인하고 인지적 오류를 수정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11~15회기는 13가지 분노유발상황 각각에 대해 인지적 오류를 확인하고 인지적 오류를 수정하는 연습을 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이렇게 구성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노유발경험이 높고 분노조절능력이 낮은 동시에 교우관계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매회 40분간 주 2회씩 8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2(집단)×(3)(측정시기) 변량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구성한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은 분노유발상황에서의 분노유발경험, 분노조절능력, 교우관계를 의미있게 변화시키고 그 효과가 6주 동안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에서 아동들이 보인 인지적 오류는 당위적 진술, 이름붙이기, 흑백논리, 감정적 판단, 독심술, 나와 관련짓기, 과잉일반화, 성급한 결론 순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오류를 수정하는 방법은 다른 사람이라면, 다르게 설명하기, 증거 찾기, 그래서, 시간이 흐른 후, 배운다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sist an anger control program in order to help children confirm and modify their cognitive errors in peer anger-provoking situations(Lee Mi-gyeong, 2006), that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anger-provoking experience, anger controllability and peer relationship. The cognitive-behavioral anger control program was consisted of 16 sessions. The focus of the program were placed on perceiving angry feelings, confirming automatic thinking and cognitive errors and acquiring how to correct the cognitive errors(1st-10th sessions), and checking cognitive errors in 13 anger-provoking situations and practicing way to correct the errors(11th-15th session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10 children who had a lot of anger-provoking experiences, and were poor at anger control and faced difficulties with peer relationship were selected. The cognitive-behavioral anger control program was implemented for eight weeks, twice a week, 40 minutes eac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he ANOVA method using the SPSS and Kwakstat(Kwak Ho-wan, 1993). What cognitive errors children made and how they modified the errors during the program were check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cognitive-behavioral anger control program served to cut down on the anger-provoking experiences, to improve their anger controllability, to boost their peer relationship, and that effect lasted till six weeks later. And the cognitive errors they made during the program were in the order as follows: stating the oughtness of their behavior, followed by naming, seeing everything in black and white, emotional judgment, mind reading, linking the situation to themselves, overgeneralizing, and hasty conclusion. The ways to correct the cognitive errors were in the order as follows: putting oneself in another's place, explaining in a different manner, looking for proof, thinking of it is so difficult to indure, thinging of there is moral to it, and thinking of how angry after passing time.

      • KCI등재

        분노조절 능력으로서 정서적 유능성에 대한 도덕교육 방향 탐색

        조석환(Sug-Hoan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분노조절 능력으로서 정서적 유능성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도덕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교육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정서심리학, 정서적 유능성, 정서지능, 분노조절, 도덕교육 등과 관련된 문헌분석을 통해 분노와 관련된 개념들을 추출하고, 분노 정서의 기본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노조절의 필요성과 분노의 양상, 분노조절과 정서적 유능성의 관계를 밝힌 후 도덕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결과 분노조절을 위한 정서적 유능성의 도덕교육 방향으로 정서적 유능성의 내적 교육 방향과 외적 교육 방향을 설정하였다. 분노조절을 위한 정서적 유능성의 내적 교육 방향은 정서 인식 능력 향상, 정서 이해 능력 향상, 정서 동기화 능력 향상이다. 정서적 유능성의 외적 교육 방향은 정서 표현 능력 향상, 정서 공감 능력 향상, 정서 사회적 기술 향상이다. 결론 도덕교육은 분노조절 능력으로서 정서적 유능성 향상을 통해 학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하며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emotional competence as a regulatory mechanism for anger and to select educational content and propose educational directions for moral education. Methods Through an analysis of literature on emotional psychology, emotion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ger control, and moral education, concepts related to anger were extra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s of this emo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need for anger control, the various aspects of ang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control and emotional competence were elucidated,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direction for moral education. Results For moral education of emotional competence for anger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d internal and external education directions. The internal education direction for emotional competence for anger management includes enhancing emotional awareness, improving emotional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emotional regulation skills. The external education direction for emotional competence includes improving emotional expression, enhancing empathy, and improving social skills related to emotions. Conclusions Moral education can help students live healthy, happy, and valuable lives by improving emotional competence as a means of regulating anger.

      • 영화를 활용한 분노 조절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분노수준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최해림 한국부모교육학회 2012 부모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집단 프로그램에 영화를 활용하여 재구성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어머 니의 분노 조절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Y구와 K구의 구민센터와 청소년 수련관에서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 238명을 대상으로 분노 수준을 측 정하여 상위 35%에 속하는 21명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대상자를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실험집단 1)에 7명, 영화를 활용하지 않은 일반 분노조절 프로그램 집단 (실험 집단 2)에 7명, 통제 집단 (무선처지 집단)에 7명씩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분노수준 측정도구는 Nobaco(1994b)가 제작 한 노바코 분노척도Nobaco Anger Scale(NAS)를 남궁희승(199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두 실 험집단에게 주 2회 120분씩 영화를 활용한 상담과 일반집단 상담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어떤 처치도 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영화를 활용한 분노 조절 프로그램 및 일반적인 분노조절 프로그램 모두 통제 집단에 비해 양육 스트레스와 분노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상담 집단에서는 양육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자녀와의 관계,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 역할에 도움이 되는 기존의 분노 조절 프로그램에 영화를 활용한 새로운 방법으 로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시도했으며,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이미 검증된 일반 분노조 절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어머니의 분노 수준과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윤리상담 프로그램

        김대군 ( Kim Dae-gu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3

        분노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은 크게 보면 분노에 대한 사실적 기술(description)과 가치적 처방(prescription)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윤리상담에서 분노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사실적 기술에 대한 부분 보다는 가치적 처방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기술적 접근이 가치판단을 배제하고 분노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윤리상담은 윤리라는 기준을 가지고 인간을 이해하고 해석해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처방적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윤리상담은 윤리학을 기반으로 해서 실천되는 상담이다. 상담자는 올바름에 대한 기준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내담자를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분노는 인지, 생리, 사회적, 행동적 측면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 접근도 필요하고 처방적 접근도 필요하다. 그렇지만 윤리상담에서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은 윤리적 관점에서 인간의 감정과 태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처방적 분노조절 과정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분노의 의미와 분노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를 살펴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처럼 분노의 필요성을 말하기도 하고, 세네카처럼 분노는 뿌리부터 제거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아직까진 윤리적 관점에서 분노조절을 위한 상담기법으로 제시된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분노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와 윤리상담을 위한 윤리학의 응용 방안을 분노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For the improvement of the anger control ability, there are two representative measures: description and prescription. Presenting an anger adjustment program in ethical councelling is more applicable in valuable prescription than factual description. While a descriptive approach to anger is an objective understanding on anger without a value judgement, an ethical councelling has a prescriptive nature that shows right direction by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people with ethics as a standard of judgement. An ethical councelling is a way of councelling based on ethics. A consultant helps clients by offering standards of right behavior. Anger has recognitive, physi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aspects, which requires both descriptive and prescriptive approach. However, in the ethical councelling, the program for improving anger control ability has a main purpose on presenting a model of the prescriptive anger adjustment process based on ethical perspective. In this article, the meaning of anger and ethical understanding of anger are discussed. There are two contrasting standpoints over the anger. One is the idea of Aristotle that maintains the need of anger, and the other is the idea of Seneca that anger should be removed from the root. For not many consulting methods were presented in ethical perspective, in this article, anger management program is introduced for the ethical understanding over anger and the application of ethics on the ethical councelling,

      • KCI등재후보

        학교부적응청소년의 분노조절에 대한 집단상담프로그램 효과

        민혜숙,최인화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9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분노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검증을 위해 은평구 소재의 중학교 1, 2학년 학생들 중 학생정서행동발달검사결과, 고위험군 학생들과 교사의 관찰에 의해 분노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학교부적응청소년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학생 6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집단상담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 나타난 연구대상자의 학교생활과 생활 전반의 심층적 내면의 변화를 보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집단상담프로그램 안에서 학교부적응청소년들은 분노표현을 감소시키고 분노의 의미를 통해 자신의 분노표출 방법과 분노조절의 구조를 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정 알아보기, 느낌 알아차리기, 분노경험 이해하기, 비합리적 사고, 나 전달법의 5단계 의미로 서술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분노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참여가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분노조절 집단상담프로그램의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감사성향이 분노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김종운,이지은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anger cop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344 students for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examining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ed among gratitude disposit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anger coping behavior. Second, there was partial mediation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adaptive anger coping behavior. Third, there was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adaptive anger coping behavior. Fourth, there was partial mediation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maladaptive anger coping behavior. Fifth, there was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maladaptive anger coping behavior. Therefore, to help maladaptive anger-management actions of college students, it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inform them of the relations between appreciation tendencies and anger-management actions, modify the strategie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improve the strategies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감사성향이 분노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감사성향이 높은 대학생이 분노경험에서 어떠한 인지적·정서적 기제를 사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분노대처행동 척도, 감사성향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344명의 자료를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감사성향, 인지적 정서조절, 분노대처행동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둘째, 감사성향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분노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사성향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분노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사성향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부적응적 분노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감사성향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부적응적 분노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기관 및 대학 내 상담복지센터 등의 상담 및 심리치료 접근에서 분노대처행동에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를 상담할 때 감사성향과 분노대처행동의 관련성을 알려주고 기존에 내담자가 사용하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수정하고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대학생들의 부적응적 분노대처행동을 돕기 위하여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 도덕과에서 분노조절 교육방안으로서 사회정서학습의 룰러 접근법(The RULER Approach) 활용 가능성 탐색

        조석환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1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의 종합적 접근인 룰러 접근법이 초등 도덕과에서 분노조절을 위한 교육 방안으로 활용 가능한지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룰러의 기술과 핵심적인 도구들이 초등 도덕과에서 분노조절 교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룰러는 사고기술로서의 감정인식, 감정이해, 감정이름 붙이기와 행동기술로서의 감정표현, 감정조절로 구성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정서지능 향상과 관련된 핵심적 기술들 중심으로 구성된 접근이다. 룰러는 학생의 감정 전반에 관련된 종합적 접근이지만, 각 기술을 분노 관점에서 살펴 본 결과, 다섯 가지 기술을 분노인식, 분노이해, 분노이름 붙이기, 분노표현, 분노조절로 초등 도덕과에서 분노조절 교육에 집중된 방식으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룰러를 초등 도덕과에서 사용가능한 4단계(4차시) 접근으로 재구성하였다. 그 각각은 분노인식·이해하기(RU), 분노이름 붙이기(L), 분노표현하기(E), 분노조절 전략 익히기(R)이다. 4단계 접근은 추후 학교 현장이나 학급의 상황에 맞게 2단계(RUL, ER), 3단계(RUL, E, R) 또는 원래의 5단계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룰러는 초등 도덕과의 분노조절 교육방안으로서 적합성과 실행성을 갖추었으며, 향후 초등 도덕과의 분노조절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the RULER Approach, a comprehensive framework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for its applicability in anger management with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rough this exploration, it was concluded that RULER Skills and the four core tools of RULER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anger management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RULER Skills consist of cognitive skills, such as Recognizing Emotions, Understanding Emotions, and Labeling Emotions, and behavioral skills, including Expressing Emotions and Regulating Emotions. This framework is fundamentally centered around the enhanc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focusing on the core skills that form the basi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petence. Although the RULER Approach encompasses a holistic perspective on students’ emotions, examining each skill from the viewpoint of anger revealed that the abovementioned five cognitive and behavioral skills can be adapted as Anger Recognition, Understanding, Labeling, Expression, and Regulation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ULER Approach was restructured into the following four-step process suitable for moral education: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Anger (RU), Labeling Anger (L), Expressing Anger (E), and Learning Anger Regulation Strategies (R). The four-step process proposed in this study offers flexibility for adaptation based on the classroom or school environment and can be tailored into a two-step (RUL, ER), three-step (RUL, E, R), or its original five-step format. In conclusion, the RULER Approach demonstrates both appropriateness and feasibility as a strategy for anger management in moral education, and it is anticipated to play a pivotal role in future endeavors in this field.

      • KCI등재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 - 교도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김은희,강승호 한국교정학회 2010 矯正硏究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ggressiveness of the convicts incarcerated in a correctional institution. Fiv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04 convict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mong the self-esteem subtypes on aggressiveness, anger ex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scores on the SES and NPDS; high self-esteem, defensive self-esteem, and low self-esteem group. For this, ANOVA was conducted. And then, the study identified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anger expression by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 self-esteem group showed lower anger, host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than the defensive and low self-esteem groups. The defensive self-esteem group showed higher hostility and verbal aggression than the other groups did. Second, The defensive and low self-esteem groups showed higher anger-out and anger-in than the high self-esteem group did. Furthermore, the low self-esteem group showed the highest difficulty in anger-control. Third, The high self-esteem group utilized mor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ut the low self-esteem group utilized more maladaptive strategies. For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daptive anger expression. Also,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aladaptive anger expression. 본 연구에서는 교도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존감 척도(SES), 자기애성 성격장애 척도(NPDS),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CERQ), 공격성 질문지(AQ-K),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가 실시되었으며, 총 304명의 응답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먼저, 자존감 유형에 따라 공격성과 분노표현 양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ANOVA와 Tukey 사후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높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감, 적대감, 신체적 공격행동이 가장 낮았으며 방어적인 자존감 집단에서 적대감과 언어적 공격행동이 가장 높았다. 방어적인 자존감 집단과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표출과 분노억제 경향이 동일하게 높았지만,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통제의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높은 자존감 집단에서 적응적인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는 부적응적인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더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자존감과 분노표현 양상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측대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자존감과 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자존감과 부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가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

        장미화,정소희,류다현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2 사회융합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job stres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tress on anger control.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31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Gyeongsangbuk-do,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ived anger control by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anger contro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job str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eople in charge and working hours. Second, as a result of a study on whether job stres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nger control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factors, the group with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s a childcare teacher showed higher anger control ability than the group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However, the higher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the lower the ability to control ang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ix sub-factors of job stress on anger control, parental relationship stress and peer relationship stress had an effect on anger control, and among them, parental relationship stress had the most negative effect on anger control.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지각한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 스트레스가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조절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라 보육교사가 지각한 분노조절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 경력, 학력,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관형태, 담당 연령, 담당 인원, 근무시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 후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무스트레스가 분노조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결과 보육교사경력이 10년 이상인 집단보다 10년 미만인 집단이 분노 조절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분노 조절능력이 낮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6가지 하위요인이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부모 관계 스트레스와 동료 관계 스트레스가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쳤고, 이중 학부모 관계 스트레스가 분노조절에 가장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분노 조절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어떤 요인에 주목해야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및 성인 ADHD 생체신호분석 기반 분노조절가상현실치료(VRT) 개발의 함의: 묻지마범죄 예방 및 억제기술 중심으로

        류창현 한국중독범죄학회 2018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view and introduce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 Tasks of Anger Management Virtual Reality Therapy Techniques Based on Bio-signal Pattern Analysis for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Adolescents and Adults: Focused on Crime Prevention and Inhibition Skills for Violence with Unspecified Motivation against Strangers.” This study was also aimed at finding out the effectiveness and adequacy of training and development programs for destructive impulse-control disorder, anger-out, suicidal impulse, and suicidal attempts i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ADHD. Quite a number of psychological problems are characterized by a loss of impulse-control or a lack of anger-control in specific situations. Particularity, A lack of impulse-control and anger management techniques can be seriously detrimental to ADHD in adolescents and adults's physical·physiological·psycho·social wellbeing. Virtual reality therapy (VRT) is being incrementally used in psychotherapy and rehabilitation programs. Recent clinical evidence suggests that immersive and dynamic virtual reality cognitive behavior therapy (VR-CBT) has been a useful and effective tool for treating and training patients with anger-out, destructive impulse-control disorder, ADHD, and impulsive suicide attempts. This study provides an integrative anger management virtual reality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IAM-VR-CBTP) that includes techniques for eliminating maladaptive behavior, cognitive restructuring techniques (empirical disputing, logical disputing, sematic disputing, functional disputing), self-anger management & self-anger therapy, stress inoculation training (SIT), pain & frustration tolerance techniques, self-compassion training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uicidal ideation and impulsive suicide attempts), and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and customized virtual reality treatments in ADHD that are interactive, safe, effective and efficient, reduce costs and increase therapy adherence for patient engagement. Therefore, integrative anger management virtual reality therapy (IAM-VRT) is an innovative alternative to the classical treatments and is shorter and more attractive for patients with anger, ADHD, destructive impulse-control disorder, and impulsive suicide attemp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s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및 성인 ADHD 생체신호분석 기반 분노조절 가상현실치료(VRT) 개발의 함의: 묻지마범죄 예방 및 억제기술 중심으로” 탐색, 리뷰 및 소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또한 파괴적 충동조절장애, 분노조절, 자살충동 및 자살시도 등의 증상들을 보이는 청소년과 성인ADHD에 대한 훈련 및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와 적절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대다수의 심리적 문제들은 특정 상황들에서의 충동조절상실이나 분노조절결여로 특징화된다. 특히 충동조절과 분노조절기술들의 부재는 청소년 및 성인 ADHD의 신체적·생리적·정신적·사회적 건강에 있어 심각한 해를 미칠 수 있다. 가상현실치료(VRT)는 심리치료와 재활 프로그램에 개입하여 점진적으로사용되고 있다. 최근 임상검증연구는 몰입적이고 역동적인 가상현실 인지행동치료(VR-CBT)가분노, 파괴적 충동조절장애(DICD), ADHD, 충동적 자살시도 등의 환자들을 치료하고 훈련시키는데 유용하고 효과적인 도구로 제시한다. 본 연구는 역기능적 행동 소거기술, 인지재구조화기술(경험적 논박, 논리적 논박, 의미적 논박, 기능적 논박), 자기분노조절과 자기분노치료, 스트레스면역훈련, 고통/좌절감내기술, 우울/불안의 자기동정훈련(자살사고와 자살시도 예방 및 치료), 마음챙김명상(MBSR) 등을 포함한 통합적 분노조절 가상현실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IAM-VR-CBTP)을 제공한다. ADHD 처우를 위한 다양하고 맞춤형 가상현실치료(VRT)는 상호작용적, 안전적, 효과적, 효율적이며, 비용절감 및 환자참여를 위한 치료순응도를 높여준다. 따라서 통합적 분노조절 가상현실치료(IAM-VRT)는 분노, ADHD, 파괴적 충동조절장애(DICD), 충동적 자살시도 등의 환자들을 위한 치료기간이 더 짧고 매력적이며, 고전 치료기제들에 대한 하나의 혁신적 대안이다. 아울러 연구의 함의 및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