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유럽 주얼리 디자인의 자연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이형규(Lee, Hyung Ky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최근 북유럽 디자인은 세계적으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는 트렌드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북유럽 디자인의 디자인적 특징을 역사와 사회적 배경, 자연환경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북유럽작가 주얼리를 분석하는 장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북유럽의 역사와 환경적 사회적 특성을 토대로 북유럽 조형 디자인 영역에서의 특징을 문헌, 관련 저널 및 기사 등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북유럽 주얼리 대표적인 디자이너인 덴마크의 주얼리 디자이너 알리드라 알릭(Alidra Alic)과 카밀라 프레쉬(Camilla Prasch), 스웨덴 주얼리 디자이너 토비스 아람(Tobias Alm)와 핀란드 주얼리 디자이너 카오 시엔 규(Cao-hsien Kuo)를 선정하여 그들의 작품을 통해 북유럽 주얼리의 감성을 알아보았다. 북유럽 디자인의 사회적 배경과 북유럽 디자인의 자연 환경적 배경을 통해 북유럽 디자인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자연을 닮은 디자인,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디자인, 장인정신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으로 북유럽 디자인의 특징들을 조사하였다. 북유럽 디자인의 개념과 북유럽 디자인의 특징을 분석해본 결과 북유럽의 조형 디자인은 단순함을 강조한 실용적이며 기능적 스타일로 자연친화적 형태와 자연을 현상할 수 있는 형태표현으로 모던하게 표현하는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북유럽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자연환경을 그대로 보존하고 순응하며, 인간과의 공존을 중요시여김으로써 자연친화적인 감성을 그들의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나타낸다. 둘째, 자연스럽고 편안하며 단순한 디자인을 강조하며 복잡한 인위적인 요소를 배제하였다. 마지막으로 언제 어디서든 쉽게 접할 수 있는 모티브로 개성을 표현하되 이질적이지 않고 누구에게나 자연스럽게 흡수될 수 있는 민주적인 성격을 드러낸다. 이러한 내용들을 북유럽 디자인만이 갖는 속성이라 규정지을 수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현재에도 꾸준히 전개되고 있다. 북유럽의 자연을 소재로 작품 활동을 하는 주얼리 디자이너와 그들의 작품을 통해 북유럽 주얼리에 적용된 면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Scandinavian design has recently become of significant interest, as it has global appeal in many fields. At this point, the study analyzed the features of Nordic design in terms of its historical and naturalistic background.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troduce comparatively unknown Nordic Jewellers and jewelry work, where the work is based on the features of Nordic design. This essay analyzed the genre, through the relevant literatures, reviews, journals and articles. Five Nordic jewelers were then selected, these being Danish Jewelers, Alidra Alic and Camilla Prash, from Sweden, Jeweler Tobis Alm and from Finland Jeweler Cao-hsien Ku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Nordic sensibility, through these five Nordic jewelers and their work. The study will try to understand Nordic design’s concept, from Nordic social background and Nordic identification with nature. Furthermore, the study will specifically consider aspects of Nordic design, as regards how it interprets nature and manages to incorporate this in terms of practical and functional design and design based on craftsmanship. After analyzing the Nordic design idea and features of Nordic formative design,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there is an emphasis on practical and functional style, with an emphasis on simplicity, which follows environment-friendly form and expressions of natural shapes and materials. offering aesthetic meaning. Firstly, the genre appears to involve reinterpretation, with a modern, eco-friendly sensibility, which encourages coexistence with humans and preserving the look of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ly, there is an emphasis on natural, comfortable design, without complicated elements. Finally, the design concept reveals democratic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regularly encountered and has design features based on humanism in everyday life. In conclusion, it is felt that. Nordic design has a positive significance, through the inference that modern humans can identify with the balance of economic and democratic design, which is based on encouraging eco-friendly sensibility, distinctive simplicity and rational functional functionality. This simple and empathetic Nordic design genre is followed by Nordic jewelers and is evidenced in their work.

      • KCI등재

        북유럽 한인 디아스포라 커뮤니티의 지속과 변화: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거주 한인을 중심으로

        장선화(Seonhwa Jang) 한국유럽학회 2019 유럽연구 Vol.37 No.2

        이 연구는 북유럽 거주 한인을 대상으로 한 현지조사에 기초하여 이민 1세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북유럽 한인 디아스포라 커뮤니티 및 네트워크의 지속과 변화를 설명한다. 2017년 4월 20일~6월 7일 동안 북유럽 거주 한인을 대상으로 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 및 4월 20일~4월 26일간 현지 심층면접(depth interview)을 통해 확보한 1차 자료를 분석하였다. 모집단을 대표할 정도로 의미있는 규모의 표본을 확보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양적 연구(Large-N 연구)가 아닌 질적 연구방법에 충실한 연구로서, 설문조사를 실행하되 심층면접을 통해 한계를 보완한 서술적 사례 연구에 해당한다. 설문을 통해 북유럽거주 한인커뮤니티 및 네트워크, 한국에 대한 현지인들의 이미지, 한인 정체성 유지 및 유대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 한국 정부에 대한 정책적 지원에 대한 요구 등의 항목별 응답을 분석하고 일반인, 전문가, 정책담당자를 포함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향후 북유럽거주 한인 특성의 지속과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북유럽 특유의 정치제도, 사회, 문화적 특수성이 북유럽 한인의 정체성과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민주주의 심화, 복지 확대, 교육 개혁 등 한국의 주요 정치 이슈에 대해 보수적 국가 중심적 가치와 진보적 사회 개혁 정책 필요성에 대한 주장이 혼재되어 있다. 북유럽 이주 한인 1세대와는 달리 2세와 3세는 온라인 네트워크에 기초한 보다 개인적이고 자유로운 방식의 느슨한 커뮤니티를 지향하는 경향을 강하게 나타낸다. 북유럽 복지모델과 교육체계, 보다 평등한 사회질서와 다양성을 존중하는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북유럽 국가들과 한국 정부, 문화, 사회단체, 학계의 교류가 증진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 북유럽 거주 한인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 정부의 재외동포 정책이 현지 한인 커뮤니티에 갈등 조정적 기능보다는 세대 갈등을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북유럽에 대한 형식적이고 단편적인 이해를 넘어선 교류·협력을 위해서는 재북유럽 한인과 네트워크의 특성에 대한 이해, 정부의 정확한 현지에 대한 이해 및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plains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Korean Diaspora communities and networks in Northern Europe from the first generation to the present, based on a field survey of Koreans living in Northern Europe. Through on-line and off-line surveys to Koreans living in Northern Europe from April 20 to June 7, 2017, and the first interviewed data from April 20 to April 26, itwas collected a meaningful raw data. As a research that is faithful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rather than the quantitative research (Large-N research) that secures a sample of a meaningful size to represent a population and analyzes the results, it is conducted by a survey but more corresponds to qualitative study. This study analyzed responses of the Korean communities and networks in Northern Europe, the image of locals to Korea, the efforts to maintain Korean identity and bond, the demand for policy support to the Korean government through questionnaire. In addi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Ambassadors and diplomats, executives and people of Korean community, and professionals in three countries, we confirmed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characteristics of Koreans living in Northern Europe. As a resul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olitical system, social and cultural peculiarities of these three of Nordic countri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identity and recognition of Korean people in Northern Europe. Especially, it reveals a mixed attitude of holding the conservative national - centered values and asking the necessity of progressive social reform policy on major political issues in Korea such as deepening of democracy, welfare expansion, and education reform. Unlike the first generation of Nordic migrants,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tend to be more inclined towards a loose community of more personal and free ways based on online networks. With increasing interest in Nordic welfare models and educational systems, and a egalitarian culture that respects a more equal social order and diversity, exchanges between Nordic countr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including cultural, social, and academic interests are being promoted, local Koreans have the possibility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ther hands, it is possible that the government’s overseas Koreans policy will act to amplify the generation conflicts rather than conflict-mediation functions in the local Korean community. For exchanges and cooperation beyond formal and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the Nordic countries, it would be necessary to give a precise and appropriate support to the locales by Korean government based on exac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dic Koreans’ networks.

      • KCI등재

        자포니즘으로서의 북유럽 소비에 대한 연구

        황성희 ( Hwang Sung-hee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국내에서 수년 전부터 유행하고 있는 북유럽디자인 소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소비문화의 흐름에서 일본의 역할을 조명하는 연구이다. 비서구 국가 중 유일하게 선진 자본주의 국가의 대열에 합류했고 1980년대에는 미국과 경제력을 다투었던 일본이었지만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평가는 낮았다. 그런 일본이 1990년대 들어 대중문화상품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어필하다가 대중문화 상품의 인기가 가라앉은 후에는 만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오타쿠계 서브컬쳐로 글로벌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1990년대부터 부상한 일본 문화의 영향력을 새로운 자포니즘으로 보고 한국의 북유럽 소비가 자포니즘의 매개와 주도 하에 진행되어 왔음을 제시한다. 일본이 구성한 북유럽에 대한 의미와 상징이 한국의 북유럽 소비에서 관철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의미와 스타일의 측면에서 일본의 슬로무비는 북유럽디자인에 미국발 `킨포크`코드를 결합시켰다.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아르누보를 매개로 일본 미학은 북유럽디자인과 시각적 유사성을 얻을 수 있었고 일본 가와이이 자카소품을 통해 북유럽디자인과 시각적 친숙함도 확보했다. 무엇보다 일본 잡화브랜드들이 출시한 북유럽풍 생활소품들을 통해 일상 속으로 북유럽디자인이 스며들었다. 또한 국내의 북유럽 소비는 일본 오타쿠들이 서브컬쳐를 포스트모던하게 소비하는 방식인 데이터베이스 소비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일본이 만들어낸 북유럽에 대한 모에 요소가 한국에서도 북유럽 소비의 기호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role of Japan in Korean consumption of Nordic design.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greater access to wide information and global markets, the popular trends in Korea have been mediated by Japan. The cultural power of Japan comes from otaku subculture. Japanese influence can be discussed by two sides. One is the images or symbols composing the Nordic style in Korea. The other is the way how to consume the Nordic design. Japanese neopop images combined with the Nordic design. Japanese `slow movie` has combined American Kinfolk style with Nordic style. `Database consumption` from otaku subcultre conceptualized by Azma Hiroki can be applied to Korean consumption of Nordic design.

      • KCI등재

        현대 북유럽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과 의미

        강준호 ( Kang Jun Ho ),권기영 ( Kwon Gi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최근 북유럽 디자인은 세계적으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는 트렌드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북유럽 디자인의 등장배경과 조형디자인 분야에서의 특징을 고찰하고, 현재 글로벌 유행을 선도하는 북유럽 패션 브랜드의 조형적 특징과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현대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는 북유럽 패션의 정체성 및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북유럽의 역사와 환경적 특성을 토대로 조형 디자인 영역에서의 특징을 문헌, 관련 저널 및 기사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2010년 이후 발표된 북유럽 패션 브랜드 5개를 중심으로 현대 북유럽 패션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을 스타일, 문양, 색채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내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북유럽의 환경과 다양한 디자인 분야를 분석해본 결과 북유럽의 패션 디자인은 단순함을 강조한 실용적이며 기능적 스타일로 밝고 화사한 자연친화적 문양과 기하학적인 패턴을 모던하게 표현하는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러한 면에서 북유럽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자연환경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순응하며, 인간과의 공존을 중요시 여김으로써 자연친화적인 감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나타낸다. 둘째, 복잡한 인위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자연스럽고 편안한 단순한 디자인과 문화적 요소가 가미된 개성적 디자인을 통해 합리적 사고가 가능한 경제적 디자인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을 모티브로 휴머니즘을 전제로 기능적인 디자인과 누구나 착장 가능한 의복 디자인의 실현으로 민주적인 성격을 드러낸다. 이상과 같이 북유럽 패션 디자인은 자연친화적 감성, 개성적 단순함, 합리적 기능성을 중심으로 자연, 사회, 인간의 균형 있는 공존의 형성을 통해 현대적이며 경제적이고 민주적인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긍정적인 의의를 지닌다. Scandinavian design has recently been heightened interest became as one of worldwide trend in many fields. At this point,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ppearance in the background of Nordic design and formative design and aims to examine the identity of fashion with Scandinavian fashion brands. Nordic fashion brands released since 2010 by classifying the features of the modern formative style in the Nordic fashion design, pattern, colour and analyzed through the literatures, reviews, journals and articles. After analyzing the Nordic environment and various design fields can be found three aesthetic meanings. First, it appears to be reinterpreted in a modern eco-friendly sensibility which is coexist with humans and preserving the look of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 it is seen as economically rational thought through the design of natural, simple and comfortable design and cultural elements that add distinctive design. Finally, it reveals the democratic characteristics with possible to wear clothing design and design features based on humanism in everyday life. In conclusion, the Nordic fashion design have the positive significance through the formation of modern humans coexist with the balance of economic and democratic design which are based on presented to the direction of eco-friendly sensibility, distinctive simplicity and rational functional functionality.

      • KCI등재

        북유럽 패션브랜드 디자인 특성 분석

        조아라,이순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5

        With a growing worldwide interest in sustainable design, eco-friendly Scandinavian fashion design has recently drawn attention and become a huge trend. While most researches on Scandinavian brands focus on lifestyle and products,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on the local Scandinavian fashion brand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vernacular designs that represent the uniqueness of certain regions and clarify the identify of Scandinavian fashion, by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Scandinavian fashion brands.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the 80 brands participating in the Copenhagen Fashion Week, which is the largest fashion event in Northern Europe, from 2016 S/S to 2020 F/W introduced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fashion week. The study also analyzed 5 Scandinavian fashion brands selected by the Harpers Bazaar in 2018 and focused on 7 overlapping brands among them. The research findings demonstrated that Scandinavian designs can be analyzed as functional and yet non-strict Scandinavian pragmatism, developed from daily experience. They practiced sustainability for economic efficiency and future environment while emphasiz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 and the values of democratic design for the majority. Based on these features, modern street casuals and avant-garde Bohemian styles appeared as the main concepts of Scandinavian fashion design, which also reflected silhouettes pursuing physical comfort regardless of body type or age. In particular, the Copenhagen Fashion Week was actively sponsoring designers so that the ethical values of fashion brands would become the foundation of Scandinavian fashion. The fashion week also provided purchasing opportunities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by lowering the barrier of product purchase through affordable pric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eek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Korean fashion brands, which should foster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designs while maintaining their unique regional identity. 최근 지속가능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지면서 자연친화적인 북유럽 디자인이 큰 트렌드가 되었고 북유럽 패션 또한 주목을 받고 있다. 북유럽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로 라이프스타일 및 제품 등으로 보여 지고 있으나 북유럽 고유의 패션 브랜드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유럽 패션 브랜드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특정 지역의 고유성을 나타내는 버내큘러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북유럽 패션의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북유럽에서 가장 규모가 큰 패션행사인 코펜하겐 패션위크 공식 홈페이지에 소개된 2016년 S/S부터 2020년 F/W 참여 브랜드 80개와 2018년 하퍼스 바자가 선정한 스칸디나비안 패션 브랜드 15개를 분석하였고 이중 중복되는 브랜드 7개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북유럽 디자인은 일상의 경험으로부터 생성된 기능적이면서도 엄격하지 않은 스칸디나비안 프라그마티즘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경제적인 효율성과 미래 환경을 위한 지속가능성을 실천하고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과 더불어 다수를 위한 민주적 디자인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북유럽 패션디자인의 특성은 모던 스트리트 캐주얼과 아방가르드 보헤미안 스타일이 브랜드 컨셉으로 주요하게 나타났으며 체형이나 연령을 불문하고 신체의 편안함을 추구하는 실루엣이 디자인에 반영되었다. 또한 화려한 색상의 조화와 기하학적 프린팅, 자연환경을 현대적으로 단순화한 문양이 나타났다. 특히 코펜하겐 패션위크는 패션브랜드의 윤리적 가치가 북유럽 패션의 근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후원하고 있으며 제품에서도 구매의 장벽을 낮춘 합리적인 경제성을 유지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사람들에게 구매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을 키워나가야 하는 우리나라 패션 브랜드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북유럽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케아 디자인을 중심으로 -

        정광호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북유럽 디자인의 간결하고 솔직하고 기능적인 면들은 보편적으로 강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북유럽 사람들은 자연에서 영 감을 얻었고,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진다. 북유럽 디자인은 전통과 기술 간의, 그리고 수작업 재료와 현대적 삶 이 던져주는 새로운 도전간의 소통이라고 할 수 있다. 아름답고 기능적 이지만 누구나 구매할 수 있는 제품이어야 한다는 생각은 지금까지도 북유럽의 디자인 개발에서 핵심요소이다.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적절한 가격의 가구를 제공하는 이케아 는 이런 전통을 가장 잘 반영하는 기업이다. 이케아는 독자적인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을 경쟁력의 요소로 갖추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유럽 디자인의 특징과 이케아 디자인의 개발사례 연구를 통하여 한국 디자인의 발전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북유럽 디자인의 특징을 만드는 것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을 디자인적 관점에 서 선정하여 연구 하였다. 그 결과 이케아는 기본적으로 북유럽의 문화와 생활양식에 기반을 둔 디자인을 실행하고 있었다. 어쩌면 당연한 것으로 생각이 들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가 한국적인 특징을 살려 독창 성과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 개발과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ere is something universally appealing about the simplicity, straightforwardness and functionality of scandinavian design. Scandinavian Design has looked to nature for inspiration, a tradition that continues even today. Scandinavian design is always in a dialog between tradition and technology, between the materials at hand and the new challenges given by modern life. The idea that beautiful and functional everyday objects should be affordable to everyone was a core element in its development, and still is. IKEA provides affordable housing for the general public and is the best example of this tradition. IKEA, has entered the global market by designing its own identity as an element of competi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Korean desig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candinavian design and case studies of IKEA design and development. I have selected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design of Scandinavian design from the viewpoint of design. For IKEA, their concept, philosophy and the design strategy were treated. IKEA, consequently, has been implemented the design based on the Scandinavian culture and lifestyle. Maybe it is natural, but the reality of our country is not so. Therefor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sign development and research that reflects originality and identity by taking advantage of Korean characteristics.

      • KCI등재

        민속 모티브를 활용한 북유럽 스타일화예 작품 창작 연구 - 눈 위의 사슴 -

        신예영,이정섭,유택상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5 No.-

        The work was created by the re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Scandinavian design style to the floral art work. The Scandinavian style is well known worldwide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he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vocabulary of Swedish Grace style and new functionalism of simplicity and rationality. The researcher performed vast research on Scandinavian nature and culture by reading, watching related movies and performing image research on internet by searching related images using pinterest site and google image search service. Finally the motives of antler were chosen inspired by Viking symbols and Nordic deer images. And a hunting trophy of simple shape, seamless skin and moderation was designed with a glass ball and two paper-bush(Edgeworthia chrysantha) branches following design principles of Scandinavia. However the trophy is to praise the confidence and strength of Scandinavian deer and people survived and prospered in that cold and severe surroundings, not to show off the booty. The result is significance in two points: first is to expanded the usage of material by introducing artificial material of glass ball to the floral work and second is to creating new expression by simple but interesting combination with well-known and easy-to-get materials. 본 연구는 스웨디시 그레이스 양식의 전통조형언어와 단순하고 합리적인 새로운 기능주의 양식을 잘 통합시켜 발전시킨 북유럽의 디자인 스타일을 적용한 화예 창작에 관한 연구이다. 북유럽의 역사, 문화, 자연, 예술의 이해와 모티브의 발굴을 위해 문헌 조사와 영화 및 이미지리서치248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제35집를 행하였으며 그 결과 바이킹의 투구와 북유럽 풍경에서 발견한 사슴의뿔의 모티브를 가지고 북유럽 디자인의 특징인, 간결하고, 미적 감각을단순한 형태로 정리하고 풀어내는, 단순한 절제미를 가지는 동시에 고도의 기능성을 갖는 작품을 기획하였다. 특히 전혀 다른 특성의 소재를 하나의 소재인 것처럼 매끄럽게 연결하여 만드는 점에 착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은빛으로 칠해진 반짝이는 유리구에 두 개의 하얀색으로 처리된 삼지닥나무를 붙여 만든 헌팅트로피가 만들어졌다. 이 헌팅트로피는 전리품을 자랑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존재로서 사슴(또한 바이킹그리고 더 나아가 북유럽의 힘든 삶을 잘 극복하는 사람들)의 자랑스러움과 긍지를 보여주는 조형물이다. 결과적으로 화훼소재만이 아닌 새로운 소재를 도입하여 북유럽 디자인의 간결한 느낌을 구현해 내고자한 의도가 어느 정도는 성취되었다고 본다. 특히 유리구며 삼지닥나무 모두가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였다는 점과 이들을 이용한 비교적간단한 조합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표현을 창출할 수 있었던 점에서 작품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북유럽 국가들의 가족화 정책 : 부모 휴가와 아동가정양육수당정책에 나타나는 아버지 상(像)의 상이성

        윤승희,김은지 (토론자)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0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6

        이 글은 그 동안 가족정책 논의에서 탈가족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던 가족화 정책에 대한 중요성을 제기하며, 북유럽국가들 간의 상이한 아버지 권리와 역할의 개념 차이가 가족화 정책(부모휴가제도와 아동가정양육수당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 본 연구이다. 1970년대 이후 북유럽 국가들의 가족정책은 급속히 확대되게 되고, 북유럽 사회에서 젠더 평등은 공통된 가치로 자리매김한다. 특히 북유럽국가들은 가족정책을 통해 부모 역할의 변화를 시도하는데, 탈가족화 정책을 통한 일하는 어머니상과 가족화 정책을 통한 아동을 돌보는 아버지상이 그것이다. 하지만 국가들간 지향하는 부모의 역할은 차이가 나타나는데, 특히 가족화 정책 형성과 결과에서 그 상이함은 명백해짐을 알 수 있다. 스웨덴의 경우, 돌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아버지의 권리 뿐 아니라 아버지 자신의 인격 발달도 중요시 하는 ‘현대적 아버지’상이, 노르웨이는 돌봄에 대한 의무가 강조된 ‘좋은 아버지상’이, 덴마크에서의 양육자로써의 아버지의 권리를 옹호하지 않으며, 부성을 기반으로 한 권리가 거의 없다는 특징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핀란드의 경우는 신가족주의를 지향하며, 아동의 돌봄은 여전히 어머니가 주된 양육자이고 아버지는 어머니를 보조하는 ‘보조적 돌봄자‘ 역할을 보이고 있었다. 이 연구는 아버지 역할이 어떻게 인식되느냐에 따라 가족화 정책 형성 뿐 아니라 그 결과에 밀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가족화 정책 수준이 미약한 한국사회에서 부모역할에 대한 재정립을 통해 돌봄의 남성참여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함의를 던지고 있다.

      • KCI등재

        북유럽 4개국의 주택가격 및 가계부채 추이와 정책대응 비교연구

        빈재익 한국EU학회 2017 EU학연구 Vol.22 No.2

        The article aims to compare trends of housing price index and household debt to income ratios across the 4 Nordic countries and to describe those trends as a representation of the results of the government’s efforts to maintain macroeconomic stability in the Nordic countries. The governments’ effort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policies: 1) policies to require the banking sector to increase risk weights, in rel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Bazel III; 2) policies to increase DTI, LTV; 3) policies to limit fiscal incentives to buy housing. Korea, in comparison with the 4 Nordic countries, shows similar trends of housing price index and household debt to income ratios. But the governance structure is less systematic to effectively deal with household debt problem. The article proposes to render the governance structure more systematic with the monetary and financial authority as the central figure. 본 연구는 유럽시스템리스크 위원회가 2016년 9월에 경고한 부동산 가격 및 가계부채의거시경제 위험성의 대상이 된 8개국 중에서 덴마크, 핀란드, 스웨덴 등 3 개국과 이들 국가와 유사한 상황에 처한 노르웨이로 이뤄진 북유럽 4개국의 주택가격 동향과 가계부채 현황그리고 이로부터 발생하는 거시안전성에 대한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각국이 취한 정책들을조사⋅분석한다.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을 만큼 상승세가 급격했던 북유럽 지역에서 가계부채의 증가추세와 주택가 격지수의 상승세는 최근 완화되고 있는데 이 보고서에서는 이를 북유럽 국가들의거시건전성 제고 정책의 영향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북유럽 국가들이 취한 거시건전성 제공정책은 크게 3가지 부류로 구별했다. 첫 번째 부류는, 바젤 규제 III의 도입에 따른 은행 건전성 강화조치다. 즉, 바젤 III와 관련하여, 모기지론에 대한 위험인식 확대, 자본보전 및 경기대응 완충자본 비율 추가, 시스템리스크 및 국내 시스템적 중요기관 리스크에 대한 추가 자본비율과 유동성커버리지 비율 도입 등의 규제가 도입됐다. 그 결과, 은행의 가계에 대한 대출의 증가세가 둔화되어 주택가격 상승추세에도 제한을 가하고 있다. 두 번째는 LTV 조정을 포함하는 가계부채의 수준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금융정책이다. 가계부채 증가와 주택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크지만, 일반적으로 신규 대출에만 적용되고 기존 대출은 적용대상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그 효과가 제한적이다. 마지막 세 번째 부류는 재정정책이다. 모기지론에 대해 지급한 이자를 소득세에서 공제하는 가계의 주택구입을 장려하던 정책을 폐지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모기지론 비용을 증가하고 임대주택대비 모기지를 통한 주택구입 비용의 상대적 크기를 변화시켜 가계의 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쳐 주택가격 상승 및 가계부채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북유럽과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정부 대응을 비교하면, 북유럽 4 개국에서는 화폐⋅금융시스템를 관리감독체계를 중심으로 일관성 있게 이뤄지는 반면, 한국에서는 화폐⋅금융 감독체계와 부동산정책을 담당하는 체계의 이원화로 인해 일관성 부족이상대적으로 두드러진다. 주택가격과 가계부채 상승추세가 거시안정성을 위협하지 않도록 가계부채 증가추세를 적정 수준으로 제한하기 위한 조절체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 전제한 바와 같이, 최근 주택가격 상승은 주택의 수요와 공급 요인보다는 화폐적 요인에 기인한 바가 크기 때문에, 이를 반영해, 금융기관을 감독하고 화폐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기관이 중심이 되어 주택가격과 가계부채를 모니터링하고 조절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민속 모티브를 활용한 북유럽 스타일 화예 작품 창작 연구 -눈 위의 사슴-

        신예영 ( Shin Ye Young ),이정섭 ( Lee Jeong Sup ),유택상 ( Yoo Taek Sa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6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스웨디시 그레이스 양식의 전통조형언어와 단순하고 합리적인 새로운 기능주의 양식을 잘 통합시켜 발전시킨 북유럽의 디자인 스타일을 적용한 화예 창작에 관한 연구이다. 북유럽의 역사, 문화, 자연, 예술의 이해와 모티브의 발굴을 위해 문헌 조사와 영화 및 이미지리서치 를 행하였으며 그 결과 바이킹의 투구와 북유럽 풍경에서 발견한 사슴의 뿔의 모티브를 가지고 북유럽 디자인의 특징인, 간결하고, 미적 감각을 단순한 형태로 정리하고 풀어내는, 단순한 절제미를 가지는 동시에 고도의 기능성을 갖는 작품을 기획하였다. 특히 전혀 다른 특성의 소재를 하나의 소재인 것처럼 매끄럽게 연결하여 만드는 점에 착안하였다. 결과적 으로 은빛으로 칠해진 반짝이는 유리구에 두 개의 하얀색으로 처리된 삼 지닥나무를 붙여 만든 헌팅트로피가 만들어졌다. 이 헌팅트로피는 전리 품을 자랑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살아가는 존재로서 사슴(또한 바이킹 그리고 더 나아가 북유럽의 힘든 삶을 잘 극복하는 사람들)의 자랑스러움과 긍지를 보여주는 조형물이다. 결과적으로 화훼소재만이 아닌 새로운 소재를 도입하여 북유럽 디자인의 간결한 느낌을 구현해 내고자한 의도가 어느 정도는 성취되었다고 본다. 특히 유리구며 삼지닥나무 모두가 시중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였다는 점과 이들을 이용한 비교적 간단한 조합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표현을 창출할 수 있었던 점에서 작품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work was created by the research for the application of Scandinavian design style to the floral art work. The Scandinavian style is well known worldwide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he combination of the traditional vocabulary of Swedish Grace style and new functionalism of simplicity and rationality. The researcher performed vast research on Scandinavian nature and culture by reading, watching related movies and performing image research on internet by searching related images using pinterest site and google image search service. Finally the motives of antler were chosen inspired by Viking symbols and Nordic deer images. And a hunting trophy of simple shape, seamless skin and moderation was designed with a glass ball and two paper-bush(Edgeworthia chrysantha) branches following design principles of Scandinavia. However the trophy is to praise the confidence and strength of Scandinavian deer and people survived and prospered in that cold and severe surroundings, not to show off the booty. The result is significance in two points: first is to expanded the usage of material by introducing artificial material of glass ball to the floral work and second is to creating new expression by simple but interesting combination with well-known and easy-to-get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