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년기 부부관계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적용하여

        김미라(Kim, Mi-Ra),하영윤(Ha, Young-Yoon)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0 부부가족상담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중년기 부부관계에 관한 국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 이해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2011~2020) 동안 국내 등재 학술지에서 중년기, 중년기 남성, 중년기 여성, 중년기 부부관계 등의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들 중 연구목적에 부합되는 중년기 부부관계와 관련한 논문 총 50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기별, 대상별, 방법별, 변인별로 분석하고, 주요 변인들을 중심으로 연구내용을 분석하였다. 이후 Bowen의 가족체계이론을 적용하여 연구내용들을 재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중년기 부부관계에 관한 연구들의 의미를 Bowen의 가족체계이론 입장에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최근 10년간 중년기 부부관계 관련 연구는 꾸준하게 이루어졌으며, 양적 연구가 질적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다. 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을 적용한 내용분석 결과, 부부관계, 자녀와의 관계, 원가족과의 관계 등 다양한 하위체계들의 관계성이 중년기 부부를 설명하는 의미 있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또한 Bowen이 제안한 핵가족 정서체계, 자기분화, 삼각관계, 다세대전수 개념들이 중년기 부부관계를 이해하는 유용한 개념의 틀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중년기 부부관계 연구들이 가지는 함의를 탐색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and to provide implication for further research. Through 2011 to 2020, a total of 50 published articles that fit this study were selected by searching with keywords:‘middle age’,‘middle-aged men’,‘middle-aged women’, and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from Korean registered journals. To review the trend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period, subject, method, and variables. Later, Bowen’s Theory of Family Systems was suggested to be useful in the understanding of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and was applied to reorganize the variables and contents of these articles. This analysis and reexplanation were used to establish a new understanding of meanings of researches in the perspective of Bowen’s Theory of Family Systems. Research trend analysis revealed that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studies were conducted steadily past ten years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at relatively high frequency compared to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with application of Bowen’s Theory of Family Systems showed that most important variables to understand the middle-aged married couple were not the individual, but their relationships with various subsystems. Additionally, main concepts of Bowen’s theory were proved to be meaningful in the understanding of middle-aged marit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부부관계성장요인 개발 및 부부프로그램의 활용

        이은하,정용구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4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1 No.1

        최근의 이혼율의 증가나 임상과 상담 장면에서 나타나고 있는 부부갈등의 증가는 많은 부부들이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해 가는데 고통을 겪고 있음을 상담 현장에서 경험하게 한다. 부부상담은 증가하고 있으나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대안은 마련되고 있지 못하다. 기존의 부부문제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대화방식, 애정표현 등의 대인관계양식과 선호행동, 갈등대처 등의 생활대처양식의 4가지 요인을 부부관계성장요소로 추출하였다. 에니어그램은 상호간 대인관계방식의 체계이며, 에니어그램은 부부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역동과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부관계워크샵에 참여하여 자신의 에니어그램유형을 알고 있는 부부를 대상으로 대인관계양식과 생활대처양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나타난 부부관계성장의 요소를 1차, 2차에 걸쳐 전문가 내용타당 검증절차와 에니어그램의 기질적 9요인을 활용하여 대인관계양식의 18요인, 생활대처양식의 18요인을 포함, 부부관계성장요인 36요인을 개발하였다. 결정된 부부관계성장요소와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부부관계성장프로그램의 활용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부부간 소통과 관계 변화: 관계 난기류 이론(Relational Turbulence Theory)을 적용한 설문조사 연구

        심민선 한국소통학회 2022 한국소통학보 Vol.21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결혼생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부부간 소통과 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관계 난기류 이론(relational turbulence theory) 을 이론적 틀로 사용해서 코로나19가 초래한 관계 과도기에 부부 관계의 불확실성(자 기·배우자·관계 불확실성) 및 배우자의 영향(방해·도움)이 부부간 소통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부부간 소통이 관계 난기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 다. 전국의 기혼 성인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자기 불 확실성은 관계 불확실성에 정적 영향을, 부부간 소통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다. 배우자 불확실성 역시 관계 불확실성에 정적 효과를 미쳤다. 배우자의 영향 중 도움은 부부간 소통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나 방해의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부부간 소통은 관 계 난기류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 불확실성과 배우자의 도움이 관계 난기류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와 부부간 소통에 의해 매개되는 간접효과 모두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계 난기류 이론을 코로나19 기간 국내 부부 관계에 적용하여 검증한 이론적 의의와 함께, 장기간 지속된 감염병 위기에 대응할 소통 중심의 실천적 방안을 도출하는 함의가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relational turbulence from the COVID-19 pandemic in marital relationships. Based on the relational turbulence theory,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relational uncertainty (consisting of self, partner, and relationship uncertainty) and partner influence (including interference and facilitation) on communication with a spouse, which in turn leads to relational turbulen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nationwide sample of 1,007 married adults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self uncertain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uncertaint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ital communication. Partner uncertainty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uncertainty. Facilitation from a spouse was likely to increase marital communication, whereas the effect of interference from a spouse was not significant. Marital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relational turbulence; on relational turbulence, self uncertainty and facilitation from a spouse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mediated through martial communica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기독교인 부부관계요인과 영적자원의 역동적 상호작용 연구

        백정미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o examine patterns of interaction through searching the spiritual resources and relation factors in Christian marital relationships, to explore how the interaction of spiritual resources and relation factors affect marital relationships.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uses grounded theory. The subjects of this interview are 10 married Christian couples. The four types of the grounded theory for this research are ‘growth pursuit type,’ ‘overcome effort type,’ ‘growth need type,’ ‘conflict continuance type.’ These types are classified by four axes: stability or change, growth or deterioration. The dividing criterion of growth or deterioration is based on how the effect of interaction works at the present marital relationship. The dividing criterion of stability and change is based on how the couples pursue their future with their relation factors. With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five themes for interaction of marital relationships by a psychosystems approach to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This research shows that spiritual resources are able to empower couples, children, and other lives if the resources can be living resources which affect marital relationships. 본 연구는 기독교인 부부관계에서 나타나는 영적자원에 대한 과정적 탐색을 통해 관계에서 상호작용하는 패턴을 발견하고, 그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계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영적자원들이 삶을 지탱하는 다른 자원들과 어떻게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기독교 신앙을 가진 부부 10쌍을 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을 토대로 심리체계적 목회신학 방법론으로 부부관계의 상호작용을 해석하여 다섯 가지 영역: 영적자원과 결혼의 역사, 부부와 원가족의 관계, 문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부부관계와 영적자원, 부부관계와 신앙유산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적자원이 부부관계 속에 존재하지만, 가치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관계요인들을 파악하여 부부가 성장하고 변화하도록 돕는 것이 자신들뿐 아니라 가족과 공동체를 살리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관계를 영적자원의 상호작용 모형을 가지고 심리체계적 지도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접근으로 해석하므로 신학적 주제들과 심리학적 주제들의 연결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예비부부의 부부관계전념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은(Eun Park),김정민(Jung-Min Kim) 한국상담학회 2022 상담학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부부의 부부관계전념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프로그램 개발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예비 프로그램 진행을 토대로, 인지적 재구성, 의사소통훈련, 스트레스 대처훈련, 문제해결훈련을 구성요인으로 하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의 예비부부 10쌍이며, 프로그램은 주 1회 2회기, 회기당 90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는 사전, 사후, 3개월후 추후 검사를 통해 측정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예비부부의 인지적 영역인 부부관계신념, 부부조망수용, 부부관계의 질 지각은 각각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부부관계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인 부부관계신념은 감소하였으며 부부조망수용과 부부관계의 질 지각은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예비부부의 행동적 영역인 부부의사소통, 스트레스 대처행동, 갈등해결전략은 각각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예비부부의 부부관계전념의 하위 요인인 부부관계전념의지와 부부관계전념행동의 점수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전과 프로그램 종료 3개월 후를 비교한 결과, 부부관계신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갈등해결전략 중 타협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marital commitment of premarital coupl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first, a cognitive behavioral program consisting of cognitive restructuring, communication training, stress coping training, and problem-solving training as components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prior researches regarding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eliminary program. The subjects of the program included 10 premarital couples currently resid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two 90-minute sessions per day over four week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pre-, post-, and 3-month follow-up tes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1.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ch cognitive domain of premarital couples, including marital relationship beliefs, dyadic perspective-taking, and perception of marital quality showed significant changes. The marital relationship beliefs, which are irrational ones about marital relationship, decreased, while the dyadic perspective-taking and the perception of marital quality increased. Second, each behavioral domain of premarital couples, including marital communication, stress-coping behavior,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Third, the scores of marital commitment will and marital commitment behavior, both of which are the sub-factors of marital commitment of premarital couples, increased significantly. Fourth,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he scores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and three months after the program ended, marital relationship belief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compromise amo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stress-coping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 KCI등재

        부부 비동거의 거주형태와 성역할관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민경선(Min, Kyungsun),진신(Chen, Chen) 한국가족학회 2014 가족과 문화 Vol.26 No.3

        최근 한국에서는 부부가 비동거하는 가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들은 부부의 공동거주를 전제로 하는 전통적 정의와 평가를 기준으로 부부관계에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부부의 거주형태, 특히 비동거가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양하게 분화하고 있는 거주형태가 한국의 가족연구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거주형태의 외형적 변화와 함께 부부의 주관적 인식을 함께 고려하고자 성역할관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녀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2012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부부관계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순서형 로짓 분석(ordered logistic regression)을 수행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배우자와 비동거할 때 남녀의 부부관계만족도는 모두 낮았고, 배우자와 비동거하는 경우 다른 가족원과 함께 사는 것에 비해 혼자 거주할 때 여성의 부부관계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동거는 여전히 중요한 요소이고, 배우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다른 가족원에 대한 돌봄은 개인, 특히 여성에게 큰 부담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배우자와 비동거 시에 경험하는 부부역할의 중첩이 부부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가사노동에 대한 성역할관과 취업여부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배우자와 비동거할 때 경제활동과 가사노동이라는 책임의 중첩이 부부관계만족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여성에게 가사노동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전통적 성역할관을 갖지만 자신은 경제활동을 하고 있지 않을 때 낮은 부부관계만족감을 나타냈다. 이는 근래에 분화되어 온 가족의 거주형태와 전통적인 성역할관이 맞물리며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Family studies tend to approach to marital-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concept which assumes cohabitation of married couples though the number of couples who live separately with various reasons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 cor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arried couples' living arrangement on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focusing on gender role perceptions and to argue that the family studies need to consider living arrangement as an important factor. As an empirical demonstration, we conducted or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dependent variable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using '2012 Social Survey' data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The result indicated that both husband and wife showed lower level of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when they live separately with their spouses. Also, women who live alone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ho cohabitate with other family members when they live separately with their husbands. These mean that cohabiting is still important in maintaining good marital relationship and caring family members could be a burden especially for women when spouses are absent.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en who do not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and think that women are responsible for housework showed low marital-relationship satisfaction. These reflect that combined effects of recent changes in living arrangement and traditional gender role affect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on family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형제자매관계의 매개 과정 연구

        박진희,박지선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ibling relationships mediat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s on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The sample comprised 355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metropolitan area.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the marital conflict scale, the sibling relationship scale, and the adolescent maladjustment behavior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18.0. Findings revealed that marital conflicts negatively affected both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s in adolescents. Specifically, marital conflict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negative effects on the internalization problems of adolescents. Second, the quality of the sibling relationship mediated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s’ adjustment problems. In other words, marital conflict led to lower warmth and greater conflict among siblings, which in turn led to greater internalization problems. Third, marital conflict has a direct and indirect negative effect on externalization problems and this relationship was mediated by conflict among siblings, but not by the warmth among them.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marital conflict has a strong negative effect on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and sibling relationship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considered the effects of the marital conflict on not only the quality of sibling relationships but also on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mediating effect of sibling relationships in the negative effects of marital relationships on adolescents’ behavioral problems. 본 연구에서는 부부갈등과 고등학생 자녀의 부적응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부부갈등이 형제자매관계를 매개로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매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고교생 355명(남학생 158명, 여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부부갈등척도, 형제자매관계척도, 청소년 문제행동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3.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은 고등학생 자녀의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를 악화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부갈등은 자녀의 형제자매관계의 질을 매개로 내재화문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형제자매관계의 온정은 낮아졌고, 형제자매관계의 온정이 낮을수록 자녀의 내재화문제는 높아졌다. 또한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형제자매관계의 갈등도 높아졌는데, 형제자매관계의 갈등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내재화문제도 높아졌다. 셋째, 부부갈등은 형제자매관계의 갈등을 매개로 외현화문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형제자매관계의 온정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지 못했다. 즉, 부부갈등이 높을수록 형제자매관계의 갈등이 높아졌고, 형제자매관계의 갈등이 높아질수록 자녀의 외현화문제도 높아졌다. 결과적으로 부부갈등은 고등학생 자녀의 내재화문제와 외현화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자녀의 형제자매관계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형제자매관계의 질 역시 자녀 개인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에게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요인이라는 점과, 부부갈등이 청소년 자녀의 형제자매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이 관계가 다시 청소년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알아차림 명상에 기반한 부부관계 향상(MBRE: Mindfulness-Based Relationship Enhancement)의 원리에 대한 불교적 고찰

        강미자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6 No.-

        본고는 알아차림 명상에 기반한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인 MBRE(Mindfulness Based Relationship Enhancement)의 관계향상의 원리를 불교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즉 MBRE가 개발된 배경과 구 성내용, 부부관계향상의 원리, 일상생활에서의 실천 등을 불교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MBRE가 개발된 배경으로, 기존의 부부치료의 최저효과와 재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트레스 감 소 프로그램인 MBSR(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이 관계향상프로그램에 도입되었다. 즉 성공적인 부부관계를 위해서는 건강한 개인의 기능이 중요하다는 개념에 근거하여 스트레스를 다루는 능력을 증진시키는 알아차림 명상(mindfulness)이 도입되었다. MBRE 프로그램의 구성과 내용은, MBSR에 부부의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 몇 가지의 구성요소들 을 수정, 확장하였다. 특징적인 것으로는 자애(metta)-자비 명상을 MBSR보다 많이 사용하여 자신 의 배우자에게 주로 초점을 맞춰 자애를 보내며, 알아차림(mindfulness)을 특히 의사소통에 더 많 이 적용할 것을 강조하고, 커플 요가, 서로의 등을 부드럽게 쓰다듬는 접촉연습 등이다. 실습의 맥 락은 부부관계를 관심의 중심에 두어 스트레스를 주는 상호작용을 더 잘 알아차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MBRE 내용 중 자비(慈悲)명상과 알아차림명상(mindfulness)이 가지는 부부관계향상의 원리와 실 천을 불교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친밀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등 어루만지기는 대상에게 따뜻한 사랑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으로, 배우자의 행복을 진심으로 바라는 마음인 자애명상에 포함될 수 있다. 팔리어 메타(metta, 慈) 또는 자비관이라 불리는 자애명상(loving-kindness)은 동등함을 의 미하므로, 내가 행복을 원하는 것과 똑같이 배우자도 행복해지고자한다. 자애는 수용·공감과 연결 되며, 공감의 마음 저변에는 타인의 고통에 대한 알아차림과 느낌인 깊은 연민(karuna, 悲, compassion)이 있다. 따라서 자애·연민명상은 관계에 있어서 더 큰 친밀성과 연결성을 증진시켜 부부 관계를 향상시킨다고 보았다. MBRE 가운데 부부가 함께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알아차림(mindfulness)내용을 불교의 3업인 신업, 구업, 의업과 연결시켰다. 건강한 부부 관계란 양측 모두가 상호작용 안에서 각자의 부분에 책임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자신의 말과 행동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알아차림을 통해 자애로운 의도〔意業〕로 적절한 말〔 口業〕과 행동〔身業〕을 선택 할 수 있는 능력, 좋은 습관〔善業〕을 키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결국은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고 보았다. MBRE의 관계향상의 원리에 대한 불교적 고찰은, 대상에게 자애를 보내는 자애명상(metta) 실천을 통해서는 배우자를 수용하고 공감하고 연민을 가짐으로써 부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알아차 림 명상(mindfulness) 실천을 통해서는 자신의 감각·감정·생각·행동과 부부관계에 대해 깨어서 바 라볼 수 있는 힘을 길러 개인과 관계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부부관계에서는 의도를 가지고 좋 은 말과 행동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MBRE가 가지는 관계향상의 원리는 알아차림 명상 을 통한 지혜와 자애 연민명상을 통한 자비를 키우는 것이다. This thesis studied the mechanism of Enhancing couple relationship of the MBRE(Mindfulness Based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rom the Buddhist view. Th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beneath which MBRE was developed, the mechanism of Enhancing couple relationships, and the application of them to daily lives from the Buddhist view. First, Carson and others developed MBRE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lowest effect, a recurrence of troubles in the field of couple therapy by applying MBSR to the improvement of couple relationships. Second, as regards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MBRE, several components were added into MBSR to enhance couple relationships. Third, from the contents of MBRE, this paper considered the mechanism and practice of couple Relationship Enhancement by metta(loving-kindness) and mindfulness from the Buddhist view. Stroking one’s partner’s back is an act of expressing one’s warm affection towards her or him, which can be included in the field of metta. I concluded that the metta meditation improves the couple relationship by increasing bigger connectivity and intimacy. Fourth, by applying mindfulness to their intention, speech and behavior in their daily life, I thought that the couple relationship would be much improved, and so I connected the practice of the mindfulness with the three karmic action. So from the view of Buddhism, I conclusively took the theoretical base of relationship enhancement which comes from MBRE as the mindfulness meditation which fosters wisdom and the metta meditation which fosters loving-kindness.

      • KCI등재

        자기자비와 부부관계의 질: 부부 조망수용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매개변인으로

        변지영,YANG HAE CHUNG 한국가족치료학회 2018 가족과 가족치료 Vol.26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marital quality,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s of dyadic perspective taking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between the two variables. Methods: Participants were 338 married individuals, 168 male and 170 female, all between 35 and 54, living in Seoul or Gyeonggi-do. The measures used were the Self-Compassion Scale, Marital Comparison Level Index,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Self Dyadic Perspective-Taking Scale,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Scal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21.0 and Mplus 7.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compass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arital quality. Dyadic perspective taking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eac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marital quality.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e indirect pathways of self-compassion to marital quality through dyadic perspective taking and the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Conclusions: The findings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elf-compassion focused couple therapy programs that can help couples enhance their relationship quality by improving their self-compassion, perspective taking,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behavior. 본 연구는 자기자비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부부관계 질이 낮다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자기자비와 부부관계 질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에서 부부 조망수용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통계청(2016) 자료에 근거하여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이혼율을 보이고 있는 만 35세에서 54세 사이의 서울, 경기지역의 기혼남녀 33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Mplus 7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다변량 델타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자비가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효과는 부부 조망수용과 역기능적 의사소통 각각에 의해 매개될 뿐만 아니라, 부부 조망수용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의해 순차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자비가 부부 조망수용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줄어들면서 부부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부부관계 질을 평가함에 있어, 개인의 인지적 지향과 부부관계에 대한 사회적 규준을 포함하는 구조적 교환이론의 관점을 채택하였고, 자기자비라는 개인의 내적 변인이 어떻게 부부관계 질을 예측하는지 부부 조망수용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자기자비가 부부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자기자비의 맥락에서 부부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부부관계 개선을 위한 자비 초점 개입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노년기 부부의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의 종단적 관계

        허선영(Sun-Young, Heo),하정화(Jung-Hwa, Ha)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부부관계 내에서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 간 종단적 상호관계가 어떠한지 탐색하는 데 있다. 부부의 상호의존성을 반영하고 부부자료를 하나의 모형에서 분석하기 위해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과 공통운명모형(Common Fate Model)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변인 간 종단적 상호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활용하였다.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0차 년도(2015년)부터 13차 년도(2018년)까지의 4개년도 자료로 부부자료(dyadic data)를 구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15년 기준 60세 이상인 부부 1,383쌍(2,766명)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만족도는 남편 우울, 아내 우울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관계만족도가 남편 우울에 미치는 영향보다 아내의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 우울 수준과 아내 우울 수준은 부부 공통의 관계만족도에 종단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영향력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가 상호순환관계에 있음을 보여주며, 부부관계만족도의 저하와 우울의 증가라는 악순환 고리가 형성될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를 바탕으로 노년기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의 개선을 위해서 부부 단위의 개입과 부부 각자에 대한 개별적 접근을 병행해야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For longitudinal dyadic analysis, this study sets up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Common Fate Model, a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Data came from four annual waves from the 10th year (2015) to the 13th year (2018)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and the final sample comprised a total of 1,383 married couples over 60 years of age in 201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dentified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couples, wi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of older couples leading to low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and with higher depression of husbands’ and wives’ inducing lower marital satisfaction of the couples.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longitudinal interplay between depression and marital satisfaction can lead to a vicious cyc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need to intervene at both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couple level was discussed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