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대별 여성 1인가구 범죄피해 실태 및 범죄 두려움 영향요인

        심혜인(Sim, Hye In) 한국범죄심리학회 202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7 No.3

        1인가구는 1990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신림동 강간미수 CCTV 영상’등 1인가구 여성의 범죄와 범죄두려움에 관하여 언론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졌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를 중심으로 또는 1인가구의 세대별 분류를 통한 범죄피해와 범죄피해 두려움 영향요인을 주요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 및 범죄두려움 영향요인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세대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범죄피해경험과 범죄두려움은 전체범죄와 일반적 범죄두려움, 구체적범죄두려움 뿐만아니라 범죄유형별로 분류하여 폭력범죄, 재산범죄, 주거침입범죄로 추가적인 분류를 하여 검증하였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전국범죄피해조사(2018년 기준)’의 2차 데이터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세대별 분류를 중심으로 다루기 위하여 만18세 이하의 자료를 삭제한 다음 1인가구 여성 85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5.0ver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세대를 연령에 따라 청년, 중년, 장년, 노년으로 분류하여 검증하였을 때,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두려움에서 일반적 범죄두려움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구체적 범죄두려움에는 노년층이 중년층보다 구체적 범죄두려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찬가치로 폭력범죄와 재산범죄 두려움 수준에서도 노년층이 중년층보다 높을 두려움 수준임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경찰신뢰도 수준이 낮을수록 1인가구 여성의 구체적 범죄두려움, 폭력범죄, 재산범죄 두려움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리적 무질서는 일반적 범죄두려움, 구체적 범죄두려움, 재산범죄 두려움, 주거침입범죄 두려움에 사회적 무질서는 구체적 범죄두려움, 폭력범죄 두려움, 재산범죄 두려움, 주거침입범죄 두려움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인가구 여성의 범죄피해 및 범죄두려움의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언에 있어서 세대별 차이를 고려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Single-person househol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1990, and crimes on single-female household such as CCTV footage for attempted rape in Sillimdong and crime factors have been covered seriously in the media. Existing preceding studies covered crime victims and influencing factor of fear on crime victim focusing on single-person or multiple-person household or through classification by single-person generation. However, this study plans to review crime victim and influencing factors of crime fear of single-female household. In particular, this study planned to review if there are any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Experience on crime victim and crime fear were classified by not only overall crime, general crime fears and specific crime fears but also crime types, and further classified by violent crimes, property crimes and housebreaking to verify. The second data of Crime victim survey across the country (as of 2018) investiga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was used for analysis. The data under the age 18 were deleted to cover the classification by generation and 856 data of single-female household were analyzed. SPSS 25.0ver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t-test, ANOVA, logistic-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generations were classified and verified as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according to the age, it didn t appear as a factor affecting the experience on crime victim of single-female household. On the other hand, while there was no effect on general crime fear in the fear of crime victim of single-female household, the elderly showed higher level of fear than middle-aged in terms of specific crime fear. Similarly, level of fear on violent crimes and property crimes was higher in the elderly than middle-aged group.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lower level of reliability for the pol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pecific crime fear and level of fear on violent crimes and property crimes of single-female household. It was also found that physical disorder was a factor influencing general crime fear, specific crime fear, property crime fear and housebreaking fear, and social disorder was a factor influencing specific crime fear, violent crime fear, property crime fear and housebreaking fear. We hope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that considers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 in suggesting policy that can reduce crime victim and crime fears of single-female crime victim.

      • KCI등재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상훈,정병수 한국경찰연구학회 2021 한국경찰연구 Vol.20 No.4

        범죄두려움과 삶의 질의 관계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1960년대 이후 범죄학과 사회학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가 되었으며, 범죄두려움이라는 개념 을 어떻게 조작화하고 측정하는지에 대한 문제가 초기 연구들의 핵심 문제가 되었다. 우리나라 국민들 역시 형사사법기관의 높은 검거율과 높은 치안수준에도 불구하고 다 양한 유형의 범죄두려움을 느끼며 살아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그 원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가 국내 범죄학 및 형사사법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 다. 범죄두려움은 복합적인 감정적 반응으로써 특정한 몇몇개의 요인으로 이를 설명하 는 것은 불가능하며, 기존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주로 일반적 범죄두려움 및 구체적 범 죄두려움을 검증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범죄두려움의 설명요인 중 대리적 범죄두려움으로 한정하고,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설명하는 모델들을 비교 및 분석하여 대리적 범죄두려움 연구에 가장 적합한 모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어떠 한 요인이 대리적 범죄두려움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전국범죄피해조사(2016)’의 2 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각 설명모델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단순 상관관계 분 석을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설명모델의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 다.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설명모델을 검증한 결과, 범죄취약성 모델이 가장 높은 설명 력을 보이고 있으며, 지역사회경찰활동 모델이 가장 설명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설명모델 중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은 범죄취약성 모델을 구체적 으로 살펴보면, 비교취약성, 저항능력, 회복능력 등 모든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중에서도 회복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요인으로 분석되었 다. 이 연구는 대리적 범죄두려움의 근본 원인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가치가 있다고 사료되며, 이 연구를 시작으로 대리적 범죄두려움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적 연구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As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crime and quality of life can lead to serious social problems, since the 1960s, it has become an important field of studies in criminology and in sociology, and the issue of how to manipulate and measure the concept of fear of crime became a central issue in early studies. Despite the high arrest rate and high level of security by criminal justice agencies, because Koreans also live with fear of various types of crime, to fi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discussions about the cause have been mainly conducted in the domestic criminology and criminal justice fields. Fear of crime is a complex emotional response, and it is impossible to explain it with a few specific factors, and so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examining general fear of crime and specific fear of crime. However, in this study, among the explanatory factors of fear of crime, it was limited to the vicarious fear of crime, and models explaining the causes of vicarious fear of crim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empirically verify the most suitable model for studies of vicarious fear of crime.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vicarious fear of crim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econdary data from the ‘Korean Crime Victim Survey(2016)’ conducted by the Korea Criminal Policy Research Institute was used, and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explanatory model,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explanatory model.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explanatory model of vicarious fear of crime, it was found that the crime vulnerability model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and that the community policing model showed the lowest explanatory power. Among the explanatory models of vicarious fear of crime, specifically examining the crime vulnerability model, which has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all variables such as comparative vulnerability, resistance ability, and recovery ability were analyz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m, recovery ability was analyzed as a relatively high factor. This study is considered to have academic value in that it presented the root cause of the vicarious fear of crime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starting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the vicarious fear of crime will be activated.

      • KCI등재

        범죄피해에 대한 이타적 두려움: 배우자피해 두려움과 자녀피해 두려움의 비교

        양승돈,오봉욱 한국테러학회 2016 한국테러학회보 Vol.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influential factors of altruistic fear of crime and fear of crime for spouse and child victimization and search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used the raw data of Korean Crime Victim Survey(Kim Eun-gyeong et al., 2014) conducted as part of National Survey on the Safety of People's Lives and included the data of 7,877 in analysis after excluding the ones containing missing values about the variables employed in the study from those of total 13,317. Collected data were analysis with SAS 9.4 and HLM 6.0 for multilevel model analysis to meet the research objectiv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ear of crime level was the highest in fear of crime for child victimization(3.58 points), which was followed by altruistic fear of crime(3.25) and fear of crime for spouse victimization(2.92) in the order. Second, common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of fear of crime for acquaintance, spouse and child victimization were age, disabilities, educational background, recognition of vulnerability,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and indirect experiences with crime victimiz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t the community level. That is, fear of crime was higher among the non-elderly(under 65) than the elderly(over 65) and among people with no disabilities than people with disabilities. Fear of crime tended to rise according to the higher degree of educational backgrounds, recognition of vulnerability, and social disorder, th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and the more indirect experiences with crime victimiza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level of fear of crime for acquaintance victimization according to gender, duration of stay, and community ties. That is, it was higher among men than women and according to the lower community ties and shorter duration of stay. Fear of crime for spouse victimization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and community ties, and that for child victimization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experiences of moving and duration of stay. Fourth, the study examined indirectly the altruistic fear of crime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cluding women(gender), the elderly(age), and the disabled(disabilities)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of "man in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variables based on multilevel mode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intervention plans to reduce altruistic(acquaintance victimization) fear of crime including reinforcing the capabilities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f vulnerability, provid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crime prevention activities, offering social welfare servic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providing counseling and treatment service to people with indirect crime victim experiences, and running mobile counseling and shelter service for adolescents that were wandering around, ran away from home, or were delinquent and homeless people on the street to reduce social disorder. There is also a need to make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for social integration including a movement of community and village building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and increase the community ties. Based on those findings and implications, the study propose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to reduce altruistic fear of crime and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members. 본 연구는 이타적 범죄두려움과 배우자 및 자녀피해 범죄두려움의 영향 요인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로 조사된『전국범죄피해조사』의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자가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결측값이 있는 응답자는 제외되어 총 13,317명 중 7,87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목적에 필요한 자료분석에 SAS 9.4와 다층모형 분석을 위한 HLM 6.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두려움의 수준은 자녀피해 범죄두려움(3.58점)이 가장 높게 나타냈고, 이타적 범죄두려움(3.25점), 배우자피해 범죄두려움(2.92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타적, 배우자피해, 자녀피해 범죄두려움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은 개인수준변인 중 연령, 장애유무, 학력, 취약성인식, 일상생활만족, 간접범죄피해경험여부,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로 나타났다. 즉, 노인(65세 이상)보다 비노인이(65세 미만), 장애인보다 비장애인, 학력과 취약성인식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가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이 낮을수록, 간접범죄피해경험이 있으면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그 외에도 이타적 범죄두려움은 성별, 거주기간, 지역유대가 유의미하였다. 즉, 여성보다 남성, 지역유대가 낮을수록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이타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고 배우자피해 범죄두려움은 성별, 지역유대, 자녀피해 범죄두려움은 이사경험유무와 거주기간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 중 사회적 약자인 여성(성별), 노인(연령), 장애인(장애유무)의 이타적 범죄두려움을 간접적으로 살펴보았고 다층모형분석에 의해 개인수준과 지역수준변인으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적 관점인 ‘환경 속의 인간’에서 살펴보았고, 그에 따라 이타적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방안으로 취약성인식을 높이기 위한 역량강화와 범죄예방활동에 대한 정보제공 및 교육, 일상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간접범죄피해경험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상담 및 치료서비스 제공, 사회적 무질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회 및 가출, 비행 청소년과 거리 노숙인에 대한 이동 상담 및 쉼터운영 등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과 지역유대를 높이기 위한 지역공동체와 마을만들기 운동 등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함의를 근거로 이타적 범죄두려움을 감소시켜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적 측면의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필리핀 체류 한국인들의 남녀 성별에 따른 범죄두려움 차이 연구

        조윤오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최근 한국인을 대상으로 총기 살인 및 납치 강도 등의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필리핀 지역에서 성별(gender)에 따른 범죄두려움 차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범죄 피해 경험은 실제 여자보다 남자가 더 많이 갖고 있으나, 주관적인 범죄피해 두려움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이 느낀다는 “범죄두려움 역설(paradox of fear)”을 가지고 실제 필리핀 내 한국인에게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남녀 성별의 차이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고, “범죄두려움”을 감정적인 차원과 인지적 측면, 그리고 행동적 차원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7월부터 약 보름 동안 필리핀 앙헬레스 지역에서 한국인 체류자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남녀 성별 차이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카이스퀘어 검정,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다. 현지 필리핀 앙헬레스 지역 내 중부 루손 한인회 관계자와 코리안 데스크 파견 현지 경찰의 도움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그 결과 총 114개의 설문지를 획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범죄두려움 점수(raw score)는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집단 별 평균 점수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범죄피해 경험 평균 횟수에 있어서는 오히려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70>2.47).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범죄두려움 총점을 모델의 종속변수로 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했을 때는 “성별(여성)”이 범죄두려움과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관련 변수들을 모두 통제했을 때 필리핀 지역에서 여성 응답자가 남자보다 더 증가된 수준의 범죄두려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범죄두려움 점수를 정서적인 차원과 인지적 차원,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는, 남녀 성별 차이가 범죄두려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범죄두려움을 측정하는데 있어, 결국 해외 체류자들을 상대로 한 경우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범죄두려움을 유형별로 세분화시켰을 때 성별 이외에 다른 요인들이 더 유의미하게 작용함을 확인했다고 하겠다. 이하 범죄두려움과 관련 요인들에 대해 본문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This study has a goal of identifying the impact of gender on the level of fear of crime toward Korean people who stay in Angeles, Philippines. There is a paucity of study that concatenates on the fear of crime of Korean immigrant people in Philippin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at finding the link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fear of crime by emplo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associations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the level of fear crime by considering the measuring issue of fear of crime.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concentrates on classifying the fear of crime into three sub-dimension concepts in order to capture the true pictures of fear of crime and understand the impact of gender difference on fear of crime more thoughtfully.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data of 114 Korean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Angeles, Philippines with the support of Korean policemen(Korean Desk) who were assigned to Philippines from July, 2016 for about 15 days. Data were drawn from survey questionnaires, which had multiple levels of fear of crime. Moreover, this study employed SPSS statistics package program in display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chi-squared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gender difference and fear of crime. Result revealed that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mean differences between male group and female group in terms of the number of prior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level of fear of crime. Howev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gende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osit score of fear of crime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In this aspect, the current study outcome showed that females are more likely to have increased level of fear of crime when other variables, such as trust toward local police, prior crime victimization and relevant demographic variables are controlled, compared to male participants. Nonethel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f gender difference on the fear of crime in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sub-dimensional fear of crime models, which include emotional model, cognitive model, and behavioral model. The concept of fear of crime is necessary to be measured in a more comprehensive way in order to find clear picture of the fear of crime. Futhermore, the result showed that gender-specific crime prevention strategies are required toward Korean females who live in Philippines. Due to the fact that females have a increased level of fear of crime, regardless of prior criminal victimization experience, scholars and practitioners should encompass the individualized needs of females in terms of their fear of crime.

      • KCI등재

        한국방문 외래객의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연구

        문준섭,이승현 한국범죄심리학회 2019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5 No.1

        Recently, the number of foreigners visiting Korea has shown a tremendous increase from 6,440,000 in 2007 to 13,330,000 in 2017. This can be said to be a phenomenon caused by a change in the national phase, such as the Hanryu(Korean wave)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successfully ended. In recent years, the general crime rate of Korean society has increased and is becoming more and more ugly. However, the crime rate for foreigners can be relatively low. Nonetheless, a foreigner visiting Korea or a potential visitor may have an impact on the fear of crime, taking into account the safety of the country. The study of the fear of crime being conducted in Korea is largely due to domestic or foreign resident.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s of the policing for the foreign visitors to Korea, the research of the fear of crime among the foreign visitors to Korea is required. I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the level of fear of crime and their specific impact on the target audience to visit Korea, the vulnerability hypothesis, disorder theory, crime damage experience, and the cognitive level of the tourist police. 최근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의 수는 2007년 644만명에서 2017년 1,333만명으로 엄청난 증가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성공적으로 끝난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세계적으로 번져나가고 있는 한류의 열풍등 국가 위상의 변화로 인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최근 한국 사회의 일반적인 범죄율은 점차 증가하며 흉폭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율은 비교적 낮은 편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이나 잠재적인 방문객들은 방문국에 대한 안전도를 고려한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에는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의 연구들은 대부분 은 내국인 또는 외국인 거주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증가하는 한국방문 외래객들의 치안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한국방문 외래객들이 가지는 범죄피해두려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방문 외래객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느끼는 구체적범죄피해두려움의 수준과 영향요인을 취약성가설, 무질서이론, 범죄피해경험, 관광경찰에 대한 인지수준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이고, 범죄피해경험이 있는 한국방문 외래객은 구체적범죄피해두려움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질서의 수준 높아질수록 한국방문 외래객의 구체적범죄피해두려움 역시 높아졌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관광 경찰에 대한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구체적범죄피해두려움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방문 외래객의 구체적범죄두려움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취약성가설이 가장 높은 수준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방문 외래객의 구체적범죄피해두려움 수준을 낮춰 그들이 느끼는 치안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취약성 수준을 줄이고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예방대책을 마련하여 범죄피해자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파악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구체적 범죄두려움에 관한 설명모델의 비교 연구

        조상현(Cho Sang Hyun),박외병(Park Oi Byung) 한국공안행정학회 201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6 No.4

        범죄두려움에 관한 연구는 1960년대 미국의 ‘시민 무질서에 대한 국가자문위원회(National Advisory Commission on Civil Disorders)에서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인식되면서 시작되었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범죄두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토대로 현재까지 수많은 범죄두려움의 질적 연구 및 양적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다. 초기의 범죄두려움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 느끼는 범죄두려움 즉, 일반적 범죄두려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각각의 범죄유형에 따른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범죄피해 모델, 범죄취약성 모델, 지역무질서 모델, 사회통합 모델 그리고 지역사회경찰활동 모델을 선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다섯 가지의 모델을 선정함에는 범죄두려움은 다양한 요소의 영향에 따른 복합적인 감정적 반응이기 때문에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구체적 범죄두려움을 원인으로 제시한 설명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 연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전국범죄피해조사(KCVS: Korean Crime Victim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 자료의 조사 기준 시점은 2015년 5월 29일 0시 현재 대한민국영토 중 행정권이 미치는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가구 및 만 14세 이상 가구원이다. 연구결과, 구체적 범죄두려움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범죄피해 모델, 범죄취약성모델, 지역무질서 모델, 사회통합 모델 그리고 지역사회경찰활동 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모델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제시한 모델은 범죄취약성 모델 그리고 지역무질서 모델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구체적 범죄두려움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study of fear of crime was started from 1960s National Advisory Commission on Civil Disorders in USA when it was recognized as one of serious social problems. In Korea, there are going along a lot of studies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when it is based on 1990s qualitative research about fear of crime until now. In the early study of fear of crime, it was felt fear of crime in daily life which it menas that was focused on general fear of crime. However, nowadays most studies in fear of crime is understanding what caused the concrete fear of crime according to type of crime. In this study, it compare and analyze selected models as crime victim model, a vulnerability model, disorder model, social integration model and community policing model for understanding concrete fear of crime. When it selected five models, it has to analyze explanatory model to cause of concrete fear of crime in preceding research. The reason why to analyze preceding research is because fear of crime is an effect of complex emotional reaction. The data is used to KCVS(Korean Crime Victim Survey) of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The time of survey standard is member of household more than 14 years old who live in Korea on May 29th 2015 at 00:00 am. Result of study, by explaining concrete research, crime victim model, a vulnerability model, disorder model, social integration model, and community policing model is significant consequences. Also, a huge influence model is a vulnerability model and disorder model among these model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re is a policy suggestion for solve cause of concrete fear of crime.

      • 범죄두려움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연구 -수준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박정선 ( Oteong Sun Park ) 한국범죄비행학회 2011 범죄와 비행 Vol.1 No.-

        범죄의 원인분석과 마찬가지로 범죄의 두려움 역시 개인의 특성 이외에 지역의 구조적, 문화적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 나아가 개인의 생활양식이나 일상활동 유형에 따라 차별화되며 따라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 역시 범죄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수준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범죄두려움이 갖는 다양한 양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두려움이 지역적으로 차별화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크게 일상적 두려움, 주변인물두려움, 개별범죄피해두려움으로 삼분된다.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보면, 먼저 개인적 수준에서는 여자, 기혼, 높은 교육수준, 높은 가구수입, 중대형아파트거주자, 전세입자 등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적 수준에서는 짧은 거주기간, 적은 이사경험, 높은 무질서, 잦은 인사교제 등이 두려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일부 이론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기도 하였다.HLM을 통한 분석결과를 보면, 먼저 ANOVA 모델은 수준별 변량의 정도를 보여주는데, 전국을 425개 읍면동으로 구분하였을 경우엔 지역별 차이가 전체변량의 16-17% 정도를 설명한 반면, 16개 광역시도로 구분하였을 때에는 지역별 차이가 2.24% 정도의 변량을 설명하였다. 먼저 지역수준에서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거주년도가 짧을수록, 이사경험이 없는 경우,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정도가 클수록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특성과 관련해서는 남자보다는 여자가,나이가 적을수록,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위세가 높을수록, 가구수입이 높을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을 더 많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음으로 교육수준의 수준간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기간이 긴 지역일수록 거주기간이 한 단계 높아질 때마다 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력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이 볼 때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것은 다만 개인적인 수준의 특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지역적 수준의 변수에 의해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변량의 정도도 일반적인 다수준연구에서의 정도보다 상당히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범죄두려움과 관련된 정부정책의 입안시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As with the causes of crime, fear of crime also tend to be differentiated not only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ge, but also by community factors such as social structure, culture, and environmental elements.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types and causes fear of crime. The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the fear of crime turned out to be that female, the married, the highly-educated, the highly-incomed, the residents in large apartment, and the renters tend to have high fear of crime at the individual level, while short period of residence, rare experience of moving, high level of disorder, and frequent association among residents tend to increase the fear of crime at the community level. Some of these findings are against the common findings of other research. The results from HLM analysi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basic ANOV A model analysis, the community level variance appeared to be around 16-17% when the number of level-2 cases were 425 small dongs(the smallest administrative unit), while it was only 2.24% when the number of level-2 cases were only 16 cities. Continuously, at the community level, short-periods of residence, rare experience of moving, and high-level of social disorder tend to make the fear of crime high whil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female, the lower-aged, the highly-educated, the high-prestige job holders, the highly-incomed, and the lower-credit on police then to have high level of fear of crime. The cross-level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with the variables of gender and education. In case of gender, male than female basically tends to feel less fear of crime, but in the area of high level of moving, the level of fear for male tends to have a lot less fear of crime than male in the area of low moving level. In case of education, those with high-levels of education tend to have less fear of crime. But, in the area of long residence, the education effect on the fear of crime tends to grow faster with the unit increase of educational level. In conclusion, the fear of crime is influenced not only by individual-level characteristics but also by community-level factors as well. Thus, it is quite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munity environment when we make policy-strategies to reduce the fear of crime in the neighborhood.

      • KCI등재

        성향점수매칭 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구체적 범죄두려움에 대한 설명요인 검증 : 성별 및 학년별 중심으로

        김세령 ( Seryeong Kim ),박정선 ( Jeongsun Park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3

        이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구체적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효과가 성별 및 학년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2018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의 「전국범죄피해조사(Ⅷ): 아동·청소년 범죄피해조사 2017」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범죄두려움의 시간적 선행성 입증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선택 편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후 성별 및 학년별로 구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다른 설명요인들보다 범죄두려움에 강력한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여학생과 초등학생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취약성 가설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학교폭력의 저연령화 현상이 청소년의 범죄두려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다른 집단과 달리 중학생의 경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학교폭력 피해 경험으로 기대되는 범죄두려움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혼란과 불안 수준이 높은 일명 ‘중2병’이라 불리는 사춘기 특성 때문에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두려움을 잠재적으로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교폭력 예방과 범죄두려움 해소를 위해서는 성별 및 학년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범죄학 이론을 토대로 청소년의 범죄두려움에 대한 영향요인을 성향점수매칭 후 회귀분석한 결과, 먼저 학교폭력 간접피해 경험 수준이 범죄두려움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폭력 피해자 보호대책이 직접 피해자뿐만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종합적이고 포괄적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구체적 범죄두려움은 지역사회의 무질서 인식과 지역경찰 신뢰도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이에 따라 청소년의 등ㆍ하교 길에 대한 지역경찰의 가시적이고 집중적인 순찰 활동과 이를 통한 기초질서 확립이 청소년의 범죄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청소년의 구체적 범죄두려움은 자기통제와 보호감독 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자기통제는 부모의 양육 태도와 높은 상관이 있다는 점과 보호감독의 부재는 범죄피해 대상이 되거나 일탈행위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교폭력의 저연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지금 부모와 지역사회의 보호감독 역할은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much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ffects the concrete fear of crime of adolescents, and how these effects differ by gender and grade by using the secondary data, 「Korean Crime Victimization Survey (VIII): Children and Youth Crime Victimization Survey 2017」, conducted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This study utilizes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one of th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election bias in non-experimental research.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the concrete fear of crime of adolescents, it confirms that the school violence indirect victimization has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crete fear of crime than other explanatory variables. In addition, it confirms that the female students 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re strongly experience the fear of crime from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than other groups. And, unlike other groups, the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high level of the fear of crime, even if they did not experience the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to relieve the concrete fear of crime of adolescents, the differentiated approach is needed that considers gender and grade. Based on the theory of criminology, th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crete fear of crime of adolescents shows that the level of indirect victimization to the school violence is the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Accordingly, the measures to protect victims of school violence need to be overall and comprehensive not only for direct victims, but also for all students. Next, the concrete fear of crime of adolescen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disorder in the commun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local police. Consequently, in order to relieve the concrete fear of crime of adolescents, the tangible and intensive police activities around school area and the establishment of basic orders through this are strongly recommended. And the concrete fear of crime of adolescen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ir level of self-control and protective supervision. Since the self-control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and the absence of protective supervision is likely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rime victimization or delinquency, the role of protective supervision of parents and community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노인의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

        현재섭(Hyun, Jae Sub),최응렬(Choi, Eung Ryul)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4

        범죄피해두려움은 경찰의 치안정책 평가척도로써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는 국외에서 1960년대부터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도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범죄피해두려움의 대다수 연구는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최근에는 노인, 여성, 장애인, 외국인 등 사회적 약자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노인의 범죄피해두려움에 있어서도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노인에게 있어서 성별을 중심으로 범죄피해두려움을 수행한 연구는 거의 없다.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은 심리적·신체적 요인 등으로 인해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범죄피해두려움을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과 구체적 범죄피해두려움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남성 노인의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비교취약성,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비공식적 사회통제, 경찰활동으로 조사되었다. 남성 노인의 구체적 범죄피해두려움(성폭력범죄 제외)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범죄소식, 비교취약성,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지역유대, 경찰활동으로 조사되었다. 여성 노인의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범죄소식, 간접적 범죄피해, 비교취약성,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경찰활동 등으로 조사되었다. 여성 노인의 구체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범죄소식, 간접적 범죄피해, 비교취약성, 저항능력,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비공식적 사회통제, 경찰활동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Fear of crime victimization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s a measure of the police’s security policy evaluation. The study on fear of crime began when it was recogniz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1960s abroad,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Korea since the 1980s. Most of the research on fear of crime victims seek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fear of crime. Rec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fear of crime victims due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elderly, women, the disabled, and foreigners. In particular,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victims in the elderly.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conducted on the fear of crime victims in the elderly by gender. Older men and older wome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ue to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fear of crime victim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elderly. Specific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victimization of the elderly male and female elderl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ddition, the fear of crime was divided into general fear of crime and fear of specific crime, and the factors affecting each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ative vulner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informal control, and police activity were investigated as influencing factors on the general fear of crime in the elderly. Indirect news, comparative vulner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local ties, and polic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s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specific crime victims (excluding sexual violence crimes) among older men. Influencing factors on the general fear of crime victims of older women were investigated as indirect news, indirect crime damage, comparative vulner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and police activity. Influencing factors on the fear of specific crime victims of older women were investigated as indirect news, indirect crime damage, comparative vulnerability, resistance 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informal control, and police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ake a policy suggestion about fear of crime victims by gender.

      • KCI등재

        인터넷 미디어 노출과 범죄 두려움과의 관계

        조제성,조윤오 한국치안행정학회 2017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3 No.4

        이 연구는 개인 각각의 취약성과 인터넷 매체 노출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디어 노출이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함으로 인해서 삶의 질과 관련 깊은 범죄에 대한 시민의 두려움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때문에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개념을 온라인 범죄 두려움과 오프라인 범죄 두려움으로 구분하였으며, 신체적 취약성(성별, 연령)과 사회적 취약성(교육수준, 경제적수준)을 포함한 취약성 이론의 기본 요소를 통해 미디어 노출과 범죄두려움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범죄의 두려움에 대한 점화이론의 매체 노출 영향을 확인 하기 위해 인터넷 매체 노출을 두 범주로 분류했는데, 첫 번째 요소는 담론적 미디어 노출(영화, TV, 뉴스)이고 두 번째 요소는 대화식 미디어 노출(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다. 연구는 범죄 두려움 수준과 매체의 노출 수준 측면에서 조사 되었다. 1,300개의 샘플 데이터를 사용 했다. 그 결과 신체적 취약성에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었으며, 사회적 취약성에서는 온라인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오프라인 범죄에 대한 두려움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점화이론의 검증을 위해 담론적 매체 노출과 대화식 매체 노출은 범죄의 두려움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또한 어떤 방식의 매체 노출되느냐에 따라 남성 참가자와 여성 참가자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인터넷 매체에 대한 노출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했으며, 이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 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individual vulnerability and internet media exposure affect fear of crime.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dividing the concepts of fear of crime into online crime fear and offline crime fear. It is crucial to consider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in order to seek to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fear of crime. The present study highlighted the fundamental elements of vulnerability theory which include physical vulnerability (sex, age) and social vulnerability (education level, economic level)] Furthermore, the effect of media exposure In the verification of ignition theory was examined. This study categorized internet media exposure into two categories. First factor was discursive media exposure (movies, TV, news) and second factors was interactive media exposure (social network service). This study employed the data of 1,300 samples show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urvey participants in terms of level of fear of crime and level of exposure of media.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fear of crime was gender. However, social vulnerability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both fear of crime on online and that fear of crime on offline. In the verification of ignition theory, it was confirmed that both discourse media exposure and interactive media exposure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fear of crim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erms of extent of media exposure. This study verified that exposure to internet media has an effect on increasing fear of crime.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