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친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오봉욱,김충식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친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친사회성 부문에서 서울 T 초등학교의 경우에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A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B집단의 각 하위요인 중 ‘나누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왔다. 실험집단의 친사회성 사전-사후점수를 t검증을 통해 비교해 본 결과,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 A의 경우 하위요인 중에서 ‘돕기’(t=-.656, p<.05)와 ‘나누기’(t=.081,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왔다. 그러나 그 외 요인과 친사회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아동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은 ‘봉사학습’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친사회성 증진에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사전준비, 실행과정 중 피드백,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화된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이 되도록 철저한 준비가 요구된다. This study considers to examine effects in prosociality growth influenced by volunteer activity of schoolchild. The result of what it is as follows. That statistical difference focusing ‘division’ found on prosociality part which is based on ‘T’ school in Seoul is discovered in each sub-factor between A group engaged in volunteer and B group not involved in that. As a result, through T verification is compared with the prosociality score on before-after of test groups, A Group on the basis of volunteer has statistical difference ‘helping’(t=-.656, p<.05) of sub-factors and ‘division’(t=.081, p<.05) of that. However, there are not statistical differences of extra factors and prosociality. Based on this conclusion, the main idea is this. Volunteer activity of schoolchild is required to be on ‘voluntary studying’. Thus, for seeing effect on prosociality growth affected by volunteer activity of schoolchild, organized volunteer work program led to advance preparation, feedback in process, evaluation needs thorough preparing.

      •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과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문헌 고찰

        오봉욱,조상윤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 영유아 자녀의 스마트폰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문헌 고찰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은 성인의 문제를 넘어 영유아에게 스마트폰 몰입이라는 문제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성장기에 무분별하게 접한 스마트폰은 아이의 신체, 정서적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부모들은 스마트폰이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공공장소에서 다양한 이유로 영유아 자녀에게 스마트폰을 주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유아의 스마트폰 몰입은 신체, 인지, 언어, 사회정서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스마트폰 이용 시기가 빠르고 사용시간이 길수록 유아의 우울과 불안, 공격성이 높았다. 부모가 경험하는 육아 스트레스가 부모 자신의 스마트폰 중독, 영유아 스마트폰 몰입과 관련 있다는 연구도 있다. 영유아들은 부모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모습을 통해 모델링하기 때문에 영유아 앞에서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면 아이들이 스마트폰 몰입에 빠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영유아 스마트폰 몰입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녀에게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주기 보다는 부모 스스로 스마트폰을 의식적으로 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 우선시 돼야 한다. 구체적인 부모 교육의 내용으로는 스마트폰이 유아의 우울, 불안이나 공격성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아이가 어릴수록 스마트폰이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또한 부모가 조금만 신경을 쓴다면 스마트폰이 아니라 다른 건전한 놀이와 친근한 대상 등으로 자녀의 관심을 충분히 돌릴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무조건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보다는 그 시간을 긍정적인 것으로 대체해 줘야 한다. 사회제도적 관심과 대응책 마련도 시급하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영유아 스마트폰 노출이 가져오는 결과에 대한 연구도 시작단계이고 이에 따른 대책도 최근에야 마련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연령대별 과의존위험 예방을 위한 최적화된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개발 및 보급하고 민간 예방운동을 활성화 하는 등 바른 실천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해 나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육아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과 이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모가 육아스트레스를 적절히 해소해야 한다. 심리적 부분에서 부모가 자신을 잘 세워야 하고 가족들도 적극적으로 주양육자를 지지해 줘야 하며 전문가 상담, 육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신속히 마련돼야 한다.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s' parenting stress on their smart-phone dependency and the smart-phone immersion of their infants or young children and also search for plans to reduce their parenting stress. Smart-phone addiction is fast spreading in the form of smart-phone immersion amo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beyond adults. When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their developmental stage are recklessly exposed to a smart-phone, it can have negative impacts on their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lthough parents are aware of its potential negative impacts on their children, they continue to give one to their children in their infancy or early childhood at a public place for various reason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smart-phone immersion had negative effects on the physical, cognitive, languag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earlier and the longer young children used a smartphone, in particular, the higher their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level was. Some previous researches reported that when parents experienced parenting stress, it had something to do with their own smart-phone addition and the smart-phone immersion of their infants or young children. As infants and young children model their parents' frequent uses of a smart-phone, they are more likely to immerse themselves in a smart-phone by taking after their parents using one in front of them often. Parents thus need to make a conscious decision to distance themselves from a smart-phone in order to reduce the smart-phone immersion of their infants or young children rather than giving them a smart-phone they can easily use. One of top priorities should be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and promotion targeting parents with infants or young children. The specific content of parental education should cover the facts that a smart-phone has the most negative influences on the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of young children and that the younger children are, the more negative influence a smart-phone will have on them. If parents pay even a little attention, they can divert their children's attention to other sound play and familiar objects instead of a smart-phone. It will be wiser to replace a smart-phone with something positive again instead of preventing children from using one unconditionally. It is urgent to take interest in the issue at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level and prepare a countermeasure. In South Korea, they have just begun to do research on the consequence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s exposure to a smart-phone. It was only lately that the first measures were taken to tackle the issue in the nation. It is noteworthy that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is spreading its Right Practice Movement around the nat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content and programs optimized to prevent the risk of overdependence in each age group and the activation of a prevention movement in the private sector. There are especially many cases in which parenting stress leads to smart-phone addiction, which means that parents should know how to relieve their parenting stress properly. Parents should be able to stand right themselves at the psychological level. The other family members should offer active supports to the main caregiver. In addition,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introduced fast to provide them with counseling sessions with a professional and supports for their childcare.

      • 치안약자 노인의 범죄두려움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 모색 - 다층모형을 활용한 개인과 지역수준의 영향요인 분석 -

        오봉욱,조상윤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6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치안 약자인 노인의 범죄두려움의 수준과 범죄두려움에 관한 이론을 근거로 치안 약자 노인의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 결과에 따라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형사정책연구원과 통계청에서 공동으로 [국민생활안전실태조 사]로 조사된 전국범죄피해조사(김은경 외, 2014)의 원자료를 갖고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자가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결측값이 있는 응답자는 제외되어 총 13,317명 중 7,877명이 전체응답자로 사용되었고, 그 중 치안약자인 노인은 1,38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노인과 비노인의 집단 간에 범죄두려움이 차이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t-test)을 사용하였고, 범죄두려움에 대한 개인수준과 지역수준의 변량이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HLM으로 변량분석(ANOVA)과 주요 요인은 무엇인지 보고자 다층분석(Multilevel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첫째, 전체응답자의 개인적 범죄두려움(평균 2.56점) 보다 노인의 개인적 범죄두려움(평균 2.18점)이 낮게 나타났으며, 오히려 비노인의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범죄두려움에 관한 이론에 근거하여 사용된 변수들을 모두 회귀식에 투입하여 살펴본 결과, 개인수준 변수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았고, 학력과 취약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 타났고, 이때, 표준화 회귀계수의 값은 취약성인식(β=0.323), 성별(β=–0.169), 학력(β =0.101)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수준 변수에서 사회적 무질서와 사업체수가 증가할 때, 개인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안 약자인 노인의 범죄두려움을 낮추기 위해 여성 노인에 대한 범죄 예방활동이 필요하고, 사회적 무질서를 낮추기 위해서 거리를 방황하는 불량 청소년에 대한 거리이동 상담서비스, 술에 취해 누워있는 노숙인과 만취자에 대한 안전지원 서비스 등과 지역유대를 높이기 위한 지역사회 조직화사업, 공동체 운동, 더불어 사는 마을 만들기 사 업 등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사회 범죄예방과 범죄두려움을 낮추기 위해서 치안감시, 시민감찰 등의 지역사회경찰활동 등에 사회복지적 연계방안을 모색하여 셉테드(CPTED)가 형성될 수 있도록 파트너쉽 형성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crime among the elderly vulnerable to public order based on their fear level of crime and theories on fear of crime and search for ways to make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based on the raw data of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Kim Eun-gyeong et al., 2014) jointly conduct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s part of Survey on People's Living Safety. After the exclusion of respondents whose missing values were found for the variables used by the investigator, 7,877 of total 13,317 made the entire respondent group. Analyzed in the study were the data of 1,382 old people that were vulnerable to public order. Collected data were put to the independent-sample t-test to examine differences in fear of crime between the elderly group and the non-elderly group, ANOVA based on HLM to figure out the size of fear of crime variants at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evel, and multilevel analysis to what were main factors.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fear of crime of the elderly(mean 2.18 points) was lower than that of entire respondents(mean 2.56 points) with the non-elderly group exhibiting a higher level of fear of crime. Secondly, all the used variables were put in the regression equation based on the theories about fear of crime, and the results show at the individual level that women had higher individual fear of crime than men and that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perceptions of vulnerability led to higher fear of crime. Here, the standardization regression coeffici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vulnerability perceptions(β=0.323), gender(β=–0.169), and educational backgrounds (β=0.101). At the community level, individual fear of crime ros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social disorder and number of businesses. Those findings raise a need for measures to reduce the fear of crime among the elderly that are vulnerable to public order including activities to prevent crimes against female senior citizens, services to decrease the social disorder such as the mobile counseling service for juvenile delinquents wandering along the streets and the safety support service for the homeless that lie around drunk and the fully drunken people, and projects to increase community ties such as a community organization project, community movement, and project of making a town for people to live together.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form partnership to establish CPTED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community policing activities such as public order monitoring and citizen inspection and social welfare programs in order to prevent crimes and lower the fear of crime in the community.

      • 코로나 19와 인간관계 변화

        오봉욱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21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6 No.-

        2019년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고 점차 비대면 사회가 됨에 따라 인간관계의 단절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사람간의 상호작용이 줄어들어 정상적인 아동청소년기의 사회발달이 저해될 수 있고 협동 작업을 요하는 직장에서의 조원간 문제, 개인주의화 등을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노년층 등 소외되는 계층이 생긴 다. 한편에서는 적당한 거리두기가 무조건적인 집단문화를 지양하고 학교폭력 등이 줄어 들어 인간관계 스트레스가 줄고 생산성이 높아졌다는 의견도 있다. 거리두기라는 말이 지금처럼 많이 거론된 적이 없다. 사람간의 관계는 삶의 활력이기도 하고 스트레스이기 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와 인간관계 패턴 변화에 대한 여러 문헌들을 최신 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 장기화가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특히 20, 30대 젊은 층과 의료진의 심리적 스트레스가 높았다. 다른 면으 로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SNS 등을 통한 과잉커뮤니케이션 사회를 지양해야 한다는 시작 이 될 수 있다는 긍정적 의견도 있다. 코로나 19로 불안, 우울 등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지원강화가 필요하다. In 2019, as social distancing is strengthened due to the COVID-19 virus and gradually become a non-face-to-face society, there are many voices worrying about the severance of human relationships. There are many people who are concerned about the fact that the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an be hindered by the reduced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problems between team members and individualism in the workplace that require cooperative work. There are marginalized groups such as the elderl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opinion that proper distance avoids unconditional group culture, reduces school violence, etc., thereby reducing stress in relationships and increasing productivity. The word “distancing” has never been talked about as much as it is now.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re both vital and stressful in life. Therefore, in this study, various literatures on corona and changes in human relationship patterns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latest research. Prolonged social distancing had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stress was particularly high among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nd medical staff. On the other hand, there are positive opinions that social distancing can be the beginning of avoiding a society of excessive communication through SN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support for peopl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difficultie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due to COVID-19.

      • KCI등재

        교정시설 수용자간의 성범죄 예방 및 교정복지적 방안 - 동성에 의한 성범죄를 중심으로 -

        오봉욱 한국교정복지학회 2014 교정복지연구 Vol.- No.34

        최근 군대내 발생되는 동성(同性)간 성폭력 범죄를 고려할 때, 군대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교정시설에도 수용자, 즉 동성간에 성폭력 범죄와 같은 교정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교정시설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용자들의 권익보호 및 사회적응 능력의 배양을 통해 건전하게 사회로 복귀시키고 이를 통해 안전한 사회를 구축 한다는데 있다. 이러한 점에서 교정시설 내 안전한 수용생활은 매우 중요하며 이 에 본 연구는 교정시설 수용자간에 발생될 수 있는 동성간 성범죄 예방과 교정 복지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교정시설과 동성간의 성범죄에 대해 문헌자료와 언론보도 자 료를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그동안 이성간 성폭력 범죄 또는 교정시설내 성범죄 자의 재활과 교정에만 치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정시설 수용자간 성 범죄 예방을 위해 성범죄 실태조사, 예방교육과 전문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전문인력 양성, 성범죄 발생 징후 발견, 교정시설내 시설 및 환경개선, 피해자와 가 해자를 대상으로 한 사후적 접근 등이 요구된다. Considering the recent same-sex violence in the military, similar corrective accidents can occur in prison which shares analogous characteristics with the military. The ultimate purpose of prison is the establishment of safer society by returning prisoners to the society through the protection of their rights and interests and the cultivation of social adaptive abilities. In this respect, the safety in prison is important.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prevention of same-sex violence among prison inmates and measures for correctional social welfare. Review of literatures and press release regarding prison and same-sex violence reveals that rehabilitation and corrections have been biased toward sexual violence of the opposite sex and sex offenders in prison. Consequently, surveys for sexual violence in pris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preventive education and special program,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finding signs of sexual violence, improvement of pris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ex post approach for victims and assailant are needed.

      • 지역사회 복지 실천을 위한 주민 참여예산제의 사회복지적 접근 방안 모색 : 서울시 은평구 사례를 중심으로

        오봉욱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3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주민 참여예산제도에 관해 서울지역 25개구 중 은평구 지역을 중심으로 현황을 살펴보고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통한 사회복지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서울지역 25개 자치구 중 은평구는 재정자립도 23위로 서민밀집지역이며, 예산부족과 효율적인 예산사용을 위해 서울시 최초로 2010년 12월 30일에 「주민참여 기본 조례」가 제정되어 주민참여위원회를 조직하고 운영위원회․정책기획시민위원회․구정평가시민위원회를 조직하였다. 또한, 참여예산 분과는 여성아동분과, 자치경제분과, 장애인분과, 노인분과, 교육청소년분과, 건설환경분과, 복지보건분과로 나눠 각 분야별 예산에 대한 주민참여를 통한 예산 편성과정에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참여와 자기결정, 참여민주주의 등의 이념을 구현하였다. 2011년 주민제안 사업으로 투표대상이 23건이었으며, 주민투표 결과 20개 사업이 선정되어 2012년 약 9억원의 예산이 반영되었고, 2012년 9월 서울시 참여예산 총회에 참가하여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은 예산 40억 7천만원을 확보하고, 구정에 대한 주민들의 실질적인 참여의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전국 최초로 참여예산 모바일 투표를 실시하는 등 성과를 보였다. 따라서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통한 지역사회 예산편성시 지역복지 실천 기반의 사회복지적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면, 첫째, 지역주민의 조직화 과정을 통한 참여예산제 참여 확대와 성숙한 시민화, 전문화이다. 둘째, 지역별 공공의 아젠다(agenda) 형성을 통한 주민제안사업 제시이다. 셋째, 주민참여예산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별 리더 및 co-worker 양성을 위한 사회복지학교가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별 사회복지관련 기관과의 파트너쉽 형성을 통한 윈윈전략(win-win strategy)이 계획되어야 한다. The research belonging to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pproach had investigated status of Eunpyong-gu among 25 districts in Seoul, and inspected social welfare approach groping by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The study shows that Eunpyong-gu is commoner density area ranked 23th in financial independence rate among 25 boroughs, for budget deficit recovering and efficient budget spending, resident participation basic regulations were established on 2010, Dec, 30th when Seoul government determined that date firstly, and based on resident participation committee, steering committee, citizen’s committee of policy planning and citizen’s committee of evaluating borough office. By participating Sectorial budget for mulation process centered on citizen participation, participative budgeting department divided into women and children, economic autonomy, handicapped, senior, education and youth, construction environment, welfare and health has carried out participation and self-determination and participatory democracy. Vote subjects of resident proposal service was 23 cases in 2011, After being selected of 20 projects, about 900 million budget was assigned in 2012, Eunpyong-gu took apart in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assembly of Seoul opened on 2012, Sep, and obtained budget of 4-billion 70-million won which is the most massive budget in boroughs of Seoul, then mobile vote of participatory budgeting for being fixed citizen participatory opportunity was held successfully and is the first in the whole country. There are several ways to be accomplished of social welfare approach based on community welfare when community budget formulation is enforced through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First, through community organizing process, we have tried to layout expanding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and had mature citizenship and specialization. Second, in accordance with building public agenda by regional groups, citizen proposal programs are essential for it. Third, for activating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social welfare school cultivating community leaders and co-workers should be operated. Forth, by forming partnership among community welfare centers, it is needed of planning win-win strategy.

      • 장애인의 접근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오봉욱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2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8 No.-

        본 연구는 2008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7,000명을 대상으로 장애인의 접근성과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와의 관계는 어떠한지, 그리고 접근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의 접근성과 사회복지서비스 이용현황을 살펴보고, 개인요인, 장애요인, 접근성 요인을 투입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접근성에서 41.7%가 차별을, 공간적 접근성에서 51.8%가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에서 서비스 이용은 26.4%, 미이용은 73.6%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와 관련하여 심리적 접근성은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와는 상관관계는 없었고, 공간적 접근성이 좋을수록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여부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서비스 이용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의 복지서비스 이용을 통한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장애인복지 관련 서비스 확대뿐 아니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장애인의 개인, 장애특성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할 것이다. This report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founded on 7000 persons, on the base of research surveyed in KIHA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on the actual condition of disabled person. It is about that how relationship is between the accessibility in disabled person and utilization in social welfare service, and also, the effect that influences accessibility related in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In order to th research, it is considered accessibility of disabled person actual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us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personal factor, handicap factor, and accessibility factor. The survey result is in substance as follows. First, 41,7% appealed to discrimination in psychological accessibility, 51.8% resorted to suffering in space accessibility, 26.4% complained social welfare service in utilization connected social welfare service, 73.6% contained barbering and beauty treatment in that. Second, concerning of utilization connected social welfare service,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based on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 more space accessibility associated with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is good, the more high possibility of using welfare service. So, this report considers not only service extension in welfare service connected with them but personal factors and accessibility this elements make the disables’ worthy life through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raising the empowerment.

      • 장애인의 범죄피해 현황과 범죄 두려움에 관한 고찰

        오봉욱,전동일 한국장애인개발원 2017 장애인복지연구 Vol.8 No.1

        This study set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safety policy plans for the population of the disabled, which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73 million across the nation, and search for measures to prevent their victimization and reduce their fear of victimization.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took interest in their safety needs and reviewed the literature about the current state of their victimization, hate crimes, and influential factors of fear of victimiz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sabled were constantly subjected to crimes including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hate crimes committed by their family members, residents, and welfare facility staffs. Second, there was a shortage of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victims with disabilities and also previous studies on them.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fear of crime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general, altruistic, and specific fear of victimization: their general fear of crime was affected by gender, perception of vulnerability, direct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number of businesses, collective efficiency, trust in the police, and policing; their altruistic fear of crime was influenced by age, perception of vulnerability,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social disorder, number of businesses, and unofficial participation in control; and finally, their specific fear of victimization was influenced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perception of vulner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number of businesses, and policing in the community. There is a ne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old investigations into the actual state of victimization among the disabled based on those findings to analyze their victimization cases. It is also needed to develop active education pro-grams to address the negative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by searching for customized intervention plans based on the improved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influential factors of fear of victimization. The present study holds huge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take interest in the safety needs of the disabled, who are the weak in the society,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ir victimization including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hate crimes, re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ir fear of victimization, identify problems accordingly, and make safety policy plans for them. 본 연구는 전국 장애 추정인구 약 273만 명의 장애인 범죄예방 및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장애인의 안전 욕구에 관심을 갖고 장애인의 범죄피해 현황과 혐오범죄, 범죄 두려움 영향 요인 등에 관한 문헌 고찰과 언론보도 자료를 수집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대상의 인권침해, 혐오범죄를 포함한 범죄피해가 가족구성원과 지역 주민, 복지시설 관계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둘째, 장애인 범죄피해자에 대한 실태조사와 선행연구가 미흡하다. 셋째, 장애인의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일반적 범죄 두려움에는 성별, 취약성 인식, 직접 범죄피해경험,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사업체수, 집합효율성, 경찰신뢰와 경찰활동 요인이 있고, 이타적 범죄 두려움에는 연령, 취약성 인식, 직접 및 간접 범죄피해경험, 사회적 무질서, 사업체수, 비공식통제참여 요인이 있다. 마지막으로 구체적 범죄 두려움에는 연령, 학력, 취약성 인식,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사업체수, 지역사회 경찰활동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장애인의 범죄피해 사례를 분석하기 위한 기존 실태조사의 수정 및 보완이 요구된다.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태도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인권감수성을 향상과 범죄 두려움에 대한 영향 요인을 근거로 맞춤식 개입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의 안전 욕구에 관심을 갖고 인권침해, 혐오범죄 등과 같은 범죄피해 현황과 범죄 두려움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면서 장애인의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사이버대학생들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오봉욱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1

        In Korea, by comparison with seriousness and prevalence ratio, dementia is easy to lose diagnosis and treatment period. This study has reviewed that the impact of attitude in the knowledge on dementia, also how the knowledge and attitude have become change according to persons havi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based on a survey of the cyber university 502 students in Gyeonggi-do. As a result, subjected persons recognizing dementia notion obtain an average score of 10.22 that is somewhat higher level. That persons having attitude of dementia acquire an average score of 41.36 that means very positive attitude. Based on analyzing knowledge level about dementia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it has no consequence in gender, however the older that persons grow, the higher knowledge score and understanding of dementia are risen. In addition, there are also meaningful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marital status, economical conditions, religion, and supporting parents. In accordance with an outcome to attitude about dementia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like knowledge, the older persons grow, the more positive attitude is shown. In marital status, the married have a more positive mind than the unmarried. Confucianism is the most highest in the religion part, because traditional Confucianism is applied to their background. At correlation analysis, the effects of knowledge influence the attitude about dementia, nevertheless, there is very littl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refore, the more general people know, the more positive attitude on dementia is risen, proper education and publicity activities are important above all as effective prevention and control. 우리나라에서 치매는 그 심각성에 비해 사람들의 인식이 부족한 질병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에 관한 지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지식과 태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여 인식개선의 중요성을 다시 환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4년제 사이버대학교 1개교에 재학 중인 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치매에 대한 인식은 평균 10.22점으로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대상자의 치매에 대한 태도는 평균 41.36점으로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치매에 관한 지식 정도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치매에 대한 지식을 더 많이 갖고 있음이 분석됐다. 이와 함께 혼인상태, 경제상태, 종교, 부모부양 여부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에 대한 태도를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지식과 마찬가지로 연령이 높을수록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결혼여부에서는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치매 지식과 태도가 다소 미약하지만 서로 양적 상관이 있으므로 지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일반인들이 치매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치매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치매예방과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올바른 치매교육과 홍보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