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응적 평가(Responsive Evaluation)란 무엇인가?

        이원석(Wonsuk Lee),Robert E. Stak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3

        본 논문은 평가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이론을 제시하고자 반응적 평가(responsive evaluation)의 개념과 핵심적 관점을 소개하고 현장 적용 방식 등을 논의한다. 반응적 평가는 표준화된 준거와 기준 위주의 이른바 기준-기반 평가(standards-based evaluation)와는 달리, 이해관계인들(stakeholders)의 경험과 활동에 대한 인식, 이해관계인들이 가지고 있는 이슈(issues), 세밀한 묘사를 통한 간접적 경험(vicarious experience), 맥락(context), 자료의 주관성, 다원성 등을 중시한다. 이를 통해 반응적 평가는 평가 대상(evaluand)인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적 이해(experiential understanding)를 추구하며 프로그램의 질(quality)을 판단하고 프로그램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반응적 평가에 대한 현장 적용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반응적 평가 계획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ncept and the core perspectives of responsive evaluation and discusses how to apply it in practice. Contrary to standards-based evaluation, responsive evaluation values stakeholders' perceptions of experiences and activities, issues, vicarious experience by portrayals of evaluand, contexts, subjectivity, and pluralism. Responsive evaluation pursues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a program as evaluand, judgments of program qual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Finally, a plan for a responsive evaluation on the Korean college admissions officer program is present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pplication of responsive evaluation in practice.

      • KCI등재

        Stake의 반응적 평가에 의한 음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평가

        허수연,김미숙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3 음악교육공학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Robert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on music programs to provide effective evaluation methods for the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music. For this,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was introduced. Stake’s evaluation method was classified into time, method, procedure, goal establishment and applied to character education in music. Each stage including planning and applying methods was appropriately modified and applied for the contents of music program. The evaluation should consider the experience of music teachers, students, administrators, subjectivity of materials and pluralism because the perceptions of people who are related to evaluation programs are important to responsive evaluation. 이 연구는 음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효과적인 평가방법의 방향 제시를 위해서 Robert Stake의 반응적 평가를 음악 프로그램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 구성주의 입장의 대안적 평가로 제시되고 있는 Stake의 반응적 평가를 소개하고 가치를 중시하고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Stake의 평가를 시기, 방법, 절차, 목표 설정으로 분류하여 음악과에서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적용하였다. 평가 방안 마련의 연구 초기 설계 단계부터 수립 단계를 거쳐 방안 마련, 방안 적용 단계, 적용 후의 전 과정을 음악과 프로그램의 평가 내용에 적합하게 적용하여 관찰 평가한다. 반응적 평가는 평가와 관계된 실제 프로그램에 관련된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므로 음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련된 음악교사, 학생, 학부모, 행정가 등 그들의 주관적 경험과 활동, 시간에 대한 이해와 평가 대상의 맥락, 자료의 주관성, 다원성 등을 중시해서 평가해야 한다.

      • KCI등재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 평가 방안

        김미숙,허수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4 음악교육공학 Vol.-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evaluation strategy for better program in pre-test about objective, content, direction, method,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 through evaluating the program focused on the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for the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is applied the Preparation Stage before Program begins in Robert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to know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for the character education. Stake's responsive evaluation is organized beginning, processing, finishing. This study is belonged to the Preparation stage. Procedure, method, time, evaluation stage and content of program are applied to achieve goal of Youth Music Program in low-income group. The evaluation object is constructed for improvement of program quality and contribution of society development. Time and content of evaluation are divided into 3 stages: Preparation Stage, Application Stage, After Application Stage. Evaluation strategy sample by 12 responsive evaluation procedure are charted. Evaluation method is suggested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Evaluation tools by music environment and career, recognition of school music education, diagnostic music level test of music ability,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usic class, self-evaluation of music class are developed because the perceptions of people who are related to evaluation program, such as music profession, students, parents, researchers, administrators, are important to responsive evaluation. 이 연구는 A 금융의 후원과 B 복지 재단 주최의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 프로그램 사례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목표, 내용, 방향, 방법, 참여자들의 만족도 등에 대해 사전 점검하고 보다 나은 프로그램이 되도록 평가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을 위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take의 반응적 평가단계 중 프로그램 시작 전 마련단계의 평가 방안을 적용하였다. Stake의 반응적 평가는 프로그램의 시작, 과정, 완료 후에 이르기까지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연구는 사전 연구 단계에 해당하므로 프로그램의 절차와 방법, 시기 설정, 평가 단계와 내용 등이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프로그램의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예시를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질 개선과 사회발달에 기여하는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평가 시기 및 내용을 프로그램의 마련단계, 적용단계, 적용 후의 단계로 제시하였다. 즉, 12가지 반응적 평가 절차에 따른 평가 방안 예시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로 나누어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반응적 평가는 음악 전문가, 학생, 학부모, 연구진, 행정가 등의 프로그램 평가와 관계된 사람들의 인식이 중요하므로 음악환경과 진로에 대한 평가, 학교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음악적 능력에 대한 음악 수준 진단평가, 음악 수업에 대한 성취 및 태도 평가, 음악 수업에 대한 자아 평가 등으로 평가 도구를 작성하였다.

      • KCI등재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절충적 접근의 필요성 탐색

        허영주 교육종합연구원 2015 교육종합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활용되고 있거나 연구물에서 제안되고 있는 기존 접근방식들의 한계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 평가방식을 탐색함으로써 평생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접근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먼저, 기존의 접근방법인 표준화된 기준 위주의 평가방식과 결과중심의 성과모니터링뿐 아니라 진화된 평가방식으로 제안되고 있는 학습자 만족도 중심의 평가방식이나 전문가 중심의 평가방식들은 프로그램의 개선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기존의 접근방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방식을 살펴보았다. 과정모니터링과 의사결정 지향적 접근방식은 프로그램 개선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참여적 평가는 평가과정을 통해 평생교육기관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으며, 반응적 평가는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의 혼합 활용을 통해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의 개선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들 대안적 방법조차도 장점과 함께 동시에 한계점도 지니고 있으므로 주어진 상황과 평가의 목적에 타당한 그리고 최선인 접근법을 비판적으로 선택하거나 여러 접근법을 절충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교육 프로그램 평가 연구

        허수연,김미숙 한국음악교육학회 2020 음악교육연구 Vol.4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반응적 평가를 적용하여 A대학교에서 진행한 저소득층 청소년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참여자 경험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질적 연구하는 것이다. 청소년 6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통한 경험과 요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 반응에 따라 교육받는 음악적 수준에 대한 내용, 교수자와의 신뢰 형성, 참여자 요구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과정에서 발생한 이슈는 프로그램 과정 중 개선하여 참여자의 반응에 긍정적 변화를 얻을 수 있었다. 반응적 평가에 의한 프로그램 연구는 참여자의 프로그램을 통해 경험하는 반응을 살펴보고 개선한 결과 참여자에게 만족도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긍정적 재평가, 객관화 재평가가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의 반응적 공격성과 긍․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

        황화정,김근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4 인지행동치료 Vol.24 No.1

        본 연구는 인지적 재평가의 두 가지 전략이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의 반응적 공격성과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중인 20대 성인 중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를 선별하였다. 선별 과정에서 성관련 외상 경험자, IES-R-K 25점 이상, 외상 경험이 3개월 이내 또는 10년 이상 전 경험자는 제외하여 총 46명을 선별하였으나 각 집단에서 3명씩 탈락하여 객관화 재평가집단 20명, 긍정적 재평가집단 20명을 무선할당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ivity와 Huppert(2016)의 프로토콜을 수정하였으며, 참가자에게는 ‘지금까지 타인으로 인해 경험했던 고통스러운 사건에 대한 다른 관점으로 생각하는 글쓰기’라고 소개하였다. 연구는 1) 대인관계 외상 회상 2) 재평가 교육 3) 7일간 일기 작성 4) 사후 검증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1)과 2) 절차는 대면/비대면으로 진행하였고 3) 절차는 온라인으로만 진행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재평가와 객관화 재평가에서 반응적 공격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긍정적 재평가는 유의한 부정정서의 감소와 긍정정서 증가가 나타났으며 객관화 재평가는 유의한 부정정서 감소가 나타났으나 긍정정서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사람 중에 반응적 공격성을 보이는 사람에게 인지적 재평가 두 가지 처치를 모두 사용하여 공격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긍정정서가 낮은 사람은 긍정적 재평가를 사용하여 긍정정서를 높이고 부정정서가 높은 사람은 객관화 및 긍정적 재평가 처치를 사용하여 부정정서를 감소시키도록 개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lected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s among adults in their 20s living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two strategies of cognitive reassessment on the responsive agg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those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 total of 46 people were selected during the screening process, excluding those with sexual trauma experience, IES-R-K score of 25 or more, and those with trauma experience within 3 months or more than 10 years ago, but 3 people were eliminated from each group, and 20 people in the detached reappraisal group and 20 people in the positive reappraisal group were random assignment. In this study, the protocol of Kivity and Huppert (2016) was modified and participants were introduced to “writing that think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n a painful event that has been caused by another pers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1) interpersonal trauma recall 2) re-evaluation training 3) diary for 7 days 4) post-verification, 1) and 2) procedures were conducted face-to-face/non-face, and 3) procedures were analyzed online only. As a result of the study, reactive agg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positive reappraisal and detached reappraisal. In addition, the positive reappraisa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 emotions and an increase in positive emotions, and the detached reappraisa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 emotions,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positive emo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predicted that both cognitive reappraisal measures can be used for those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who show reactive aggression. In addition, people with low positive emotions may be able to intervene to increase positive emotions by 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those with high negative emotions can intervene to lower negative emotions using Positive Reappraisal and Detached Reappraisal treatment.

      • KCI등재

        초기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 하위유형의 특성 탐색: 사회평가불안과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을 중심으로

        한영경,김은정 한국임상심리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초기청소년기의 관계적 공격성과 그 하위유형(반응적, 주도적)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중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사회평가불안과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이 관계적 공격성의 하위유형에 주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학생의 경우 사회평가불안은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에,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은 주도적 관계적 공격성에 특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사회평가불안은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에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는 경향성이 나타났지만,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은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관계적 공격성의 하위유형이 서로 다른 세부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며, 성별에 따라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향후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