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내 환경개선을 위해 바이오필리아 효과를 적용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수경재배기에 관한 연구

        김동현 ( Donghyun Kim ),정도성 ( Dosung Ch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연구배경 본 논문은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로 인해 사람들의 안전한 먹거리와 실내 환경, 공기정화 등의 갈구로 수경재배기 시장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도시화에 따른 ‘바이오필리아’가 증가하는 것을 바탕으로, 실내 환경개선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요소를 적용한 심리적 긍정 효과의 수경재배기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수경재배기와 바이오필리아 효과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다. 자연과 가까이 있을 때 심리적 긍정 효과를 주는 바이오필리아 효과의 디자인적 접근인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요소를 전문가 AHP 분석을 통해 중요도를 분석한다. 수경재배기의 소비자 조사를 통해 기존 수경재배기의 형태적 개선사항을 파악한다. 위 과정을 바탕으로 5가지 디자인 콘셉트를 구성하고 개발하며 완성된 제품의 실내 환경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후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적용 여부에 따른 소비자의 심리적 긍정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T-test를 통해 검증한다. 연구결과 수경재배기의 사례조사와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담액식 방식과 LED광, 바닥 배치형이나 탁상형이 아닌 벽걸이형으로 수경재배기의 형태를 디자인하였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AHP 분석결과로 직접체험요소 식물을 적용하고 간접체험 요소로 자연재료인 나무 재질로 마감하였다. 결과적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가 적용된 제품이 실내 환경에 배치되었을 때 소비자가 자연과 가까운 느낌을 느끼고 이를 통해 바이오필리아효과의 심리적 긍정 효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의 T-test 검증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바이오필리아 효과는 많은 연구 과정을 통해서 입증되었지만 이를 활용한 바이오필릭 제품 디자인 개발은 많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서 비단, 수경재배기뿐 아니라 가전제품이나 실내환경을 구성하는 제품에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적용을 통해서 단순히 기계적인 인식이 아닌 제품을 통한 실내 환경의 자연 접촉성의 변화를 통해 바이오필리아 효과의 심리적 긍정 효과의 이점을 활용하는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재활 치료 및 아동발달 환경 등을 위한 제품개발의 선행연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Background This paper is a study on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that gives a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by applying biophilic design to improve indoor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e of 'Biophilia'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urbanization Method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ydroponics and Biophilia effects. Biophilic design elements that apply the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of Biopilia are analyzed through expert AHP analysis. Consumer's discomfort survey on hydroponics. Develop products with 5 design concepts and perform finished product simulation. Consumer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s is confirmed by T-test. Result Based on the hydroponics case study and consumer survey results, we designed it for underwater cultivation, LED lighting and wall mounting types. Plant and wood materials are used as a result of AHP analysis by Biophilic design. As a result, when products with Biophilic design elements were placed in an indoor environment, consumers felt closer to nature. Satisfaction with the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of the Biophilia effect was high.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T-test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Biophilia has been proven through many research processes, but few have been developed using Biophilic product design. In addition to hydroponic cultiv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apply biophilic design elements to household appliances or products that make up the indoor environment.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s of the Biophilia effect, research and development is needed to increase the natural contact of the indoor environment through the product. And this study will help in the development of such products.

      • KCI등재

        인간, 동물, 로봇 그리고 바이오필리아(biophilia)의 법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상을 중심으로―

        민윤영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1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Fromm’s concepts of biophilia and necrophilia into the field of jurisprudence. In Fromm’s theory, biophilia means the love of life and necrophilia means the love of death. Fromm linked necrophilia with the love of machines by contrasting mechanical things and organic life, and suggested the distinction between biophilia and necrophilia is not only psychologically but also morally fundamental. The article argues that such moral distinction is something law should be fully aware of at the dawn of the 4th revolution. We are facing a critical challenge to defend the value of human life against the emergence of smart machines, such as AIs or intelligent robots. It is even said that a mass of useless humans might appear as AIs or intelligent robots replace humans at work. At this peril, law needs to provide itself with the right tools neede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such new situation correctly and to prepare for the future. The article claims Fromm’s concepts of biophilia and necrophilia could provide useful perspective for that end. Applying Fromm’s theory, this article argues that law should shift its paradigm from the binary of human and non-human to that of life and non-life, embracing its new role as the promoter of biophilia. In addition, it analyzes the necrophilous tendencies in current Korean legal system through the example of its treatment of animals, and also warns the danger of metaphorically comparing robots to animals in legal discourse related to robots. It also suggests it is necessary for law to recognize the potential necrophilous tendencies of human-robot relationships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robot regulations in a way that promotes biophilia. 이 글은 프롬의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 개념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법이 가져야 할 방향성을 고찰한다. 바이오필리아는 생명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고 네크로필리아는 죽음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는데, 프롬의 이론에서 네크로필리아는 기계적인 것에 대한 사랑으로 새롭게 해석된다. 흥미로운 것은 프롬에게서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가 심리적이면서 도덕적인 문제로 설정된다는 점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이 글은 인간의 로봇화, 로봇의 인간화가 말해지고 인공지능 로봇의 발전으로 인해 ‘쓸모없는 인간 계급’이 등장할 가능성마저 말해지는 지금의 상황에서,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가 법의 방향성을 모색할 유용한 개념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법이 과학의 발전을 도모하면서도 기계적인 것에 대한 사랑이 생명에 대한 사랑을 대체하지 않도록 하는 파수꾼으로서 기능할 때, 바이오필리아를 확대시키는 생명의 법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특히 법적 상징계에 인공지능 로봇 등의 기계를 위치시킴에 있어서 지능적 기계와 동물이 비교되는 상황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인간-비인간(non-human)’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서 ‘생명-비생명(non-life)’의 패러다임으로 나아갈 것을 촉구한다. 또한 인간과 로봇의 관계를 법적으로 규율하는 미래적 과제에 임할 때에, 그 관계가 자기애적이고 네크로필리아적인 것일 가능성을 인식할 필요성도 제안해보았다.

      • KCI등재

        에드워드 O. 윌슨의 생태적 사유와 바이오필리아

        윤진각(Yoon, Jin-kak)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오늘날 지구의 생태적 위기는 심각한 수준이다. 땅과 물이 오염되고 지구 온난화로 기온은 이미 그 상궤를 벗어나고 있는가 하면 급속한 서식 환경의 변화로 생물종의 멸종이 급증하고 있다. 그래서 에드워드 윌슨은 당면한 생태적 위기의 핵심을 생물 다양성의 문제로 보고 있다. 생물 다양성은 모든 생물이 필요로 하는 유기물질을 만들어냄으로써 인간생존의 절대조건이 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신체와 정서가 형성되는 토대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생물 다양성은 인간을 비롯해 모든 생물의 생존환경 전체를 총체적으로 나타내는 전일적(全一的) 지표라고 할 수 있다. 윌슨은 이러한 위기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인간의 본성을 직시한다. 이른바 바이오필리아(생명사랑)이다. 우리의 본성에 내재한 이 바이오필리아를 중심으로 윌슨은 기존의 경제주의와 환경주의를 아우르는 새로운 보존윤리를 확립하고 그것이 적극적으로 실천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바이오필리아는 인간과 살아 있는 유기체 사이에 존재하는 본유적인 유대감이며, 기나긴 진화의 역사를 통해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바이오필리아를 바탕으로 구축되는 새로운 보존윤리는 인간의 다른 어떤 사회적 규범보다도 적극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으며, 아주 강력하면서도 자발적인 실천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논지에서 바이오필리아 개념과 바이오필리아 개념을 중심으로 구축된 윌슨의 보존윤리를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당면한 생태적 위기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를 밝히고 있다. Mankind acquired the pow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dhered to anthropocentrism. Mankind regarded only himself as a precious thing, so he wasted natural resources improperly and excessively. The result of misusing natural resources returned so serious an injury to nature that recovery would be impossible. Nature should be stable, because mankind has adapted to the stability of nature for several million years. These are ecological crises with which the Earth of today is confronted. Now we realize that nature can"t be governed thoroughly by science and technology, so we are making efforts to restore nature to its normal state. But we have no clear idea how to proceed. The conflict between economism and environmentalism is a concrete evidence of this vagueness. Wilson accepts the intrinsic attribute and limitation of mankind as it is. So he merged economism and environmentalism into a unified ethic system and named it the universal conservation ethics. But ethics lacks the practical power by itself. For the purpose of executing ethics spontaneously and aggressively, he invented a new notion of biophilia, and made it the foundation of the ethics. If the notion of biophilia (that is "the innately emotional affiliation of human beings to other living organisms") support the conservation ethics by the self-evident truth, such as innately emotional affiliation and evolutionary connection, it will bestow high-powered executive ability on the universal conservation ethics. The subjects of this essay are Wilson"s ecological thinking, biophilia and their potentialities for overcoming worldwide ecological crises.

      • KCI등재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이 자기조절초점에 따라 바이오필리아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윤재진,이길형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7 No.-

        This study tests the impact of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over biophilia effect, which is a psychologically positive effect, through experiments, depending on self-regulatory focus.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is the first pattern suggested by Catherine O. Ryan et al (2014) in BIOPHILIC DESDIGN PATTERNS. As a result of experiment using 5 nature image design element that was proven in visual preference study by Orians & Heerwagen (1992), the distinction of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ccordance with self-regulatory focus. Promotion focus was proven to have higher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than prevention focus. In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promotion focus also tended to accept various images more positively than prevention focus, while prevention focus was less effective in accepting images of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impact on biophilia effect can vary depending on visual connection with nature and self-regulatory focus, which is a personal tendency. Conventional studies on biophilia effect focus on evidence that perception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which gives beneficial effects to humans, could give positive happiness. However, this study expects to imply a practical suggestion on biophilia study through in-depth approach on a methodology that focuses on the personal tendency. 본 연구는 Catherine O. Ryan, et al (2014)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패턴(BIOPHILIC DESIGN PATTERNS)안에 있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원리’ 중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Visual Connection with Nature)을 가지고 자기조절 초점(Self-Regulatory focus)에 따라 바이오필리아 효과인 심리적 긍정 효과에 미치는 연구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Orians & Heerwagen(1992)의 시각적 선호 연구에서 증명한 5가지 자연 이미지 디자인 요소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자기조절 초점에 따라 심리적 긍정 효과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촉진초점은 방어초점보다 심리적 긍정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에서도 방어초점보다 촉진초점이 다양한 이미지들을 긍정적 결과로 받아들여 나타났다. 반면 방어초점은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에서 효과 차이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자연과의 시각적 연결성과 개인의 성향인 자기조절초점에 따라 바이오필리아 효과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게 나타나는 점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바이오필리아 효과에 관련된 연구는 우리 인간에게 이로움을 주는 인지, 신체, 심리 반응에 대한 긍정적 행복감을 준다는 증거들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본 연구는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한 개인이 갖고 있는 성향에 초점을 둔 방법론으로 바이오필리아 연구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바이오필리아와 소프트 스킬의 관계 분석

        류청산(Ryu, Cheong-sa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4

        이 연구는 식물, 동물, 환경과 관련된 학습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체득시킬 수 있는 소프트 스킬을 바이오필리아의 관점에서 구명해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바이오필리아와 소프트 스킬의 개념 고찰, 이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의 개발,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소프트 스킬이 바이오필리아에 미치는 영향력을 구명, 이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구명하기 위한 구조 모형의 작성과 적합도 검증, 모형의 상대적 중요도와 적합도 순위의 산출, 그리고 교육적 활용 방안의 제시를 주 내용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선행 연구의 고찰과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바이오필리아를 구성하는 8개의 소프트 스킬 변인을 선정하였으며, 14개의 소프트스킬 요인을 투입한 회귀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타심, 유연성, 통섭력, 개척심, 리더십으로 구성된 5개의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5개의 회귀모형을 바탕으로 5개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안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모형의 적합도가 의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모형 1’과 ‘모형 2’의 적합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바이오 필리아를 구성하는 8개의 관련 변인들 중에서는 ‘힘이 되어주는’, ‘배려심 있는’, ‘통찰력 있는’, ‘신뢰할 만한’ 스킬의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이오필리아와 관련성이 높은 초등학교 실과교과의 동식물 및 환경 관련 학습활동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소프트 스킬을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선정하여 적용하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ft skills and biophilia that can be learned by doing through school activities related to plants, animals and environment. Research activities in the study included reviewing the concepts of biophilia and soft skills, extracting related variables, scaling for measurement, deducing factors, designing the regression model, designing and testing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calculating beta coefficient and goodness-of-fit ranking for model selection, and making pedagogical implications. The IBM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0.0 were used to analyze data. Statistical tests such a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structure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14 factors related to soft skills were classified for independent variables, the 8 variables were explored and selected for biophilia as a dependent variable. Five soft skills such as altruistic, flexible, perceptive, pioneering, and charismatic were chosen by 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as independent variables. R squared of biophilia by 5 soft skills was about 81%. Among 5 models developed by regression, goodness-of-fits models 1 and 2 were very high. Also, beta coefficient of soft skills in terms of being supportive, sensitive, insight, and dependable and biophilia was high. Therefore, these soft skills need to be developed in not only practical arts subject but also general 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 KCI등재

        바이오필리아(Biophilia)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의 방향

        노희정 ( Noh¸ Hui-jeong ) 한국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4 No.1

        본 논문은 바이오필리아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의 방향에 대해 탐색한 글이다. 바이오필리아는 생물학적 진화의 원리에 기초한 유전적 성향이나 인간-자연의 공진화에 따른 문화적 성향과 관련이 있는 가설이다. 이에 본 글은 정신분석학적, 진화론적, 미학적, 문화적 관점에서 이러한 바이오필리아 가설의 타당성 혹은 유용성을 검토하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자연의 가치에 대한 9가지 관점, 바이오필리아의 성향 그리고 자연가치에 대한 아동의 가치발달의 특징 및 단계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검토와 논의를 기초로 하여 바이오필리아를 함양하기 위한 세 가지 환경윤리교육의 방안을 제안한다. 그 세 가지 방안은 바로 생명중심적 추론능력의 개발, 생태적 덕성의 함양, 그리고 간접적 자연경험이 아닌 직접적 자연경험 활동의 강화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based on Biophilia. The biophilia hypothesis is also related to the genetic predisposi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biological evolution and is also related to the cultural propensity according to the co-evolution of humans and nature. This article examines the validity or usefulness of the biophilia hypothesis from psychoanalytic, evolutionary, aesthetics and cultural perspectives. In addition, nine perspectives on the value of nature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biophilia tendenci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alues o f nature are discussed. Finally, based on these reviews and discussions, I propose three ways of environmental ethics education for cultivating biophilia tendencies. It is the development of life-centered reasoning ability, cultivation of ecological virtue, and reinforcement of experiential activities.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 나타나는 바이오필리아 효과 연구

        윤재진(주저자) ( Jae Jin Yoon ),이길형(공동저자) ( Gil Hyung L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5 No.-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 나타나는 바이오필리아 효과 연구를 진행하였다. Stephen R. Kellert(2005), Heerwagen(2001)의 EBD(Elements ofBiophilic Design)인 바이오필릭 디자인 유형과, 서비스디자인 환경에서 바이오필리아 효과를 측정할 수있는 항목을 정리한 분석틀에 의해 사례 분석 하였다. 대상으로는 유ㆍ무형 매개체물을 사용하는 경험에 초점을 둔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서 제품을 통해 직접 경험하는 애플, 환자의 치유와 회복을 위한 메이요클리닉, 총체적 경험을 유도하는 대한항공을 사례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EBD중심으로 구성 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서 EBD요소와 속성 가치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디어의 진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과 회복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 환경에 따라 EBD를 서비스디자인에 반영한다면 서비스 소비자가 보다 바이오필리아 효과 경험으로 이어져 정서적, 신체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 체험으로 이어져 삶을 영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biophilia in a service design environment. To achieve this goal, the author reviewed Elements of Biophilic Design (Heerwagen, 2001; Stephen R. Kellert, 2005) and categorized biophilic designs accordingly. In addition, items that can measure the effect of biophilia in a service environment were reviewed. Three case studies for Apple, Mayo Clinic and Korean Air are presented. The first case provides biophilic experience through firsthand product experiences in a service environment where the design focus is on the experience via tangible as well as intangible media. The second case illustrates bilophilic experiences with cure and recovery of patients. The last case delivers biophilic experiences by inducing the experience on the whole. Although the composition was slightly different in terms of EBD, the results show that EBD items and attributes are also applicable to service design environments, and that EBD tailored by a design environment of interest which promotes media evolution as well as sustainable growth and restoration may lead consumers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have biophilic experiences, which in turn leads the consumers to have better and positive life from both emotional and physical aspects.

      • KCI등재

        프랙탈을 활용한 바이오필릭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박나예(Park, Naye),윤정희(Yoon, Junghee)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4

        현대인에게 실내 환경은 ‘내가 머무는 장소’에서 나아가 에너지를 재충전하고 여가시간을 보내는 ‘내 자아를 위한 공간’이다. 현대인들의 과다한 스트레스에 주목하여 자연으로부터 얻는 에너지를 통해 정서적 안정을 추구하는 방법의 일환으로서 바이오필리아 이론을 활용한 바이오필릭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는 패션과 인테리어 등 일상적인 영역에 속해있는 분야로서 사용자에게 가까운 곳에서 영향을 미친다. 일상에 속한 사물들은 우리의 무의식적 영역에서 빈번하게 영향을 주며 정신과 육체에 영향을 미치는 적합한 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바이오필리아 이론의 주창자인 에드워드 윌슨의 저서 ‘바이오필리아’에서 키워드를 찾고 그것의 상징적 이미지로서 프랙탈 패턴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분야에서 프랙탈을 바라보는 관점을 통해 그것이 바이오필릭 텍스타일 디자인의 패턴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예시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presented a biophilic design using the biophilia theory in that way, and Among them, the purpose was to study the application of textile design. Textile design is a field that belongs to everyday areas such as fashion and interior, and affects users closely. Objects belonging to everyday life are unconsciously recognized and therefore need to be studied on suitable images that affect the mind and body. I found keywords in Edward Wilson s book BioPhilia, and presented fractal patterns as a symbolic image of it. It also identified the possibility of functioning as a biophilic textile design through the view of fractals in art therapy and presented examples.

      • KCI등재

        바이오필릭 디자인 패턴 요소의 특성에 따른 공간분석 -원주 뮤지엄산을 중심으로-

        서영신,김신원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2

        In order to be relieved of the stress caused by the excessive workload, learning competi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in cities, people are concerned more with the emotional recovery and treatment through the nature, while diverse researches into human mental and physical health prove some positive effects of the nature on the human beings. “Biophilia” means that human beings are associated with the nature and other lives on the earth, and the design connoting such a meaning is called ‘Biophilic Design’. Through some theoretical reviews, this study explores the etymology of Biophilia and the pattern elements of the Biophilic Design. Then, by reviewing the cases of the landscap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attern element suggested by the Biophilic Design, and the mutual interactions among them in the space. Thereupon, this study analyze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pattern elements, 7 outdoor spaces of “Museum SAN” located in Wonju, Gangwon-do, which was contructed by the architect Ando Tadao who expressed the mutual associations between nature and aqua space or between patterns of lights and architecture in his own way, in an effort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designing the outdoor space positively affecting people’s emotional recovery and treatment. This study has confirmed that such two pattern elements among 14 Biophilic Design ones are not featured in any of the 7 spaces. while pattern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paces. The pattern elements per space reveal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but the indulgence in the space is enhanced through the mutual actions among the pattern elements to allow for the experiences beyond the every day lif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ut the Biophilic Design patterns would provide for some basic data and materials to understand why the landscape architects are interested in the nature to help the people recover emotionally and how the natural elements or the important materials for planning and designing the outdoor space should be handled. 도시에서의 과도한 회사 업무, 학업 경쟁, 필요 이상의 사회적 관계 등에 의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사람들은 자연을 통한 정서 회복과 치유에 많은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의 정신 건강 및 신체 건강에 관한 다양한 연구 결과는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바이오필리아”는 인간이 자연과 연결되어 있으며, 땅 위의 다른 생명체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아야 한다는 것이 본질이다. 이러한 의미를 담고 있는 디자인을 바이오필릭 디자인이라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바이오필리아의어원과 바이오필릭 디자인 패턴 요소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조경공간의 사례를 통해 바이오필릭디자인에서 제시하는 각 패턴 요소의 의미와 패턴 요소의 성격, 공간에 나타난 이들 요소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연과 수공간, 빛의패턴과 건축물과의 상호 연계성을 자신만의 표현방식으로 구축한 건축가 안도 타다오의 작품 중, 국내 강원도 원주시에 있는 “뮤지엄산(Museum SAN)”의 옥외공간 7개소를 선정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패턴요소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사람들의 정서 회복과 치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옥외공간을 설계하는 데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14개 패턴 요소에서생태 형태 패턴(Biomorphic Forms & Patterns)과 복잡성과 질서(Complexity & Order), 2개 패턴 요소는 7개의 어떤 공간에서도 다루지 않았음을 확인하였으며, 각공간별로 패턴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간별 패턴 요소들은 각각 고유의 특성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패턴 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간의 몰입도를 높여 일상에서 벗어난 체험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바이오필릭 디자인 패턴에 대한 탐구는 조경가에게사람들이 어떻게 정서적 회복을 위해 자연으로 관심을 돌리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 이해하고, 옥외공간을 계획, 설계하는 데 중요한 재료가 되는 자연 요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그 방법에 대해 이해하는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특성 연구 - 창덕궁 연경당과 소쇄원을 중심으로 -

        박남진 ( Park¸ Nam-j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2

        바이오필리아와 디자인의 결합어인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은 인간과 자연의 연결성과 상호작용이 인간에게 안정감과 평온함을 주고,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때문에 자연이 도입된 디자인 공간을 선호한다는 것에 기반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연구는 1986년 미국을 시작으로 2000년대부터 활발히 연구되었으며 국내에는 2010년 전 후로 도입되어 치유공간, 교육공간, 그리고 업무공간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생명 사랑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개념은 한국 옛 선조들의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고 생명 존중이 건강과 풍요를 이끈다는 사상과 많은 일치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표현특성을 이해하고,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 특성을 구별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조사를 채택하였다. 한국 전통성이 잘 구현되어 있는 전통 공간을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스티븐 켈러트(Stephen Kellert)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 특성을 도구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와 서양에서 유입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 특성을 비교하여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도출하였다. Biophilic Design, the word that combines biophilia and design, is based on preferring a design space in which nature is introduced, because the conne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give humans a sense of stability and tranquility and optimal comfort. The biophilic design have been actively studied since the 2000s after using the ‘Biophilia’ in 1986 by Edward O. Wilson. Then it was introduced at 2010’s in Korea, and the studies related to healing and work spaces were actively being conducted.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biophilic design has many consensus with the idea that harmony with nature and respect for life of the Korean ancestors that leads to health and abun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in traditional Korean spaces as the uniqu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present them as design elements of modern Korean design as a biophilic design. A case study was selected for research methodology. Korean traditional spaces that expresses Korean identity were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ophilic design by Stephen Kellert were used as a analysis tool. The result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that appeared in Korean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