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의 문제로서 관계중독의 이해 - 영화 〈인간중독〉과 고성 초등학생 암매장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

        민윤영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0

        The article argues that conceptualizing relationship addiction as a legal issue is an urgent matter for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and justice, as relationship addiction ultimately destroys the humanity of those involved in such relationships. However, relationship addiction has not been properly recognized as a form of addiction in our society or legal systems. As a first step, this article attempts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seriousness of this problem by examining the destructive nature of relationship addiction through the movie Obsessed. Furthermore, by examining a real-life case in which relationship addiction led to a horrifying crime, specifically the abuse and murder of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Goseong, the article confirm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addiction and the law. Additionally, by analyzing the court rulings in this case, this article explores how the current legal system understands and addresses the issue of relationship addiction, as well as the possibilities for its advancement. Lastly, it briefly introduces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law and psychoanalysis as a perspective that could assist the law in its difficult challenge of addressing the issue of relationship addiction, which is a matter deeply influenced by unconscious minds.

      • KCI등재

        인간, 동물, 로봇 그리고 바이오필리아(biophilia)의 법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상을 중심으로―

        민윤영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1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Fromm’s concepts of biophilia and necrophilia into the field of jurisprudence. In Fromm’s theory, biophilia means the love of life and necrophilia means the love of death. Fromm linked necrophilia with the love of machines by contrasting mechanical things and organic life, and suggested the distinction between biophilia and necrophilia is not only psychologically but also morally fundamental. The article argues that such moral distinction is something law should be fully aware of at the dawn of the 4th revolution. We are facing a critical challenge to defend the value of human life against the emergence of smart machines, such as AIs or intelligent robots. It is even said that a mass of useless humans might appear as AIs or intelligent robots replace humans at work. At this peril, law needs to provide itself with the right tools needed to interpret and understand such new situation correctly and to prepare for the future. The article claims Fromm’s concepts of biophilia and necrophilia could provide useful perspective for that end. Applying Fromm’s theory, this article argues that law should shift its paradigm from the binary of human and non-human to that of life and non-life, embracing its new role as the promoter of biophilia. In addition, it analyzes the necrophilous tendencies in current Korean legal system through the example of its treatment of animals, and also warns the danger of metaphorically comparing robots to animals in legal discourse related to robots. It also suggests it is necessary for law to recognize the potential necrophilous tendencies of human-robot relationships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robot regulations in a way that promotes biophilia. 이 글은 프롬의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 개념을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법이 가져야 할 방향성을 고찰한다. 바이오필리아는 생명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고 네크로필리아는 죽음에 대한 사랑을 의미하는데, 프롬의 이론에서 네크로필리아는 기계적인 것에 대한 사랑으로 새롭게 해석된다. 흥미로운 것은 프롬에게서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가 심리적이면서 도덕적인 문제로 설정된다는 점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이 글은 인간의 로봇화, 로봇의 인간화가 말해지고 인공지능 로봇의 발전으로 인해 ‘쓸모없는 인간 계급’이 등장할 가능성마저 말해지는 지금의 상황에서, 바이오필리아와 네크로필리아가 법의 방향성을 모색할 유용한 개념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법이 과학의 발전을 도모하면서도 기계적인 것에 대한 사랑이 생명에 대한 사랑을 대체하지 않도록 하는 파수꾼으로서 기능할 때, 바이오필리아를 확대시키는 생명의 법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특히 법적 상징계에 인공지능 로봇 등의 기계를 위치시킴에 있어서 지능적 기계와 동물이 비교되는 상황의 위험성을 지적하고, ‘인간-비인간(non-human)’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서 ‘생명-비생명(non-life)’의 패러다임으로 나아갈 것을 촉구한다. 또한 인간과 로봇의 관계를 법적으로 규율하는 미래적 과제에 임할 때에, 그 관계가 자기애적이고 네크로필리아적인 것일 가능성을 인식할 필요성도 제안해보았다.

      • KCI등재

        의료기관 내 보건의료인에 대한 폭력과 트라우마-기반 인권적 접근의 필요성

        민윤영 법과사회이론학회 2022 법과 사회 Vol.- No.70

        Although violence against health workers is unacceptable, Korean health workers are suffering from serious workplace violence. In order to tackle this issue in a more comprehensive way, the article proposes to apply trauma-informed human rights approach to workplace violence in the healthcare sector. It introduces trauma-informed care principles and practices and examines how it can work with human rights framework to establish safe healthcare environment. Finally, it applies trauma-informed human rights approach to two specific issues in Korean healthcare– the limitation of the right of the health workers to refuse to treat and ‘tae-um’, which is one of the types of workplace violence among nurses. 보건의료인 대상 폭력은 폭력 피해자인 의료인 개인 뿐 아니라 다른 환자들의 생명과 건강 역시 위협하며, 더 넓게 보면 의료시스템 자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용납될 수 없는 문제이다. 우리 사회는 의료인에 대한 폭력의 처벌 강화, 의료기관 내 물리적 안전의 강화 등 의료인 대상 폭력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최근의 응급실 의사 살인미수 사건이나 응급실 방화사건 등 의료인 대상 강력범죄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의료기관 내 폭력의 일상화도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어, 의료인 대상 폭력이 양적, 질적으로 아직 충분히 개선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보다 근본적인 차원의 개선을 위해서는 가해자에 대한 형사처벌의 강화나 의료기관 내 물리적 안전 강화에 머무르지 않고, 피해자의 피해 회복과 보건의료인의 심리적 안전 역시 중요한 문제로 바라보는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영미권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트라우마-기반 인권적 접근’이라는 새로운 관점의 도입을 검토해보았다. 우선 트라우마-기반 인권적 접근의 정의와 원칙 등을 살펴본 후, 환자 및 보호자가 가해자인 의료인 대상 폭력의 한 예로서 언어적인 성적 괴롭힘과 진료거부의 정당한 사유의 확대 문제, 그리고 의료인 간 폭력의 예로는 간호사 집단 내 태움이라는 직장 내 괴롭힘 문제에 트라우마-기반 인권적 접근을 적용해봄으로써, 안전한 보건의료환경의 확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서 트라우마-기반 인권적 접근의 유용성을 확인해보았다.

      • KCI등재후보

        에로스와 타나토스 사이의 법

        민윤영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論文集 Vol.34 No.1

        This article attempts to understand law through Freudian psychoanalytic perspective. It especially focuses on a thesis “law in-between eros and thanatos”, which is one of the key propositions suggested by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law and Freudian psychoanalysis. As the point of balance inbetween eros and thanatos is a spot of dynamic power struggle, and as eros and thanatos interact in such a complex manner, the law which aims at reaching the balance between the two forces becomes indeterminable. But the law which is indeterminable, which struggles inbetween eros and thanatos, inbetween life and death is the very law which is expected to flourish in the coming future. However, the law which tries hard to achieve the balance between eros and thanatos cannot be an immortal authority, which it used to be, any more. The law also becomes something that circulates inbetween life and death. The most important attitude required for the law which is facing these tasks is the openness to communication with unconsciousness. Only if the law pays attention and listens to the message of unconscious instincts which were oppressed under the paradigm of modern rational law, it will be able to succeed in the task. To make the communication mutual and balanced, the law should open its mind to the emergence of new justice which conflicts with the traditional justice that it used to purse. What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law and Freudian psychoanalysis would ask for might seem dangerous and norm-destructive in the perspective of law. But to move onto a more balanced and communicative future, law need to admit that there might be a seed of new legality in what is currently evaluated as illegal.

      • KCI등재

        <華嚴五敎章> 의 敎判을 통해 본 事事無碍의 위치와 의미 : 法相敎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민윤영 翰林大學校 泰東古典硏究所 2007 泰東古典硏究 Vol.23 No.-

        『오교장』에 나타난 오교십종판(五敎十宗判)의 성립의도와 배경 및 그 교리적 내용들을 따져볼 때, 화엄교학의 실질적인 내용은 대승종교의 심식설이다. 법상종이 대승종교(大乘終敎)의 구유식(舊唯識)을 화엄교학의 이론적 기반으로 삼은 것은 특히 신유식(新唯識)에 대한 견제의식 때문이다. 법장은 화엄교학을 '원교(圓敎)'라고 정의하고, 그것을 대승종교의 위 단계에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승종교의 심식설로 원교의 심식설을 대신했다. 그리고 그것으로 신유식, 즉 법상종의 교학을 비판했다. 결국 법장은 법상종에 대응할만한 원교의 심식설을 따로 제시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 원교는 교리적 측면으로는 대승종교의 이사무애를, 수행론적 측면에서는 돈교(頓敎)의 입장을 받아들여 만들어진 또 하나의 교학적 입장에 불과하다. 그러므로 원교의 핵심교학으로서 특별한 경험을 통해서만 파악될 수 있다는 사사무애란 그 실질적인 내용은 이사무애의 연장선성에 지나지 않는다. 사사무애란 다만 화엄교학이 여러 교학 가운데서 가장 뛰어난 교학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의한 의도 하에 만들어진 하나의 방편적 개념이자, 사종법계(四種法界)라는 화엄만의 특별한 가르침을 만들어내기 위한 일종의 구성물에 지나지 않는다. Taking into account Fa-Tsang's intentions and the context behind the doctrinal classification and contents of the 『Hua Yen Wu Jiao Zhuang(華嚴五敎章)』, actual contents of Huayen doctrine is the theory of citta-vijna ̄na(心識說)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大乘終敎). The reason Fa-Tsang chose the Old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舊唯識)as his theoretical basis for the Hua-yen doctrine seems to have been his wariness for the growing powers of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新唯識). Although Fa-Tsang defined Hua-yen doctrine as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一乘圓敎) and put it on a higher level, he replaced the theory of citta-vijna ̄na(心識說) in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by the one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And this is what he used to criticize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school(法相宗). Fa-Tsang did not come up with a theory of citta-vijna ̄na of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which can replace the Newer-translated Vijna ̄pti-ma ̄trata ̄ school. Subsequently,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 is in fact just another doctrinal position, formulated by the principles borrowed from the Non-obstruction of Universal-Principle and Particular-Phenomena(理事無碍) in the Final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in terms of doctrinal aspects, along with the Abrupt Doctrine of the Great Vehicle( 頓敎) in terms of the practice theory. 頓敎 the principle of the non-obstruction of particular-phenomena and particular-phenomena(事事無碍) is an intentional and expediential concept in order to show the superiority of Hua-yen doctrine among other doctrines, even a sort of composition forged with the intention of teaching the Universe of Four kinds(四宗法界) which is a unique teaching of Hua-yen.

      • KCI등재

        안티고네 신화의 법철학적 이해

        민윤영 한국법철학회 2011 법철학연구 Vol.14 No.2

        Sophocles’s tragedy Antigone has been one of the most beloved art pieces for a numerous number of philosophers and authors throughout history. In the area of jurisprudence, Antigone used to be understood as a text about the conflict between state law and natural law. However, Antigone contains much more diverse topics for legal philosophy. In this article, Hegel’s idea of ‘law’s dialectical self-development’, Derrida’s thought of ‘the deconstruction of law and its relationship to justice’, and Badiou’s suggestion of ‘law as nonlaw and nonlaw as law’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Antigone, and the question of law’s irrational source, which is raised by British legal theorists Douzinas and Warrington, is addressed. Furthermore, this article accepts and critically reinterprets those ideas to suggest ‘individual unconscious’ and the ‘Amor Fati(the love of fate)’ as the source of the force of nonlaw. Additionally, Greek mythology is invited to the arena of legal philosophy. Focus has been especially put on the power of Greek mythology to unfamiliarize current law and morality, and its function as a medium fo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What we can learn from Hegel's theory of tragedy with regards to contemporary jurisprudence is also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crime of hubris,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topics of Greek mythology.

      • KCI등재후보

        민주적 법치국가에서 시민운동으로서 기독교 사회참여

        민윤영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24 No.2

        우리나라에서 기독교는 강력한 종교권력으로서 정치영역을 포함한 시민들의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법의 형성과 운용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기독교회들의 대형화와 정치세력화, 그리고 최근의 기독교정당 창당의 움직임 등은 기독교 사회참여가 세속화되고 있음을 말해주며, 세속화 정도에 비례해서 법적 고찰의 필요성은 높아진다. 이 글은 군부독재와 같은 부당한 정치체제에서 민주적 법치국가 체제로 진행되어온 우리나라의 체제 발전을 고려하면서, 기독교 사회참여 또한 과거의 체제개혁적인 정치운동이 아니라 민주적 법치국가 체제에 적합한 시민운동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민주적 법치국가라는 오늘날의 체제 속에서 기독교 사회참여는 고유한 전문성을 가진 시민운동으로 성장해야 한다. 민주화 이전의 기독교 사회참여는 반(反)민주적 정치체제를 민주적 법치국가의 체제로 변화시키는 체제개혁적이며 저항적인 힘, 즉 법체계 외부의 요소였다. 그러나 민주적 법치국가가 터잡은 오늘날 기독교 사회참여가 법체계 외부의 요소로 남아있는 것은 더 이상 적절하지 않으며, 민주적 법치국가의 공식적 법형성 기제들을 보완하는 성찰적 기제로서 시민운동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인다. 시민운동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기독교 사회참여는 법(철)학적 고찰을 통해 마련된 시민운동의 테두리 조건들-시민성, 연대성, 공공성, 비폭력성, 비례성, 공론경쟁력 등-을 이해하고 그 조건들과 소통하면서 변화해나가야 한다. 법학이 구성해놓은 시민운동의 테두리 조건은 시민사회의 통합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다원적 목소리들을 수용하기 위한 조건들이다. 법학의 고유한 전문성이 녹아있는, 시민운동에 대한 법학적 관점을 수용하기 위해 기독교 사회참여가 변화하는 만큼, 기독교 사회참여 또한 민주적 법치국가라는 체제를 긍정적으로 발전시키면서 법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protestant churches vigorously participate in various areas of civil life including political spheres and operate as one of the strongest religious powers. They also have powerful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law. Such a secularization of Christianity grounds the need for the legal analysis of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religion. This article asserts that Christian social participation should take the form of civil movement, as a communicative participant in the civil society, rather than a political power. Under unjust political systems, such as military dictatorships in the past, Christian social participation in the form of a reformative political movement was easily justified to reform the unjust political system and to establish the democratic state governed by the rule of law. However, in the democratic state governed by the rule of law, which is the current political and legal system of Korea, Christian social participation should take a different form. Christian social participation should be a civil movement, which works as one of the supplementary mechanisms that contribute to curing the inevitable limitations of the current political system. In order to develop into a civil movement, Christian social participation should fulfill the conditions, prepared by jurisprudence, that are required for a social movement to be recognized as a civil movement. Those are the six pillars of a civil movement: civilness, solidarity, competitiveness in the public sphere, publicness, nonviolence, and supplementariness.

      • KCI등재

        트랜스젠더 문제에 대한 법미학적 조명

        민윤영 한국법철학회 2013 법철학연구 Vol.16 No.2

        This article aims at considering transgender issues from the aesthetic point of view, focusing on Freud’s and Lacan’s psychoanalytic theories and Nietzsche’s philosophy of morality and aesthetics. Our contemporary symbolic system is structured on the basis of binary gender codes. Therefore, the transgender phenomenon, which transcends the traditional binary codes of gender, unstablizes the current symbolic system. Our usual mode of interpretation based on binary gender system stops to operate when the phenomenon of transgender appears. “Transgenderness” is queer, and it appears as a new enigma for the mankind.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key to this new enigma should be something that goes beyond our traditional rational thinking, which is the aesthetic point of view. Enigmas open up a new possibilities for new symbolic order, if they are interpreted properly. How we interpret and symbolize the ‘queer’ transgenderness is critical for us to move on to a new level of a more humane gender system which would promote liberty and encourage everyone’s becoming of oneself. As productive perspectives t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transgenderness, this article suggests to look deep into our unconsciousness through psychoanalytic theories, and to accept aesthetic concepts of morality from Nietzsche’s philosophy. Through these theories, we will be able to realize diverse modes of beauty that transgenderness emanates, which are the beauty of grotesque, sublime beauty and the beauty of nobleness. These diverse modes of beauty that we feel from transgenderness would become the cornerstone for a better legal symbolization of transgenderness. It’s because law operates not only on the grounds of rationality, but also of the aesthetic experience people have towards the objects that are being regulated. Furthermore, such a new understanding of transgenderness will not only affect legal treatment of transgenders, but also change law’s approach towards gender fundamentally as it will deconstruct the binary gender codes. 우리나라 법은 남성/여성의 이분법에 기반하고 있으며, 트랜스젠더의 문제 역시 젠더이분법적 토대 위에서 접근한다. 그러다보니 트랜스젠더들의 인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과 더불어, 트랜스젠더라는 ‘젠더-전복적인’ 현상의 의미가 충분히 포착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정신분석학과 미학, 그리고 법학의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합리주의적 젠더이해에서 볼 때에는 마치 수수께끼와도 같은 트랜스젠더의 법적 규율의 문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법미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니체철학의 미학적 인식론을 토대로 근거짓고, 나아가 법미학이라는 신생분과를 발전시킨 이상돈 교수의 연구를 수용함으로써 법미학적 접근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신분석학과의 학제적 연구를 통하여 트랜스젠더를 규율하는 우리 현행법의 심층심리적 매커니즘을 분석함으로써, 현행법이 트랜스젠더에 대하여 어떠한 미/추체험을 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고, 보다 인간적인 이해방식을 제안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과정에서 트랜스젠더가 기괴한 존재가 아니라, 라깡이 말하는 숭고미, 그리고 니체가 말하는 고귀미의 주체로 새롭게 이해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트랜스젠더를 젠더규범을 위반하는 기괴한 삶의 형태가 아니라, 눈부시게 아름다운 숭고미의 주체이자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창조해가는 고귀미의 주체로 새롭게 이해하는 것은, 단지 트랜스젠더의 법적 규율의 문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법이 젠더와 가지는 관계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을 돕는 디딤돌이 되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공공보건 문제로서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s)의 현황과 트라우마 -기반 접근의 법적 도입에 대한 검토

        민윤영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4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trauma-informed approaches into the field of law in Korea. To do so, it tackles the issue in three parts: theoretical, empirical, and comparative legal research. Trauma is an expansive topic, so this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childhood trauma, also known as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ACEs). The concept of the Trauma-Informed Approach is now widely embraced by various fields of human servic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mental health, education, corrections, public safety, child welfare. Although application of this approach to law is in its infancy, the necessity of trauma-informed law is being recognized in Western legal culture, as the law regularly deals with people affected by traumatic events. This paper argues that this approach could be relevant for the Korean legal system, too. The reason for this is Korea's unique history which is full of traumatic events. Korea has undergone several massively traumatic event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colonization, division of the peninsula into South and North, Korean War and several dictatorships. As a legal system that has to deal with people who have undergone traumatic events at the national level,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the country to have a trauma-informed legal system. After exploring the usefulness of the concept of ACEs and trauma-informed approach in the field of law in Korea, this project observed the adverse experiences of the Korean people during childhoo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WHO which is called “ACE-IQ” was used. More than 1,000 people were surveyed and analyzed during this process. The results successfully showed that ACEs should be taken seriously as public health issue in Korea because childhood trauma is more prevalent than was previously understood. Lastly, it introduces how the trauma-informed approach is accepted in the United States legal system. This part of the paper aimed to focus on trauma-informed courts and ACEs related legislations to provide more practical information which can be helpful for Korea's legal system as it transforms into a trauma-informed one. 이 글은 트라우마-기반 접근(trauma-informed approach)을 한국의 법체계에 소개하고자 하며, 트라우마-기반 법학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이론적, 실증적, 비교법적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트라우마라는 개념은 매우 폭 넓은 개념이기 때문에, 이 연구는 특히 아동기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아동기 트라우마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해 서구권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서구권에서 트라우마-기반 접근은 정신의학, 교육, 교정, 공공안전, 아동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법학에의 도입도 다방면으로 시도되고 있다. 법은 트라우마적인 사건을 겪은 사람들의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특히 트라우마에 대한 인식과 감수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트라우마-기반 접근을 한국의 법체계에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특히 한국의 현대사가 트라우마적 사건들로 얼룩져 있다는 역사적 맥락을 고려할 때 더욱 그러하다. 한국은 100년 남짓의 짧은 시간 동안 식민지, 분단, 6.25전쟁, 독재정권, 그리고 최근의 세월호 등 국가적으로 심각한 트라우마를 유발할 수 있는 사건들을 지속적으로 겪어왔다. 치유되지 않은 트라우마는 세대를 건너 전달되어 또 다른 트라우마를 낳는다. 한국의 법체계가 트라우마에 대해 특히 인식과 감수성을 가져야할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이다. 특히 이 글이 주목하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ACEs, 아동기 트라우마)는 아동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쳐서 아동기 이후 성인기에도 전방위적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근본적 영향력 때문에 서구권에서는 아동기 트라우마를 공공보건(public health)의 문제로서 다룬다. 아동기 트라우마의 영향력은 범죄 성향을 포함한 성인기의 법 관련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공공보건 문제이자 법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론적 차원을 제II장에서 다룬다. 제III장에서는 WHO에서 개발한 아동기 부정적 경험 국제설문문항(ACE-IQ)을 활용하여 한국의 만19세 이상 성인 10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인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 실태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조사 결과 한국에서도 아동기 트라우마가 중요한 공공보건적 이슈임을 확인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미국의 법체계에 트라우마-기반 접근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이 부분에서는 특히 트라우마-기반 법원과 ACEs 관련 입법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 KCI등재

        연명의료결정법과 무의식을 고려한 통전(統全)적 죽음이해의 제도화에 대한 고찰: 정신분석학과 내러티브 법학을 방법론으로 하여

        민윤영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의생명과학과 법 Vol.18 No.-

        현재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이 시범시행되고 있다. 이 글은 연명의료결정법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제도와 환자의 의사가 확인되지 않을 때 환자 가족의 합의에 의하여 연명의료 중단을 하도록 하는 제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연명의료결정법이 더욱 존엄한 죽음들로 귀결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 글은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이 기반하고 있는 죽음관이 의식중심적이고 분절적인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정신분석학의 통찰들을 수용하여 무의식을 고려한 통전적 죽음관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무의식을 고려한 통전적 죽음관의 제도화를 고민하면서 내러티브 법학의 정신을 수용하여 연명의료 결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결정의 근거 등을 서술할 수 있는 공간을 법정 서식에 마련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위와 같은 현실적인 법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면서, 그런 변화의 기초에 어떤 철학적이고 심리학적인 이론적 토대가 있는 것인지를 학제적 관점에서 논의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at updating the philosophy of death behind the Act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rough psychoanalytic insights and narrative jurisprudence. It analyzed that the Act is based on consciousness-centered perspective on death, which denies the profound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death, and urges it to listen to psychoanalytic findings about ourselves and death itself. This article also embraces the spirit of narrative jurisprudence movement, and claims the law should give more space for its participants to narrate the reasons of their decisions. Through such changes, it anticipates more dignified deaths will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