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쟁 관련 아카이브 전시연출 기법 및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최준혁 ( Choi Jun-hyuck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1 전시디자인연구 Vol.18 No.2

        박물관 전시는 다양한 전시 기법과 전시연출을 통하여 관람객과 소통하고 전시자료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박물관에서의 아카이브에 대한 다양성을 토대로 한 전시연출은 전시자료가 가진 가치와 중요성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를 통하여 전시 공간에 있어서 아카이브 전시의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 국내와 일본지역의 전쟁을 주제로 한 전시공간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아카이브 전시 연출 기법과 연출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아카이브 전시 공간계획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한다. 국내외 5개 연구 대상 관들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하여 아카이브 전시연출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전시연출 기법과 매체에 대한 유형을 설정하여 분석 틀을 구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조사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관별 연출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아카이브 전시에서 전시 매체 활용의 다양성이 필요하고 전시내용이나 메시지를 관람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체험형 전시연출 기법과 첨단 전시 매체 활용의 측면에서는 그 개선점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museum exhibition communicates with visitors through various exhibition techniques and exhibition directing, and plays a role in conveying the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exhibition materials to the visitors. In particular, exhibition production based on the diversity of archives in museums is a means to effectively convey the value and importance of exhibition material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value of archive exhibition in exhibition space through references research, and examines archive exhibition directing techniques and directing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is of exhibition spaces in Korea and Japan.

      • KCI등재후보

        루브르 박물관 분관에서 나타난 전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랑스 루브르와 아부다비 루브루 분관을 중심으로 -

        최효식 ( Choi Hyo-sik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1 전시디자인연구 Vol.18 No.2

        랑스 루브르 분관과 아부다비 루브루 분관은 21세기에 요구되는 관객들의 요구와 새로운 전시를 위한 디자인적 요소가 충분히 반영된 박물관이다. 이에, 두 분관의 전시디자인을 분석해 21세기 프랑스 박물관 전시 디자인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아부다비루브르 분관의 상설전시장은 단위 전시공간으로 박물관 공간을 구성하였지만, 랑스 루브르 분관을 오픈 스페이스 공간을 전시장에 적용하고 있다. 둘째, 랑스와 아부다비 루브르 분관의 상설 전시 공간은 다르지만, 인류 문명 전체를 아우른 시대별로 통시적인 전시 디자인 체계를 같이 적용하였다. 셋째, 두 루브르 분관은 전시공간에 비중을 많이 할애하면서, 박물관 건축과 전시 디자인을 유기적 연계를 통해 관객이 전시품에 대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넷째, 랑스와 아부다비 분관에서 나타난 건축공간과 전시 디자인의 유기적인 연계와 사진과 동영상 촬영 등이 고려된 쇼케이스 진열은 향후 21세기에 새롭게 지어질 루브르 분관 전시 다지인의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The Louvre-Lense and The Louvre Abu Dhabi are museums that fully reflect the needs of the audience in the 21st century and design elements for new exhibitions. Therefore, by analyzing the exhibition design of the two annex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design of the French museum in the 21st centu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irst,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of The Louvre-Lense constituted a museum space as an exhibition unit space, but French contemporary art museums built in the 21st century, including The Louvre-Lense, are applying open space to the exhibition hall. Second, although the permanent exhibition spaces of The Louvre-Lense and The Louvre Abu Dhabi are different, the diachronic exhibition design system was applied to the entire human civilization and by era. Third, the two Louvre annexes devote a lot of weight to the exhibition space, allowing the audience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exhibits through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the museum architecture and the exhibition design. Fourth, the organic connection between architectural space and exhibition design, which appeared in the Lance and Abu Dhabi annexes, and the showcase display in consideration of photography and video recording, show the direction of the Louvre annex exhibition design to be built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후보

        맥락적 공간개념을 적용한 전시디자인 사례 연구 - 원광대학교박물관 ‘무속실’ 개편을 중심으로 -

        최미옥 ( Choi Cindy Miok ),박준현 ( Park Jun Hyu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6 전시디자인연구 Vol.13 No.2

        전시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시품과 관람자간에 교감의장을 제공하여 최적의 감상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전시가 가진 정보나 메시지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시디자인의 역할과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맥락적 공간개념을 적용, 최근 개선을 진행한 대학박물관 사례를 통해 전시디자인 방법론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맥락적(contextual)'이란 용어는 하나의 정보나 대상이 총체적으로 이해되거나 설명되는 상황을 이르는데 이 개념은 전시흐름으로서의 맥락, 콘텐츠적 맥락, 색채·조형적 맥락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공간화가 가능하였다. 이렇게 디자인된 전시공간은 개선전의 단순한 유물나열식 전시보다 전시의 메시지 및 콘텐츠의 표현이 풍부해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전시주제와 연결하여 일관된 톤을 유지함으로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고 관람의 몰입분위기를 조성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f the ultimate goal of exhibition design is to enable the optimal appreciation, by providing a place of consensus between the exhibition and the spectator,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r message of the exhibition is delivered fully, constant research about the role and methodology of the exhibition design is on demand.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and utility of design for the museum exhibit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an university museum exhibition, which recently employed the contextual spatial concept for its improvement. The spatial application of contextualization concept was possible in three ways: the context of exhibition flow, the context of the content, and the context of color and formative. The exhibition place where such ways are evenly applied appeared to have more plentiful expression of contents and message of the exhibition than previous simple relics-focused exhibitions. Moreover, by keeping the consistently contextualized tone in line with the theme of exhibition, it supported emotional communication, as well as forming immersive atmosphere for watching.

      • KCI등재후보

        국립중앙박물관 전통회화 전시에 관한 연구 -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 사례를 중심으로 -

        이현숙 ( Lee Hyunsuk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6 전시디자인연구 Vol.13 No.2

        박물관·미술관에서 회화는 시대, 장르에 따라 구분되어 조각·각종 공예·건축과 함께 미술의 한 근간을 이룬다. 그러나 회화는 조각이나 공예 또는 건축 등의 입체적인 미술과는 달리 일정한 평면에 자연경관이나 사물의 실체 또는 인간의 생각을 표현하므로 나름대로의 독특한 표현방법과 기법을 지니게 되어 여타의 다른 미술과는 구분되는 특수성을 지닌다. 박물관 전통회화전시는 시각적인 감상전시이자 그 시대의 문화사를 읽어내 볼 수 있는 전시로, 박물관 전통회화 전시방법에 대한 시스템이 제공되지 않아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전통회화전시실을 대상으로 필요조건을 분석하고, 2016년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미술” 전시를 통해 어떻게 전통회화전시를 풀어갈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을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다. 분석 결과로는 전통회화 전시의 기본지침(동선, 조도, 전시환경 등)을 준수하고, 전시장 바닥/벽/천정에 대해서도 초기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이 나타났다.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전시의 사례를 통해 진열장 설계시 초기부터 검토가 필요하며, 같은 형태의 전시가 지루해지지 않도록 공간, 규모, 빛, 색, 강도, 움직임 등의 관람요소들을 사용함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박물관 전통회화 전시에서 공간구성의 중요성과 전통회화 전시디자인 역할을 확인할 뿐 아니라 디자인 방법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한 전시의 질적 개선에 대한 관점을 제시할 것이다. Paintings, along with sculptures, crafts, and architecture, form a major part of museum collections. Unlike three-dimensional arts, paintings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at shapes and thoughts are expressed on a plane. Exhibitions on paintings are frequently organized for an appreciation or for the study of cultural history. Despite the demand, exhibition systems for paintings are not yet well established. In this article, research was conducted on required condition of displaying painting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further, on how the design concept was realized in the exhibitions. As a case study,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temporary exhibition “The City in Art, Art in the City” recently hel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Presenting meticulous planning of space organization, lighting and color variation relieves the tedium of viewing the same format in flat surface, the article aims to provide inspir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exhibition.

      • KCI등재후보

        중국 공공환경 유니버설디자인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싱천,채민규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2 전시디자인연구 Vol.19 No.2

        In line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people's social consciousness is also steadily changing. 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d, people's interest in a more pleasant public environment increased. However, the current system and design of China's public environment are still in the concept of barrier free design, an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Korea. Bas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China and Korea, and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each design target,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 of urba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 China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into public space, public buildings, and public information media. It is expected that the current problems occurring in China's public environment can be partially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improvement measures propos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this study needs a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the public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and additional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ak in terms of psychology. 중국은 급속한 경제 발전에 발맞추어 사람들의 사회의식도꾸준히 변화하고 있다. 생활 수준이 향상되며 국민들도 보다쾌적한 공공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공공환경에 대한 제도나 디자인 등은 아직 무장애디자인 개념에 머무르고 있고,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에 대한이해는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 및 중국 및 한국의 관련법·제도, 유니버설디자인 대상별 특성과 현황에 대한 조사·분석을 바탕으로 공공환경의 영역인 공공공간, 공공건축물, 공공시설물, 공공정보매체에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중국 도시 인프라 건설의 문제점 개선에 일정 부분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중국의 공공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개선방안의 도입을 통해 일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공공환경에 대한 현장조사 및 분석과 심리학적 측면에서 약자의 특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데페이즈망 분석을 통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 연구

        정용해 ( Jung Yonghae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8 전시디자인연구 Vol.15 No.2

        최근 전시공간은 일상공간에 벗어나 일탈적인 체험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유도하는 체험적 공간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체험적 전시공간은 정적인 활동에서 벗어나 체험자가 전시물과 함께 움직이고 활동하면서 일상공간과 다른 체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최근 전시공간의 물리적 흐름은 사물을 변형, 왜곡, 병치, 결합을 통해 사물의 이미지를 재조합시키는 데페이즈망 방법과 유사하다 할 수 있다. 작품을 통한 사례분석 결과 체험형전시공간에 나타난 데페이즈망적 특성은 조형적 요소가 모든 작품에서 강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체험형 전시의 특성상 핸드 온 방식의 전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관람객의 움직임과 사물의 이중적인 배치를 통해 다양한 공간적 체험을 극대화 하려는 의도로 보여 진다. 오브제적 요소를 통한 데페이즈망 특성 또한 사용이 두드러짐을 볼 수 있으며, 개념의 이중성과 생물학적 표현을 통한 공간적 연출의 특성이 가장 많이 보여 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적 요소는 데페이즈망의 특성이 가장 적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Exhibitio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m of art as its purpose is emotional experience. Recently, Exhibition space is converted to experiential space that fills internal convenience by getting out of the daily space and includes new experience through deviant spatial experience sometimes. The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 tries various approaches to experiences different from daily space while experienced person moves with displayed articles by getting out of static activities. Recently, physical stream of exhibition space is closely related to de'paysement that reassembles material images by change, distortion, juxtaposition, and combination.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rough works, de'paysement characteristics show strong object elements in all works. The main is exhibition of hand-on metho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exhibition and it’s intended to maximize various spatial experiences through double arrangement of spectator’s motion and materials.

      • 파스칼 쇼닝의 영화적 공간 디자인 접근 방식 고찰

        신선아,장기윤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3 전시디자인연구 Vol.10 No.1

        As a result, this paper designs, but rather than looking at the design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to be formed by the design of the spring to get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parties to tr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Pascal Schoning's space design approach, unlike other design approach recognizes the human experience in space and time due to changes in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s memories and feelings, and consider -M- material elements is important. Pascal Schoning, these personal experiences, memories, feelings, etc. To represent the complexity of a traditional design with space for use as a medium in the middle of a drawing or model is coming, CAD has its limitations as a representation of, and they can express these intermediate mediators on board had no choice but to develop the intellectual limits, and to express the complexity of the space that has presented the need for a movie. The purpose of this paper, these Pascal Schoning's space design approach for the study and hi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space and design approach, we design a new liver, which had what are the things to express them, and how to apply what to think about this is to make. The flow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s methods and techniques for the configuration and Chapter2, from Pascal Schoning's earnest approach to space design is described. First, described Pascal Schoning the space design approach's background, In Chapter 3, divided by the six features of his space design approach is described. ① Image ② Film ③ Poetry ④ Event & Non-Materialization ⑤ Placeness ⑥ subjectivity. In Chapter 4, how to take advantage of this design is utilized and whether the actual analysis. In conclusion, the last five chapters, Pascal Schoning's approach to the design of space limitations and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is presented. 본 논문의 목적은 파스칼 쇼닝의 공간 디자인 접근 방식에 대해 연구하여 그의 공간 디자인 접근 방식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우리가 디자인에 있어 간과해 오던 것들이 무엇이고 새롭게 그것들을 표현하고 적용시킬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파스칼 쇼닝의 공간 디자인 접근 방식은 다른 디자인 접근 방식과는 다르게 인간의 공간인식에 있어 경험의 영향력과 시간의 변화에 따른 개인의 기억과 감정, 그리고 비 물질적인 요소를 중요시 여기고 있다. 파스칼 쇼닝은 이러한 개인의 경험, 기억, 감정 등의 복합성을 표현하는데 있어 기존 공간 디자인에서 중간 매개체로 사용해 오고 있는 드로잉이나 모델, CAD 등의 표현은 한계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중간 매개체는 그것들이 표현할 수 있는 선상에서 발전할 수밖에 없었다는 한계를 지적하며 공간의 복합성을 표현하는 것에서 영화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파스칼 쇼닝의 공간 디자인 접근 방식을 다루고 있는 본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1장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구성에 대해 기술한다. 2장에서부터는 본격적으로 파스칼 쇼닝의 공간 디자인 접근 방식에 대해 서술한다. 먼저 그의 공간 디자인 접근 방식의 배경을 설명한 후, 그가 중요하게 여기고, 그의 디자인 접근 방식에서 독특하게 보여 지고 있는 요소들을 도출하여 3장에서 6가지로 나눈 뒤 각 요소들을 설명한다. 특징들은 ① 이미지 ② 영화 ③ 시 ④ 사건과 비 물질화 ⑤ 장소성 ⑥ 주관성으로 분류하였다. 4장에선 이를 활용하여 실제 디자인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마지막 5장은 결론으로, 파스칼 쇼닝의 공간 디자인 접근 방식의 한계와 발전 가능성에 대해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뉴미디어 아트 전시 공간의 숭고미 해석

        장연정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2 전시디자인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lime beauty in the exhibition space of new media art that provides new viewing experience. New media art is a new art genre that began when various advanced t echnologies were incorporated into art, and it allows people to experience the transcendence of time and s pace provided by technical media. Therefore, the use of new media in exhibition spaces that enable new e 124 xperiences in viewing is receiving great response. Th is exhibition space of new media art provides visitor s with a multi-sensory experience to enjoy the new world of creation created by humans and technology. This exhibition space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art and technology becomes an object of sublime bea uty. In this study,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 hibition space of new media art is based on the theo ry of sublime. To this end, first, we consider the con cept of art and identify three representative character istics of new media art through previous studies. Sec ond, we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s ublime, and derive negative pleasure and eventuality a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sublime. Third, w e interpret the sublime shown in the exhibition space of new media art by dividing the connection between subli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 e of new media art into 'sublime as a boundary bet ween time and space', 'negative as a occurrence of multiple senses', and 'eventuality as a real-time mov ement'. The power of technology created by human s in modern society provides a much more multi-lay ered and complex feelings than the awe given by nat 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akes an epi stemological approach to the exhibition of new media art, and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 portunity to prepare a multidisciplinary interpretation of exhibition design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관람경험을 제공하는 뉴미디125 어 아트 전시공간의 숭고미를 해석하는데 있다. 뉴미디어 아트는 기술의 변화가 예술에 적용되면서 시작된 새로운 예술장르로서, 기술매체가 제공하는 시· 공간의초월성을 체험할 수 있는 예술이다. 따라서 새로운 관람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전시 공간에서 뉴미디어의 활용은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뉴미디어 아트 전시공간은 관람객에게 인간과 기술이 만들어낸 잠재력과가능성을 경험하게 한다. 이처럼 예술과 기술의 경계를넘나드는 전시공간은 숭고미의 대상이 된다. 본 연구는뉴미디어 아트 전시 공간의 미적 경험을 숭고미의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아트에 대한 개념을고찰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뉴미디어 아트의 대표적 특성 3가지를 도출한다. 둘째, 숭고미의 형성배경을 이해하고, 부정적 쾌감과 사건성을 숭고미의 대표적 특성으로 도출한다. 셋째, 숭고미와 뉴미디어 아트 전시 공간의 특성 사이의 연계성을 ‘시공간의 경계로서 숭고미’, ‘다중 감각의 발생으로서 부정성’, ‘실시간 움직임으로서사건성’으로 도출하여 뉴미디어 아트 전시 공간의 숭고미를 해석한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 아트 전시에 대한인식론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으며, 향후 전시디자인에 대한 다의적 해석을 마련하는데 계기가 되길기대한다.

      • 뮤지엄 전시의 구성주의적 접근에 대한 연구 - 사례연구 "Chicano Art for Millenium"를 중심으로 -

        이정화 ( Lee Jung-wha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1 전시디자인연구 Vol.8 No.1

        ‘사물 objects에서 사람 people으로'라는 뮤지엄 인식의 변화는 뮤지엄이 관람객과의 소통에 적극적 태도를 갖게끔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방안으로 구성주의 뮤지엄을 제안한다. 구성주의 뮤지엄의 목표는 ‘객관적 진실’을 알리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뮤지엄이 제공하는 ‘객관적 진실’과의 교류로 도출되는 관람객 개개인의 ‘의미형성(meaning making)’에 있다. 관람객과의 소통에 관점을 두는 구성주의 전시는 다음의 몇 가지 원리를 제안한다. 1. 선행지식을 이용한 인지전략으로서 ‘익숙한 전시품의 활용’은 관람객으로 하여금 낯선 전시에 대한 ‘의미형성’을 돕는 인지적 교량으로 사용하게 한다. 2. 모든 관람객들은 나름의 선호하는 학습양식이 있기 때문에 그 기호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학습양식’이 필요하다. 이는 구성주의 전시 구현을 위한 다양한 전시매체의 적극적 도입의 당위성을 입증한다. Museums are now taking on a variety of social and educational functions that extend their mission beyond that of preserving, studying, and presenting their collections. These institutions are faced with a new challenge: how to shape engaging,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their audiences. As focus in museums has shifted 'from objects to audiences', museum practice has to change. This research proposes a Constructivist Museum, which views audiences as active participants in the experience of learning. Constructivism views previous knowledge is a pre-requisite to learning, as what we learn is related to what we already know. Consequently, museums must deliver tailored information that fits into audiences' lives to enable 'meaning making' through personal exploration. Constructivist exhibition suggests (1) including captioned visual references to enable visitors to bridge a new information to their prior knowledge. (2) inquiry, which encourages participation in the museum interpretive process and provides a venue for multiple voices. (3) providing various exhibition media to orchestrate multi-sensory experience.

      • KCI등재후보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유형별 특성 연구 - 근대 이 후 판매 디스플레이와 전시 디스플레이 디자인의 특성 중심으로 -

        박남진 ( Park Nam-j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2 전시디자인연구 Vol.9 No.2

        초기부터 근대, 현대에 이르기까지 판매와 전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는 당시 시대상과 기술을 반영하면서 목적과 기능을 뚜렷이 하며 꾸준히 발전하여 왔다. 판매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과 생활수준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세분화, 전문화, 복합화와 같은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며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다변화는 판매 환경 간의 독자성과 차별성을 갖게 하는 디스플레이 전략을 세우는 계기가 되었다. 전시 디스플레이는 사람들이 주 5일제 근무와 토요현장학습 등 사회 환경의 변화로 인해 늘어난 여가시간을 유익하게 보내기 위해 전시관을 찾게 되며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기법에 있어서도 전시물을 단순 나열식에서 벗어나 관람객 중심의 전시 성격이 부각되었고, 비상설·상설전시의 형태를 갖추고 교육, 정보, 체험, 경험 중심의 전시로 발전되어가고 있다. 영리목적의 판매 디스플레이와 비 영리목적의 전시디스플레이는 모두 ‘펼쳐서 보여주는 목적이 있는 진열’이라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교하여 살펴보지 못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리목적의 판매 디스플레이와 비 영리목적의 전시환경 디스플레이의 근대 이후 변천과정을 각각 살펴보고 그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두 분야 간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어떠한 독자성이 있었는지 혹은 어떠한 유사성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향 후 상호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Display design fields. Socio-cultural and technological influences affect the characters of display design throughout the decades. The research investigate the changes in display design fields both for commercial display and exhibit display and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both Display design. Also, this study understands similarity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wo display design fields based on Display history. Research methodology employ case study. The study selected 4 cases purposively and they all recently opened. They analyze by codes using tabl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he possibilities of future Display design as prof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