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최유리,김미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6

        본 연구는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을 탐색하고, 자료로부터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5월부터 10월까지 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바깥놀이 사진과 동영상, 교사의 놀이 기록 등 참여자의 맥락을 다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타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harmaz(2013)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유연하고 탄력적인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해 바깥 공간의 자유로움 속에서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해 제한과 변주가 있는 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를 위해 교사들은 유아와 함께 바깥놀이터를 차이가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가고 있었다. 넷째,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를 위해 교사들은 놀이와 안전 사이에서 균형점을 잡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점은 첫째, 바깥놀이터에서 이루어지는 유아 놀이에는 유아의 자유, 유아 주도성이 발현되고 있으며, 교사들은 유아 존중을 실천하고 있다. 둘째, 바깥놀이터는 유아의 놀이를 담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와 교사가 교육공간의 주체로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넷째, 바깥놀이에서 유아들이 마주할 수 있는 위험의 가치에 대해 재고찰해야 한다. 본 연구는 바깥놀이터가 유아 중심·놀이 중심 교육이 풍부하게 이루어지는 장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 간 관계 : 한-일 비교연구

        이유미(Lee, You Me),김선정(Kim, Sun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의 일반적 경향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바깥놀이 실행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내재적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 유아교사 240명, 일본 유아교사 24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및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통한 검증을 적용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방해요인, 실행 수준의 한-일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일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인식, 실행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과 실행 간 관계에서 한국과 일본 모두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한 국가 간 차이점의 확인,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이 바깥놀이 실행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 및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이 실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맥락의 유사성과 연구결과에 따른 차이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tendency and the level of play memories,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on outdoor play, and to identify the intrinsic variables to activate the execution of outdoor pla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45 Japa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memories of outdoor play, obstacles and operating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Japa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and operation, both Korea and Japa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Conclusion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hildhood outdoor play memories, perceptions, and operations of Korean and Japanese childhood teachers and confirmed that indirect influence on outdoor play and awareness of outdoor play are key fact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milarities in the social contexts of Korea and Japan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성별, 기질, 그리고 바깥놀이 환경이 바깥놀이 행동 유형에 미치는 영향

        박희숙(HEE SOOK PARK),이효림(Lee Hyo Rim)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을 분석하고,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과 유아의 성별, 기질 및 바깥놀이 환경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77명(남아 34명, 여 아 43명)이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은 신체적 활동, 창의적 활동, 비놀이 순으로 나 타나 전체적으로 바깥놀이에서 신체적 활동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은 성별에 따라 신체적 활동 중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게임, 고정된 시설을 이용한 대근육 활동, 규칙 있는 게임, 창 의적 활동 중 가상놀이, 조작적 가상놀이, 비놀이 중 탐색 및 텃밭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과 유아의 기질 및 바깥놀이 환경 간의 관계에서 순한 기질의 유아일수록 규칙 있는 게임과 조작적 가상놀이를 즐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바깥놀이 환경의 질이 좋을수록 유아들은 규 칙 있는 게임, 신체적 조작활동, 조작적 가상놀이, 가상놀이, 구조물 놀이를 하였다. 셋째, 유아의 성별, 기 질, 바깥놀이 환경 중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바깥놀이 환경으로 나타 나 바깥놀이터의 시설이나 도구지원, 안전을 위한 관리 및 점검, 놀이 확장을 위한 교사의 지원이 유아의 성별이나 기질보다 유아의 바깥놀이 행동유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바깥놀이가 교육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교사는 신체적, 창의적 활동이 균형 있게 일어나도록 유아를 격려하며 바깥놀이의 질을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of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with children’s gender, their temperament and outdoor environment. A total of 77 5-year-old children(34 boys and 43 girls) were observed. Results show that, first, physical play was majority of outdoor play behaviors, followed by creative play and non-play activity in an order of presence.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hildren’s gender in games free from a rule, large muscle activity, games with rules, pretend play, manipulation-pretend play, and non play activities (exploration and gardening). Second, in terms of child’s temperament, children with mild temperament seemed to enjoy the games with rules and manipulation-pretend play. Children in better outdoor play environment enjoyed games with rules, physical manipulation play, manipulation-pretend play, pretend play, and constructive play. Third, among three factors (outdoor environment, gender, and temperament), the outdoor environment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impacting the types of outdoor play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suggested that outdoor environment and support system, safety and monitoring, and the support for teachers to be able to extend outdoor play were more influential factors than child’s gender or temperament. Teachers need to monitor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 by facilitating the balance of children’s physical and creative play to support the educational value of outdoor play.

      • KCI등재후보

        아이들이 주인공이 되는 즐거운 바깥놀이 프로그램 적용 연구

        김순숙(Kim, Soon Sook),도미향(Do, Mi Hyang),구승희(Koo, Seung Hee),최정은(Choi, Jung Eun) 한국부모교육학회 2021 부모교육연구 Vol.18 No.3

        본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들이 중심이 되고, 놀이가 중심이 되는 어린이집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남 홍성군에 위치한 충청남도청어린이집 영아 97명과 유아 126명을 포함한 영유아 213명과 영아반교사 19명과 유아반 교사 9명을 포함한 교사 28명을 대상으로 참여적 실행연구를 하였다. 연구방법은 참여관찰, 현지자료 조사, 기타자료조사 등을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심층적 분석과 고찰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유아 중심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여 영유아 중심의 바깥놀이를 활성화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구성한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긍정적이고 주도적인 영유아의 변화와 영유아 중심의 바깥놀이 중요성 및 바깥놀이를 연구하는 등 교사의 변화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롭게 바깥놀이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영유아 주도의 바깥놀이가 활성화되고, 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와 상호작용을 통해 영유아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어 어린이집의 바깥놀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revitalize outdoor play in daycare centers where infants and toddlers are centered and play is cente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3 infants and toddlers, including 97 infants and 126 toddlers at the Chungch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Daycare Center in Hongseong-gun, Chungcheongnam-do, and 28 teachers, including 20 infant class teachers and 8 toddler class teach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participatory observation, field data survey, and other data survey were collected, and in-depth analysis and consider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constructed a program to activate infant-centered outdoor play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hinder the activation of infant-centered outdoor play. Secon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organized program, positive and leading changes in infants and toddlers, the importance of playing outside centered on infants, and changes in teachers appeared.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infant-led outdoor play can be activated through the process of freely participating in outdoor play, and infants and toddler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outdoor play.

      • KCI등재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 -구성주의 근거이론적 접근-

        최유리,김미애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children’s play in outdoor playgrounds. Seve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illing to share their awareness and practices of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nsive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Charmaz(2013). The data analysis included three steps of initial, focused, and theoretical coding processes. Themes and categories that emerged from focused coding were conceptualized as ‘freedom’, ‘child-initiative’, and ‘child-respect’ through theoretical coding.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at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 is a play led by children themselves in the freedom of the outdoor space. Second,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children’s play in the outdoor playground is a play with limitations and variations. Third, the teachers, with the children together, were making the outdoor playground into a space with a difference. Fourth, the teachers were making efforts to strike a balance between play and safet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outdoor play is a medium through which children’s freedom and initiative are expressed while the teachers’ respect for child is practiced. Second, the children’s outdoor playground is a space that contains children’s freedom and initiative, breaking away from the space that restricts their freedom and play. 본 연구는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실천을 탐색하고, 자료로부터 이론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2월부터 10월까지 7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집중면접을 진행하였고, 바깥놀이 사진과 동영상, 교사의 놀이기록 등 참여자의 맥락을 다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기타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harmaz (2013)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은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해 바깥 공간의 자유로움 속에서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해 제한과 변주가 있는 놀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를 위해 교사들은 유아와 함께 바깥놀이터를 차이가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가는 실천을 하고 있었다. 넷째, 바깥놀이터에서의 유아 놀이를 위해 교사들은 놀이와 안전 사이에서 균형점을 잡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자유’와 ‘주도성’이 발현됨과 동시에 교사의 ‘유아 존중’을 실천하는 장으로서의 바깥놀이, 유아의 놀이를 제한하는 모순에서 탈피하여 자유와 주도성을 담는 공간으로서의 바깥놀이터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바깥놀이 활성화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

        이선애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1

        This study is a rudimentary investigation about an activation of outside plays throug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operating conditions. It encourages the teachers to have a new understanding of outside plays as "taking a rest" or "facilities and playgrounds" or "various activities available in outside". The objects of this study, conducted by mailing and visiting, are 128 teachers from the kindergarten and 72 teachers from day care center in Seoul-Incheon area. To be specific, the sample of the study is without some careless answers and omitt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21 questions, improved based on Hee Jin Kim(2012), Dong Joo Shin(2005), Yang Sun Hwang(2003) studies, and 2 open question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thought that outside plays were necessary, highly necessary or absolutely necessary. Even if they were close to natural environments, early childhood teachers used the facilities most. It suggests that their play concept is instrumental. The teachers used play facilities and play equipments mainly. About the time they take for outside plays and play contents, they thought 30 minutes was proper a little more then 30 minutes was not enough.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ed the outside plays as "taking a rest" rather than a curriculum sounds a little inappropriate. The difficulties arising from the outside plays were safety problems, repetition of similar activities and practices and parents' demands for the academic-based curriculum. This result indicates that both teachers and parents need to understand the outside play in a new light. To nurture the diversity of outside plays, we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s the outside play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and preschools, the parents' perception and facility fund support, After all, we have to promote the outside play curriculum and its diversity. Also, it is necessary that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outside plays is needed to promote the outside plays. They have to change their misunderstanding that outside plays were possible only by taking advantage of play facilities. 본 연구는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바깥놀이 활성화’의 목적에 둔다. 바깥놀이를 ‘휴식개념’과 ‘놀이시설과 놀이터중심의 전이놀이‘형태로 인식하는 관점에서 ‘바깥에서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다양한 활동’이라는 놀이중심교육과정으로 인식시키며 바깥놀이운영실태를 분석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인지역의 유치원교사 128명과 어린이집교사 72명을 대상으로 우편과 방문표집 후 무성의한 자료와 문항의 누락설문지를 제외한 189명(94.5%)을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김희진(2012), 신동주(2004), 황양선(2003)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수정ㆍ보완한 설문지 21문항과 개방형 설문 2문항으로 구성하여 SPSS21.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유아교사들의 바깥놀이에 대한 필요성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놀이자원인식은 지역여건이 자연친화적 환경임에도 시설중심으로 바깥놀이 개념이 도구화됨을 알 수 있었다. 놀이환경에서 유아교육기관은 고정놀이기구와 비 구조화된 놀이공간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교사들은 바깥놀이의 주요활동을 놀이시설과 놀이기구를 중심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깥놀이운영의 어려움은 안전과 활동내용 및 지도방법이 다양치 못한 문제, 부모들의 인지기능중심 교육요구로 나타나 바깥놀이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부모의 재인식이 필요했다. 개방적 질문에서는 바깥놀이에 할애되는 시간과 편성에서 다수의 교사들은 운영시간을 30분으로 중식 후 휴식시간으로 교육과정의 활용보다는 ‘휴식이나 쉼’으로 인식하는 미흡한 수준이었다. 운영활성화의 방안으로 바깥놀이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재정지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아 추후 바깥놀이의 중요성과 활동요인을 분석하여 바깥놀이의 활성화를 지원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 실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한보라,권미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2 No.4

        The Nuri curriculum assures that young children can participate in the outdoor activity for longer than one hour. In this situation, with the purpose of looking into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 the outdoor activity and how it is used, this study investigated, through a questionnaire of 183 respondents, kindergarten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 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t of playing outside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was not under question; however teachers had a difficult time using the outdoor playground. 2) In the actual condition of a outdoor activity, 11%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surprisingly, that they do not have an outdoor playground. Therefore, for putting into practice an outdoor activity for the Nnuri curriculum, teachers have to change their recognitions of load, as related to an outdoor playground. In addition various methods of instruction are necessary for opening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ng an outdoor activity. 현행 누리과정은 바깥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하루에 1시간 이상의 바깥놀이를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교사들은 바깥놀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활용 실태는 어떠한가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B시에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18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 이해와 적정수준에서는 누리과정의 이해가 아직 미흡한 수준이었으며, 교사들 89.6% 이상이 바깥놀이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안전문제를 가장 어렵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로 바깥놀이 시설 현황 및 활용 실태에 대한 결과로는 바깥놀이 공간이 없는 경우가 4.9%였고, 바깥놀이는 운동놀이영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누리과정을 토대로 한 바깥놀이 운영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바깥놀이는 활동 후 남은 시간이나 점심시간 이후가 가장 많이 실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깥놀이는 다른 활동 준비 업무로 방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과 활동 부재가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누리과정의 바깥놀이가 현상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부담에 대한 인식 변화와 바깥놀이 실천 가능성을 열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요구된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임승희(Lim Seung-hee),이유미(Lee you-m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ception of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their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For this, the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s among 398 Korean mothers of infants atte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located at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nd 216 Japanese mothers of infants attending those located at M District in Tokyo, Japan. Collected data underwen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hi verification (χ²) using SPSS 22.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perception of Korean mothers on playing outside of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was relatively high. They perceived environmental factor as the biggest obstacle for playing outside and perceived parent s factor as the smallest one. They tended to have plenty of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during childhood whereas they had less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Secondly, perception of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was high. They perceived environmental factor as the biggest obstacle for playing outside and perceived teacher factor as the smallest one. They tended to have plenty of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during childhood whereas they had also plenty of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Thirdly, percep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others on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and their experiences of playing outside during childhood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parent s education to activate playing outside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infants in our country.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수도권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398명과 일본 동경시 M구의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 카이검증(χ²)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 어머니의 경우,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며, 바깥놀이 장애요인으로 환경요인을 가장 높게, 부모요인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또한 어린시절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이 많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 어머니의 경우,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며, 바깥놀이 장애요인으로 환경요인을 가장 높게, 교사요인을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어린시절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이 많으며,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즐거운 바깥놀이 경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과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부모교육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 실태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김용숙,윤희봉,유지은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 of children’s playgrounds in K which parents recognize as in Gyeonggi-do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environment for daily outdoor play of young Children. To do so, a survey of 269 parents living in Gyeonggi-do was conducted and reconstructed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outdoor play. Also it was evaluated and revised after consultation with 3 children education specialists. The repossessed questionaries were frequency-analyzed with SPSS 20.0 program.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outdoor playgrounds i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it was analyzed that parents required 1 or 2 hours for their children to play outdoors in a type of “forest playgrounds.” Moreover, they said that it was really important for the children to feel “interesting and funny” during the outdoor play,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play would be helpful for the children’s socialization. However, they felt that a risk factor of the outdoor play was “a vehicle risk in streets.” Secondl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outdoor playgrounds around parents’ houses, and a type of the outdoor play was “a playground installed in the apartment complex.” Furthermore, most of the parents weren’t satisfied with the outdoor play because the apartment neglected the management of the playgrounds, and there were no playing facilities that were good enough to derive children’s curiosity and adventurous spirit. The result also showed that most of the children played outdoors with “their mothers,” and they participated in indoor activities, especially playing a game or watching TV rather than outdoor activities after attending a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 Lastly, when it comes to areas of outdoor play to be improved, it was necessary to “expand playgrounds that children can use for each season,” build “safe playgrounds” for a type of the outdoor play,” provide “playing spaces” for a spatial type, and “control vehicles around the playgrounds and deal with dangerous thing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result can expand the understanding of outdoor play for Young Children and offer discussions about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K시의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의 실태를 분석하여 바깥놀이의 질적 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모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바깥놀이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 한 후 유아교육전문가 3인의 협의 하에 수정․보완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바깥놀이터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 현황에서는 부모들은 바깥놀이에 대해 필요한 시간은 1-2시간, 형태는 “숲 놀이터”이며, 이를 통해 “재미”를 느끼고,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고가는 길에 차량의 위험” 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둘째, 바깥놀이 실태에서는 집 주변에 대부분 바깥놀이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어 있는 놀이터”이었으며, 대부분 엄마와 함께 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깥놀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이유는 관리의 소홀함과 호기심과 모험심을 자극할 말한 놀이 시설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 바깥놀이 보다는 집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으며, 특히 게임 또는 TV 시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의 개선점으로 영역은 “계절별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확대”, 형태는 “안전을 강조한 놀이터”, 공간형태는 “놀이 공간”이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차량 통제 및 위험물 관리”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바깥놀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관련기관 및 연구에 논의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바깥놀이의 의미와 활성화 방안 탐구

        고선아(Ko, S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바깥놀이의 의미와 활성화 방안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7월 말부터 8월 사이에 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9월 첫째 주부터 3주간 면담 전사 자료 를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중심교육에서 바깥놀이가 갖는 의미는 3가지 측면으로 범주화되었다. 첫 번째는 바깥놀이 공간이 주는 특성으로, ‘비구조적 놀이가 발생하는 공간’, ‘규칙,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공간’, ‘예상치 못한 흥미 로운 상황이 발생하는 공간’이다. 두 번째는 바깥놀이에서의 유아들이 보이는 놀이행동 특성으로, ‘주도적으로 놀이하는 유아들’, ‘함께 놀이하는 유아들’이다. 세 번째는 바깥놀이에서 유아들이 느끼는 정서로, ‘즐거움과 재미 만끽하기’, ‘발산하며 해방 감 느끼기’이다.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바깥놀이 활성화 방안은 교사 내적인 노력 차원에서 ‘안과 밖 넘나들기’, ‘관망하기가 아니라 함께하기’, ‘가르치기에 대한 불편함떨쳐내기’가 도출되었다. 또한 외부적 지원 차원에서는 물리적 환경 개선과 바깥놀 이의 다양한 사례 제공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의 바깥놀이 활성화 및 놀이중심교육의 다각적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revitalization of outdoor play for play-based education. To this e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teachers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between late July and August 2019. In addi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for three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September. As a result, the meanings of outdoor play in play-based educat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aspects. First, the outdoor play space was characterized by ‘the space where unstructured play takes place’, ‘the space free from rules and regulations’, and ‘the space where unexpected and interesting situations occur’. Second, young children s play behaviors in outdoor play were characterized by ‘leading the play and playing together . Third, the emotions that young children feel in outdoor play were ‘enjoying pleasure and having fun’, and ‘Feeling liberated, emanating myself’. In order to revitalize the outdoor play for education-centered education, the internal efforts of teachers included Integrating Inside and Outside , playing together rather than observing , and eliminating discomfort for teaching . In addition, in terms of external support, it was requir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provide various cases of outdoor pla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the outdoor pla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for the multilateral practice of the play-bas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