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한국의 유아교육 현황과 쟁점에 관한 연구

        권미량,김민정,이숙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6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eginning,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state of related research and to analyze controversial issues on that. Relevant literatures were reviewed to shed light on the beginning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ts understanding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the state of thi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offer an overview of the st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As for controversial issues, disputes on curriculums for Christi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hilosophical grounds of this education, discussions on teachers and parents,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 and its difficulties were analyzed.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some right directions for provi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the world,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y and status of this education.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의 출발과 역사의 변화 가운데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실천과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기초한 연구와 논의의 쟁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하여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현황을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한국 유아교육의 출발, 영·유아 발달의 이해, 유아교육기관 실천 현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쟁점으로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논란,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철학적 사유, 교사와 부모에 대한 논의,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 실천의 한계와 어려움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유아교육의 역사와 현황 가운데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실천의 방향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되리가 기대해본다.

      • KCI등재

        육아환경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권미량,김성원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4

        This study examined parents' awareness of the childcare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natural environment, family cultural environment,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analyzed the need to improve the childcare environment in parents's view.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parents of children in three kindergartens and three day care centers in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natural environment among the childcare environments in Busan, residential apartment areas were mainly the highest; the most dangerous facilities, were roads. Regarding children's main playing space, houses were played in most frequently. The most frequent locations to go out with parents and with other children in the family cultural environment were 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respectively, expenditure of educational cost and physical quantity of books. On the other hand, responses reporting nature and relatives' house were quote similar. Third,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that children mainly used or preferred was a major supermarket within 15 minutes' drive. Fourth, for an environment necessary in childcare educational institutions, an outdoor environment was found to be the most necessary. Fifth, there were four improvements to the childcare environment that could be made, as recognized by parents; these were support for transportation safety, improvement of space and festivals for children, prepar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so the children could play and have experiences in nature, and the formation of the childcare atmosphere based on confidence and a positive relationship. 본 연구는 육아환경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자연환경, 가정문화환경, 사회문화환경, 교육기관환경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부모가 인식하는 육아환경의 개선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유아교육기관 유치원 3곳과 어린이집 3곳 총6곳의 기관에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산광역시의 육아환경 중 자연환경에 있어서 가장 위험한 환경으로 도로를 꼽았고, 자녀들의 주요 놀이공간은 집안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문화환경에 있어서 부모님과의 외출 장소는 시장 및 백화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친척집이라고 나타났다. 셋째, 사회문화환경에 있어서 자녀가 주로 이용하는 사회문화환경과 자녀가 선호하는 사회문화환경이 모두 대형마트가 가장 많았고, 주로 차타고 15분 이하의 거리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기관 환경에 있어서 필요한 환경으로는 실외환경이 가장 필요하다고 보았다. 다섯째, 부모가 인식하는 육아환경의 개선 요구는 교통안전에 대한 지원, 영유아를 위한 공간 및 행사 강화, 놀고 체험할 수 있는 자연환경 마련, 신뢰와 관계가 기초된 육아분위기 형성 4가지로 분석되었다.

      • 우리나라와 일본의 유치원 교수-학습의 비교

        권미량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2011 아동연구 Vol.20 No.-

        현대사회는 급증하는 맞벌이와 가족 구조의 변화, 핵가족화 등의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사회상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 사회의 특성은 양극화, 인간소외, 환경 파괴의 문제와 더불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고, 이러한 위기감은 교육에 있어서도 질적 변화를 토대로 새로운 해법을 찾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가고있다. 특히 유아의 교육권과 국가적 지원과 책임이라는 논제에 근거하여 유아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의 핵심으로 떠오르는 것이 유아교육과정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라는 문제였다 현장에서는 양적 성장이 아니라 질적 돌봄이 요구되면서 유아교육과정에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은 제6차 교육과정이 고시(1 998. 6. 3 0)되고 9년만인 2007 년 12월에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이 고시되어 현행 교육과정으로 실행되고 있다.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의 영역 안에 교수학습 방법을 포함해서 제시했던 것에 반해 2007 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는 제 1 장의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부분에 배치하여 구체적으로 실천될 수 있도록 진술되어 있다. 유치원 교육에서 교수-학습에 대한 접근은 교육과정의 성격을 드러내는 부분으로 최근 교육과정 개정이 재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현행 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수 학습의 특성과 변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의 방법으로 유아 관찰과 적절한 지원을 강조하고, 자연물을 통한 교수 학습과 구체적 경험이 강조되어 들어간 점(교육인적자원부, 2008) 은 유치원 교육과정의 특성이 교수 학습 방법과 연계되어야 함을 드러내고 있다. 교수 학습이란 일반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의 과정에서 가르치는 교수행위와 교수행위의 결과로 나타나는 학습자의 지식이나 행동, 태도가 변화하는 과정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를 포함한다(김정원·김유정·이효정, 2008; Banner, 2003). Freire(2003) 는 학습자들에게 민감하고 그들에게 직접적으로 조치를 취하는 세계인 구체적 맥락에서 동떨어져 아예 무관심하면서 생각만 이론적으로 한다면, 결코 교수활동을 준비할 수 없다고 하였다. 즉 교수 학습은 분리된 이론적내용이 아니라 내용이 현상적 맥락과 연결된 구체화된 실체일 때 진정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가르치는 것과 배우는 것은 상호 의존적인 것으로 (Day, 2007), 교육과정의 전반에 맥락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최근 유치원 교육과정의 개편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이 의미있는 변화를 위해 국가별 비교는 의미 있는 시도가 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일본은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인접 국가로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물론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 갈등과 문제를 낳아왔고,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과제들을 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와 비슷한 연령중복 이원화체계를 실시하고 있으면서 동일한 동양 문화권에 속한 일본은 교육과 문화에 있어서 다양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경우 2007 년도에 유치원 교육과정이 개정되었고, 일본의 경우 2008 년도에 유치원 교육요령이 개정됨으로써 이에 대한 비교 논의(정미라, 2003; 정미라·손충기, 2009) 가 의미 있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나라와 일본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수 학습의 차이와 유사성을 탐색하고 이에 교수 학습의 변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효율적 논의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전반적 비교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의 체계나 조직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구체적 실행의 차이를 살피기 힘든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유치원 교수-학습의 구체적비교를 통하여 실제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체적 운영을 심층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수 학습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규명하고 나아가 유아교수학습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 유아를 위한 절제·절약 프로그램의 적용사례 연구

        권미량,김은주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2002 영유아보육연구 Vol.8 No.-

        This program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moderation and saving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facilities. This program had conducted in children who from 3 to 5 years old in H child care center, from March, 2001 to February, 2002. This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daily activities and education activities. daily activities consist of the following ; using furniture longer, saving education material, saving clothes in daily life, saving food, managing garage market. education activities consist of following ; role play, children's story, children's story play, shop play, mathematics activities, cooking activity, language activity, project activity, trip activity. This program was evaluated positively by the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The children had formed saving habit and gotten sharing life style. They could have thoughts of rotation and sharing. The teacher could get the idea of economy with sharing and reusing and the idea of education thinking material and life. The parents could lower desire for purchasing and form economic family life style. Through this program, there were chances of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and gave effect of increasing communication with a community.

      • KCI등재후보

        〔쟁점연구 : 환경구성〕유아교육환경에 대한 반성적 논의 및 방안 모색 - 생태유아교육의 관점에서

        권미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are the problem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investigate methods of improvement on the view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environment was explored by searching the education environment to the infant and teacher and by integrating on the domestic and foreign infant education environment as a reflective discussion to the infant education environment. In result, the methods of improvement on the view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ppeared as follows: the caring environment which acquired the identity, life environment which opens to the nature, living environment intertwined with daily lif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link and open, relational environment which connects to the infant education community. 본 연구는 현행 유아교육환경의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반성적으로 논의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을 생태유아교육의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현재 유아와 교사에게 당면해 있는 유아교육환경의 특성을 고찰해 보고, 국내외 유아교육환경을 탐색하여 생태유아교육의 관점에서 실현할 수 있는 유아교육환경의 방안을 재발견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생태유아교육환경의 접근방안으로 정체성을 확립한 돌봄환경, 자연으로 열어가는 생명환경, 일상으로 엮어가는 생활환경, 연결과 열림의 소통환경, 유아교육공동체로 맺어가는 유대환경을 특성화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 탐색 연구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권미량 한국보육지원학회 201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7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역할을 관계성에 관련하여 구체적 현장을 심층적으로살펴봄으로써 돌봄과 살핌의 실천이 가능한 유아교사의 역할 특성을 탐색하고역할 모형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관계라는 특성의 차원에서 나타나는 교사 역할의 구체적 실천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선정하여 국내외다각적 현장에서의 실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유아교육기관으로M유치원과 P어린이집을 선정하고, 일본의 S유치원과 H보육원을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통해 심층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사례를 통해 관계성에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로 나누는 대화로 여는 관계, 감각과 신체를 통한 관계,알아가는 과정 속의 관계, 의식주 생활에서의 관계라는 4가지 특성을 살펴볼 수있었다.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는 자연물을 통해 맺는 관계, 동등한 참여자로서의관계, 몸의 움직임으로 갖는 관계, 일상으로 가지는 관계라는 4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여 관계성 차원에서의 유아교사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 대상지향적 언어를 통한 관계성, 감각에 기초한 관계성, 생활에 기초한 관계성, 유대감에 기초한 관계성, 생태적 관계성으로 구성하였다.

      • 창조론적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탐색

        권미량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2010 아동연구 Vol.19 No.-

        현대사회의 유아교육은 새로운 변화의 중심에 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출산, 고령화의 문제해결이라는 사회적 과제를 안고 있고, 조기교육의 열풍 속에서 정체성을 찾아야 하는 시점에 놓여 있다. 그래서 유아교육은 학문적 · 실천적 과제를 가지고 다양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유아교육의 본질이 기독교 유아교육이어야 함을 논의한다면 이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고, 현장을 향해 나아갈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단지 기독교인들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우리나라 유아들의 삶의 변화와 교육의 질적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유아교육의 패러다임이 하나님의 방식으로 제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유아교육의 새로운 접근방법은 창조의 기본 개념에서 출발해야 한다. 창조는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 개념이며,하나님의 언약의 기초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기독교의 창조론적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기독교 창조론에 근거한 유아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유아, 전인적 존재인 유아, 축복의 존재인 유아, 돌봄의 존재인 유아로 이해될 수 있었다. 또한 창조론적 관계성에 근거한 교수원리는 가능성의 원리, 교류와 교통의 원리, 영성의 원리, 자연의 원리로 모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아관과 교수원리에 근거한 유아교육의 접근에서 교사의 역할을 살펴본 결과 축복의 역할, 돌봄의 역할, 연결의 역할, 본의 역할로 요약될 수 있었다. 창조의 개념에 기초한 하나님, 사람, 자연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교육의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정체성이 정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색은 현장에 실천 가능한 형태로 구성 발전되어질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현장 속에서 유아교육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 실천력을 제공해 준다면 이 시대에 필요한 유아교육프로그램으로 정착되어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따라서 기독교 유아교육이 개발, 발전, 정착되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제 유아교육기관이 실행 가능한 유아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보급하여야 하며, 나아가 이러한 교육과정을 실천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창조적 관계성에 기초한 기독교 유아교육은 기독교 유아교육의 학문적 · 실천적 발전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유아교육과정과 유아교육기관 그리고 교사양성의 유기적 조직체로서 망을 구축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 교육에 관련된 지속적 연구 및 실천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추후 기독교 유아교사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구체적 연구와 실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근거한 다양한 교사교육 및 유아교육기관의 실천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