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냉전의 과학과 근대 아동의 미스터리 문화 연구

        한민주 ( Han Min-ju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7 No.-

        이 논문은 근대 과학 문화의 한 특징으로 대두되었던 미스터리물을 분석하여 과학에 대한 근대 대중의 인식 및 아동 과학교육의 한 특징을 밝히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따라서 냉전체제기(1950~1970년대)에 발간되었던 두 아동 잡지 『소년세계』(고려서적주식회사, 소년세계사)에 드러나는 냉전과학의 특성과 미스터리물이 재현되는 양상을 살펴 근대 아동문화에 나타난 과학과 미스터리의 특징을 밝혔다. 그 결과 근대 아동 대상의 미스터리물은 단순한 유희를 넘어 당대 과학관과 정치적 무의식, 대중의 심리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소년세계』에 형성된 미스터리 담론들은 괴사건, 유령, 괴수, UFO라는 네 가지 대상으로 유형화하여 그 특징을 살필 수 있다. 분석 결과 이 미스터리 담론들은 전쟁에의 환멸, 과학기술로 자국의 승리를 이끄는 냉전시대 대중의 불안과 공포, 그리고 근대성에 대한 강한 회의를 반영하고 있었다. 미스터리물은 선진 문명을 표상하는 과학을 배우고 훈련하는 교육의 기능을 담당하는 동시에 과학기술문명의 역기능을 상기시키고 시대적 불안을 보여주는 장이 되었다. 개발도상국의 후진성이 문제인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어린이는 안보과학의 실현 주체로 지목되었다. 과학 기술력과 국가의 경제발전을 같은 선상에서 사유한 안보과학 관념이 아동에게 탐정 활동을 독려하고 수수께끼 풀이에 바탕을 둔 미스터리 양식을 양산하면서 국민으로 사회화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이처럼 미스터리를 해결하고 합리적 과학을 실현하는 명탐정이 되는 길은 소국민 만들기 프로젝트의 핵심 목표였다. 냉전의 이데올로기와 과학은 근대 아동의 성장에 개입하여 증거를 조사하고 추리하여 비밀을 밝히는 탐보적 주체로 만들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추적하고 밝혀야 할 비밀의 대상을 다루는 미스터리물이 『소년세계』를 가득 채웠다. 주목할 점은 과학교육을 표방하는 미스터리물이 안보과학의 시대정신을 역행하는 쾌감을 동시적으로 생산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근대 문화가 어떻게 유령 같은 것에 대한 관념을 역동적으로 확산시켰으며, 아동의 과학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이바지했는지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modern mass’s perception of science and a characteristic of children’s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ystery that has emerged as a characteristic of modern scientific culture.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and mystery in modern children’s culture were reveal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d War science and the reproduction of mysteries revealed in “Boys World”, two children’s magazines published during the Cold War er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ystery of modern children goes beyond simple play, and reflects the contemporary scientific view, political unconscious, and public anxiety and skepticism. Mystery discourses formed in “Boys World”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bizarre events, monstrous animals, ghosts, and UFOs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se mystery discourses reflected the public’s anxiety and fear in the Cold War era, which led to their country’s victory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and a strong skepticism about modernity. Mystery has served as an educational function to learn and train science representing advanced civilization, while at the same time reminding the dysfun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civilization and showing instability of the times. In the atmosphere of the times where the backwardness of developing countries is a problem, children have been pointed out as the realizing agents of security science. The path to becoming a great detective who solves mysteries and realizes rational science was the core goal of the Small People Project. The ideology and science of the Cold War tried to intervene in the growth of modern children and make them into ‘investigative reporting’ subject that uncovered secrets by examining evidence and reasoning. Mysteries claiming science education simultaneously produced a sense of pleasure that goes against the zeitgeist of security science.

      • KCI등재

        외식업체의 미스터리 쇼핑을 위한 평가척도 개발- 한식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

        김영갑,이혜린,김예주 한국외식경영학회 2014 외식경영연구 Vol.17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e theoretical review to set up the concept how the mistery shopping program shall be implemented to Food-service Industry, and to develop the measuring tool with necessary reliability as well as validity to apply this program in domestic Food-service Industry. Particularly developing the measuring tool of mystery shopping for Korean Food Frenchise Industry is absolutely necessary to globalize Korean Food, so this would be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process of valuation standards were carried out through 4 steps, questionnaire item development by the literature review, narrowing measurement items by major lecturers and major MBA students, narrowing measuring items by questionnaire survey of field expert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rough developed evaluation tools. By summing the evaluation tools, prov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these steps, it has been confirmed as follows: Factor 1, Confirmation with 8 variables, Factor 2, Customer reception, with 3 variables, Factor 3, reliability with 4 variables, Factor 4, Corporeality with 3 variables Factor 5, Food characteristics with 5 variables, Factor 6, Reactivity with 3 variables, Factor 7, Hygiene cleanness with 3 variable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would be the organization of the concept of Mystery shopping, that is practically proliferated into various industry while its academic study is to seek. 서비스산업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최고의 고객경험을 창조하는 것이다. 미스터리 쇼핑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도구 중의 하나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국내의 외식산업에서 미스터리쇼핑의 중요도와 활용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외식산업계에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측정을 위해 미스터리 쇼핑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미스터리 쇼핑이 어떤 도구로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스터리 쇼핑 프로그램이 외식산업계에서 어떻게 실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이론적 고찰과 이러한 프로그램이 국내 외식업체에서 사용되는데 필요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한식프랜차이즈 기업을 위한 미스터리 쇼핑 측정도구의 개발을 함으로써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한 설문문항의 개발은 SERVQUAL, DINESERV, Scott & Joanna(2010), 미스터리쇼핑(김영갑․김문호, 2011) 등을 이용하였고, 전문기업으로는 (주)리스피아르 조사연구소와 신선설농탕에서 이용하고 있는 측정척도를 활용하였다. 평가척도의 개발 과정은 문헌고찰을 통한 설문문항의 개발, 전공 교수 및 전공 MBA 과정생에 의한 측정문항의 축소, 현장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측정문항의 축소, 개발된 척도를 이용한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등 4단계 과정을 거쳐서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 된 평가척도를 정리하면 요인1 확인성은 8개의 변수, 요인2 고객응대는 3개의 변수, 요인3 신뢰성은 4개의 변수, 요인4 유형성은 3개의 변수, 요인5 음식의 특성은 5개의 변수, 요인6 반응성은 3개의 변수, 요인7 위생․청결은 3개의 변수로 평가척도가 확정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무적으로는 다양한 산업으로 확산되고 있는 반면에 학문적 연구는 부족하였던 미스터리 쇼핑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접점 서비스 품질 측정을 위한 미스터리쇼핑(Mystery Shopping)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 편의점을 중심으로 -

        안병옥,이형근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7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9 No.4

        As the market environment is changing with demand for customer services, the company is having difficulty in providing customers with the ever-changing needs of their customers. Companies are constantly seeking ways to respond to changing customer service by managing and evaluating service quality to meet customer needs. Customer satisfaction is typically measured by measuring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is a result of the customer's satisfaction assessment after receiving the service. The result indicators have a difficult disadvantage of assessing the process of delivering services. To compensate for this, companies are using mystery shopping malls. Mystery Shopping is evaluated based on the standard of service standards that businesses serve to standardize customer services. Service standards are generally introduced because they are a good way to provide three consistent services to customer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sites based on service standards is critical to successfully evaluate mystery shopping. The study focused on developing psycho-optic evaluation sit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developed steadily towards the growing convenience stor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process, which is the result of mystery shopping and the outcome of the results-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indicators and the result indices was identified. The managemen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ble to verify that the outcome of the study was aligned with the outcome indicator and that the process indicators were import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mpany expects to help improve customer service by managing process indicators. Also, companies adopting mystery shopping are realizing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valuation sites, so they do not want to develop the assessment site and we hope to utilize the process indicators as a way of achieving competitive advantage. 시장 환경이 고도화되면서 고객의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함께 변화하고 있어, 기업에서는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업은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품질을 관리하고 평가함으로써,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는 서비스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고객만족도를 측정하여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는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고객만족도는 서비스를 받은 후 고객이 체감적으로 평가하는 결과지표이다. 결과지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평가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업에서는 과정지표인 미스터리쇼핑을 활용하고 있다. 미스터리쇼핑은 기업에서 고객 서비스를 표준화하여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표준을 기초로 평가한다. 서비스 표준은 고객에게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므로 대체로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미스터리쇼핑을 성공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표준을 근거로 한 평가지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스터리 쇼핑의 평가지 개발에 주안점을 두었고, 평가지 개발 업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편의점을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조사 결과는 과정지표인 미스터리쇼핑과 결과지표인 고객만족도의 결과를 비교하여, 과정지표와 결과지표간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과정지표는 결과지표와 연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과정지표 관리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기업에서는 미스터리쇼핑 체크리스트를 개발하는데 지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과정지표 관리를 통해 고객서비스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미스터리 쇼핑을 도입하는 기업은 평가지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평가지 개발에 소홀함이 없길 바라며, 과정지표 관리를 통해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한 방법으로 적극 활용하길 바란다.

      • KCI등재후보

        마가의 “메시아 비밀”에 관한문학 비평적 접근

        이승호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7 피어선 신학 논단 Vol.6 No.2

        Abstract A Literary Critical Approach to the Messianic Secret in the Gospel of Mark SungHo Lee, Ph.D. Assistant Professor, Bangmok College of Basic Studies Myongji University After performing some miracles, Markan Jesus refuses to accept his followers’ honor and asks them to keep silent about his mission. Moreover, when the people flock to meet him, he goes into hiding alone in secluded areas to avoid the hordes of people. Although people don’t understand the fact that Jesus is the ‘Messiah’, the evil spirits often satte that Jesus is the ‘Son of God’. These mysterious words and actions are one of the distinct features of the Gospel of Mark. Wrede explains this as the so-called ‘Messianic Secret’ by employing historical criticism. After thsi theory was announced, many gospel scholars studied it. However, scholars has yet to come up with a clear answer as to why the Markan writer filled the Gospel of Mark with such mysteri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epic purpose of the Markan Gospel, most especially the so-called ‘Messianic Secret’ texts which are approached by way of literary criticism. Particularly, motif analysis is used which is one part of the literature criticisms. Three mysterious motifs are presented in this article: 1) the disciples who do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ieces of the bread; 2) the scene where the evil spirit calls Jesus the ‘Son of God’ and when Jesus orders them to not make him known;a nd 3) the Markan Jesus who wants to go to a deserted place. These mysteries are connected to the following recognition motifs: 1) the broken bread means that Jesus is the true Messiah; 2) the confession of the evil spirits 마가의 “메시아 비밀”에 관한 문학 비평적 접근 ┃29┃ is the spiritual attack on the timetable of Jesus; and 3) the deserted place where Jesus fought the dark forces. Through these recognition motifs, the mysteries would be solved. The mystery-recognition motifs have the following epic purposes: The Markan writer wants 1) to stimulate the readers’ curiosity and 2) to send them the messages effectively by presenting the recognition moitfs. When the Markan readers recognizes the meaning of these mysterious motifs, they will clearly comprehend and easily accept the argument of the Markan writer. 한국어 요약마가의 예수는 기적을 행한 후에, 사람들에게 영광 받기를 거부하고, 침묵을요구한다. 또한, 무리가 많이 모이면, 홀로 한적한 곳으로 떠나, 무리를 피한다. 사람들은 예수가 메시아임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지만, 귀신들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자주 고백한다. 이와 같은 미스터리한 언행은 마가복음의 가장 큰특징 중의 하나이다. 브레데는 이것을 소위 “메시아 비밀”로 설명하려 했다. 이후의 많은 학자가 이 분야를 연구해 왔으나, 왜 마가 저자가 이와 같은 미스터리들로 마가복음을 구성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본 소고는 소위 “메시아 비밀”이라고 일컬어지는 본문들을 문학 비평 방법으로 접근하여, 마가의 저술 의도를 밝히려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특히 문학비평 방법 중에서 모티프 분석을 사용한다. 미스터리 모티프와 관련이 깊은가 3지주제를 연구한다. 1) 떼어낸 빵 조각의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제자들의 모습 , 2) 악한 귀신들이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부르고 예수가 이에 대해 침묵을 요구하는 장면, 3) 한적한 곳으로 피하려고 하는 예수, 등이 그것이다. 이상의미스터리에는 다음과 같은 해결 모티프가 연결된다. 1) 떼어낸 빵은 “예수가 참된 메시아”라는 뜻이다. 2) 귀신들의 고백은 예수의 시간표를 파괴하려는 영적공격이다. 3) 한적한 곳은 어둠의 세력과 전쟁이 벌어지는 장소이다. 이상의 해결모티프를 통해, 미스터리는 풀리게 된다. 미스터리와 그 해결 모티프의 제시는 다음과 같은 서사 목적을 갖는다. 마가는 미스터리 모티프를 통해, 그 독자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킨다. 그리고 해결 모티프를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자신의 주장을 효과적이고 강렬하게 전달한다. 독자들은 미스터리 모티프에서 증폭된 의문들이 해결되면서, 마가 저자의 의도에 좀 더 분명하게 접근하게 된다. 마가는 이와 같은 서사적 목적을 완성하기 위해, 미스터리 모티프와 해결 모티프를 제시한다.

      • KCI등재

        추리장르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사례연구: <명탐정 코난>을 중심으로

        서은영 한국영상문화학회 2017 영상문화 Vol.0 No.31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 of the reasoning narrative of the representative cartoon of Japan, <Detective Conan>. This poses a problem in the development of content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Korea. <Detective Conan> has been popular since 1994, starting in the weekly boys Sunday magazine and continuing to the present day. It has been translated into many places in the world, and is made into an animation. In addition, Conan Village, Conan Station, Conan Road, etc. have been made, which also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Especially, it is not a commodity selling only the character called 'Conan'. It was developed as a mystery drama and tourism product by applying the mystery narrative of the original work, and it is evaluated as a successful exemplary case. First, The Detective Conan X Mystery - The Sea of Labyrinth is a detective who will directly demonstrate the process of reasoning. This makes the audience immerse in a game. At this time, the original character, Conan, does not appear directly. Conan, who is missing from the plot, can only refer the case through the video. This gives the audience a new pleasure through the substitution of the role of the original Conan. Second, The Mystery Tour links the Mulerian narrative with local tourist attractions and attracts many tourists every year. The <Mystery Tour> is similar to the play in that the reader becomes a detective and the role play is possible. Tour participant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 original work itself. In addition, mystery tours will visit the designated locations during the clues. The intention of the mystery tour is to make tourist attractions private by visiting tourists. 본고는 일본의 대표적인 만화 <명탐정 코난>이 추리 서사를 향유하는 현황과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콘텐츠 개발에 시사점을 던지고자 한다. <명탐정 코난>은 만화가 아오야마 고쇼가 1994년부터 『주간 소년선데이』지에 연재를 시작해 오늘날까지 인기를 이어오고 있다. 일본을 대표하는 추리만화로 세계 여러 곳에 번역되었으며, 애니메이션화를 비롯하여 코난 마을 조성, 코난역, 코난길 등 지역사회 발전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특히 ‘코난’이라는 캐릭터만 소비하는 상품 판매에 그치지 않고, 원작의 추리서사를 응용해 미스터리 연극과 관광상품으로 개발하여 성공한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첫째, <명탐정 코난 X 미스터리-해상의 미궁>은 관객이 탐정이 되어 추리 과정을 직접 시연해보는 역할놀이를 통해 마치 게임을 하듯 몰입한다. 이때 원작의 캐릭터인 코난은 직접 등장하지 않는다. 플롯에서 빠져 있는 코난은 영상을 통해 사건을 의뢰할 뿐이다. 이는 관객이 원작의 코난의 역할을 대신해 의사체험케 함으로써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한다. 둘째, 추리서사를 지역의 관광지와 연계해 해마다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는 미스터리 투어는 독자가 탐정이 되어 역할 놀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극 못지 않게 독자 스스로 원작 자체에 몰입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미스터리 투어는 단서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장소들을 반드시 방문하게 됨으로써(의도) 특별한 장소로 사유화(私有化)된다.

      • KCI등재

        TV 드라마 〈미스티(Misty)〉에 나타난 미스터리 구조의 중층성 : 지연 전략과 장르 혼성을 중심으로

        서은혜(Eun-Hye Se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2018년 JT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미스티〉는 시청자들에게 살인 사건과 관련된 여러 허구적, 언어학적 단서를 제시하고 있다. 또 범인인 남성 인물의 대사와 행동을 이중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애매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시청자들이 범인을 추론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킨다. 이러한 지연의 기저에 놓인 것은 로맨스 서사과 미스터리 서사의 유기적인 인지적 결합이라는, 장르 혼성의 방법이다. 즉, 〈미스티〉는 사랑에 헌신적인 남성 인물이라는 시청자의 로맨스 장르에 대한 기대지평을 전복하는 순간 범인에 대한 올바른 추론 과정이 시작된다는 점에서, 시청자들의 장르 인식을 교란시키면서 탄생되는 특수한 장르 혼성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이처럼 〈미스티〉에 나타난 미스터리 구조의 중층성은 TV 드라마에서 정통 추리 구조는 성공하기 어렵다는 통념을 벗어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보통 두 플롯의 물리적 인접성을 위주로 결합되는 기존 미스터리물의 장르 혼성 사례와 차별화된다는 것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V drama 〈Misty〉, aired on JTBC in 2018, used several fictional and linguistic clues on the murder case. It effectively delayed the process of inferring the perpetrator by utilizing ambiguity and trap, which enabled the double interpretation of the the main characters diaglogue and action. This delay could be made by employment of genre hybrid, cognitive process and knowledge of viewers about typical romance plot and mystery plot in TV drama. In other words, 〈Misty〉 could be evaluated as a special genre hybrid case that disturbs viewers perception of genre in that the correct reasoning process began from the point that overturned the viewers expectation about typical romance genre dramas in which male main characters mostly devoted to love. The complicating mystery structure shown in 〈Misty〉 is against the opinion that the traditional mystery structure is difficult to succeed in TV dramas.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hybrid genre, it is different from the usual mechanical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plots. These characteristics in 〈Misty〉 are worth to highly evaluated.

      • KCI등재

        훈민정음 창제를 배경으로 한 역사추리소설 연구

        김효진(Kim, Hyo-ji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8 No.-

        본고는 역사추리소설 『뿌리 깊은 나무』와 『훈민정음의 비밀』의 추리서사를 분석하고 두 소설에 드러난 지배이데올로기와 숨겨진 대중의 욕망을 고찰하였다. 두 소설은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공백의 역사’를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복원하여 숨겨진 역사를 드러내고자 한 역사추리소설이다. 『뿌리 깊은 나무』는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전 7일 동안 벌어지는 집현전 학자들의 연쇄살인사건을 다룬다. 이 소설 전반부는 범죄의 서사가 생략되고 그 공백을 재현하기 위한 조사의 서사가 전경화된 미스터리 소설의 구조를 따르지만 중반부 이후에는 탐정이 범죄의 서사에 참여하고 희생자가 중심이 되는 서스펜스 소설로 변모한다. 이는 알려지지 않은 훈민정음 창제까지의 역사적 공백의 시간을 복원하여 창제 과정의 긴박함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리서사는 독자들이 긴장감을 갖고 더욱 사건에 몰입하게 한다. 『훈민정음의 비밀』은 미스터리 소설과 범죄소설의 특성을 잘 결합한 소설이다. 이 소설은 폐위된 세자빈 봉씨에 얽힌 역사적 비밀을 쫓으면서 훈민정음의 확산을 막으려는 기득권 세력과, 왕권을 노리는 정치적 음모를 밝혀 기록되지 않은 역사의 공백을 그리고자 했다. 독특한 서간체 소설 형식은 각 인물들의 내밀한 생각과 욕망을 드러나게 하여 독자들이 수많은 인물들의 생각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독자들이 탐정보다 더 우위에 있는 구조로 독자들이 더욱 능동적으로 각 사건에 참여하도록 하여 능동적 독서를 유도한다, 역사추리소설에서 탐정과 범인의 대립 구조는 선악의 대립 구조로 치환된다. 이는 탐정의 승리, 곧 선의 승리를 보여줌으로 지배 이데올로기에 순응한다. 두 소설은 모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그것을 확산시키려는 세종이 선, 기득권을 지키고 권력을 빼앗길 원하는 반대 세력이 악이 되는 구조로 이는 모두 민족주의 거대담론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세종을 완벽한 영웅이 아닌 고난과 갈등 속에서 역사적 사명을 수행하는 인간적인 지도자로 그려냄으로 이전의 세종과는 변별성을 보인다. 또 이름 없는 민중들을 소설의 전면에 내세움으로 역사의 주변자가 아니라 역사를 이끌어가는 주체가 되고 싶은 대중의 욕망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한편으로는 지배계층의 거대담론에 억눌려 있는 여인들의 삶에 관심과 연민을 드러낸다.

      • KCI등재

        바로네스오르치(Baroness Orczy)의 수용과 『빨강 별꽃』(The Scarlet Pimpernel)의 번역

        양아람(Yang, Ah-lam),이행선(Lee, Haeng-seo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8 亞細亞硏究 Vol.61 No.2

        이 글은 영국작가 바로네스 오르치(Baroness Emmuska Orczy; 이하 오르치)의 『스칼렛 핌퍼넬(The Scarlet Pimpernel)』(1905)의 번역 수용사를 고찰한다. 오르치(1865~1947)는 헝가리 귀족 가문 출신으로 영국인과 결혼하여 영국에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The Scarlet Pimpernel』은 1792년 프랑스 혁명 직후 공포정치하 처형되는 구귀족을 구출하는 영국 비밀조직의 이야기다. 이 작품은 한국에서 완역 전에는 주로 『빨강 별꽃』으로 읽혔다. 미스터리소설이나 모험소설에 관심이 없다면 오르치의 『빨강 별꽃』을 모를 수도 있지만 영화 <쾌걸 조로>나 <삼총사>는 누구나 알 것이다. 『빨강 별꽃』은 이들 영화와 드라마의 원조격인 작품으로 영국에서는 국민문학의 하나로서 많은 독자를 확보했던 소설이다. 『빨강 별꽃』은 작가의 대표작이자 세계명작, 미스터리소설의 고전으로 한국에 소개되어 있다. 이 작품은 영화, 뮤지컬로서 도 한국 독자와 대면했다. 하지만 미스터리소설이 상당한 인기가 있는 지금의 독서시장에서도 이 작가의 작품은 그다지 읽히지 않고 있다. 인지도가 있는 작품을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변부적인 출판물이 된 외국문학의 존재방식을 파악해야만 한 사회에서 외국문학이 수용되어 유통되고 서사적 영향력을 상실해가면서도 문화상품으로서 여전히 존속하는 맥락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ranslation reception history of the British writer Baroness Emmuska Orczy’s The Scarlet Pimpernel(1905). Orczy(1865~1947), a Hungarian noble family, married an Englishman and began her work in England. 『The Scarlet Pimpernel』 is the story of a British secret organization that rescues the Old Nobility to be executed under reign of terror after the French Revolution of 1792. This work was read to the readers in Korea, mostly in the form of 『Red Star Flower』. If you are not interested in mystery novels or adventure novels, you may not know the orchid’s 『Red Star Flower』, but anyone will know the movies of The Mark of Zorro and The Three Musketeers. 『Red Star Flower』 is a novel which is a source of these movies and dramas and has secured many readers as one of the national literature in England. 『Red Star Flower』 is introduced to Korea as a classic of world masterpieces and a mystery novel. This film and musical have met Korean readers. However, even in the current reading market where mystery novels are so popular, the works of this writer have not been read much. It is important to study works with awareness, bu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ntext in which foreign literature is accepted, circulated and lost its epic influence in a society whe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existence of foreign literature as peripheral publications.

      • KCI등재

        아쿠타가와의 소설 『라쇼몽』과 『덤불 속』의 영화적 변용

        안영순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외국문학연구 Vol.- No.30

        본 논문에서는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소설 『라쇼몽』과 『덤불 속』이 영화 <라쇼몽>과 <빨간 모자의 진실>에서 내러티브의 구조가 어떻게 수용되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작가는 『라쇼몽』에서 헤이안 시대 말기 계속 된 재화(災禍) 때문에 말할 수 없을 정도로 황폐해져 마침내 연고자가 없는 시체를 갖다버리는 장소로 전락해버린 라쇼몽을 배경으로, 주인으로부터 쫓겨난 하인이 라쇼몽의 다락 위에서 노파가 시체의 머리카락을 뽑는 행동을 보고 노파의 옷을 빼앗아 어둠 속으로 사라지는 과정을 전지적 작가 시점으로 보여줌으로써, 극한 상황에 몰린 인간은 자신이 살기 위해서는 어떤 짓을 해도 좋다는 이기주의를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덤불 속』에서는, ‘덤불 속’에서 무사의 아내가 도적 다조마루에게 강간을 당했고 무사는 시체로 발견되었다는 사건을 작가는 이야기에 개입하지 않고 단지 관찰자의 입장에서 다중 인물의 시점으로 7개의 증언과 진술을 병치함으로써, ‘덤불 속’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진상을 파악할 수 없는 상황에 빠뜨린다. 이처럼 작가는 미궁에 빠진 살인사건과 함께 진실과 인간 신뢰도 함께 미궁 속으로 빠뜨림으로써, 인간의 자기 합리화와 이 자기 합리화의 근원이 되는 인간의 이기주의는 과연 진실과 공존할 수 있는지를 진지하게 묻는다. 구로사와 감독은 두 원작 소설을 같은 주제를 다룬 작품으로 보고서, 영화 <라쇼몽>에서 『라쇼몽』을 현재로 그리고 『덤불 속』을 과거로 교직시키고 있는데, 제목과 공간의 상징적 분위기는 『라쇼몽』에 서, 그리고 미스터리적인 사건은 『덤불 속』에서 가져온 것이다. 감독은 다조마루, 무사의 아내, 살해된 남편 그리고 이 사건을 목격한 나무꾼이 각각 일인칭 시점으로 같은 사건을 플래시백 형태로 다르게 표현하는 다중시점 기법을 통해 내러티브를 서술함으로써, 결국 아무도 믿을 수 없다는 사실만 남게 만든다. 이처럼 감독은 당시의 시대상황과 관련해서 허무주의로 분위기를 끌어가는 점에서는 아쿠타가와의 세계관과 맞닿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대중영화 감독으로서 구로사와는 원작 소설과는 달리, 각색을 통해서 나무꾼의 역할을 강화시키고 아기를 새롭게 창조함으로써 원작 소설의 허무주의와 냉소주의를 넘어서서, 미래에 대한 희망과 인간에 대한 신뢰에 기반한 휴머니즘을 제시했다. 그리고 코리 에드워즈 감독의 <빨간 모자의 진실>은 구로사와의 <라쇼몽>의 영화 문법을 차용하고 동화 『빨간 모자』를 패러디하여 성공을 거둔 추리 애니메이션이다. 이 작품에서 시점의 분산화를 통해서 내러티브를 분산시키고, 그럼으로써 누구의 말이 진실일까 그리고 누가 거짓말을 하고 있을까에 대해서 관객에게 더욱 능동적으로 여러 인물의 시점에서 다양한 사고를 하게 만드는 효과를 노리는 것은 <라쇼몽>에서와 마찬가지다. 그렇지만 이런 구조의 내러티브는 두 소설과 <라쇼몽>에서처럼 주제의 구현과는 관련이 없으며, 순수하게 미스터리 장르의 재미를 추구하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관객은 감독이 낸 네 개의 퍼즐 조각 맞추기 문제, 즉 네 번 반복되는 플래시백을 통해서 범인을 니키 형사보다 먼저 알아맞히는가에서 즐거움을 찾게 된다. 다만 이 영화의 타깃이 아동을 포함한 전 가족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미스터 리 장르 규범에서 변화된 부분은 ‘살인범은 누구인가?’라는 미스터리에서 살인범은 요리책 도둑으로 순화되었고, 그리고 <라쇼몽>에서와는 달리 시간 구조 역시 현재와 과거만을 오가는 이중 구조로 단순화 되어 있다. 그렇지만 <빨간 모자의 진실>이 영화 <라쇼몽> 아니 더 나아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소설 『라쇼몽』과 『덤불 속』에 빚지고 있는 부분은 여기까지이다. 왜냐하면 에드워즈 감독은 다중 인물 시점을 활용한 미스터리 구조만을 <라쇼몽>에서 빌어왔을 뿐, 그 내용은 익히 잘 알려진 동화 『빨간 모자』를 패러디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aspects of filmic transformation of Ryunoske Akutakawa's two short novels, Rashomon and Yabunonaka, focusing on <Rashomon> and <Hoodwinked>. Rashomon and Yabunonaka are of the same theme; they deal with a question of 'Can human being be trusted?' through human egoism and self-rationalization. If something different exists, the novel Rashomon emphasizes the subject of egoism, and Yabunonaka, using narrative by multiple point of view, stresses self-rationalization which lies behind subjectivity and the multi-dimensionalism of interpretation. Akira Kurosawa understands the Akutakawa's original work with his own vision conforming to the contemporary requirement. It can be said that Director Kurosawa Akira's film, <Rashomon>, is an 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work by Akutakawa with a post-bellum, modern viewpoint. Kurosawa then switches to flashback and we se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the exact same event, the slaying of an innocent man in the woods outside the village. Was it because of lust? Betrayal? Envy? Or insanity? We hear from the murderer, the wife of the victim, and a woman channeling the spirit of the dead man. And the end, Kurosawa raises another question: If man keeps lying (to others as well as to himself), does that mean he is evil? This question is underlined by the crying baby the three men find in the Rashomon gate. Kurosawa's answer to this question is clearly a no: the woodcutter takes the baby to raise him and the priest realizes that he is a good man, even although he's a lier and a thief. Written and Directed by Cory Edwards, Todd Edwards and Tony Leech made an amusing low-budget feature animation, <Hoodwinked>, of a very well-known fairy-tale story. The filmmakers made this film is told in a <Rashomon> style story and updating Red Riding Hood story with updated back-stories, character stereotypes and modern pop-culture references. <Hoodwinked> literally rips the entire fable of Red Riding Hood apart, borrowing from Red Riding Hood and <Rashomon>. The events that led to Red Riding Hood's eventual confrontation with the Wolf are told not from one but from several points of view as the main players - Red, the Wolf, the Woodsman, and Granny - are interrogated by the police who are investigating a crime from one “Goody Bandit”. Every confessions reveals a lot more about each character and the more that is disclosed, the closer they are to catching up with the thief. The movie begins at the end of the story. We start at Granny's house as Red Riding Hood enters, but this time the story has a little twist. We get to see Red Riding Hood with a black belt, The Wolf who isn't trying to pull the wool over anyones eyes, Granny with a dangerous side, and the woodsman with a cowboy accent. Not to mention the characters we've never met before, including Boingo the cute bunny, Chief Grizzly who is willing to arrest anyone, and Nicky Flippers who is trying to decipher what actually happened. All the while, the Goody Bandit is on the loose, trying to accomplish his master plan.

      • KCI등재

        영화 <버닝>의 서사 전략 연구

        한래희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5

        본고는 영화<버닝>에 나타난 서사 전략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서사적 모호성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버닝>은 미스터리 장르를 채택하고 있지만 의혹이풀리기보다는 모호성의 해소가 계속 유예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기존 연구들에서는 벤을 비정한 악인으로 단순화하여 해석함으로써 서사적 모호성과 벤 간의 연관성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한 한계를 보이고 있다.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버닝>의 서사 전략을 ‘타자의 욕망;개념에 주목하여 분석해 보았다. <버닝>은 멜로물의 형식으로 시작하지만 벤이 등장하면서 미스터리로 급격히 전환된다.영화는 벤을 의심스러운 비밀의 소유자로 인식하게 만드는 요소들을 하나씩 제시해 가며 미스터리를 증폭시킨다.벤의 등장 이후 종수와 벤을 계급적 대립 구도 속에서 보게 만들면서 동시에 종수가 벤의 욕망에 대한 매혹과 의심이라는 양가감정에사로잡혀 있음을 부각시킨다. <버닝>의 후반부 서사의 특징은 해미의 실종 이유 찾기와 벤의 비닐하우스 버닝 여부 확인이라는 두 사건을 관련짓는 방식이다.영화는 종수가 벤의 뒤를 쫓는 장면과종수의 의심을 오히려 의심하게 만드는 요소들을 이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종수와의거리 두기를 유도한다.또한 ‘현실/꿈’의 경계를 흐리는 장면들을 활용하여 눈앞에 나타나는 현실이 종수의 환상이 아닐까라는 의심을 증폭시킨다. 엔딩의 버닝 시퀀스는 내용적으로는 해미를 죽인 벤에 대한 복수를 내용으로 하지만 살인의 형식은 벤의 말에 기초하고 있다.즉 종수의 욕망을 분절하는 것은 ‘버닝’에대한 벤의 욕망이다.불타는 차를 뒤로 하고 현장을 떠나는 엔딩 장면은 종수가 벤의욕망의 수수께끼를 풀고 그를 죽인 것일까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 요컨대<버닝>의 서사적 모호성은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분노와 욕망의 정체에 대한 섣부른 판단의 유보이자 거부를 의미한다.<버닝>은 불확실성의 시대에 오늘날의젊은 세대를 지배하는 분노의 정체와 표출 방식에 대해 새롭게 성찰할 것을 요청하고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