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문해력 지원을 위한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 연구 : 학술잡지 『초기문해력 교육』을 중심으로

        염은열 ( Yeum Eunyeul ),김미혜 ( Kim Mihye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0

        최근 초기 문해력의 차이가 이후에 더 커다란 문해력 및 학습 격차로 이어진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초기 문해력 교육이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초기 문해력 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가능성을 제안하고 검증해온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읽기에 곤란함을 겪는 아이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 방안 및 초기 문해력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은 한국판 리딩 리커버리 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1-2학년 어린 아이들이 도달해야 할 문해력 수준을 가정하며, 하위 20%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 지도를 함으로써 그 아이들을 1-2학년 시기 아이들의 평균 수준에까지 이르도록 지원한다. 읽기 따라잡기 교육의 슬로건은 “아이로부터 출발하라. 그리고 교사를 세워라”이다. 이 슬로건 안에는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의 두 가지 원칙, 즉 ‘개별화된 조기 개입 프로그램’이라는 원칙과 ‘연구에 기반한 균형잡힌 접근법’이라는 원칙이 담겨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술저널 『초기 문해력 교육』에 실려 있는 교사들의 자기비평을 중심으로 읽기 따라잡기 수업의 특성과 초기 문해력 교육 일반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읽기 따라잡기 수업은 문해력과 자존감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2) 읽기 따라잡기 교사들은 끊임없이 아이의 눈높이에서 머무르고자 한다는 것, (3) 교사들은 패턴화된 읽기 따라잡기 수업을 다양하게 재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은 (1) 초기 문해력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을 변화시켰으며, (2) 초기 문해력 시기 교실 밖 문해 환경의 영향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확산시켰고, (3) 실제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이들의 사례를 통해 읽기 따라 잡기 프로그램이 읽기 발달 최하위 학생들이 또래들의 평균적인 수준을 따라잡도록 하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증명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향후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이 지속 가능하면서 보편적인 초기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1) 패턴화된 수업을 넘어서서 다양한 수업 방식을 수용하는 것, (2) 읽기 따라잡기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의 부담을 줄이는 것, (3) 교사의 실천가-연구자로의 성장 과정을 다양화하는 것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Recently, as the perception that the difference in initial literacy leads to a larger literacy and learning gap is spreading, early literacy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This study examines the “Ilg-gi Ttalajabgi (읽기 따라잡기) program,” which has suggested and verified new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of early literacy education and seeks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reading.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is a Korean version of the Reading Recovery Program, which assumes the level of literacy that young children in grades one and two of elementary school should attain. Furthermore, this program supports the lower 20% students in reaching the average level of children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hrough individual guidance. The slogan of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is “Start with the child. And set up teachers.” This slogan encompasses the two principles of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an “individualized early intervention program” and a “research-based, balanced approach.”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g-gi Ttalajabgi class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literacy education in general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self-criticism of teacher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 “Early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1) the Ilg-gi Ttalajabgi clas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literacy and self-esteem, and (2) the Ilg-gi Ttalajabgi teacher continuously tried to remain adapted to the child's eye level. Finally, (3) teachers reconstruct the patterned teaching method in various ways.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is program transformed the paradigm for early literacy education. Second, it sprea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ce of the literacy environment outside the classroom during the early literacy period. Moreover, the actual examples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proved that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was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with the lowest reading development reach the average level of their peers. However, for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and universal early literacy education program, it must (1) allow various teaching methods beyond patterned education and (2) reduce the burden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Ilg-gi Ttalajabgi teacher. Finally, (3)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growth process of teachers as practitionerresearchers.

      • 읽기와 쓰기를 통한 초기 문해력 지도 - 기초학력전담교사의 지도사례 중심으로

        김수정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1 초등국어과교육 Vol.28 No.-

        문해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가 그동안 해온 한글 교육과 문해력 교육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문해력 교육과 한글 교육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한글 교육은 ‘한글’을 가르친다는 말이다. 문해력 교육은 단순히 단어와 문장을 해독하는 것을 넘어 복잡한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고 평가하는 능력까지 모두 아우른다. 문해력 발달 단계에서 초기 문해력은 출생부터 8세까지 발달 기간으로 가정과 학교 교육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특히 초기 문해력은 이후 문해력 발달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수업이 본격화되면서 기초학력 부진 학생이 늘어난 상황에서 학습격차와는 별개로 ‘기초학력’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전라남도교육청은 2020학년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기초학력 전담교사’제도로 초등 정규교사를 배치하여 기초학력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기초학력 전담교사 중 문해력을 전담하는 교사로서 지도한 1학년 조손가정 아이 00이 지도사례를 통해 초기 문해력의 지도 방법과 기초학력에 대한 지원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다중 문해력 교육을 위한 초등영어 디지털 교과서 기반 교수,학습 모형 연구

        임희정 ( Hee Jeong Ih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디지털 시대의 지식, 정보 환경의 변화로 정보를 이해하고 이를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한 문해력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읽기 활동이 문자를 해독하고 단순한 독해 수준 활동을 벗어나 글의 상황, 맥락을 평가하고 글쓴이의 의도를 이해하는 진정한 독서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에서의 문해력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 문해력 지도가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고양 시키고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새로운 관점에서의 영어 문해력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2007년부터 꾸준히 연구되어오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는 학습자 중심의 실제적인 영어 의사소통 중심의 문해력 교육을 할 수 있는 최적의 도구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 디지털 교과서 기반의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연구하고자했다. 본 연구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문해력에 대한 정의가 고찰 되어졌으며,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의 문해력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정보화 시대에 부합하는 디지털 교과서 기반의 문해력 교수·학습 모형을 도출 하고자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모형은 다중 문해력(multiliteracy)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New London 그룹의 문해력 모형, 문화적 문해력, 비판적 문해력, 디지털 문해력 등의 복합적인 문해력 요소를 기초로 이루어졌다. 또한 디지털 교과서가 갖추고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요소(수준별, 상호작용, 과제기반, 스캐폴딩)를 활용하여 상호작용, 실제적인 과업, 문제해결 중심, 과제기반 수업, 다중 문해력 기술의 원칙하에 교수·학습 모형이 개발되어졌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수·학습 모형은 영어 문해력 교육이 좀 더 실제적이고 역동적인 영어 의사소통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The information explosion, which is caus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IT technologies and enables us to access an infinite number of global knowledge sources, triggers our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literacy skills. Today`s literacy education focuses on building skills not only to comprehend text properly but to evaluate it critically. In this regard, the recent trends emphasizing multiliteracy skills fit our needs in preparing students for meeting challenges in the digital era. However, the multiliteracy issue has not been adequately dealt with in the context of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elementary school. In response to such a scant research bas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instruction and learning model to reflect the key elements of multiliteracy, including interaction, critical literacy, context-based learning, and digital literacy, for EFL elementary classes. For the purpose, the elements of the English digital textbook prototypes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regarding how the elements can help students develop their multiliteracy skills. The instruction framework is based on the multiliteracy instruction model, suggested by New London Group, and the principles of content-based instruction and interaction. It is hop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proposed model can draw more research efforts on the issue and provide the teachers with practical assistance in introducing multiliteracy skills into their classroom.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OECD 성인역량조사결과에 나타난 세대 간 문해력의 차이

        황혜진(Hwang, Hye Ji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1 No.-

        문해력은 사용 매체와 소통 방식, 사회적 참여 정도 등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세대 간 문화 차이를 해명할 만한 관건이 되는 문화적 기술이다. 문해력에 대한 국제적인 비교 평가는 일반적인 패턴과 다른 우리의 특징들을 드러내주며, 이를 통해 우리의 사회문화적인 문제를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OECD 성인역량조사(PIAAC)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세대 간 문해력의 차이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만16세 학생들은 2012년도 국제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읽기 영역’에서 전체 참여 국가 중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했는데 성인역량 중 문해력 평가에서는 조사에 참여한 22개 나라(OECD 가입국 기준) 중 12위를 기록하였다. 이 결과는 2001년 같은 조사에서 최하위권에 머물렀던 데 비해 나아진 것이나 청소년층의 높은 성취 기준과 비교할 때는 의외의 결과라 할 것이다. 이를 해명할 단서가 되는 것은 세대 간 문해력의 차이이다. 즉, 한국의 청년층은 문해력이 세계 최고인 데 비해 노년층은 세계 최저 그룹에 속했다. 이런 현상은 세대 간 교육 경험의 차이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어 보인다. 한편, 20대 초반에 정점을 찍은 문해력이 급전직하하는 것은 문제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학습 흥미도나 평생학습 참여율이 낮다는 개인적 차원의 문제로만 볼 수는 없다. 아무리 일상을 영위하고 직업 생활을 하기 위한 역량을 충분히 갖추었어도 그러한 역량을 활용할 기회를 갖지 못한다면 역량 감소는 명약관화하기 때문이다. 급속한 산업화, 정보화의 사회 변동을 거쳐 온 한국사회에서 연령대별 문해력의 차이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육 경험의 차이를 두고 특정 세대를 탓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개인의 동기와 흥미는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20대 초반을 정점으로 하여 나이가 들수록 문해력이 급속히 떨어지는 한국사회의 특이한 현상은 청년들에게 일자리가 주어지지 않거나, 이들의 능력을 개발하고 활용할 노동 환경이 제공되지 않는 현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하겠다. The literac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ersonal ability of methods of communication, ways of using media and participation of society activities. An International test of literacy shows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 This research analyzed OECD test, PIAAC(Programme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and literacy. In 2012 PISA, South Korea’s high-teen students (16 years old) won the second place in the reading ability. But, korean adults were ranked as 12th place among 22 countries in PIAAC’s literacy test. The clue for understanding this unbalanced result is the of literacy between generation. The literacy gap between young-ages and old-ages was closely related with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result shows sudden declination of literacy with aging after peaking at 23-years. This phenomenon was related with the unemployment problem of young generation. They don’t get the chance to develop their skills, as results, lose their abilities rapidly as they grow older.

      • KCI등재

        기독교 문해력과 기도 언어의 상관관계 - 언어의 동일성(identity)와 화행이론(speech-act theory)를 중심으로

        김인수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0 No.89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문해력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중심으로 종교 문해력과 기독교 문해력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탐구하고 ‘기도 언어’가 기독교 문해력을 강화하고 증진하는데 기여함을 입증하고자 한다. 동시에 본 논문은 문해력과 언어 이론 그리고 기도 언어 사이의 상관관계를 구성하는 일에 집중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문해력과 기도 사이를 관통하는 것이 ‘언어’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문해력은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다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문해력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차원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문해력은 급변하는 사회 안에서 자기를 이해하고 세계와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이와 같은 문해력 이해는 종교/기독교 문해력을 탐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종교 문해력은 자기 종교의 체계와 언어에 대해 배움과 동시에 타자의 종교로부터 배움을 포함한다. 나아가 종교 문해력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더불어 종교현상을 이해하는 능력을 뜻한다. 기독교 문해력은 종교 문해력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만, 기독교의 독특한 차원을 배제하지 않는다. 기독교 문해력이란 기독교의 언어와 실천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다. 동시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기독교 고유의 특징에 대해 배우고 이를 표현하는 차원까지 포함한다. 기도는 기독교 문해력을 증진하는 주요한 수단이다. 기도는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대화(말)인 바, 기도 언어의 특징을 살피는 것은 기독교 문해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처럼 문해력과 종교/기독교 문해력, 그리고 기도는 모두 언어적 특징과 더불어 상관관계를 형성한다. 따라서 언어 이론과 기독교 문해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일은 유의미하다. 이를 위해 고틀로프 프레게(Gottlob Frege)의 언어 이론을 살피고 존 오스틴(John L. Austin)의 언어 행위(언어의 효력과 성취) 이론을 중심으로 언어와 기도 그리고 문해력의 상관성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나아가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Ludwig J. J. Wittgenstein)의 언어 사용의 사회적 규칙/맥락의 의미에 대해 살필 것이다. 이를 중심으로 기독교 문해력과 언어의 의미 형성 및 화행이론이 상관관계에 있음을 논증할 것이다. 끝으로, 기도 언어의 초월적 독특성에 대해 살펴볼 계획인데, 특별히 언어의 화행이론(Speech-Act Theory)과 의미의 동일성(Identity) 이론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에 대해 집중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이 설정한 바, 기도 언어가 기독교 문해력 향상에 긍정적으로 활용됨을 논증할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and role of religious literacy and Christian literacy with relations of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literacy, and how ‘prayer language’ can enhance and promote Christian literacy.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constructing a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nd language theory and prayer language, because it is ‘language’ that runs through literacy and prayer. Literacy is generally defined as the ability to read and comprehend. However, literacy expands in polit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The expansion of literacy helps shape identity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by helping people understand themselves and establis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world. This understanding of literacy is the basis for defining religious literacy and Christian literacy. Religious literacy involves learning about the system and language of one’s own religion, as well as learning from the religions of others. Furthermore, religious literac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uniqueness of religious phenomena in relation to politics, economics, society, and culture. Similarly, Christian literacy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religious literacy. However, it does not exclude the distinctive dimensions of Christianity. Prayer is the way by which Christian literacy is enhanced and promoted. Understandings of literacy in general, religious/Christian literacy, and prayer are all shaped by language, and it is therefore relevan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ical discourse on language and Christian literacy. In order to do so, this article will examine Gottlob Frege’s theory of language and John L. Austin’s speech-act theory to explore the connections between language, prayer, and literacy. Furthermore, Ludwig J. J. Wittgenstein’s social rules/contexts of language use will be examined to argue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Christian literacy and the meaning-making and discourse theories of language. Finally, the transcendent uniqueness of prayer language will be examined to argue that prayer language can be positively utilized to enhance Christian literacy.

      • KCI등재

        EFL Learning and Making Meaning of Literacy in the Korean Context

        정선주(Chung, Sun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의 EFL (외국어로서의 영어) 읽기와 쓰기 수업에 있어서 한국 학생들이 영어 학습과 관련하여 비판적 문해력 (critical literacy)과 전통적 문해력 (traditional literacy)의 통합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하는 문제와, 강사가 학생들로 하여금 위 두 가지 문해력의 통합의 중요성을 살펴보도록 어떻게 권장할 수 있는지 하는 문제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a) 비판적 문해력을 통해 읽기와 쓰기 능력을 지원하는 방법, b) 비판적 문해력 의미와 문해력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 이해, 그리고 c) 수업을 통해 EFL 비판적 문해력 향상 방안을 고찰한다. EFL 수업에서 있어서 비판적 문해력에 대한 학생들의 관점 연구와 EFL 수업에 있어서 비판적 문해력 적용 문제의 연구를 위해 교사 연구 방법론을 적용했다. 주된 데이터에는 강사의 교육 일지와 학생의 글쓰기 과제가 포함된다. 연구 결과의 분류를 위해 읽기의 4 가지 패러다임에 의존하여 코드 체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비판적 문해력을 주의 깊은 독서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바, 비판적 문해력은 학생들이 글에 숨겨진 의미를 발견하고 다양한 관점을 심사숙고해 보도록 하며, 나아가 학생들의 독해력을 개발하고,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해 보도록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문해력 증진 방법에 대한 교육학적 제안도 논의한다. The current study explores how Korean students in 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reading and writing elective course in a South Korean university perceive the integration of critical literacy with traditional literacy with regards to learning the English language. The study also considers how the instructor may encourage students to see the value of integrating the two. In doing so, the study specifically examines a) how to support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rough critical literacy, b)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ritical literacy and students’ perspectives towards critical literacy, and c) ways EFL critical literacy develops through the course. A teacher research method was used to explore students’ standpoint on and the application of critical literacy in the EFL course. Primary data includes the instructor’s teaching logbook and students’ written assignments. Relying on the four paradigms of reading, a code scheme was used to categorize the finding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recognize critical literacy as mindful reading, which allowed them to discover embedded meanings in the text and reflect on various points of view. It also assisted in building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and encouraging them to voice their ideas in writing. Pedagogical suggestions on how to promote critical literacy are discussed.

      • KCI등재

        역사 문해력의 개념과 역사교육과정 적용 - 미국, 영국, 호주 교육과정을 사례로 -

        박선경(Park, Seon-kyeong)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7

        이 글은 현재까지 역사 교육 연구에서 역사 문해력(historical literacy)을 바라보는 몇 가지 관점을 살펴보고 이런 관점이 미국, 영국, 호주의 역사교육과정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역사 문해력은 크게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지식의 보유, 역사가의 탐구 과정 수행, 역사의식 함양의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전통적 관점에서 역사 문해력은 역사적 사실을 아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나 역사 교육 연구가 진행되면서 역사 문해력을 역사 탐구 수행 과정에서 동반되는 역사적 사고나 역사의식으로 보는 새로운 관점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본 국가들의 경우 문해력을 역사 교육의 목적이나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역량 중 하나로 규정하였다. 분석 결과, 미국, 영국, 호주 세 나라의 교육과정에서 명시하는 역사 문해력은 공통적으로 역사 탐구 과정에서 작용하는 사고나 기능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관점이 가장 잘 드러나는 것은 미국의 교육과정이었다. 영국의 교육과정에는 역사 지식과 역사 탐구 수행 능력을 강조하는 역사 문해력의 관점이 동시에 반영되어 있었다. 호주의 경우에는 교육과정총론에서 제시된 범교과 차원의 문해력을 역사 교과에 통합하여 가르치고 있었다. 이때의 역사 문해력은 역사 텍스트를 읽고 의미를 구성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했다. 현재까지 역사 문해력이 학교 역사 교육에 미치는 뚜렷한 영향과 변화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역사교육과정에 반영된 역사 문해력도 대부분 역사 텍스트 읽고 쓰기에 집중되어 역사적 사고 및 역사의식 함양과 관련된 역사 문해력의 요소를 제시하지 못하였다. 이는 역사 문해력 개념이 추상적 성격을 가지며, 이를 보는 관점이 다양하다는데 기인한다. 그러나 역사 문해력의 성격을 구체화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은 역사 문해력 학습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고 제시하는 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veral perspectives on historical literacy in the previous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up to now and to look into how these perspectives are reflec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In the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so far, historical literacy has been largely discussed in three aspects such as having knowledge on historical facts, performing the inquiry process by historians, and cultivating historical consciousness. From a traditional perspective, historical literacy has meant knowing lots of historical facts. However, as studies on historical literacy have been gradually conducted, new perspectives on historical literacy are drawing attention as historical thinking or historical consciousness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conducting historical inquiry. The countries that have sought the increase of historical literacy as a goal of history education and have reflected it in the curriculum ar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These countries define literacy as one of the purposes of history education or the capabilities to teach for stud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storical literac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of the three countries commonly referred to thinking or skill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conducting historical inquiry. This perspective is emphasized in the United States history curriculum. In the case of the United kingdom history curriculum,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literacy as knowledge of historical facts and the ability to conduct historical inquiry were compromised. In Australia, literacy has been presented as a general capability at the level of general introduction and it refers to the ability to read text and construct meaning. In Australia, teachers have incorporated general literacy into a specific curriculum and have taught it to students. Despite the high interest in literacy and active theoretical discussions in recent studies on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obvious impacts and changes that affect history education. As historical literacy that is even reflected in the curriculum mostly focus on reading and writing historical texts, it could not extend the discussion to present elements of historical literacy associated with historical thinking and cultiv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curriculum. Because, it might be difficult to define the concept clearly due to the nature of historical literacy. There are some parts that are overlapped in the perspectives of historical literacy presented in this study. Nevertheless, consistent effort to clarify the nature of historical literacy will have implications for selecting the content of education on historical literacy and suggesting specific learning methods.

      • KCI등재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

        김병수(Kim, Byoung­su),이현명(Lee, Hyun­Myo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67 No.-

        본 연구는 교육과정 문해력 연구 중에서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교육과정 문해력의 사례를 분석하여 문해력 단계를 구체화하고 이를 통해 교사들의 전문성 단계(예비교사와 경력교사) 또는 관점에 따른 교육과정 문해력의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예비교사와 경력교사로 구분된다. 예비교사는 C교육대 학교 국어교육과 4학년 9명으로 교육실습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력교사는 교육과정 문해력 탐색을 위해 참여관찰을 했던 경력 10년 이상의 교사 5명과 참여관찰에 어려움이 있어 개별적으로 동영상을 보내준 경력 10년 이상의 교사 1명을 포함한 총 6명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예비 교사 수업 10편과 경력교사 수업 9편을 수집하여 비교하였다. 예비교사와 경력교사 간 교육과정 문해력의 수준을 비교해 본 결과각 집단 간의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단지 몇 가지의 특징을 들 수 있었는데, 예비교사는 교과서를 통한 교과서의 내용을 이해하고 있었고, 경력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서 교육과정 내용의 성취 기준을 강조하고 있었다. 수업 지도안에 나타나는 교육과정 문해력은 형식적인 수업 지도안이나 수업 모형을 강조하는 측면도 있었고,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격을 이해하고, 성취 기준에 있는 내용 요소와 기능 요소를 잘 반영한 수업들도 있었다. 교육과정 문해력에 대한 계속되는 연구는 교사가 수업 전문성뿐만 아니라, 개별 수업의 토대로 작용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전문성 신장에 목적을 둔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지 이 연구 에서 시도된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에 대한 구분은 연구자가 잠정적으로 구분한 것이며, 이에 대한 타당성은 계속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 발달과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발달과는 꼭 일치하지는 않는 것임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It articulates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by analyzing a number of cases of curriculum literacy practices.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n attempt to identify certain features of curriculum literacy in terms of its perspective or level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pre-service teacher and veteran teacher)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divided into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 9 pre-service teachers were seniors at the Korean education department who were placed in practicum. 6 in-service teachers were veteran teachers who were more than 10 year teaching experiences and involved in classroom observation for exploring curriculum literacy.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compared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For this purpose, these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10 class videos from the pre-service teacher and 9 class videos from the veteran teacher. As a result, there was no distinctive tendency observed between these two groups in comparison of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However,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were constantly unfolded. For instance, pre-service teachers understood the content of teaching through a textbook itself. Veteran teachers emphasized more on achievement standards for curriculum contents than pre-service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in the lesson plan was underscored a forma lesson plan or an instructional model and understood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some of teaching was throughly reflect on content and functional el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A purpose of the continuous study of curriculum literacy was not only promoting the professionalization of teaching but also fostering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regarding curriculum based on each individual class. However, levels of curriculum literacy in this study were provisionally classified and constantly discussed its trustworthiness. These researcher came to realize that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literacy level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not necessarily matched.

      • KCI등재

        아동기 문해력 발달 격차에 대한 문제해결적 접근

        엄훈 한국독서학회 2019 독서연구 Vol.0 No.50

        This study diagnoses childhood literacy development gap in Korea and probes problem-solving solutions to it in the school system. The concept of childhood literacy has appeared in the trend of approach to literacy development in the viewpoint of sociocultural development of human. Childhood literacy encompasses early childhood,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t literacy, covering from the birth to the 12th grade in Korean education system. Early childhood literacy has shown big development gap in the early age of school entrance and it becomes bigger in the course of schooling. The development gap of early childhood literacy continues into middle childhood and so on into adolescent literacy increasingly. The problem-solving point of development gap of childhood literacy is early intervention which discontinues the chain of Matthew effect at the starting point. The key of the early intervention is to support children to stand at the same starting point of literacy development especially at the age of 1st grade. It realizes in two tracks, by classroom teaching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The latter gives short term intensive course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to the lowest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so as to catch up classroom average level. The essential prerequisite of the successful individualized instruction is the trained professional teachers. 이 연구는 아동기 문해력의 발달 격차 문제를 진단하고 한국 공교육의 테두리 안에서 문제해결의 방안을 모색한다. 먼저 연구의 출발점이 되는 아동기 문해력의 개념을 탐구한다. 아동기 문해력은 최근 문해력 발달을 인간의 사회문화적 발달을 중심으로 규정하려는 학계의 주류적 흐름에 따라 등장한 개념으로 초기 아동기 문해력, 중기 아동기 문해력, 그리고 청소년 문해력을 아우른다. 한국의 학제를 기준으로 볼 때 아동기 문해력은 출생 직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문해력 발달 양상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초기 문해력이라 불리는 초기 아동기 문해력은 학교에 들어올 무렵 이미 심각한 발달 격차를 보이며, 학교생활의 시작과 함께 그 발달 격차가 심화되고 증폭된다. 초기 아동기 문해력의 발달 격차는 중기 아동기 문해력의 발달 격차로, 그리고 청소년 문해력의 발달 격차로까지 이어진다. 아동기 문해력 발달 격차에 대한 문제해결의 포인트는 문제의 출발점에서 매튜 이펙트의 고리를 끊는 초기 문해력 조기 개입 정책이다. 초기 문해력 조기 개입의 핵심은 초등학교 저학년, 특히 1학년 아동들이 문해력 발달의 측면에서 동일한 출발점에 설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는 교실 수업과 개별화 수업이라는 두 개의 트랙으로 구현될 수 있다. 후자는 교실 수업이 효과가 없는 문해력 발달 최저 수준의 아동들에게 단기의 집중적인 개별화 수업을 하여 평균 수준을 따라잡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초기 문해력 교육 전문성을 갖추고 개별화 수업을 전담할 수 있는 전문 교사가 양성되고 배치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발달적 관점에서의 문해력 교육 실행 방향 - 초등학교 교육 방향을 중심으로 -

        제민경 한국어교육학회 2024 국어교육 Vol.- No.184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적 관점에서 초등 문해력 교육의 지향을 단계별로 제안하는 데 있다. 문해력 개념이 지니는 다층적 속성에 대한 현장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교사 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발달적 관점에서 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기 위해 문해력 발달과 언어 발달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토대로 2학년과 3학년 사이를 주요 변곡점으로 보아 문해력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해력의 다층적 속성에 주목하여 목적, 매체, 화제(분야) 범주를 중심으로 목적 범주의 초기 문해력, 기능적 문해력, 비판적 문해력, 매체 범주의 미디어 문해력, 화제(분야) 범주의 일상적 문해력, 학문적 문해력, 문화적 문해력을 핵심 문해력으로 제시하고, 이를 학년군별로 강조점을 달리하여 배열하였다. 아동의 문해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일상적 문해력, 구두 언어의 고려를 강조하였고, 초등학교급에서도 학문적 문해력을 고려해야 함을 역설하였다. 다양한 준거 개발을 통한 실제적인 수준별 텍스트를 통해 문해력 발달과 향상이 동시에 지원되어야 함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ep-by-step direction for elementary literacy education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A survey of 66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to confirm awareness of the concept of literacy, and research on literacy and language development was conducted to present educational goals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Based on this review, the direction of literacy education was presented, considering the age of 10(third grade)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addition, literacy was multi-layered around the categories of purpose, medium, and topic(field). Early , functional, critical, media, everyday, academic, and cultural literacy were selected as core literacy skills and arranged by grade group in consideration of developmental stage. As a result, the consideration of everyday literacy and verbal language for literacy development was emphasized, and it was stressed that disciplinary literacy should be considered eve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o improve literacy. It was also suggest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xts by levels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