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와 반성성: 「온에어」를 중심으로

        주현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0 No.-

        The meta-language in the meta-television drama refers to reflexive devices used in the TV drama text to describe a television world itself. On Air which can be called a television drama on a television drama may be asserted as a meta-television drama. This paper begins with a discussion trying to reveal the aesthetic significance and limits of On Air as a meta television drama. The first section raises issues around narrative discontinuity and artificiality suggested from reflexive devices in the meta television drama such as cameo appearances, intertextuality and drama on drama. The production of meta-television text's meaning is also deeply involved in the acceptance of meta-television text's meaning. The second section thereby examines how components of fictional universe in the meta television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udience's acceptance in the real world and develop a critical claim for thinking about their complex relationship. Although the story of On Air deals with fictional universe related to television drama production, it even goes beyond the fiction and crosses the border between the fictional and the actual world. The more contents of On Air is tilted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of configuring their own TV shows, the more it is attracting viewers external to the TV drama. Because it reminds viewers that fictional narrative of the television drama production of On Air is associated with the actual reality of a television drama production. The paradox of text refers to this point. However, the viewers do not only come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fictional world. As a meta-television drama, On Air deals with how to produce a television drama. Moreover, it critically comments about a television drama production process. When the existing conventions of television drama production are criticised in On Air, viewers are set outside the fictional world, perceive the fictional world as defamilized, and do rational thinking about the prior norms of television drama production. Viewers generate move-trajectory comprised of a series of random steps outside-inside the fictional world. The paradox of viewers refers to this point. In the meta-television drama On Air, viewers are television readers, writer as co-producer and, at the same time, critics to intensely grip the issues of television industry.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에서의 메타언어란 텔레비전 세계 자체를 설명하기 위해 TV 드라마 텍스트에 사용된 반성적 장치들을 일컫는다.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텔레비전 드라마라 할 수 있는 「온에어」는 자신이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임을 명시적으로 표방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고의 논의는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로서 「온에어」의 미학적 성과와 의의를 가늠하려 시작된다.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반성적 장치가 드러내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인공성과 그로 인한 서사적 불연속성을 실제 인물의 카메오 출현, 상호텍스트성 그리고 극중극 등 인물, 대사, 구조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의 의미 생산은 또한 의미 수용의 양상과 깊이 연루된다. 그래서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의 허구적 세계의 생산이 어떻게 실제 경험 세계에서의 시청자의 수용과 긴밀히 연결되면서도 복합적 양상을 띠게 되는지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고찰한다. 텔레비전 드라마 생산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는 「온에어」의 세계는 허구일지라도 허구를 넘어 허구와 실제를 횡단한다. 「온에어」의 내용이 텔레비전 드라마 자신의 구성 과정에 관심을 기울이면 기울일수록 동시에 그 관심은 시청자를 끌어들이면서 텔레비전 드라마 자기 자신의 외부를 지향하게 된다. 시청자가 「온에어」의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 현실을 실제 텔레비전 드라마 제작 현실과 얼마든지 관련지을 수 있는 까닭에서다. 텍스트의 패러독스란 바로 이점을 지칭한다. 그러나 시청자가 극중 세계에 밀착하거나 동일화되는 양상만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온에어」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어떻게 생산되는지를 다루고 있지만 한편으로 텔레비전 드라마 텍스트 생산 과정에 대한 비평적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텔레비전 드라마 텍스트 제작 현실의 관행이 「온에어」에서 비판될 때 시청자는 극중 세계 외부로 물러나 생소화 효과를 경험하면서 이성적 사유를 거듭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시청자는 극중 세계 내부에 있다가 외부로 물러나오는 식의 궤적을 반복한다. 시청자의 패러독스는 이점을 가리킨다. 메타 텔레비전 드라마 「온에어」에서 시청자는 공동생산자로서 작가이자, 텔레비전을 보는 시청자이며, 동시에 극중 세계에서 제기된 텔레비전 산업 현실의 문제를 고찰하는 비평가로서의 위상 등을 점하는 것으로 다변화되는 셈이다.

      • KCI등재

        아바타를 사용한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 관객 참여 경험

        조성희,김국중,김진현,이순섭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2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5 No.2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audienc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Metaverse sociodrama using avatar. The participants were 10 psychodramatists who participated Metaverse sociodrama via zoom on January 22, 2022,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8 thematic clusters and 21themes were derived, and the thematic clusters were ‘doubt about unfamiliar metaverse sociodrama and the use of avatar’, ‘lighting up about a totally strange thing’, ‘avatar seeming insufficient as a replacement’, ‘welling up to participate’, ‘encounter with avatars delivering their mind’, ‘finding a secure base behind avatar’, ‘witnessing metaverse sociodrama as a new horizon’, and ‘hope for metaverse sociodrama to expand and progress.’ The result showed that audience became involved with role players who used avatar body and were able to share feeling and thoughts. Audience witnessed those role players behind avatar fully with safe expressing their feelings and thoughts, and discovered positive functions of metaverse sociodrama, which was found as the meaning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아바타를 사용한 메타버스 공간에서 진행된 소시오드라마에 Zoom으로 참여한 관객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2022년 1월 22일 메타버스를 이용한 소시오드라마에 참여한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10명이며, Colaizz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8개의 주제군과 21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주제군은 ‘생소한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와 아바타 사용에 대한 의구심’, ‘한 번도 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설레임’, ‘아바타가 사람을 대신하기에는 미흡해 보임’, ‘해볼까 하는 마음이 솟아남’, ‘마음을 전하는 아바타와 만남’, ‘아바타 뒤에서 보호받을 수 있음을 발견함’,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 참여로 새 지평이 열림’,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의 확장과 발전을 희망함’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에 참여한 관객은 아바타의 몸을 빌려서 역할 놀이를 하는 보조자들에게 몰입하면서 감정과 생각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바타 뒤에 있는 역할 놀이 보조자들이 안전하게 감정과 생각을 표출하는 것을 목격하면서 관객이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의 긍정적 기능을 밝혔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몰입·창의성 공간 메타버스에서의 문학콘텐츠: ‘제페토 드라마’를 중심으로

        차진명,송지혜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new way of enjoying literature after the global pandemic, based on ‘ZEPETO Drama’, a creative literary play that took place in the metaverse. The MZ generation, who are already familiar with digital since birth and growing up, has emerged as a major tier of consumption and enjoyment in the cultural industr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break away from the idea that literature should be experienced only through the face-to-face method of the analog world and focus on the case of literary communication using multimedia channels.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reative behavior and enjoyment of literary contents in the metaverse.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reasons for the rapid rise in popularity of the metaverse after the global pandemic, and examines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literary contents in the metaverse space. Second, we looked at the cases of creative literary play that appeared in the metaverse. As an example, the ZEPETO drama of 'Lee-Ho(YouTube content creator)', a user who works as a ‘ZEPETO Creator’ on ZEPETO, a metaverse platform, was selected as a verification case. Third, based on Mihaly Csikszentmihalyi's theory, the metaverse, a digital virtual world, proved to be an immersive space and a space of creativity, and for this reason, the creative literary play ZEPETO Drama could be created indu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taverse is an appropriate space for metaverse users to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through immersion experiences. In addition, through the study of ZEPETO drama, a case of creative literary pla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of literary contents that the next generation can enjoy is sufficiently possible through the metaverse. Although this study is still an experimental metaverse literary pla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sufficiently open development potential. 이 논문은 메타버스에서의 창의적 문학 놀이 결과물인 ‘제페토 드라마’를 바탕으로, 전 세계적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나타난 문학 향유의 새로운 방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나고 자랄 때부터 디지털이 익숙한 MZ세대는 문화 산업 소비와 향유의 주요한 주체로 부상하고 있다. 펜데믹의 상황은 아날로그 세계의 대면 방식으로만 문학을 경험해야 한다는 사고에서 탈피할 것을 촉구하였고,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창구인 메타버스를 활용한 새로운 문학적 소통 사례에 집중할 필요성이 생겼다. 이러한 문제 제기에 따라 먼저 본고는 세계적 펜데믹 이후 메타버스가 부상하게 된 이유를 간단히 살펴보았으며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문학콘텐츠 창작과 향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메타버스 사용자들의 창의적 문학 놀이는 문학콘텐츠인 메타버스 드라마를 탄생시켰다. 본고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에서 ‘제페토 드라마’ 창작자로 활동하는 ‘제페토 크리에이터’ 이호를 예시로 선정하여 소개했다. 이후 본고는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과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메타버스가 몰입 공간이자 창의성의 공간임을 입증하고, 그러한 특질로 인해 ‘제페토 드라마’가 탄생할 수 있었음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메타버스가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의 경험을 통해 창의적 행위를 하기 적절한 공간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창의적 문학 놀이 결과물에 해당하는 제페토 드라마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향유할 수 있는 문학콘텐츠의 발생이 메타버스를 통해 충분히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아직 실험대에 놓인 메타버스 속 문학 놀이일지라도 그것의 충분하게 열린 발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메타버스에서의 소시오드라마 시연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중심으로

        조성희,김국중,김진현,박수병,오혜성,이순섭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2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o find out what participants experienced from the course of demonstrating the sociodrama program in Metaverse by use of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did participants experience from demonstrating a metaverse sociodrama?’ Subjects were six psychodramatists, who had five intensive meetings online inside metaverse and on Zoom from December 2021 till January 2022, and after demonstration, they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 sessions. The result of the study derived 10 themes and 7 thematic clusters such as ‘feeling fear and refusal about something new to try’, ‘joy of play inside metaverse space’, ‘challenging to do a metaverse sociodrama’, ‘concerns about metaverse sociodrama’, ‘expansion of encounters’, ‘feeling of delight and achievement’, ‘new ideas from experiences.’ The study helped to see the possibility of doing sociodrama in metaverse, and see the need to continue to develop programs suitable to age, subject, and social issues. 본 연구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소시오드라마 시연을 하기까지 참여자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살펴보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소시오드라마 시연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사이코드라마 전문가 6명이며,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메타버스 활용 소시오드라마 시연을 위해 다섯 차례 모임을 가졌고, 시연 후에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본 연구 결과 20개의 주제와 7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제군은 ‘처음 시도하는 데서 오는 두려움과 거부감’, ‘메타버스 공간에서 놀이의 즐거움’,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 시도에 대한 도전의식’, ‘메타버스 소시오드라마에 대한 염려’, ‘만남의 확장’, ‘함께 목표에 도달한 것에 대한 기쁨’, ‘경험을 통해 얻은 새로운 아이디어’ 등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소시오드라마가 메타버스 공간에서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연령별, 대상별, 이슈별로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였다.

      • KCI등재

        메타양식에 관한 소고: 문학, 건축 및 메타버스를 중심으로

        변형택 인문예술학회 2021 인문과 예술 Vol.- No.11

        Examining a few core meta-qualities presented in as early as ancient literature, especially in drama, this study aims to apply them to the scopes of architecture and metaverse and clarify various artistic genres as well as cutting-edge technological field of metaverse have some meta-insights of humanities in common. A series of meta-dramatic qualities such as drama-within-drama, intertextuality, self-reflexivity, and mise-en-abyme are introduced for this academic purpose. The drama-within-drama device is deemed to be a story-within-story in Kim Young-ha’s novel Why Arang, a structure-within-structure in architect Seo Do-ho’s works, and in Health Education Building as Kansas Universuty. Self-reflexivity, a mirror image refecting each other, serves as an essential clue explaining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Building O at Antwarf University and in Ehwa Campus Center. Metaverse, a new contemporary meta-version of mise-en-abyme, offers its participants a ‘brave new world,’ enabling them to share interactive and self-reflexive experience in the real online time and space. 본 논문은 메타드라마의 몇 가지 고유한 양식이 다른 장르의 문학, 건축, 영화, 메타버스에 이르기까지 작품 혹은 창작물의 핵심 원리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에이블과 혼비 등의 학자들의 학문적 결실 덕에 다른 장르보다 일찍 자리매김한 메타드라마 이론은 점차 소설과 시의 영역에서도 유효한 이론으로 적극적으로 수용되기도 한다. 이런 원리는 현대에 와서 더욱 정교해지고 복잡해지는 여러 예술 장르뿐만 아니라 심지어 최첨단 메타버스의 쌍방향의 소통방식에도 잘 부합하며 더욱 유의할 점으로 건축과 메타버스같은 기술공학적 분야에도 인문학적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이다. 극중극, 상호텍스트성, 복제로서 미장 아빔, 경계허물기 등의 메타드라마의 대표적인 양식이자 특징은 문학의 경우 오규원의 시와 김영하의 소설의 해석에도 의미심장한 단서를 제시하며, 이는 해외와 국내의 중요한 건축 혹은 설치작품에도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첨단 문명 영역이라 할 메타버스 공간에서도 복제와 상호텍스트성, 자체반영 등의 메타적 양식은 작동 원리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인간의 취약성이 그대로 드러나는 오늘날 새로운 차원의 소통 양식으로서 매우 바람직하고 유효한 근거를 제시한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사례 연구 : 그린피그의 < 두뇌수술 >, < 아무튼백석 >, < 나는야쎅스왕 >을 중심으로

        김혜연 ( Hye You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base of deep introspection on field works by concretely analyzing each processes of three productions in which I worked with the same theatre and director. Analysis objects are working processes as a dramaturg of < Brain Surgery >, < Anyway, Baik Seok >, and < I am a Sexking >. < Brain Surgery > is made on the basis of a play written in 1945, whereas < Anyway, Baik Seok > and < I am Sexking > are devised theatres. As a result, I have discovered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production based on a precedent script, dramaturgical works were relatively well-organiz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oduction which has no precedent script, the system of dramaturgical works was unclear, confusing and in discord. The systemicity of the process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these are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cases. In addition, these are good in terms of stable working process but have limits in terms of emergence of new dramaturgy. Secondly, all those three productions showed postdramatic processes and outputs.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precedent scripts, the following two facts are evidences that all these three productions are postdramatic. One is the fact that we couldn`t make any blueprint on the final output during the process. The other is the fact that we considered the script(even in the case of the precedent script) as one of the materials like any other factors of the performance. Thirdly, metacognition towards the theatre itself and towards the role of a dramaturg formed a great part of all three productions. I had to constantly cross the borderlines of the theatre concept and the role of a dramaturg.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I could draw several introspections as follows on the role of a dramaturg in the postdramatic theatres. First, Dramaturgy should be related more closely with actual influences which a dramaturg makes for the final output, rather than with literary sensitivity which makes a dramaturg read the text properly. Therefore we need to free from the thought that the text analysis done by a dramaturg should be carried out as it is or in a literarily proper way. In other words, a dramaturg`s work itself can be another source for the production without reference to offer good analysis. Secondly, even though we cannot preliminarily define the role of a dramaturg in the devised theatre, it does not mean that it is unclear. This role certainly exist but not steady. In this sense, we can characterize the role of a dramaturg in the devised theatre as a main agent of metacognition. So I propose that we install processes of consultation for this metacognition works apart from the devising process. 이 연구는 드라마투르그로서 동일한 극단 및 연출과 함께 작업한 세 작품의제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장 작업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의 대상은 그린피그의 공연 < 두뇌수술 >, < 아무튼백석 >, < 나는야쎅스왕 >의 작업 과정이다. < 두뇌수술 >은 1945 년의 희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 아무튼백석 >과 < 나는야쎅스왕 >은 공동창작 작품이다.1)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희곡 텍스트가 선행한 작업의 경우 드라마투르기 작업 과정의 체계가 비교적 잘 잡혀 있었다. 반면, 선행하지 않은 작업의 경우 과정의 체계가 불분명하고 혼란과 충돌이 상대적으로 컸다. 결국 작업의 체계성과 합리적 의사 결정, 이 두 가지 사항은 희곡텍스트가 선행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이의 가장 큰 차이이며 안정적인 작업 진행이라는 점에서는 좋지만 새로운 드라마투르기의 출현과 관련해서는 오히려 제한이 될 수 있다. 둘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세 작품 모두 포스트드라마적인 작업 과정과 결과물을 보여준다. 희곡이 선행했건 선행하지 않았건, 우리가 만들 작품의 청사진을 그려볼 수 없었다는 점, 희곡이 선행한 경우마저도 해당 희곡을 공연의 다른 요소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재료로서 파악하였다는 점 등은 포스트드라마적인 속성과 관련된다고 본다. 셋째, 세 작업모두에 있어서 연극 및 드라마투르그 역할에 대한 메타적 인식이 늘 크게 작용하였다. ``연극이란, 공연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경계를 스스로건, 협의 과정에서건 끊임없이 넘나들어야 할 필요가 있었으며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변화를 겪어야 했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트드라마 작품의 드라마투르그 역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성찰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드라마투르기는 문학적감수성을 바탕으로 작품을 얼마나 제대로 읽어내는가에 달려있기보다는 그것이 공연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 어떤 의미를 줄 것인가에 더욱 밀접하게 관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드라마투르그의 작품 분석이 그대로 공연화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서 분석 자체가 공연의 하나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식의 개입 방식도 필요하다. 둘째, 공동창작의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사전에정의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곧 불분명하다는 의미인 것은 아니며 그 역할은 분명히 존재하되 고정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뿐이다. 그런 차원에서 공동창작이산으로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메타적 인식의 주체로서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규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타적 인식과 관련된 협의 과정을 공동창작 과정과는 별도로 설정해 둘 것을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

        드라마(Drama) 활용 초등영어교육의 효과 : 메타분석

        김현숙(Kim, Hyun-Sook),이제영(Lee, J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3

        본 연구의 목적은 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영어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드라마 활용 영어교육의 효과를 탐색한 24개의 실험 연구를 수집하여 각 연구에 수록된 평균, 표준편차, 사례 수 등의 데이터를 통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메타분석에서는 드라마 활용 초등영어교육의 전체 효과는 물론, 각 연구 사례를 학년, 실험기간, 드라마 유형, 대본 유무, 대본 제작 주체, 드라마 기법 등의 조절변인과 영어능력, 정의적 영역 등의 종 속변인으로 구분하여 변인별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영어교육의 전체효과크기는 .654 (z=13.120, p=.000)로서 중간크기의 효과에 해당되었다. 세부 조절변인 별로는 저학년군인 3-4학년이 고학년군인 5-6학년보다, 실험기간은 1-8주의 단기간의 처치가 17주 이상의 장기간의 교육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하여 드라마를 활용한 교육은 초등학생들의 영어능력과 정의적 영역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using drama in primary school through quantitative meta-analysis. This study selected 24 experimental studies on teaching English language using drama for primary school students. Statistical data from individual studies such as the number of subject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nalyzed by meta-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mean effect size of the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using drama in primary school, the differences among 9 sub-categories such as grade, treatment period, drama type, drama techniques and the differences among dependent variables such as English competence and affective factors. The mean effect size of the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using drama in primary school was .654 (z=13.120, p=.000), a middle-sized effect. The low level grades (3-4 grade)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high level grades (5-6 grade). For the short-term treatment period, 1-8 weeks was more effective than the long-term period(over 17 weeks). Through these findings, the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using drama showed that it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prim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케이드라마 인 더 트랩 - 삼국 합작 웹드라마 <드라마월드(Dramaworld)>를 중심으로 -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2

        Dramaworld is a Web Drama produced by jointing the human resources and capital of thre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Korea. This bilingual drama delivered worldwide via Viki, a global video streaming platform, consists of a total of 10 episodes. However, because each episode is just over 15 minutes, the overall running time does not take no longer than an hour. Dramaworld is fantasy on adventures that Claire-an American college girl fascinated by Korean Television Dramas or ‘K-Dramas’-enters in the world of the drama she regularly watches. This drama almost fully shows a cliche regarded as embarrassment of Korean Television Dramas. In addition, it is compiled as a handbook with the same title of this drama Dramaworld to wittily satirize ‘Laws’ of Korean Television Dramas. In light of the script, directing, and the career of the main actors and actresses, Dramaworld is a trilateral joint drama.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a drama created by the United States and Americans. From this perspectiv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Dramaworld is the production of Orientalism edited with a focus on Korean screens captured newly and strangely to the viewpoints of the United States and Americans. Dramaworld has a series of scenes open to censure with the expression of ‘Makjang(over-the-top)’ even in Korea. Dramaworld, which can be regarded as a truce face of Korean Television Dramas, clearly shows an immediate environment of Korea as transnational culture contents in the age of glocal televis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Dramaworld is a drama to provoke serious and severe self-reflection as a clear sign that Korean Television Dramas considered as a leading character of the Korean Wave(韓流) can be a just fleeting preference suitable for the fond of novelty of the West and Westerners. <드라마월드>는 미국․중국․한국 등 삼국의 인력과 자본이 합작하여 만든 웹드라마이다. 글로벌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비키’를 통해 전 세계로 제공되는 이 이중어 드라마는 총10회에 달하지만, 15분 남짓의 짧은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 러닝타임 역시 채 세 시간이 되지 않는다. <드라마월드>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즉 ‘케이드라마’에 심취한 미국 여대생 클레어가 자신이 애청하던 드라마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겪는 모험을 다룬 환상물이다. 드라마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치부로 여겨지던 진부한 클리셰를 거의 빠짐없이 선보인다. 그리고 그것은 『드라마월드』라는 드라마의 제목과 동일한 핸드북으로 집대성되어,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법칙’을 재기발랄하게 꼬집는다. 극본과 연출과 주요 배우군의 이력을 감안했을 때, <드라마월드>는 삼국 합작이지만 사실상 미국(인)에 의해 제작된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드라마월드>는 미국(인)의 시선에 신이하게 포착된 한국의 화면 위주로 편집된 오리엔탈리즘의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드라마월드>는 정작 한국에서조차 ‘막장’이라는 표현과 더불어 비난을 면치 못하는 장면들로 점철되어 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민낯이라고 할 수 있는 <드라마월드>는 21세기 글로컬 텔레비전의 시대에 초국적 문화콘텐츠로서 한국의 그것이 처한 현재를 여실히 보여준다. <드라마월드>는 한류를 이끄는 주역으로 간주되어 온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실은 서양(인)의 독특한 이색 취향에 맞춤하게 부합한 잠시 잠깐의 기호품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는 명백한 표징으로서 심각하고 진지한 자성을 환기시키는 드라마이다.

      • KCI등재

        Palmer의 배움의 공간 개념과 메타버스 가상공간 연결을 통한 기독교교육 가능성 연구 : ‘제페토’를 활용한 ‘가상공간 바이블드라마

        이화정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2 복음과 실천신학 Vol.63 No.-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교육을 위한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기독교교육을 공간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에 기독교교육을 실행하는 공간으로서 메타버스 가상공간이 얼마나 부합하는지 탐색하였고 기독교교육에서 공간의 형성을 강조한 Parker J. Palmer의 이론을 토대로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기독교교육을 제안하였다. Palmer는 배움의 공간이 ‘개방성’, ‘경계’, ‘환대’가 있을 때 조성된다고 보았으며 이를 위해 ‘물리적 공간’, ‘개념적 공간’, ‘극적인 공간’이라는 공간적 요소를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이 세 가지 공간 요소를 가상공간 기독교교육의 설계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극적인 공간’이 성경을 교육하기에 매우 효과적인 공간형식으로 보고 ‘극적인 공간’을 형성해줄 수 있는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바이블드라마를 시도하였다. 이에 누가복음 16장 ‘부자와 나사로’를 주제로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통해 ‘가상공간 바이블드라마’를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한 신앙교육적 의의를 정리하고 향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그동안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던 메타버스 가상공간의 기독교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실제적으로 기여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드라마의 교육 방법적 활용 방안 모색 : 과정 드라마를 통한 개념 탐구

        김주연 ( Joo Yo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2 드라마연구 Vol.- No.38

        In 2011,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has launched educational drama program which helps teachers teach their subjects with dramatic methods. This attempt reflects a trend that educational drama is rapidly booming nowadays and gives rise to deeper discussion of drama as a learning medium. Specially, the employment of dramatic method is done mainly in primary school so that it remains as simple mechanical applications of dramatic conventions. Hence, dramatic method for acquiring complex concepts is demand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suggests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which is regarded as a method to encompass a wide range of meaning making. In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three- layered meaning can be produced: meaning coming from identification; meaning coming from distancing; meaning coming from metaxis. Having included a variety of meaning making,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is appropriate for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Besides, this study provides the principle of process-centered drama which is emotional engagement and critical detachment. To embody this principle, devices are listed: living through drama, interest and consensus, teacher-in-role, finding connection, critical reflection and self-spectatorship. The outcome of application of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into middle school classroom is persuasively positiv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Heathcote`s process-centered drama as an effective learning medium for understanding complex concepts. Emotional engagement and critical detachment ar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process-centered drama. 2011년 서울시 교육청의 중학교 교과연계 연극 교육 프로그램은 교육 방법으로서의 연극 활용이 그동안 진행되어온 소규모 단위에서, 행정 자치 수준의 대단위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확대는 초등학교 중심의 매뉴얼식 연극 활용이라는 그동안 진행되어온 접근 방식에 대한 다양화의 필요성을 낳았다. 특히 이번 서울시 교육청 프로그램이 선택한 중학교 교육과정은 복잡한 과정을 요하는 개념과 원리 탐구가 주를 이뤄, 이에 어울리는 교육 연극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중학교 이상 교육과정의 개념과 원리 탐구를 위한 방법으로서 히스코트의 과정 드라마를 제시한다. 히스코트의 과정드라마는 세 층위의 의미-동일시에서의 의미, 거리두기에서의 의미, 메타시스 의미-를 허락함으로써 복잡한 과정을 요하는 개념 탐구에 효과적 방법으로 기능할 수 있다. 더불어 히스코트 과정 드라마의 작동 원리와 그 원리 구현을 위한 장치들도 제시하였는데, 과정 드라마는 감정적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 원리로 구성되며 이를 위한 장치로 ``살아보기 드라마(living through drama)``, ``관심과 합의``, ``역할 내 교사``, ``연결 지점 찾기`` 그리고 ``비판적 성찰``, ``자기-관객 개념(self-spectatorship)등이 있다. 이러한 원리와 장치를 지닌 과정드라마를 실제 중학교에 적용해본 결과 그 효과가 설득력 있게 드러났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층적 개념 이해를 위한 연극 교육 방법으로서 과정드라마를 제안하면서, 이를 실제 적용할 시 감정적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가 필요충분조건임을 강조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