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구치의 맹출 장애에 관한 조사 연구

        이종범,장철호,김종철,한세현,이상훈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1

        맹출 중인 치아는 오랜 기간 동안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위의 여러 요인들, 즉 유치의 조기 상실, 과잉치, 국소적 병소, 혀, 입술, 저작근, 외상 등에 의해서 다양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요인들이 작용할 경우 치아의 정상적인 맹출 과정이 방해를 받게 되어 치아의 맹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2004년 1월 2일부터 2005년 12월 31일까지 신환으로 내원한 환자들, 총 8,010명의 주소를 분석하였고, 맹출 장애를 보이는 환자는 전체의 8.79%를 보였다. 맹출 장애의 유형은 맹출 지연이나 조기 맹출, 이소 맹출로 분류할 수 있었고, 맹출 지연이 가장 많이 나타난 치아는 상악 중절치이며, 조기 맹출이 호발한 치아는 하악 유중절치이고, 이소 맹출이 가장 많이 나타난 치아는 상악 제1대구치였다. Eruption disturbance is an abnormal state of eruption that occurs over a broad chronologic age range. There ar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eruption such as premature loss of primary teeth, supernumerary tooth, local disease, tongue, lip, mastication muscle and trau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patterns and tooth position that have eruption disturbance in children in Seoul, Korea. The subjects were 8,010 new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2004-2005. Clinical and radiographic records of the patients were reviewed by the primary investigator who is a pediatric dentist. Notable eruption disturbances included delayed eruption, early eruption and ectopic eruption and the prevalence of eruption disturbance was 8.79%.

      • KCI등재

        맹출 지연 영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 증례보고

        권지훈,박호원,이주현,서현우 大韓小兒齒科學會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4

        Delayed tooth eruption is the most commonly encountered deviation from normal eruption time. Racial, ethnic, sexual, and individual factors can influence eruption and are usually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standards of normal eruption. Delayed tooth eruption was affect to the dentition and facial growth, so that when it occurred careful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to establish the cause and the treatment plan accordingly. Present 3 cases of delayed tooth eruption by periapical lesion. underdevelopment of incisior and compound odontoma were successfully treated. In these cases, we could observe spontaneous eruption of the delayed erupting tooth after removal of interrupting factor and space regaining with maintaining. 정상적인 맹출 시기는 종족,인종,성별과 개인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되며,만약 정상적인 맹출 시기에서 두드러지게 벗어날 경우 맹출 지연이라고 한다. 영구치의 맹출 지연 원인은 다양하며,발생 시 치열 및 악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조기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본 증례들에서는 치아종 및 치아발육부전 그리고 낭종으로 인한 맹출지연을 보이는 각각의 환자에 대해 맹출 방해 인자의 제거와 맹출 공간의 형성 및 유지만으로 자발적 맹출을 이룰 수 있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Idiopathic retarded eruption의 1 증례

        안명기,정태성,김신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2

        맹출지연이란 맹출이 방해받거나 어떠한 이유로 맹출이 개시되지 않음으로 인해서 치아의 형성과 맹출의 조화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상황은 다양한 증후군이나 내분비장애와 동반되어 나타난다. 내분비장애등과 같이 원인이 분명한 경우에서는 적절한 원인치료를 통해 치아맹출을 정상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나, 전자의 경우에는 맹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알려진 치료법은 아직 없는 상태이다. 원인불명으로 다수 치아의 맹출지연을 보이는 경우, 일반적인 성장과 발육상태는 정상적인 경우가 많으며, 방사선학적으로 맹출단계에 비해 치아의 발육이 빠른 단계를 보인다. 대개 맹출시에는 정상적인 맹출순서를 따르나, 공간부족이나 위치이상 또는 치은섬유화로 인해 매복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런 경우 선행 유치의 발거는 영구치의 맹출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 하며, 심미성의 상실, 교합고경의 감소 및 치조돌기의 상실 등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최선의 치료목표는 잔존 유치를 가급적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다. 본 증례는 영구치의 전반적인 맹출지연을 보이는 10세 1개월된 어린이를 대상으로 원인규명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으나, 특별한 내과적 검사상의 이상소견이나 기타의 병리적 소견이 발견되지 않은 환자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주요어 : 맹출지연, 영구치

      • KCI등재

        Erupted complex odontoma에 의한 하악 제 1대구치 맹출지연

        박인호,오유향,이상호,이창섭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4

        치아의 맹출지연을 일으키는 여러 원인 중 치아종은 법랑질, 상아질, 치수와 같은 치아를 구성하는 조직을 갖춘 harmartoma로 complex odontoma(복합 치아종)와 compound odontoma(복합 치아종)로 구분된다. 치아종의 원인에는 외상, 감염, 치아발육상의 장애, 유전적 요인등을 들 수 있으며, 호발 부위는 상악 전치부와 하악 구치부이다. 이 중 compond odontoma는 악골의 전방부에, complex odontoma는 악골의 후방부에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데 대부분 악골내에서 발생하지만 드물게 점막을 뚫고 치조골의 상방으로 석회화 된 종괴가 맹출한 형태의 치아종을 erupted odontoma라 한다. erupted odontoma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맹출지연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본 증례는 맹출이 지연된 하악 제 1대구치 치관 상방에 나타난 erupted complex odontoma를 제거 후 치아를 맹출 시키는데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Odontoma, hamartomas of odontogenic orgin, are composed of all the structures that make up teeth, which may lead to interference with the eruption of its associated tooth. On the basis of gross, radiographic, and microscopic features, two types of odontoma are recognized: compound and complex. The etilogy of odontomas is unknown, although local trauma, infection, and gentic factors have been suggested. Odontomas occur central in bone between the roots of teeth and the mauority are asymptomatic. Although these tumors occur frequently and constitute 22% of all odontogenic tumors, are very rare. Erupted odontoma are defined as tumors that it occurs a calcifed mass may be defected on the ridge. The treatment of chice is the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followed by a biopsy.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8-year-old girl with the delayed eruption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by the calcified mass within the operculum covered the central fossa. And it was diagnosed as erupted complex odontoma by excisional biopsy.

      • KCI등재

        Clinical Features and Correlation With Congenital Missing Teeth of Delayed First Permanent Molar

        이명연,이효설,송제선,이제호,최병재,김성오,김승혜,Lee, Myeongyeon,Lee, Hyoseol,Song, Jeseon,Lee, Jaeho,Choi, Byungjai,Kim, Seongoh,Kim, Seunghy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01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4 No.1

        국소적, 전신적 요인을 동반하지 않는 제1대구치의 맹출 지연은 해당 치아의 발육 지연을 동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1대구치의 발육지연의 임상적 양상 및 동반하는 다른 치아의 발달 이상에 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국소적 요인이 없이 제1대구치 맹출 지연을 보이는 건강한 어린이 40명의 파노라마방사선 사진 분석을 시행하였다. 2명의 평가자가 Nolla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치아의 발육지연 여부, 해당 분악의 제2대구치 발육 이상 여부 및 제3대구치를 제외한 다른 치아의 선천적 결손 여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제1대구치의 발육지연은 상악에서 호발하였고, 여성에게서 양측성 이환, 남성에게서 편측성 이환이 많이 관찰되었다. 제1대구치의 발육지연이 있는 환아는 유의하게 높은 선천적 결손치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이환된 분악의 제2대구치는 모두 발육 지연 혹은 선천적 결손의 이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제1대구치의 발육지연은 다른 치아의 선천적 결손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layed eruption of the first molar, without a generalized or localized cause, is usually associated with delayed development of the affected too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the first permanent molar showing delayed development and erup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developmental anomalies of other teeth. Panoramic radiographs of 40 healthy children showing delayed development and eruption of first permanent molars were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of affected first molars and developmental anomalies of other teeth (except third molars) were evaluated. Delayed first molars were more frequent in the maxilla. The incidence of bilateral delayed development of first molars was greater than that of unilateral cases in female patients. In contrast, male patients showed unilateral delayed development of the first molar more frequently. A higher incidence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delayed first molar. In each case, delayed development or congenital absence was observed in the second molar adjacent to the delayed first molar. Overall, delayed first molar seems to be associated with congenital absence of additional teeth.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al mechanisms of this phenomenon requires further studies.

      • KCI등재

        단골성 섬유성이형성증 환아에서 나타난 맹출지연

        민수영,이제호,김성오,최병재,최형준,김승혜,송제선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3

        섬유성이형성증은 골격 계통의 국소화된 양성 발육장애로서 해면골 내에서 섬유조직이 증식되며 불규칙한 골소주가 형성 되는 질환이다. 섬유성이형성증의 두개안면부 병소는 안면동통, 두통, 두개비대칭, 안면기형, 치아이동, 부정교합, 시각이상, 청각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증례는 섬유성이형성증으로 진단된 혼합치열기 환아로서 이환 부위에서 영구치의 맹출지연이 관찰되었다. 병소에 이환되지 않은 환아의 하악 좌측 측방 치열군은 교합위까지 맹출을 완료하였으나 병소에 이환 된 하악 우측 측방 치열군은 현재 치조골 내에서 느린 속도로 맹출 중이며 치근 형성이 완료되지 않아 계속 경과 관찰 중이다. 맹출이 정지되었다고 판단될 시 상부 치조골 제거를 통한 맹출유도나 교정적 정출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Fibrous dysplasia is a developmental tumor-like condition that is characterized by replacement of normal bone by an excessive proliferation of cellular fibrous connective tissue intermixed with irregular bony trabeculae. Craniofacial lesions may cause facial pain, headache, cranial asymmetry, facial deformity, tooth displacement and visual or auditory impairment.In this case, a 2-year-9-month old boy who was diagnosed as the fibrous dysplasia showed delayed eruption on affected area. Teeth of left lateral dentition group have erupted completely but teeth of right lateral dentition group are erupting slowly. Eruption and maturation of affected teeth are in progress, so continuous observation is required presently. If the eruption state stops, surgical opening or forced eruption of the impacted teeth will be considered.

      • KCI등재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치아의 치료증례

        백승준,이광수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3

        치아종은 치아 조직의 비정상적인 과성장으로 인해 형성되는 외배엽성 상피세포와 중배엽성 세포로 이루어진 혼합종양이라고 정의되며 양성 치성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치아종은 신생물(neoplasm)보다는 형태와 조직 분화가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형성이상이나 과오종으로 보고 있다. 치아종은 복합 치아종(Compound Type), 복합 치아종(Complex Type) 그리고 법랑아 섬유치아종(Ameloblastic fibroodontoma)으로 구분하고 있다. 복합 치아종은 치아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으며 전체 발생 비율의 약 2/3를 차지하고 있다. 복잡 치아종은 치성 조직의 비조직화된 형태로서 악골에 고르게 분포되어 발생하고 있다. 법랑아 섬유치아종의 발생은 드물다. 치아종의 병인으로는 외상, 감염, 유전 혹은 치아 발육의 유전적 조절을 방해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등이 언급되고 있다. 치아종은 종종 다양한 맹출 장애와 치아 위치에 있어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종의 가장 빈번한 발견 요인으로서는 유치의 만기 잔존과 더불어 영구치의 매복이 있다.치아종으로 인한 지연 맹출과 감별 진단 해야 할 것으로서는 과잉치, 만곡치, 법랑 진주 그리고 유치의 조기 상실 등이 있다. 치아종으로 인한 매복 치아의 치료 방법으로는 우선 치아종을 제거한 후 매복 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는 것이다. 이때 매복된 치아의 자발적 맹출을 기대하기 위해선 악골내 충분한 맹출 공간을 평가한 후 공간의 확보와 치근 발육이 진행중이라는 전제 조건이 수반되어야 한다. 만일 치아종을 제거한 후에도 불구하고 매복 치아의 맹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매복 치아의 노출 후 교정적 부착장치를 위치시킨 후 강제 견인한다. 본 증례는 치아종으로 인해 영구 계승치가 매복된 환아에게서 매복치의 외과적 노출 시행 후 교정적 치료방법을 사용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주요어 : 치아종, 매복 치아, 지연 맹출, 공간 평가 Odontoma is defined as a benign odontogenic tumor containing enmel, dentin as well as cementum. It has come to mean a growth in which both the epithelial and the mesenchymal cells exhibit complete differentiation. Most authorities accept the view today that the odontoma represents a hamartomatous malformation rather than a true neoplasm. The etiology of odontomas is uncertain but hypothesized to involve local trauma, infection inheritance or mutant gene. The odontomas often cause various disturbances in the eruption and position of the teeth. The steps in removal of an odontoma in close relation to an adjacent impacted normal tooth should comprise 1) removal of odontoma and 2) exposure of the impacted tooth. Orthodontic therapy may be applied. Before treatment, the necessary space fur the impacted tooth should be evaluated. If there is lack of space in the dental arch,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carried out before operation.

      • KCI등재

        법랑모세포 섬유종에 의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지연

        정정화,김영진,김현정,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3

        Ameloblastic fibroma is rare true benign mixed odontogenic tumor. Most of these tumors occur in the posterior region of the mandible under 20 years of age. It develops generally associated with unerupted tooth and grows slowly on the surface of alveolar bone, therefore interferes normal tooth eruption. These lesions rarely showing a little bony expansion, are usually asymptomatic and are discovered incidentally on routine dental exam. It is similar to amleoblastic fibroodontoma and ameloblastic fibrodentinoma clinically and roentgenographically but represents no dental hard tissue formation histologically. Enucleation and curettage of surrounding bone are generally recommended options for treatment. Even though there are some reports of recurrence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and more aggressive treatment options like block resection are suggested sometimes, but in most cases, recurrence is unusual because it is well encapsulated and easily separated from adjucent bony socket. In these cases, we did conservative treatment such as enucleation and curettage to the patients who were visited for ameloblastic fibroma associated with delayed eruption of lower first molar. After regular check-ups, we found relatively natural eruption process of combined teeth. 법랑모세포 섬유종은 드문 진성의 혼합성 양성종양으로 20세 이하의 비교적 어린 연령층의 하악 후방부에 호발한다. 흔히 하악 구치부의 미맹출치와 관련하여 발생하며 치조골 표면에서 서서히 성장하여 이환치를 치근단 방향으로 변위시켜 정상적 인 치아 맹출을 방해한다. 약간의 피질골 팽창 외에 다른 증상은 거의 없어서 정기적인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법랑모세포 섬유치아종 및 치아종과 비슷하나 조직학적으로 치아 경조직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는 것이 다르다. 치료방법은 적출술과 주위 골의 소파술을 포함한 보존적 외과적 처치가 일반적이나 재발가능성이 있고 악성종양으로의 변 이를 보인다는 일부 보고가 있어 절제술과 같은 보다 공격적인 치료방법이 추천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병소는 피막으 로 잘 둘러싸여 있으며 주변의 골와에서 쉽게 분리되므로 재발률은 낮은 편이다. 본 증례는 하악 좌측 제1대구치의 맹출지연과 관련된 법랑모세포 섬유종을 주소로 본과에 내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보존 적인 적출술 및 소파술을 시행한 것으로 정기적인 관찰 결과 비교적 양호한 제1대구치의 자연적 맹출양상을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유치열기의 융합치가 영구치열에 미치는 영향

        서예진,김영진,김현정,남순현,Seo, YeJin,Kim, Youngjin,Kim, Hyunjung,Nam, Soonhyeun 대한소아치과학회 201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4 No.1

        본 연구는 유치 융합치의 특징과 영구치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 - 6세 어린이 중 융합치가 관찰되는 84명의 어린이를 조사하였으며, 융합치의 분포는 상악보다 하악에서, 2개의 융합치보다 1개가 발생한 경우가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으며 우식이환율은 하악보다 상악에서 높았다. 계승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은 상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융합, 하악 유측절치와 유견치 융합, 하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융합 순이었으며, 과잉치 발생은 상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융합, 하악 유중절치와 유측절치 융합, 하악 유측절치와 유견치 융합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의 융합에 의한 계승 영구치의 맹출 지연은 하악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악의 경우 지연 발육되는 과잉치의 발생 가능성 및 이로 인한 영구 중절치의 맹출 지연 양상이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융합치로 인한 맹출 지연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기적인 방사선 검사 및 조기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primary fused teeth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primary fused teeth and their effect on permanent dentition. 2575 children between the age of 4 and 6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9 to August 2015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84 children (46 boys and 38 girls) had fused teeth. 14 of these children had two fused teeth. Prevalence of caries involvement was in 65% of maxilla and 6% of mandible. Prevalence of permanent successors missing was 86.3% in the cases involving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 70% in mandibular lateral incisor and cuspid, 11.7% in mandibular central and lateral incisor. 27 of 84 children (32.1%) had supernumerary teeth. The highest prevalence rate is seen in the cases involving maxillary central and lateral incisor. Delayed permanent tooth eruption was only observed in the maxilla because of developing supernumerary tooth. Early diagnosis of fused tooth in the primary dentition can allow the dentist to make treatment plan at the appropriate time in accordance with the tooth arrangement and tooth development.

      • KCI등재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양상과 발거 후 병발증 치유율에 관한 연구

        전은민,김태완,김현정,남순현,김영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2

        상악 정중부 과잉치는 흔합치열기 및 영구치열기 아동에서 많은 병발증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6년간 경북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상악 정중부 과잉치를 지닌 117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임상적,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양상과 병발증을 조사하고 발거 후 병발증의 치유율에 관해 조사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1. 상악 정중부 과잉치를 발견하게 된 동기로는 다른 원인으로 상악 중절치부를 우연히 방사선사진 촬영한 경우 23.4%.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맹출 16.1%. 충치 치료를 위해 상악 중절치부를 방사선사진 촬영한 경우 15.1%로 나타났다. 2. 상악 정중부 과잉치로 인한 병발증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는 36.8%. 인접 영구전치의 맹출 지연을 야기한 경우가 34.4%, 정중 이개가 16.1%였다. 3.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외과적 발거 시 인접 영구중절치의 치령은 치근길이의 1/2이상에서 2/3이하가 54.7%였다. 4. 상악 정중부 과잉치의 발거 후 정중 이개와 인접 상악 영구전치의 맹출 지연 치유율은 외과적 발거 시 인접치의 치령이 치근 길의 1/2이하인 경우 맹출 지연에서 65.27%로 유의성있게 높았으며(P<O.05). 정중 이개에서는 인접 측절치와 중절치 간의 총생이 없는 경우에서 그 치유율이 68.23%로 유의성있게 높았다(P<O.05). Authors evaluated 1171 patients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in Kyo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rough clinical records and radiographs. And the following features were studied ; age, sex distribution, number of mesiodens per patients, cause of discovery of mesiodens, location, status of eruption, shape and orientation of crown, complication, dental age of adjacent upper incisor tooth at the time of surgical extraction of mesiode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olution rate of complication after extraction of mesiodens and the dental age of adjacent upper incisor tooth, length of diastema, the eruption status of lateral incisor and the crowding status of premaxilla.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 1. The cause of discovery of mesiodens were as follows ; delayed eruption of the permanent incisors in 13.8%, midline diastema in 11.6%, radiographs taken for other reasons in 23.4% and for caries treatment in 15.1%. 2. Complication due to the presence of mesiodens did not occur in 36.8%, delayed eruption of adjacent teeth was observed in 16.1%, midline diastema in 34.4%, rotation in 8.8%, displacement in 2.4%, and crowding in 1.0% of all evaluated patients. 3. As for the dental age of adjacent upper incisor tooth at the time of surgical extraction of mesiodens, below 1/3 of total root length were observed in 3.5%, 1/3∼ 1/2 of total root length in 19.9%, 1/2 ∼ 2/3 of total root length in 54.7% and over 2/3 in 21.9% of all evaluated patients. 4. Resolution rate of delayed eruption after the extraction of mesiodens was significant higher in the group with the root length below 1/2. Resolution rate of midline diastema was significant higher in the group with diastema width below 3mm and with non-crowding of adjacent upper incisor tee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