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학술지의 리더십 연구 동향 (1967~2019)

        박순명 리더십학회 2020 리더십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tudies on leadership conducted in South Korea during 1967-2019 and to provid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on leadership.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013 research papers on leadership from Korean Citation Index (KCI-listed, KCI listing candidat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to four aspects : yearly trends, frequency of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lated academic fiel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on leadership skyrocketed recently. Key words of recent studies includ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and performance which are all related to visible leading behaviors in organizations. Second, leadership researches mainly used quantitative methods implicating need for utilizing different approaches such as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in future research. Third, 64.6% of studies were based o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but studies based on humanities, arts,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were also significant in number. It shows that the concept of leadership is meaningful in many areas of study. Fourth, preferred research method differed according to the field of study. Humanities and leadership share common interests, human and culture, and together they provide new ideas drawn from history and the classics. Finally, based up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suggest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Key words: leadership, analysis of research trend 이 연구는 1967~2019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리더십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리더십 연구의 발전을 위한기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내학술지논문 검색서비스에서 제목에 ‘리더십’을 포함한등KCI 재(후보)지 연구물 6,013편을 대상으로 학술지의 연도별 논문 현황과 빈출주제, 연구방법, 학문분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이용된 통계방법은 빈도와 백분율이다. 주요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십 연구는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며, 주요 주제는 변혁적 리더십, 행동, 성과 등 조직 내에서 보이는 리더십과 관련이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양적 연구가 78.3%, 그 중 관계연구가 75.4%를 차지하여, 향후 질적, 이론적, 실천적 연구에 대해서도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 셋째, 학문분야 측면에서는 사회과학 분야가 64.6%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지만, 인문학, 예술체육, 공학, 자연과학에서도 상당 비율을 차지하여 리더십 개념이 여러 학문에서 의미가 있는 주제임을 시사한다. 넷째, 학문분야별로 양적 연구와 그 외 연구방법의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은 리더십에 대한 접근방법에 차이가 있음을시사한다. 인문학과 리더십은 사람과 문화를 주제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므로, 풍부한 역사와고전을 바탕으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그간 다양한학 문분야에서 이루어진 리더십 연구를 통합적으로 분석, 논의함으로써 리더십 연구의 저변 확장을 모색했다는 의의가 있다. 향후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의미있는 주제별로 심층적 내용 분석을 더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리더십, 연구동향

      • KCI등재

        리더십에서의 리더의 신뢰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김항규 한국공공관리학회 2012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6 No.4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경영학 분야에서는 이미 ‘격려리더십(leadership by encouragement)’, ‘마음으로 리드하는 리더십’, ‘섬기는 리더십(serving leadership)’, ‘감성의 리더십’ 등의 이름으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리더십 유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리더십의 공통적 특징은 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리더와 구성원들 간에 신뢰에 기초한 내면의 심리적 상호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오늘날 행정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거버넌스(governance) 행정’ 또한 행정주체와 시민 간에 대등한 지위에서 형성된 상호 네트워크를 중시하면서 무엇보다도 ‘참여’와 ‘신뢰’를 중시하고 있고, 이를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라는 이름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행정에서의 리더십 또한 신뢰에 기초한 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리더십 분야에서의 연구에서 리더가 구성원들로부터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요건으로는 리더의 전문성, 개방성, 일관성 및 리더의 구성원에 대한 공감 능력 등을 든다. 그런데 상담심리학에서도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담에서 상담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를 구축하기 위한 요건으로 무조건적 수용적 존중, 일관적 진실성, 상담자의 전문적 능력 및 공감적 이해를 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의 연구에서나 상담학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리더와 구성원 혹은 상담자와 내담자라는 관계성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과 신뢰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담학에서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요건으로 제시되고 있는 요건- 무조건적 수용적 존중, 일관적 진실성, 상담자의 전문적 능력 및 공감적 이해-가운에 특별히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안에 대한 탐색을 통해 리더십에서의 리더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후보

        아동의 ‘효’의식과 리더십과의 관계 연구

        채경선 한국효학회 2012 효학연구 Vol.0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리더십과 효 의식 및 효 실천과의 관계를 증명함으로써 아동의 리더십 함양을 위한 효 교육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인천시내 초등학교 7개교에 재학 중인 아동을 선정하여 효의식 및 효 실천과 리더십 정도를 측정하여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효 의식과 리더십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기술, 의사결정기술, 인간관계 기술, 학습능력 기술, 집단관리 기술, 자기이해 기술, 집단활동 기술과 모두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주고 있어 아동의 효 의식이 클수록 아동의 리더십이 커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효 실천 역시 효 실천 의식이 클수록 아동의 리더십이 커진다고 할 수 있다. 회귀분석 결과는 효 의식은 아동의 리더십에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효 실천에서는 사회에서의 효 실천이 리더십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효 교육의 건강한 상호관계함양은 리더십 증진과 관련이 있음이 규명됨에 따라 현장에서의 실천적 효 교육이 관계적 리더를 배출하는 과정임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yo Education to improve the leadership of children by 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of children and Hyo consciousness and Hyo conduct.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leadership and Hyo education for the chil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How is the relationship of Hyo consciousness and leadership of children? As the result, Hyo consciousness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7 factors of 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 decision making skill, relationship skill, learning ability skill, group management skill, self-understanding skill, group activity skill.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Hyo consciousness is, the better children’s leadership is. 2) How did Hyo consciousness and conduct affect on children’s leadership? In general, Hyo conduct in society that is one of Hyo conduct, had the greatest affect on the leadership of children, the survey said. It reflects that the more Hyo conduct in society that is one of Hyo conduct has better influence to the leadership of children. Therefore it proves that the improvement healthy mutual relationship of Hyo education is related with leadership improvement. Through such the result, I suggest that the practical Hyo education on the spot is the process to produce relationship-centered leadership.

      • KCI등재

        창업가의 리더십개발을 위한 피드백 중심의 접근

        김성환,김정일 한국성인교육학회 2015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8 No.4

        The concern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feedback-intensive program, one of the several methods of leadership development is effectively applied to leadership development of the entrepreneu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eedback-intensive leadership programs, to propose important consequences and to help entrepreneurs develop leadership for start-ups in the Korea. The main concern of study is an entrepreneurial leadership development methodology, relationships between feedback and leadership development, and MBTI, FIRO-B, 360 degree Feedback and Leadership coaching used as popular feedback centered leadership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he study mainly used literature review about feedback-intensive leadership program and studied the leadership program of the authoritative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in the United States. Consequently, we found that the feedback-intensive program was an effective learning process for entrepreneurs, useful for executing creative leadership through self-awareness, could be applied to various leadership development methods, and had advantages as a practical program. 본 연구는 리더십개발의 여러 방법론 중 하나인 피드백 중심프로그램이 창업가의 리더십개발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연구문제에서 출발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피드백 중심의 리더십프로그램의 특징과 원리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창업가의 리더십개발에 대한 시사점과 효과적 적용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창업분야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데 있다. 주요 연구범위는 창업가의 특성에 부합한 리더십개발 방법론, 피드백과 리더십개발과의 관계 그리고 미국 기업교육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MBTI, FIRO-B, 360도 Feedback, 리더십코칭의 원리와 특징을 고찰한 후 우리나라 창업가의 리더십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론은 피드백 중심의 리더십프로그램개발 관련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미국에서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기관의 피드백 중심의 리더십프로그램 운영 선진사례를 참조하였다. 연구결과 피드백 중심의 리더십 프로그램이 창업가의 리더십개발에 효과적인 학습 과정이며, 다른 리더십개발 방법에 두루 적용할 될 수 있으며, 자기인식을 통한 유연하고 창의적인 리더십 발휘에 도움이 되고, 실용성이 높은 리더십프로그램으로써 그 장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군대조직 리더십코칭 사례연구: 대대장 리더십코칭을 중심으로

        윤만영 ( Man Young Yoon ),전기석 ( Ki Seok Jeon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에서 실시하고 있는 대표적인 리더십코칭프로그램인 ‘대대장 리더십 코칭’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그동안 리더십 코칭은 일반 기업 조직에서 주로 활용되어 왔으며, 학술연구 또한 주로 기업 조직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육군의 전투력은 사람이 핵심인 것이며, 그 어느 조직보다 사람중심의 리더십이 요구되는 조직이다. 지휘관의 리더십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조직 구성원의 사기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전투력의 핵심요소인 리더십의 대 변화를 위해 육군에서는 ‘17년부터 리더십 코칭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특히 직접지휘의 핵심 지휘관인 대대장에 대한 리더십코칭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인터뷰연구를 병행하였다. 사례를 코칭 주제 측면, 피코치의 참여 및 변화동기 측면, 그리고 코칭 기간 및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코칭 주제 측면에서는 지휘관의 책무 고려 여부와 리더십 관련한 객관적 자료 반영 여부, 그리고 대대장이 중년이라는 특성의 고려 여부이다. 참여 및 변화동기 측면에서는 코칭 참여자의 변화동기 향상 노력 여부, 마지막으로 코칭 기간 및 방법은 지속적인 행동변화노력여부이다. 이를 바탕으로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oblems of the “battalion commander leadership coaching”, a representative leadership coaching program conducted by the army, and to derive development plans. The purpose of leadership coaching is: first, interim evaluation to achieve the battalion commander’s command goal, second, support the battalion commander’s influence and efforts to achieve the goal, and third, promote growth through self-awareness of the battalion commander’s level of leadership. As for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 research were conducted in parallel. Teleph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battalion commanders who received leadership coaching in 2020.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the current coaching program was analyzed in terms of coaching topic, how to improve the motivation of engagement and change, and coaching operations. First, in terms of coaching topic, whether or not the commander’s responsibilities are considered and whether objective data are reflected, whether the battalion commander is middle-aged in terms of life development cycle, whether or not a motivation for change is evoked as well as coaching operations for continuous improvement are created. Based on this,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battalion leader leadership coaching program was derived.

      • KCI등재

        공유리더십의 정성적 측정 도구에 관한 연구: 국내 프로야구 감독의 언론 기사 코퍼스 분석을 중심으로

        백혜연,장영균,양동훈 리더십학회 2021 리더십연구 Vol.12 No.1

        Focusing on shared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sports team, this study performs a qualitative research on how 10 managers in the Korean baseball league execute their shared leadership. Departing from the previous works that rely on a survey-based method, this study measures the managers’ shared leadership by using massive texts from media coverage during their tenured periods. The Python web crawling method was utilized to gather the data. Then as grounded theory suggests,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were done to analyze news texts and categorize some critical expressions. A total of 20 Local Grammar Graphs(LGGs) were constructed for the linguistic patterns of four types of shared leadership(Task, Relation, Change and Micropolitical-oriented shared leadership). The UNITEX program was used to capture the actual concordances in the news text. We found that Korean baseball managers tend to show a different frequency of shared leadership, as well as three distinctive patterns of execution, including task-oriented, relation-oriented, and ambidexerous leadership of both. Further, this study found that only relation-oriented shared leadershi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m performanc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literature by taking an alternative approach to measure shared leadership, which can exemplify a new way of understanding for leadership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의 기존 측정 방법의 한계에 주목하고, 대안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 리더십 연구들이 주로 설문조사 방법을 채택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언론 기사를 언어분석학적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공유리더십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프로야구 10 개 구단 대표 감독들의 공유리더십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감독별 뉴스 기사 전문을 수집한 후, 텍스트 분석 작업을 통해 어휘 사전을 만들고, 공유리더십의 4가지 하위 속성인 과업지향, 관계지향, 변화지향, 정치지향 공유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각 속성의 부분문법그래프(LGG)를 구축하였다. 총 20개의 LGG에 대응하는 실제 기사 전문상의 문맥추출 결과를 활용하여 개별 감독의공유리더십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독 간에 공유리더십 발현 빈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주로과업지향형, 관계지향형, 양손형 공유리더십이 발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팀 성과와의관계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관계지향형 공유리더십만이 다양한 팀 성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 측정의 새로운 정성적 방법론(코퍼스 분석)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의의가 있으며, 빅데이터가 양산되는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텍스트 분석질적 방법론은 향후 리더십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임파워링 리더십과 팀 유효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방호진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4 경영컨설팅연구 Vol.14 No.3

        급변하는 경영환경 하에서 공식적 팀 리더의 리더십 범위가 제약되고, 지식기반 조직으로의 이행에 따 라 조직 구성원들의 자율성이 확대되면서 전통적인 방식의 리더십이 아닌 수평적이고 참여적인 성격 의 리더십이 논의되고 있다. 특히, 구성원들에게 권한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이를 통해 심리적 동기부 여를 이끄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연구들은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의 유효성을 증진하는 과정적 측면보다는 주로 결과적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는데, 본 연 구는 이러한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 유효성을 증진하는 과정요소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 임파워링 리더십과 집단 유효성의 관계를 매개할 것으로 예측된 변수는 최근 집단 유효성 영역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이다. 공유리더십은 집단 내 구성원들 이 자발적, 수평적으로 상호 영향력을 미치는 관계를 의미하며, 임파워링 리더십이 높게 나타나는 경 우 구성원들의 향상된 권한과 자율성에 대한 인식이 이러한 공유리더십을 활성화시킬 것으로 예측되 었다. 종속변수인 팀 유효성 변수로는 기존에 주로 활용되었던 팀 성과에 더하여 공유리더십의 팀 내 인지적 자원 확대 효과에 직접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팀 잠재력(team potency)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근무하고 있는 411명(67개 팀)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팀 단위 수준에서의 구조방 정식을 활용한 연구모형 검증을 진행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 링 리더십의 팀 유효성에 대한 긍정적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에 대 한 기존연구들은 주로 개인수준에서의 구성원 인지 및 태도변수에 초점을 맞추어 왔는데, 팀 전체의 성과와 잠재력 향상에도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의 팀 유효성에 대한 영향관 계에 있어 공유리더십의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임파워링 리더십은 팀 구성원들에 대한 코칭과 조언 등 직접적 지원역할과 조직 내 긍정적 관계형성 등 팀 빌딩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구성원 들의 수평적 영향력이 증대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셋째, 전체 가설 중 팀 잠재력과 팀 성과의 관계에 대한 가설이 기각되었는데, 이는 횡단적 관점의 연구방법론적 한계에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해 석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 및 향후 연구에서의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세종이 실천한 진성(眞性)리더십

        박현모,Hyunmo. Park 대한리더십학회 2012 리더십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의 4대 국왕인 세종의 국가경영을 진성리더십의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데 있다. 특히 세종이 발휘한 진성리더십을 비전제시와 소통경영 차 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세종실록>에 실려 있는 여러 사례를 바탕으로 논증을 진행하였다. 먼저 <세종실록>에 나타난 세종은 진실된 마음으로 국가의 비전을 제시하였다. 그는 자신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살맛나는 일터 만들기로 백성을 근본으로 여기고, 농업의 중요성을 설파하며, 리더의 지도력을 특히 강조하였다. 세종은 소통의 리더십을 잘 발휘한 국왕이기도 하였다. 그는 나라에 어려움이 생기면 먼저 자신을 낮추어가며 신하들의 말을 경청했다. 백성들을 지배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섬김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임금이었다. 이러한 세종의 비전경영과 소통경영의 이면에는 그것 을 가능하게 만든 세종의 진성리더십이 있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세종은 리더로서 진실된 마음으로 정치에 임하고, 구성원들의 말을 경청하고 있다는 신뢰감을 주는 군주였다. 세종이 비전경영과 소통경영을 통해 실천한 진성리더십은 오늘날 국가와 기업 의 리더십 교육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세종은 우리 국민에게 리더의 준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군주다. 그리고 세종의 인재활용 방식을 통해 감성리더십을 엿볼 수 있으며, 특히 세종이 실천했던 ‘이야기 들려주기를 통한 감화’라는 교육방법은 현 대의 HRD 교육에서 중시하는 스토리텔링 교육법에도 많은 소재와 기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King Sejong's statecraft from the Authentic Leadership view-point. For this, I examined his words and deeds in the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King Sejong carried his promise of loving people into practice. For example, he saved, overcoming his officials' plausible suggestion to deceive people, the life of three juvenile robbers in 'Pyeong Yang Dae Sung San(Mt.) Robbery Jailbreak'(1447). These correspondence of King Sejong’s words to his actions helped his subjects to believe in him. The subjects' trust helped him positioned as a Vision Provider and a Good Communicator. Finally, I also introduced storytelling as a King Sejong's teaching method.

      • KCI등재

        관리자 및 부하의 성별, 조직문화에 따른 남녀관리자의 리더십 연구

        임희정(Hee Jeong Y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여성연구 Vol.96 No.1

        본 연구는 남녀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이 관리자의 성별, 부하의 성별과 조직문화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 리더십 효율성인 승진과 만족도에서 남녀관리자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부하의 성별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 민간기업의 남녀관리자와 그들의 부하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리더십 유형에 있어서 과업지향적 리더십의 경우 남녀관리자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관계지향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에서는 여성관리자가 남성관리자에 비해 높고, 거래적 리더십에서는 남성관리자가 여성관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중심적 문화가 높은 조직에서는 여성관리자는 과업지향적 리더십을 더 보이고, 변혁적 리더십을 덜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남성중심적 문화가 낮은 조직에서는 남성관리자는 관계지향적 리더십을 더 보였다. 셋째, 부하의 성별에 따라 남녀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에 대해 분석한 결과 남성관리자에 대해 남성부하들은 과업지향적 리더십을 더 발휘한다고 평가한 반면에, 여성부하들은 거래적 리더십을 더 발휘한다고 평가하였고, 여성관리자에 대해서는 여성부하들이 남성부하들보다 변혁적 리더십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넷째, 리더십 유형이 승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남성관리자는 거래적 리더십을 발휘할수록, 여성관리자는 과업지향적 리더십을 발휘할수록 승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남녀관리자의 리더십 유형과 부하의 성별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 여성부하들이 여성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해 남성 부하들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하의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leadership styles of male and female managers differ according to manager sex, subordinate sex,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n it analyzed whether the effect of leadership style on manager promotion according to manager sex, and subordinates sex can be moderating variables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subordinates‘ satisfaction. Male and female managers, male and female subordinates in compan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managers in task-oriented leadership. But, female managers were higher in relationship-oriented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n male managers, male managers were higher in transactional leadership than female managers. Second, in organizations with a high male-dominated culture, female managers showed more task-oriented leadership and les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le, male managers showed more relationship - oriented leadership in organizations with a low male-dominated culture. Third, male subordinates evaluated male manager s task-oriented leadership higher than female subordinates, female subordinates evaluated male manager s transactional leadership higher than male subordinates. On the other hand, female subordinates evaluated female manage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igher than male subordinates. Fourth, there is a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leadership styles on manager promotion. In other words, it revealed the higher male s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female s task-oriented leadership, the faster the promotion. Finally, subordinates sex had a moderating effects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subordinates satisfaction. Female subordinates were more satisfied with female manager 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n male subordinates.

      • KCI등재

        리더십의 사회학

        홍성태(Sung-Tai Hong)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2

        이 논문은 기존의 리더십 연구와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사회학적 관점에서 리더십의 해석적 지평을 재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권력과 사회적 관계의 맥락에서 리더십에 대한 정치사회학적 재해석을 시도하며 다음과 같은 점을 강조한다. 첫째, 리더십 논의가 양적인 성장을 했음에도 사회과학에서의 이론적인 저발전과 상대적 연구지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근본적인 원인은 리더십 개념이 과학적 재정의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데 있다. 둘째, 리더십은 권력에 배태된 개념으로서, 합목적적 상호작용이 지배구조를 이루는 사회적 관계의 역학이라는 해석틀 속에서 재조명되어야 한다. 셋째, 권력과 사회적 관계라는 중심변수를 신중하게 고려하지 않는 리더십의 유형화는 역동적인 권력구조와 행위질서의 변화를 적절히 설명할 수 없다. 궁극적으로 권력에 배태된 개념으로서 리더십과 그것이 형성되는 사회적 관계에 주목할 때, 리더십을 둘러싼 구조와 행위의 해석적 지평을 전망하는 데 유익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reconstruct interpretative horizons of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power and social relations through a political sociological approach to previous leadership studies and discourses. In order to reconstruct interpretative horizons of leadership, this work pays attention to the following points. First, we can find the main reason for the relative underdevelopment of studies on leadership, despite the quantitative growth of discussion about leadership, in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leadership. Second, we need to understand the leadership in terms of dynamics of social relationship, which teleological interactions constitute the governance structure. Third, the typology of leadership which does not fully considered power as well as social relations, cannot account for the dynamic power structure and the relational change of action order. Ultimately, this article addresses that sociological interests and understandings of leadership can provide an important insight in highlighting hidden dynamics of soci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