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트윈의 모듈화 기법 설계: 면 제조 공정을 중심으로

        권찬우,송석현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3 No.2

        최근에 들어 디지털 트윈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은 컴퓨터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물리적 현상이나 사물을 모사함으로써대상을 최적화하는 기술이다. 현재는 특정 분야에 국한되는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기 위한 단일 디지털 트윈이 개발되고 있지만, 독립된 디지털트윈만으로는 현실의 방대하고 복합적인 프로세스를 분석하기 어렵다. 이를 극복하고자 도입된 개념이 연합 디지털 트윈이다. 지금까지 연합 디지털트윈의 연구 방향은 주로 도시와 같이 거시적인 대상을 최적화하는 방식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트윈이 상호 연계된다는 특성을 활용하면 기존에구현되었던 단일 디지털 트윈의 모듈화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최적화와 관련된 기능상의 관점에서 단일 디지털 트윈과연합 디지털 트윈의 개념 및 상호 관계를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연합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단일 디지털 트윈의 모듈화 기법을 설계한다. 아울러,실제 면 제조 공정 사례를 바탕으로 모듈화 기법을 적용한 모델을 설계함으로써 제안하는 방법론의 효용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There has been a recent surge of interest in the Digital Twin technology. The Digital Twin is technique for optimizing objects bysimulating physical phenomena or objects through computer-based simulations. Currently, single Digital Twin is being developed tooptimize processes limited to specific fields,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independent Digital Twins cannot analyze the vast andcomplex processes of the real world. To overcome this, the concept of federated Digital Twin has been introduced. To date, the federatedDigital Twin research has primarily focused on how to optimize macroscopic objects such as cities. However, by leveraging theinterconnected nature of twins, existing implementations of the single Digital Twins can be modularized. In this study, we define theconcepts and interrelationships of the single Digital Twin and the federated Digital Twin from a functional perspective related to processoptimization and design a modularization technique for the single Digital Twin using the federated Digital Twin. Furthermore, this studyaims to discuss the proposed methodology's efficacy by designing a model applying modularization to a real-world fabric manufacturingcase

      • KCI등재

        공공 분야 디지털 트윈국토 정책의 성과와 개선 과제

        장환영,박정호,정다운 한국지적정보학회 2024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6 No.1

        현실 세계의 다양한 객체를 가상 세계에 구현하고 각종 상황을 가상 세계 내에서 시뮬레이션하여 현실 세계에 적용 가능한 통찰력을 얻는 디지털트윈이 공공 분야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 분야 디지털 트윈국토 정책을 사례로 하여 국내 디지털트윈을 주도하고 있는 공공기관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정책적 관점에서의 성과 고찰과 향후 개선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먼저 디지털트윈의 개념, 디지털트윈에 대한 여론, 산업, 정책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후 공공 분야 디지털 트윈국토의 성과와 한계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는 디지털트윈 분야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향후 정책적으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 및 연계하여 향후 공공 분야 디지털 트윈국토 정책이 나아가야 할 개선 과제(디지털트윈 국가 정책 선도, 디지털 트윈국토 연계 및 확산, 업무 운영 체계 개편, 사회적 가치 창출 및 책임 수행 등)와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공 분야에서의 디지털트윈 관련 정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digital twin, which represents physical entities in the virtual world and simulates various situations in the virtual world to gain insight applicable to the real world, is spreading in the public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and derive improvement tasks for public institutions to stably pursue projects in public national digital twi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the concept of digital twin, public opinion, industry and policy trends on digital twin were reviewed. Then,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public national digital twin were analyzed. Next, opinions on improving policy were collected from experts in the filed of digital twin. Last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rovement tasks(Leading a digital twin national policy, Linkage and expansion of national digital twin, Reorganization of internal business operation system, Creating social value and carrying out responsibility) and strategies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ublic agencies to establish the digital twin policy in the future.

      • KCI등재

        국내 디지털트윈 연구 동향을 통해 본 국토도시분야 디지털트윈 적용을 위한 제언

        이민영(Lee, Min Yeong),김도형(Kim, Do Hyoung),임시영(Lim, Si Ye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 디지털트윈 연구 동향을 확인하여 국토도시 분야의 디지털트윈 적용에 필요한 사항을 제언하였다. 먼저 해외의 디지털트윈 연구동향을 소개하고 이후 국내의 분석 대상 논문을 연구 방향과 연구 분야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관련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디지털트윈의 요소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에는 아직 디지털트윈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으며 디지털트윈을 전체적으로 다룬 연구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국토도시 분야에 디지털트윈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상공간을 모델링할 수 있도록 공간정보의 역할을 재설정 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국토도시 분야 디지털트윈 적용을 위한 개념 연구 수행, 공간정보 분야의 패러다임 전환, 디지털트윈 관점의 공간정보 중심 문제해결형 사업 지속 발굴, 디지털트윈 연계 및 확대를 위한 기반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digital twin is investigated and the necessary matters are suggested for applying the digital twin to the urban area. First, overseas research trends are introduced and then domestic paper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research direction and the research field.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digital twin dealt with in some papers are reviewed. Through the study, it is confirmed that domestic researches were not taken enough on the digital twin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subject of digital twin itself overal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establish the role of geospatial information for modeling the virtual space in order to apply the digital twin to the urban area.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nceptual research for applying the digital twin to the urban area, to change the paradigm in geospatial information field, to promote problem-solving business centered on geospatial information continuously, and to prepare a foundation for linking and expanding some digital twins.

      • KCI등재

        에너지 디지털 트윈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및 AAS 설계

        박기식(Kishik Park),오성진(Seongjin Oh),강창구(Changku kang),성인모(Inmo Sung),Aranya Sakar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0 스마트미디어저널 Vol.9 No.4

        최근 디지털 트윈은 제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더불어 물리적 시스템과 사이버 시스템을 연계하고 통합하는 중요한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분야의 전력기자재 디지털 트윈화를 위하여 필요한 디지털 트윈화의 절차에 따른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또한 이러한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구성요소라 할 수 있는 인더스트리 4.0 기반의 AAS(Asset Administration Shell)의 개념과 기능 및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설계를 하였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국내·외 적으로 디지털 트윈구현을 위한 공통된 플랫폼이나 실증 모델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분야의 전력기자재 디지털 트윈화를 염두에 두고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하는데 필요한 핵심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실제 디지털 트윈을 구축함에 있어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될 AAS의 기능과 특성을 기반으로 실제로 전력기자재를 대상으로한 AAS의 설계를 함으로써 향후 스마트 에너지 디지털 트윈을 구축 및 실증을 위한 절차와 구체적 기능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ecently,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wins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technology that connects and integrates physical systems and cyber systems.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major requirements of digital twin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digital twins of power equipments in the energy field, focusing on the industry 4.0-based Asset Administration Shell(AAS). However, since not so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yet on a common platform or demonstration model for implementing digital twin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digital twin requirements are analyzed with the consideration of digital twinning of power equipment in the energy field. Also, we suggested necessary procedures and specific functions of AAS to establish a smart energy digital twin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ore requirement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and designing the AAS design for specific power equipment.

      • KCI등재

        에너지 산업분야 Digital Twin 기술기반 VR콘텐츠 특성연구

        김현철 ( Kim Hyeoncheol ),한정엽 ( Han Jungyeob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물리적 사물을 가상공간에 유기적으로 복제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기술은 중요한 미래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과 IoT(센서 및 네트워크), VR/AR(가상현실/증강현실), AI(인공지능)기술이 융합된 사례가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전통 산업분야에서 이러한 기술융합 시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VR콘텐츠의 융합이 활발히 진행되는 에너지 산업분야를 선정하여 대표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정된 대표사례를 유형별로 분류한 후, 유형별 대표 사례를 일반적 특성과 콘텐츠적 특성 그리고 디지털 트윈 기술의 완성도를 평가하는 종합분석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을 위한 분석기준은 VR환경에서 체험자가 느끼는 감각적 측면을 구성하는 현장감ᆞ몰입감, 활용적 측면을 구성하는 연결성ᆞ활용성 이렇게 네 가지 특성요소를 평가 기준으로 삼았다. (결과) 대표사례 분석결과, 디지털 트윈 기술발전 단계에서 대표사례 모두 1단계(모사, Mirroring)내지 2단계(관제, Monitoring)에 해당하는 초기 단계 디지털 트윈 구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사례 모두 활용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었으며, 연결성은 원격운영을 위한 VR콘텐츠에서, 현장감과 몰입감은 교육ᆞ관람을 위한 VR콘텐츠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특징이 나타났다. (결론) 결과의 원인과 연구의 한계를 분석해보면, 대용량의 사물복제를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등 관련 기술의 미성숙으로 디지털 트윈 기술이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분석요소를 기준으로 VR콘텐츠 유형별 차이점과 사용된 요소기술을 알아볼 수 있었지만, 특성을 정의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체험자의 실감도를 높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VR콘텐츠에 다양한 요소를 적용해보는 실험단계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트윈 기반 VR콘텐츠의 프로젝트 세부내용을 분석하기는 했지만, 명확한 특성을 정의할 수는 없었다. 미래기술인 디지털 트윈과 가상현실의 융합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가 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러나, 인공지능, 정보기술, 센서기술, 로봇기술 등 미래기술은 꾸준한 발전을 이루고 있으므로, 현재의 기술적 제약사항들도 머지않은 미래에 해결될 것이다. 미래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과 연구를 통해 완성된 형태의 디지털 트윈 기반 VR콘텐츠의 등장을 기대해 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digital twin technology that organically replicating physical objects in virtual space has attracted attention as one of the important future technologies. There are cases in which digital twin technology, IoT (sensor and network), VR/AR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and AI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e fused in the industrial field. In particular, such technology convergence attempts are being actively made in traditional industries. (Method) In this study, a represen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e energy industry where the convergence of digital twin technology and VR contents is actively carried out. After classifying the selected representative cases by type, representative cases by type were studied in the order of general characteristics, content characteristics, and digital twin technology comprehensive analysis. The analysis criterion for the analysis was based on four characteristic factors: a sense of presence and immersion that constitutes the sensory aspect that the experiencer feels in the VR environment, and the connection and utilization that constitute the practical aspect. (Results) Representative case analysis results, in the digital twin technology development s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itial stage digital twin implement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stage(mirroring) to the second stage(monitoring), is being implemented in all of the representative cases. In addition, all of the analysis cases put a high weight on usability, and connectivity was relatively prominent in VR content for remote operation, and realism and immersion in VR content for education and viewing, respectively. (Conclusion) Analyzing the causes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It was found that the digital twin technology is still in its infancy due to the immaturity of related technologies such as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for large-scale replication of objects. And, based on the analysis element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y VR content type and the element technology used, but it was insufficient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This is because it was an experimental stage where various elements were applied to VR content to see what was needed to increase the realism of the experiencer. In conclusion, although we analyzed the project details of digital twin-based VR content, we could not define clear characteristics. It is regrettable that in-depth research on the convergence of digital twin and virtual reality, a future technology, has not been conducted. However, as futur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information technology, sensor technology, and robot technology are making steady progress, current technological limitations will be resolved in the not too distant future. We look forward to the emergence of digital twin-based VR contents that have been completed through continuous exploration and research on future technologies.

      • KCI등재

        공공기관의 디지털트윈 수행업무 체계화 방향

        장환영,정다운,박정호 한국지적정보학회 2023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5 No.3

        현실세계의 다양한 객체를 가상세계에서 디지털 기술로 재현하고, 각종 상황을 가상세계에서 시뮬레이션하여 현실세계의 최적화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디지털트윈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국내의 공공기관에서도 디지털트윈 사업을 추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공기관의 디지털트윈 수행업무 체계화 방향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이론적 검토를 통해 디지털트윈에 대한 개념검토, 디지털트윈 국가정책에 따른 공공기관의 역할,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둘째, 주요 공공기관의 업무영역과 디지털트윈 사업구조 체계화를 위한 이슈사항을 도출하고 이슈해결을 위한 업무유형을 분류하였다. 셋째, 디지털트윈 사업구조 관련 이슈와 세분화한 업무유형을 사업단계별로 구조화하여 공공기관의 디지털트윈 수행업무 체계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중앙정부 산하의 공공기관이 디지털트윈 사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국내 디지털트윈 발전과 고도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 digital twin is a virtual representation of diverse physical entities using digital technologies. It supports optimized decision-making in the real world by simulating various situations in the virtual world. A digital twin is becoming a global trend and recently public agencies performing digital twin projects in South Korea are increasing.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ystematic plan for public agencies to perform digital twin projec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concept of digital twins, roles of public agencies for the national digital twin policy, and related literatures are reviewed. Second, main issues are reviewed in terms of systematization of both work areas of related public agencies and structure of the digital twin project. In addition, work types are classified to deal with the issues. Third, both issue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digital twin project and the classified work types are structured according to project phases and a systematic plan for the digital twin project is suggested in terms of public agenc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ublic agencies under the central government to perform digital twin project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will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the Korean digital twin.

      • KCI등재

        영국·호주·싱가포르의 국가 디지털 트윈 정책 - 토지관리 -

        박정호,심재승 한국지적정보학회 2022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ional digital twin policy in other countries and draw implications. Research design is based on case and comparative study and the second data is us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is carried out in terms of digital twin, land management, digital twin and land management and literature review. Digital twin is interrelated with land management in terms of subject, purpose and means. The national digital twin programme in UK, spatially enabled digital twins of built and natural environment in Australia and virtual singapore in Singapore are analyzed. As a result the thre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irst, the public sector as well as the private sector and the academia are a pivotal role in national digital twin. In addition, both the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play an important role in land management that has effect on national digital twin. Second, national digital twin and land management have common purpose in terms of decision-making support. Third, exact precise positioning framework and principles are used as a means of national digital twin and land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국가 디지털 트윈 정책 사례를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설계는 사례연구과 비교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연구방법은 관련 학술 문헌과 정부 보고서 등 2차 자료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이론적 고찰은 디지털 트윈, 토지관리, 디지털 트윈과 토지관리, 선행연구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특히, 디지털 트윈과토지관리는 주체, 목적, 수단의 관점에서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해외 사례로 영국의 국가 디지털 트윈 프로그램, 호주의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디지털 트윈, 싱가포르의 버추얼 싱가포르를 검토하였다. 이들을 통하여 세 가지 시사점을도출하였다. 첫째, 국가 디지털 트윈 정책 추진을 위하여 공공뿐만 아니라 학계, 민간의 역할이 중요하며, 국가 디지털트윈 구축·운영을 위하여 중요한 요인인 토지정보의 관리 및 활용의 경우에도 공공과 민간의 역할이 중요하다. 둘째, 정확한 의사결정 지원 차원에서 국가 디지털 트윈 정책과 토지관리는 공통된 목적을 공유한다. 셋째, 정확한 위치정보체계 및 원칙은 국가 디지털 트윈 정책 및 토지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역할을 수행한다.

      • KCI등재

        국가 디지털트윈의 추진을 위한 정책방향 연구

        장환영,김걸 한국지도학회 2024 한국지도학회지 Vol.24 No.1

        가상의 디지털 공간에서 현실세계의 다양한 문제점을 시뮬레이션하고 예측하는 디지털트윈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국가 디지털트윈의 추진을 위해 필요한 기반요건과 성장요건별 주요 쟁점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디지털트윈에 대한 개념과 구축 프로세스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번째, 국토교통부가 추진하고 있는 시범사업에 대한 평가를 통해 국가 디지털트윈 실현을 위해 필요한 기반요건과 성장요건을 도출하고 분류하였다. 세 번째, 국가 디지털트윈의 요건별 주요 쟁점과 이슈를 검토하였다, 네 번째,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요구사항 검토를 통해 국가 디지털트윈 구축을 위한 다양한 심층 의견을 청취하였다. 다섯 번째, 앞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국가 디지털트윈의 요건별 정책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 디지털트윈의 조속한 실현과 안정적 정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Digital twins, which simulate and predict various real world phenomena in a virtual digital space, are attracting attention around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and issues necessary to realize the digital twins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derive policy improvement measures to resolve them. First, the concepts and processes of the digital twins were review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 the requirements necessary to realize the national digital twins were reviewed through an evaluation of the pilot project promo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rd, issues regarding the requirement of the national digital twins were reviewed. Fourth, various opinions were collected to build a the national digital twins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review of requirements. Fifth, by comprehensively linking the previously analyzed contents, policy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national digital twins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apid realization and stabl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digital twins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간정보 기반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표준화 전략

        이정구,전철기,황수찬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1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7 No.6

        IoT·AI·5G·XR 등 첨단기술이 발전하면서 실제 물리적 세계와 동일한 디지털 세계를 복제하는 디지털 트윈의 활용 이 촉진되고 있어 본격적인 시장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트윈은 국가 기반시설과 SoC 최적화 및 의료, 스마트시티 등 안전하고 편리한 국민 생활을 위한 다양한 응용서비스로 확대되면서 국가 디지털 혁신기술로 부상하 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표준화 기구에서 개발 중인 디지털 트윈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주요국의 스마트 시티 디지털 트윈 표준화 전략 및 표준 분류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신시장 창출과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디지털 트윈 표준화 기본원칙과 국가 차원의 디지털 트윈 표준화 전략을 제안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IoT, AI, 5G and XR, the use of digital twins that replicate the digital world identical to the real physical world is being promoted and full-scale market growth is expected. In particular, digital twin is emerging as a nationwide digital innovation technology with its application expanding to various social services for people’s safety and convenience, such as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oC optimization, medical care and smart city. This paper examines the digital twin standardization trend being developed by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and analyzes standardization strateg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standards of smart city digital twin in major countries. Through this, we discuss the basic principles of digital twin standardization and national digital twin standardization strategy to create a new smart city market and a new industrial ecosystem.

      • KCI등재

        공공분야 디지털트윈 확산을 위한 공간정보 정책방향

        장환영,김걸 한국지도학회 2023 한국지도학회지 Vol.23 No.1

        Recently, a digital twin that solves various urban problems by converging 3D spatial data and administrative data has been introduced into smart cities and the spatial data public se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patial data policy directions to spread the digital twins to the public sectors.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the digital twins was review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main key words appearing in news articles were identified. Second, national policies and pilot projects related to the digital twi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s were analyzed. Third, this study elicited the issues and problems surrounding the digital twins in the public sectors in the perspective of policy, business, and application. To solve the problems, it suggested the implications on policy directions of the digital twins. 최근 3차원 공간정보와 행정정보를 융합하여 다양한 도시문제의 과학적 해결을 지원하는 디지털트윈이 공공분야의 스마트시티와 공간정보 행정업무에 도입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분야에 디지털트윈을 확산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정보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지털트윈에 대한 개념을 검토하였고, 언론보도 등에 나타난 디지털트윈에 대한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두 번째, 디지털트윈 국가정책과 디지털트윈국토 지자체 시범사업, 공공기관의 디지털트윈 사업 특성을 고찰하였다. 세 번째, 정책 및 제도적 관점, 사업적 관점, 활용성의 관점에서 공공분야 디지털트윈이 어떠한 이슈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 도출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공분야 디지털트윈 확산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