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정보화 기본법의 문제점과 입법 제안

        이부하(LEE, Boo-Ha)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4 No.1

        ‘디지털포용’이란 “디지털취약계층을 포함한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디지털기술, 디지털서비스, 디지털제품에 동등하게 접근하고, 디지털기술 및 디지털역량을 습득하여 디지털기술과 디지털서비스로부터 도출되는 이익을 함께 향유하게 하는 정책”이라 정의할 수 있다. 디지털 포용정책의 수혜자는 디지털취약계층뿐만 아니라 국민과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된다. 디지털 포용정책에는 디지털역량, 디지털격차 해소, 디지털 접근성, 디지털기술 및 디지털서비스 개발 등이 있다. 「지능정보화 기본법」에서는 지능정보서비스 제공자가 그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장애인·고령자 등의 접근과 이용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한 노력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강제적 의무가 아닌 프로그램적 규정이기 때문에 이러한 노력을 하지 않았다고 법적 제재를 할 방법이 없다. 지능정보기기나 제품을 활용할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지능정보제품이나 지능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지능정보기기나 제품을 활용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능정보화 기본법」에서는 경제적, 지역적, 신체적 또는 사회적 취약계층에게 유상 또는 무상으로 지능정보제품을 제공하는 금전적 지원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금전적 지원만으로는 정보 취약계층들의 정보 접근성이 실질적으로 보장되지 못한다. 차별없고 실질적인 정보 접근성 보장을 위해서는 디지털역량교육이 강화되어야 한다. 사회의 모든 구성원의 디지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법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디지털역량을 배양하기 위해 디지털역량센터를 설치·운영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취약계층에게는 디지털역량교육을 위한 비용을 무료로 해야 한다. 중앙행정기관은 지방자치단체의 장과의 협의를 거쳐 지역주민의 디지털역량 향상을 위해 ‘디지털역량센터’를 지정·운영하여야 한다. 지역 단위의 디지털역량센터에서 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디지털역량 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Digital Inclusion’ can be defined as “a policy that all members of society, including the digitally vulnerable, have equal access to digital technology, digital services, and digital products, acquire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capabilities, and enjoy the benefits derived from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services together”. Beneficiaries of the digital inclusion policy are not only the digitally vulnerable, but also the citizens and all members of society. Digital inclusion policies include digital competency, digital gap bridging, digital accessibility,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service development.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t Informatization」 stipulates the obligation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access and use of the handicapped and the elderly when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provide the service. There is no way to impose legal sanctions for failing to make such efforts because it is a programmatic regulation rather than a mandatory obligation. Even if an intelligent information product or an intelligent information service is provided to a person who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use an intelligent information device or product, it is not possible to utilize or use the intelligent information device or product. In the 「Framework Act on Intelligent Informatization」, financial support is predominantly provided to the economic, regional, physical, or socially vulnerable groups with paid or free intelligent information products. Financial support alone does not substantially guarantee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o the vulnerable. Information competency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to ensure no discrimination and practical access to information.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must designate and operate a “digital competency training center” to improve the digital competencies of local residents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Legal grounds should be provided to ensure that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can be provided to all members of society at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centers at the regional level.

      •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우홍(Woo-Hong Cho),김준수(Jun-Su Kim),장영은(Young-Eun Jang),최대훈(Dea-Hun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서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에서 결혼이민자 중 여성의 응답을 SPSS 25.0, AMOS 2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을 독립변수로 하고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활용 역량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은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디지털 정보 활용 역량이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부트스트랩핑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 KCI등재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역량수준 예측요인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수경(Kim, Su-Kyoung),김영선(Kim, Young-Sun),신혜리(Shin, Hye-Ri) 한국정보사회학회 2020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1 No.2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역량수준은 다른 취약계층(결혼 이민자, 저소득, 장애인 등)에 비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정보역량수준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디지털정보역량수준과 관련된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 신체 및 정신건강 변인이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역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 중 55세에서 84세에 해당하는 1,65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 중고령자 모두 교육수준과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디지털정보역량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 중고령자의 경우 일상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여성 중고령자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디지털정보역량수준이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남·여성 중고령자의 디지털 정보역량수준과 관련된 특성들을 이해하고,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역량수준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as been increasing at a faster pace than other groups such as the handicapped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related to the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f middle and older adults are scarce. In order to examine variables affecting capability to digital informa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his study researches the impacts of sociodemographic, physical and mental health variables on the capability of digital information. We analyzed data of 1,656 people between the age of 55 and 84 from 2018 survey on the digital information gap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education and the economic levels are, the higher the digital capability levels of both male and female are. The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o learn and understand digital information levels in consideration of their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hen developing information education programs and to encourag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The result of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the aged male has a higher capability as Daily Life Satisfaction is higher, and meanwhile, the aged female has a higher digital capability as her age is higher, which describ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eveloping and operating an integrated program centered on acti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which middle and older male adul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order to enhance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f male middle and high-aged people even within middle and high-aged people. Also, the older the age, the middle and older female adults have a higher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compared to the past when they were not able to use the digital information devic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ossession and use rate of smart devices by middle and old peopl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oncept of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r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which is a concept of more application than the concept of access, such as digital information access level. Lastly,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various predictors could not be examin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analysis data. Given that a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at changes in retirement and aging are likely to affect depression, anxiety, and self-efficacy, it is necessary to verify whether they affect the level of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of middle-aged and elder people, including those that can measur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elf-efficacy in terms of mental health.

      • KCI등재

        디지털 이용 역량과 활용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시정(Kim, Si-jeoung),최상옥(Choi, Sang Ok) 서울행정학회 2019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0 No.2

        디지털 기술의 범용화와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디지털 기술 이용 역량 및 활용 수준과 이에 수반되는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유형 및 1차-2차 단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이 디지털 정보 활용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가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제공하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14년~2016년 자료를 활용하고 패널회귀모형 고정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디지털 역량은 디지털 활용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디지털 역량, 디지털 활용 수준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도구적 역량은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영향을 미쳤으나, 내용적 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활용 수준은 도구적 역량이 개인정보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으나, 생산적 활용 수준은 이와 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디지털 활용도 제고를 위해 디지털 역량 측면의 격차 해소 및 방지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사용자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제도적 특성을 고려한 다층적 접근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디지털 기술 활용을 위해 사회적 활용 측면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서비스, 교육・훈련이 제공되어야 하며, 내용적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위험과 이에 대한 대응성을 같이 강화해야 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Because of the growing amount of digital technology and people’s increasing dependence on that,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should be considered as a vital factor in contemporary digital society. We evaluated the effect of first-level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on privacy concern. The research analyzed 72,474 sample longitudin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from 2014 to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 skil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usage. In addition, while medium related skil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rivacy concern, the effect of contents related skill is questionable. Finally, social usage did moderated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skill and privacy concern, productive usage did not. This study identifi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better understand the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

      • KCI우수등재

        지능정보기술 활용 집단의 유형화와 개인정보 제공의도 결정 요인 : 디지털 역량의 잠재집단분석을 중심으로

        심홍진,박준혁 한국언론학회 2024 한국언론학보 Vol.6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능정보사회를 향유하는 개인을 디지털 역량 수준에 따라 잠재집단분석을 통해 유형화하고 유형화된 집단별로 개인의 자의적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공개한 <2022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의 횡단면 자료(N=5,378)를 활용하였다(방송통신위원회·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3). 디지털 역량에 대한 문항 응답 값을 바탕으로 잠재집단분석을 수행하여 응답자들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그 특성에 따라 각각 ‘디지털 적극 활용형’(35.5%), ‘디지털 생활 활용형’(48.8%), ‘디지털 소외형’(15.7%)으로 명명하였다. 나아가, 유형화된 집단별로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적극 활용형의 경우 개인정보 요청 서비스 이용 주저 경험, 특정화된 신뢰, 미디어 이용 경험 등이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이어서 디지털 생활 활용형의 경우 연령, 월평균 가구소득, 개인정보 요청 서비스 이용 주저 경험, 특정화된 신뢰 및 일반화된 신뢰, 미디어 이용 경험, 지능정보기술·서비스 이용 의도 등이, 디지털 소외형의 경우 최종 학력, 미디어 이용 경험, 지능정보기술·서비스 이용 의도 등이 주요 결정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이 연구는 지능정보사회를 영위하는 개인을 디지털 역량의 영역별 특성을 내재한 집단으로 유형화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유형화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집단 내 디지털 역량이 미흡한 영역을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단 간 디지털 격차를 유발하는 영역을 특정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디지털 활용 유형별로 개인정보 공개의 패턴과 특성을 식별하고 개인정보 공개의 이론적 모형을 구성할 수 있는 개인정보 공개 결정요인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정보 연구 분야에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제안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 연구 결과는 지능정보기술 및 서비스 활용과 개인정보 공개를 결정하는 심리적 기저에 프라이버시 역설이 자리잡고 있을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한다. 연구결과는 디지털 역량 수준과 무관하게 디지털 적극 활용형, 디지털 생활 활용형, 디지털 소외형 집단은 지능정보기술 및 서비스 이용의도와 개인정보 제공의도 간에 정적 관계를 유의미하게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개인정보 관련 제도나 기업의 개인정보 가이드라인 수립 시, 지능정보사회 구성원의 디지털 역량 유형과 개인정보 제공 결정요인을 기반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활용 간에 이상적 균형 파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실무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categorize individuals with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ased on their levels of digital competence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n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willingness to voluntarily share private information when adopt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The research leverag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2022 Panel Survey of Users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hich was made available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he latent class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user types: 'Digital Active' (35.5%), 'Digital Life' (48.8%), and 'Digital Marginalized' (15.7%). Subsequently, the study delved into the factors that determined the intention of each user type to provide private information. For 'Digital Active' users, the primary determinants of private information-sharing were hesitancy to use private information request services, interpersonal trust, and media usage experience. 'Digital Life' users' willingness to share private information was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ag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hesitancy to use private information request services, interpersonal and social trust, media usage experience, and the intention to us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In the case of 'Digital Marginalized' users, their private information sharing tendencies were mainly determined by factors such as education level, media usage experience, and the intention to use information and intelligent technologies and services. These research findings carry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irstly, they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ategorizing individuals engaged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ased on their digital competence across various domains. Such categorization not only enables the identification of areas where digital competence is lacking within specific groups but also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areas contributing to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se groups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Second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identification of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rivate information disclosure across different types of digital usage. Furthermore, it proposes determinants of private information disclosure that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oretical models in the field of private information research. Thirdly, the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existence of a privacy paradox at the psychological cor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and service utilization and private information disclosure. Regardless of their level of digital competence, the 'Digital Active,' 'Digital Life,' and 'Digital Marginalized' groups display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ir intention to use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and their willingness to provide private inform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diverse digital competencies of members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private information provision when formulating regulations related to private information or company privacy guidelines. This consideration is critical for achieving a balance between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and its effective utilization in both policy and practical contexts.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준수(Jun-su Kim),조우홍(Woo-Hong Cho)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2022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의 결혼이민자 데이터에서 결혼이주여성 563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일상생활 만족도를 종속변수, 디지털 정보화 역량을 독립변수,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SPSS 25.0, AMOS 24.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은 일상생활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은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은 일상생활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의 디지털 정보화 역량이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디지털 정보화 역량 향상과 디지털 정보화 자기효능감 향상을 통한 결혼이주여성의 일상생활 만족도 증가를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informat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immigrant women's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their daily life satisfaction. The responses of 563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the marriage immigrant data from the ‘2022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4.0, with marital immigrant women's daily life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digital information competency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digital information self-efficacy as the parame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marriage immigrant women's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ir daily life satisfaction. Second, marriage immigrant women's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digital information self-efficacy. Third, marriage immigrant women's self-efficacy in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daily lives. Fourth, it was found that digital information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marriage immigrant women's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on their daily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married immigrant women's daily lives through improving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ies and digital information self-efficacy.

      • KCI등재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분석: 정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엄사랑,신혜리,김영선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0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is based on Bennett's (1976) Logic Models to examine the path of Attitudes, information capab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the '2018 Digital Devide Survey' was used, and 1,665 middle and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55 who used the Internet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tical subject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new technology, information capabilities, information activities,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s of toward new technology in the middle and older adults, the higher the information capability and information activity.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mobile information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nd life satisfaction, but PC information activit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of digital devic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plan to the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middle and older adults by promoting information competency and activity through an inclusive attitude toward technology. especially, it proposed a practical intervention to activate mobile-based information activities rather than PC-based information activities. 본 연구는 Bennett(1976)의 논리모형(Logic Models)을 기반으로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디지털 기기 이용성과와 삶의 만족도의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수집한 ‘2018년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터넷을 이용하는 만 55세 이상의 중・고령자 1,665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중・고령자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 정보역량, 정보활동, 이용성과 및 삶의 만족도까지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고령자의 기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정보역량과 정보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정보활동은 디지털 이용성과를 높여 삶의 만족도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PC 정보활동의 경우 디지털 이용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높은 수준의 삶의 만족도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기술에 대한 포용력 있는 태도를 통하여 정보역량 및 활동 수준을 증진시키고, 특히 PC를 기반으로 하는 정보활동보다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활동을 활성시키는 실천적 개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격차의 지식격차에 대한 영향 연구 -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지식격차를 중심으로

        이민상(Yi, Minsa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2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격차가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지식격차를 야기하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현재의 디지털 역량이 증가하면 지능정보사회 및 기술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정을 통해서 디지털 역량에 관한 변수들이 지능정보사회와 기술에 대한 지식수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식격차 이론에서는 지식 획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사회 경제적 지위에 관한 변수들을 제시한다. 하지만 지능정보사회 및 기술에 대한 지식수준에 대해서는 디지털 역량에 관한 변수들이 사회 경제적 지위에 관한 변수들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역량 변수들 중에서는 사용 동기와 디지털 사용 기술이 지능정보사회 및 기술에 대한 지식수준에 영향을 크게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지능정보사회에 대한 지식수준 개선하고 개인 역량 강화를 위해서 현재 디지털 역량을 개선해 나갈 것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역량 교육에 대한 재조명, 공적 교육을 통한 디지털 역량 강화, 지능정보기술 체험을 통한 기술 활용 동기 부여, 지능정보사회의 기회에 대한 공감대 형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digital gap is the cause of knowledge gap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if the current digital competence is improved, the awareness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echnology will be improved. Regarding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variables related to digital competence have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knowledge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echnology. In the knowledge gap theory,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affect the level of knowledge acquisition. However, variables related to digital competenc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 and technology than variables related to SES. Among the digital competency variables, the motivation and the skill for digital usage greatly influenced the level of knowledge.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al knowledge and competency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can be improved by improving current digital competency. For that, it suggested reinventing on digital competency education, strengthening digital competency through public education, motivating for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y technology experience, and forming a consensus on opportunitie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KCI등재

        고령층의 정보의 질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 조력자 활용방식을 중심으로

        고정현(高定鉉) 한국공공관리학회 2021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5 No.3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일상적 이용으로 정보격차의 패러다임이 정보접근 격차와 양적 이용 격차에서 질적 이용 격차로 전환하는 것에 맞춰, 고령층의 정보의 질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9년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60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 1,088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영향요인으로는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정보이용 역량, 심리적 요인으로서 디지털 이용동기와 자기효능감, 그리고 사회적 요인으로서 디지털 기기를 이용할 때 잘 모르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해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원인 디지털 조력자 변수를 투입하였다. 디지털 조력자의 활용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K-평균 군집분석을 하였으며, 변수별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과 학력, 정보이용 역량, 이용동기・자기효능감, 디지털 조력자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디지털 조력자의 활용 유형 중에서도 가족 의존 유형의 한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저학력자를 위한 방안의 강구,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정보이용 역량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정보화교육의 실시, 민간부문의 디지털 조력자의 활성화를 위한 고령층 디지털 포용 문화운동의 전개 등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과 디지털 정보 활용이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시니어를 중심으로

        정현경,유연우,김정렬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ors' digital (PC, mobile) capabilities on digital technology awareness change through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The survey data of 4,377 people aged 65 or older, which was conducted in the 2021 Digital Divide Survey, was used.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were conducted,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First, digital (PC, mobile) cap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gital technology awareness changes.Second, digital (PC, mobile) cap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nd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Third, the use of digital inform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digital technology awareness.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digital information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ors' digital (PC, mobile) capabilities and changes in digital technology awareness.This result suggests that policy measures for strengthening seniors' digital (PC, mobile) use capabilities and digital information utilization are important for the change in seniors' perception of digital technology. 본 연구는 시니어의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이 디지털 정보 활용을 매개로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2021년 정보격차 실태조사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만 65세 이상 4,377명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은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은 디지털 정보 활용과의 사이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정보 활용은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니어의 디지털(PC, 모바일) 이용 역량과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의 관계에서 디지털 정보 활용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시니어의 디지털 기술 인식 변화를 위해서는, 시니어의 디지털(PC, 모바일) 이용의 역량 강화와 디지털 정보 활용을 위한 정책 방안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