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찰일지에 나타난 초등 학습자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 성찰 양상

        노들,옥현진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초등 학습자들이 성찰일지를 통해 자신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성찰하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성찰일지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밝히는 데 초점을 두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크게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성찰일지는 이 두 측면 모두에 대해 지속적·자기주도적으로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해줌으로써 궁극적으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 대한 성찰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 학습자들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 대한 성찰 양상은 어떻게 변화해가는가? 이 연구에는 총 20명의 초등 6학년 학습자들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연구자들이 개발하여 제공한 성찰일지 공책에 주 2회씩 23주에 걸쳐 전날 자신이 수행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성찰하였다. 학습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대상으로 키워드 빈도 분석을 활용하여 이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실태를 살펴보았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토대로 학습자들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을 할 때 경험한 정서와 성찰 양상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주로 여가, 친교, 학습을 목적으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남학생들에게서는 여가 목적의 게임 활동이, 여학생들에게서는 친교 목적의 SNS 활동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활동에서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였으며, 경험한 정서의 유형에 따라 다른 성찰 양상을 보였다. 성찰의 양상은 크게 행동에 대한 성찰과 학습에 대한 성찰로 구분되었으며, 행동에 대한 성찰은 다시 자기조절에 성공한 경우와 실패한 경우로 분류되고, 학습에 대한 성찰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습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들은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더 많은 양의 성찰을 하였으며, 보다 심화된 성찰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성찰일지를 포함하여 학교교육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해야 할 필요성, 슬기로운 디지털 미디어 지도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성찰 -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노들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할 때 교사들이 인식한 변화와 어려움을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설정한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는 무엇인가?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코로나 19 이후 초등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시에 근무 중인 초등교사 8명을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리터러시 활동이 증가하였으며(교수·학습 활동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협력 학습이 증가하였고(교수·학습 형태의 변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평가가 증가하였다(교수· 학습 평가의 변화). 둘째, 학습자 간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와 학습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영역 내 격차, 교사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셋째, 모든 교사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으나, 그 시기와방법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필요성,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증진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양상: ‘인디스쿨’에 공유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노들,옥현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제작하고 공유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둔다. 방법 이를 위해 초등교사들의 대표적인 소통 플랫폼인 ‘인디스쿨’을 통해 공유되고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수⋅학습 자료124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이들이 언제,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들은 주로 고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실행하고 있었으며 교수⋅ 학습 자료의 양은 2020년을 기점으로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급증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대상으로 고학년이 적합하다는 인식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수⋅학습 자료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은 디지털 리터러시의 일부 내용 요소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일부 자료의 경우 뉴스 리터러시,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성 등의 유관 개념의 내용 요소와 잘 변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들에게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과 특성에대해 좀 더 전문적인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목적은 크게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활동 지원, 학습자의 낮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디지털 공간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예방과 해결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이해의 필요성, 디지털 리터러시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의 지원의 필요성, 평가 목적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 적절한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percep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education produced and sha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To this end, we analyz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shared through ‘Indie School’, a representative communication platfor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rough this, we investigated when, what content, and why they are provi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Results First, teachers were mainly conduct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us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time for upper grades, and the amou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howed a rapid increase starting in 2020. This can be said to show that teachers' interest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has increased rapidly since COVID-19, and that they recognize that upper grades are appropriate target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arning content cover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as concentrated on some content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and that some materials were not well differentiated from content elements of related concepts such as news literacy, media literacy, and digital citizenship. This suggests that teachers need a more specialized understanding of digital literacy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Third, teachers' digital literacy education objectives were broadly categorized into supporting digital literacy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learners' low digital literacy levels, and preventing and resolving problems that appear in digital spac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for teachers to have a more profession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the need for support in various aspect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valuation purposes and the need for research into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KCI등재

        문화 실천적 관점에서 바라본 디지털 리터러시의 특징과 교육 방향

        김현정(Kim Hyeon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디지털 매체에 기반을 둔 읽기와 쓰기 활동이 보편화되면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와 관련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매체 기반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문화 실천적 관점에서도 볼 때 큰 영향력을 지닌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화 실천적 관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의 특징과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문화적 관점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이다. 우선, 디지털 리터러시는 문자, 영상, 음향, 이미지 등이 활용된 복합양식의 다감각적 글쓰기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다양한 텍스트를 연계하고 타인과 글을 공유하는 행위를 통해 다층적 목소리가 공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탈권력화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상의 글이나 콘텐츠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을 통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여 문화 공유의 가능성이 확장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특징을 바탕으로 문화 실천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방향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했다. 첫 번째로 디지털 매체 기반의 글이나 콘텐츠의 경우, 비판적 사유를 기반으로 문화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디지털 매체 기반 글쓰기를 통해 문화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경험을 확대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세 번째로는 인문적 성찰을 통한 윤리적 디지털 글쓰기를 실천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디지털 리터러시가 지닌 문화 실천적 가치와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교육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은 앞으로의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와 교육에 있어서 필요하다. 새로운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맞춰 교육 내용 역시 변화될 수 있겠지만, 인문성에 기반을 둔 리터러시 교육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는 교육의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generalization of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based on digital media, interest in digital literacy research and education is increasing. Particularly, digital literacy based on digital media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cultural practic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from a cultural practice perspective. There are three main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it is perceived as multi-sensory writing in a multimodal style, utilizing letters, images, and sounds. Next, as various texts are linked and writings could be easily shared with others, multilayered voices coexisted, enabling de-authorization. Finally, the possibility of sharing culture expanded as communication through immediate reaction to digital texts or contents became possibl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there are three major direc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cultural practice. First, in the case of digital media-based texts or contents, education is needed to share cultural values based on critical reasoning. Second, education is needed to expand the experience of creating cultural values through digital media-based writing. Third, education is needed to implement ethical digital writing through humanistic reflection. It is necessary for future digital literacy research an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cultural and practical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literacy, and seek a direction for education to perceive it. Educational content may also change with the development of new digital technologies. However, it must establish a direction for education that does not damage the essence of literacy education based on humanities.

      • KCI등재후보

        예술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방안 연구 - 상호 작용성을 중심으로 -

        신동인(Shin, Dong In),박미리(Park, Mi Ri),이유정(Lee, Yu Jung),고민수(Ko, Min Soo),정소라(Jeong, So Ra)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0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2-1

        본 연구는 예술교육 현장에서 상호 작용성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효과적인 예술교육이 가능한 수업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의 역량 강화를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연구가 시의적절한 이유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 현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상호 작용성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예술교육의 개념을 알아보고 인간중심과 창의성, 융합과 통합 그리고 현실 감각 고취의 4가지로 된 교육 모델을 정립하였다. 또한, 실제로 수행되었던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형태를 살펴보고 예술 강사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설문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상호 작용성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업을 진행한 다음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클라우스 슈밥(Klaus Schuwab)이 주장한 4차 산업혁명의 사회에서 필요한 4가지 덕목을 강화하기 위한 예술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 즉 정보의 처리 과정이 어떠한 관계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알았고, 결과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예술교육에서 발생하는 상호소통에 대하여 새로운 단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은 일차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수업 안에서 소비하는 소비자로서 강사와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학생과 콘텐츠 간의 활발한 상호소통을 경험하였다. 이 후, 수업 안에서 자신의 콘텐츠를 재생산하며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는 생산자로 변화하고, 다시 그 콘텐츠를 수용하고 소비하는 형태로 상호 작용의 선 순환적 과정을 반복 경험하였다. 이러한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며 예술 강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서 정보 리터러시 능력을 기본으로 하되, 정보에 내재한 인문학적 배경 관련 교육이 제공될 때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the compete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experts by exploring ways to utilize digital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vity in the arts education field and establishing a teaching model that enables effective arts education. The reason this research is timely is that education using digital literac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opic more than ever, due to the global Corona Pandemic. For this study, the concept of digital literacy and art education for interactivity was investigated, and an educational model consisting of human-centered and creativity, convergence and integration, and a sense of reality was established. Next, we looked at the form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at were actually conducted, and reviewed the digital literacy skills of art instructor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we developed a program that utilizes digital literacy centered on interactivity, conducted actual classes, then analyzed them. In this process, it was discovered that the four virtues claimed by Klaus Schuwab to be needed in the socie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stages of digital literacy. Through this, we found out which kind of relationship should be made between art education and digital literacy. Resultingly, a new stage could be identified for the interaction that occurs in art education using unique digital literacy. Students experienced active interactions between lecturers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and students and contents as consumers who primarily consume digital contents delivered by art lecturers in class. Then, reproduce one s own contents in the class, the process of virtuous cycle could be seen in the form of the students changing into a producer who produces digital contents and accepting and consuming the contents again. The role of arts education experts is the most important to create such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effective when education related to the humanities background embedded in information was provided while prioritizing digital literacy skills as a basis for reinforcing the capabilities of art instructors.

      • KCI등재

        생성형 AI 시대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전환

        오민정 ( Oh Min Jung ),김종규 ( Kim Jong Kyu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 No.89

        본 논문은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따른 리터러시 교육의 변화가 갖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더 나은 미래 교육을 향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새로운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삼고 있다. 급격한 디지털 전환의 시대 속에서 교육 환경 및 교육의 조건이 변경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리터러시교육,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더욱 커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본질적인 개념은 충분히 정립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역시 올바른 방향에서 수행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기능적 문맹은 이 혼란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리터러시 문제이다. 그간 리터러시는 일종의 도구 활용 능력으로 이해되었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특히, 컴퓨팅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기술의 활용을 위한 기초 교육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도구의 사용에 국한하더라도, 그 올바른 사용은 도구의 본질에 대한 이해에서 출발해야 하며, 그 도구를 통해 관계 맺는 세계에 대한 이해 역시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 전환은 이와 같은 이해의 필요성을 우리에게 강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 및 관련 교육의 전환도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리터러시의 본질적 의미를 인간의 실존 조건인 현실의 구축과 이해 능력으로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세계와 현실을 폭넓고 다양하게 이해하는 교육으로 우리의 리터러시 교육이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독일의 사례를 우리의 교육과 비교하여 참조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educational change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a better future in education. In the era of rapid digital transformati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onditions of education, as well as literacy education are in the process of chan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is more emphasized than ever. However, we still do not fully understand the essential concept of digital literacy.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digital literacy education is not being conducted in the proper direction. In turn, the problem of ‘functional illiterate’ has arisen. This paper briefly compares the perspective of literacy and digital literacy shown in, with our case, Germany, and seeks to find the essential meaning of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construct and understand reality: a condition for human existence.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future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the foundation for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reality and building a better life. Literacy education can also be understood as a part of skill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use. As technical education, literacy education is likely to trigger a literacy crisis within it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another transition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Generative AI that is heading toward the era of new technology. We need a perspective of and a direction for this new transition. Human life is not dependent on and defined by technology. As a resul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possibility that human life can unfold widely in mutual relationships. Ultimately, future literacy education should move towards education that broadly and diversely understands the world based on the original meaning of literacy.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개인정보 역설 검증: 개인정보 침해 염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시정(金時靜),최상옥(崔相鈺)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9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2 No.4

        지능정보사회는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과 이에 수반되는 개인정보 안전에 대한 논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성, 역량, 활용수준 등을 의미하는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 간 영향관계에서 개인정보 침해 염려(IPC)가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개인정보 침해 염려 수준이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접근성과 역량, 활용수준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실증적으로 논의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서 제공하는 한국미디어패널조사 2014년부터 2016년까지의 종단 데이터를 바탕으로 패널회귀 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한 매개된 조절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1차-2차 디지털 리터러시 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1차 디지털 리터러시가 2차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2차 디지털 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역량과 활용 간 유의한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간 영향관계에서 개인정보 침해 염려가 높을수록 1차 디지털 리터러시가 2차 디지털 리터러시 중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지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이에 상반되게 개인정보 침해 염려가 높을수록 1차 디지털 리터러시가 2차 디지털 리터러시 중 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다시 한 번 확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정보 역설 현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one of factors that accelerate the change of society. These changes in environment and demand requires “digital literacy”, a set of competencies and usage that depends on one’s respective field. Due to the growing amount of digital technology and people’s increasing dependence on that, privacy should be considered as a vital factor in contemporary digital society. We evaluated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privacy concerns on digital literacy, while t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irst-level digital literacy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into account. The research analyzed 8,053 sample longitudinal data based o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from 2014 to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evel digital liter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skill and use. In addition, privacy concerns did moderate mediation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irst-level digital literacy and second-level digital literacy. Specifically, while privacy concerns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ccess and level of digital use,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 and digital skill is questionable. This results confirmed a “privacy paradox”. Here, the paradox refers to the situation in which people use more digital services even though they feel significant privacy risks. The study identifi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concerns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better understand the privacy paradox.

      • KCI등재

        교양일본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부산 S대 교양일본어 학습자 니즈 분석을 중심으로-

        김세련 대한일어일문학회 2023 일어일문학 Vol.98 No.-

        본 연구는 부산 S대 교양일본어 SJP강좌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와 그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조사를 분석하여 그 개선 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22학년도 2학기 교양일본어 SJP 강좌 전체 수강자204명, 응답자는 167명으로 81.9%의 응답률을 보였다. 분석결과, 첫째, ‘리터러시’ 용어는 24.6%의 낮은 인지도를 보여, 용어 자체를 생소하고 다소 낯설어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수강자에게 가장 친숙한 리터러시는 디지털리터러시(46%)와 미디어리터러시(26%)로 나타나, 디지털 사회에서는 디지털 역량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디지털 리터러시가 통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수업의 전체 영역에 적용된 비율은 33.8%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학습법’에서 37.7%의 가장 높은 적용률을 보이고 있으며, 문법과 회화수업에서의 적용단계의 상이점은 보이지 않고, 거의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넷째, 디지털 도구의 활용도는 퀴즈게임(31.1%)과 내용설명(26.6%)에서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교육의 장애요인으로 인식부족(42.2%)과 교육환경의 미비(23.4%)를 지적하였다. 여섯째, SJP 디지털 리터러시 적용 여부에 따른 만족도 평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 검정 결과, 문법수업의 디지털 리터러시 적용 시 교수 만족도는 평균 4.57(SD=.76), 미적용 시 교수 만족도는평균 4.10(SD=1.22), 이러한 차이는 t=2.05, p<.05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디지털 리터러시를 적용함으로써 수강자의 교수 만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SJP강좌의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수업설계의 개선 방향으로 STCPR 방식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도입한 학습자 맞춤형 프로젝트 교육과정 개편과 다양한 디지털 플렛폼 및 도구 활용을 부분교사에서 전체교수로 확대하여 다양한 에듀테크 활용을 제안한다. 끝으로 본고의 설문결과가 향후 디지털 기반 수업의 대응 전략으로 활용되길 바라며, 교양교육에서의 일본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한 실천 사례연구가 계속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디지털리터러시 연구 동향분석 - 2011-2015년과 2016-2020년 비교분석

        김영환,김우경,박지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4

        In a digital environment, digital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correctly understand and use digital technology to lead a valuable life in a digital environment, explore and use information, critically analyze, evaluate, communicate, and create,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Its necessity has increased rapidly, and it is functioning throughout society. However, since there has been no convergent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the trend of digital literacy research has until recently been examined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the past 10 years. To understand the quantitative change of digital literacy research, keywords, degree centrality, and cluster map, this study condu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a quantitative change in the research on digital literacy from 2011 to 2020. Such change increased by about 3.5 times in the latter five years (2016-2020) than in the first five years (2011-2015). Second,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map of digital literacy revealed those with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were “education,” “digital,” “digital literacy,” and “literality,” and “competency” and “information” were added in the latter five years. In addition, the network map also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nodes and a complex change in the network. Third, by analyzing the cluster map, five large clusters were formed in the first five years and nine large clusters were formed in the latter five years. Through this,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research and various expansion of the research field were confirm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proposed a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apidly increasing digital literacy research and emphasized the need for exploration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topic of digital literacy focused on “education.” The reinforcement of convergent research was also discussed. 디지털 환경에서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가치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해 디지털 기술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사용하여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며 비판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소통하고 창조하는 역량인 디지털리터러시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후로 급격하게 그 필요성이 증대되어 사회 전반에서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디지털리터러시에 초점은 둔 다양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에 디지털리터러시 연구의 동향을 지난 10년간의 연구 동향을 4차 산업혁명의 기점이 되는 2016년을 기점으로 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디지털리터러시 연구의 양적 변화와 핵심 키워드, 연결중심성과 클러스터 맵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2011-2020까지 디지털리터러시에 관한 연구의 양적 변화가 전기 5년(2011년2016년) 보다 후기 5년(2016년-2020년)간의 연구가 약 3.5배 정도 증가함을 파악하였다. 둘째, 디지털리터러시의 키워드 네트워크 맵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교육’, ‘디지털’, ‘디지털리터러시’, ‘리터러시’이고 후기 5년에서 ‘능력’, ‘정보’가 발견되었으며, 네트워크 맵에서도 노드 수가 증가와 연결망의 복잡한 변화를분석하였다. 셋째, 클러스터 맵 분석 결과 전기 5년에서는 5개의 큰 군집이, 후기 5년간 크게9개의 군집이 형성되었고 이를 통해 연구의 양적 증가와 연구 분야의 다양한 확장을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급증하는 디지털리터러시 연구에 대한 질적 분석을제안하였으며 “교육”에 편중된 디지털리터러시의 연구 주제의 확장과 더불어 사회전반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탐색의 필요성을 역설함으로써 디지털리터러시에 대한 융합적 연구의 강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 보드리야르의 사고에 기반한 미술과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 탐색

        이은적(Eun jeok Lee)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6 No.-

        이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양상을 드러낸 보드리야르의 사고에 기반하여 미술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의 내용을 검토해 보는 데 있다. 우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보드리야르 사고를 관점별로 검토하고, 이어서 그의 사고를 오늘날의 사회 및 문화 상황에 적용, 논의해보며 미술과 교육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의 문해와 비판적 사고가 교과 공통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과 미술과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디지털 활용에 국한하지 말고 비주얼 리터러시와의 교집합으로 제시하여 미디어의 속성과 관련한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반영하여 교과 공통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와 미술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범주별로 제안하였다. 보드리야르의 사고는 디지털 미디어와 이미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비판적인 사고의 형성을 위한 교육내용을 깊이 있게 고안하게 해준다. 이 연구는 현장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 문헌 조사를 통해 학교급별 구분 없이 미술과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탐색, 도출해보는 탐색적 연구 방법을 취하였다. 수업 실행과 분석, 다른 입장의 이론을 적용한 디지털 리터러시 구성 요소 검증은 후속 연구로 남아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ets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Baudrillard’s perspectives, which illuminate the negative dimensions of digital media and culture. Initially, I looked in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Baudrillard’s viewpoints from various angles, examining their interconnectedness and collaborative function. Subsequently, I applied and discussed these perspectives within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o delineate the specifics of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Of note, digital literacy should encompas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ritically interpret digital images as part of a broader digital literacy across subjects. In art education, digital literacy should transcend mere technical proficiency, integrating with visual literacy to enable critical analysis of images within the context of media properties. Considering this, I proposed components for common digital literacy across subjects and educational content specific to digital literacy in art education, categorized by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and value/attitude. Baudrillard’s insights enables us to deeply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 to foster a correct understanding of digital media and images, nurturing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This study serves as foundational research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employing an exploratory research approach to elucidate the contents of art education without distinction by school level through a review of literature. Further research avenues include classroom implementation, analysis, and validation of digital literacy content componen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lternative the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