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개별화 수업을 통한 인포그래픽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임연우(Yeon Woo Lim),남원석(Won Suk Na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1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들은 창의력과 더불어 정보를 구체화하고, 그 정보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개별화를 통해 유연성 있게 학습해야 한다. 하지만 수업의 다양한 한계들로 인해 학생들의 다양성이 고려되지 않은 획일화된 수업 방식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학습의 한계들을 극복하고, 디자인과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하기 위해서 개별화 수업과 함께 시각디자인-인포그래픽 디자인을 활용하여 교수-학습법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통해 인포그래픽 디자인과 개별화 수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과 개별화 수업의 융합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후 수업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디자인 교사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개별화 수업의 개념을 통한 인포그래픽디자인 수업을 구체화하였다. 수업은 총 5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연구자는 5단계로 집단별 개별화 수업과정을 통한 인포그래픽 디자인 수업을 계획하였다. 연구자는 서울 소재 특성화 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 62명을 대상으로 한 3주간(22.4.11-22.4.29) 개별화를 통한 인포그래픽디자인 수업을 하였으며, 이후 수업 만족도 조사에서 평균 4.5점의 높은 만족도를 보임으로서 그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Students in the design depart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ould flexibly learn how to materialize and visualize information along with creativity through individualization. However, due to the various limitations of the classes, there is a uniform classification system that does not consider the diversity of students. Therefore, the researcher proposes learning method using visual design-infographic design along with individualization classes to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in the design deparment. As a research metho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infographic design and individualization classes was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and the fusion of infographic design classes and individualization classes was studied. After that, a survey was conducted on design teacher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class, and infographic design classes were specified through the concept of individualized classes. The researcher planned a group-specific individualized infographics design classes in 5 stages. The researcher conducted a 3-week (April 11-29, 2022) individualized infographics design classes targeting 62 students in the design department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in Seoul,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by obtaining a high satisfaction rating with an average score of 4.5 in a post-classes satisfaction survey.

      • KCI등재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지원도구 개발

        전연홍 ( Yeonhong Jeon ),정현미 ( Hyunmi Chung )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 교수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먼저 문헌분석 및 전문가 검토를 통해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 절차를 도출하였다. 이후 캡스톤디자인 수업 준비 및 운영 시 필요한 사항에 대해 교수자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요구분석 결과와 추가 문헌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1차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1차 수업지원도구에 대한 전문가 및 사용자 검토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웹 사이트 형태의 2차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하였다. 이후 2차 수업지원도구에 대한 사용자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반영한 최종 수업지원도구를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수업지원도구는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강좌의 수업준비, 오리엔테이션, 문제정의, 해결안 발상, 해결안 개발, 발표 및 후속 활동 단계를 안내하며, 각 단계별 세부 활동 및 지침, 교수자와 산업체 전문가의 역할 등을 제시한다. 수업지원도구는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 단계별 활동 상세 설명, 활동 양식, 체크리스트, 산업체 전문가·학습자 배포자료 등을 포함하며, 사용안내, 수업모형, 수업준비 활동안내, 수업운영 메뉴로 구조화된다. 이 도구는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유형을 3가지(심화학습병행형, 실무문제해결형, 자율문제해결형)로 분류하여 수업계획서 작성 활동을 지원한다. 또한, 단계별 교수자, 산업체 전문가, 학습자의 역할과 학습 팀의 개별 학습 활동, 참여동기 유발 전략, 무임승차자 방지 전략 등 수업준비 및 운영 과정에 필요한 세부 정보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기반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세부절차와 각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 교수자 및 산업체 전문가의 역할, 필요 양식, 배포자료 등을 제공하는 수업지원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공과대학 교수자가 수업준비 및 운영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developed an instructional support tool based on a design thinking process to assist instructors at engineering colleges plan and operate Capstone Design courses. First,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nstructional steps, from which the primary instructional support tool was developed. Then experts and users reviewed the tool and a secondary tool was developed for a website format, which was again reviewed by users. The instructional support tool comprised several stages: preparation, orientation, problem definition, ideating, solution development, final presentation, and follow up activities. The developed instructional support tools give guidance on stage-specific activities and provide support elements for each activity, such as activity descriptions, checklists, and materials. This tool also provides three types of Capstone Design classes, a summary of the instructor and industry expert roles, and detailed learner guidance for self-directed team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vides developed instructional support tools that detail the instructor and industrial expert roles, the worksheets, and the distribution of materials to assist instructors at engineering colleges looking to apply design thinking to Capstone Design course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가네의 수업사태를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과정 연구

        김정우,김관배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8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2 No.3

        Now there is big market formed in reflection of high demand of emoticons that are now considered as design products, which also stimulates the demand of emoticon-designers as care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 emoticon-desig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o train talented students. There is no schools teaching emoticon-design however. From that reasons, this study focus on explaining why we should teach emoticon design to high school students and developing education of emoticon design with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events by Rovert M. Gagn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ing process. First, we review literatures about emoticon design and the education of it. Second, we do a research about current situation of visual design education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to study the necessities, basic direction and methods of the emoticon design classes. Third, we introduce ‘Nine Events of Instructional Theory by Robert M. Gagne’ a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Finally,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contents, we develop education of emoticon design. To test the newly developed ‘education of emoticon design’, we opened a demonstration class in a specialized high school. After the class ended, we conducted survey targeting the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As a result, we find that the students successfully learned the theories and how to apply it in each steps, an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 class. This results support that the education of emoticon design is useful teaching method for the students studying design in specialized high schools. 이모티콘은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하나의 디자인 상품으로 자리매김하여 큰 시장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모티콘 디자이너라는 직업인의 수요가 많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모티콘 디자인은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인재 양성의 일환으로 관심을 가지고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이모티콘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이모티콘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이모티콘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교수하기 위해 가네의 수업사태를 활용하여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이모티콘 디자인과, 이모티콘 디자인 교육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통하여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시각디자인 교육현황을 연구함으로써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의 필요성, 기본 방향, 방법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이모티콘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해 활용할 가네의 수업사태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에 가네의 수업사태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그 결과로 ‘가네의 수업사태를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과정’을 개발하였다. 이 개발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과정을 실행연구를 통해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업과정을 평가한 결과, 학생들이 수업사태에 따라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그 이론을 각 실습단계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였고, 전체적으로 수업에 만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모티콘 디자인을 처음 학습하는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에게 ‘가네의 수업사태를 활용한 이모티콘 디자인 수업과정’이 효과적인 교수방법임을 검증한 것이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디자인교육 수업모형 개발과그 교육적 효과에 관한 검증

        심현진,연명흠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3

        Storytelling has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expand of design thinking, and interesting in learners during applying to education. It was appeared that storytelling would be used in design education affecting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erms of improving the ability of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However, storytelling on design education is just in the beginning of academic studies, also specifically it has not various studies instructional mod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odel in design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and verification of study on the effects through adaptation of design education in a specialized design high school. In detail methods, we developed a educational model with 6 steps for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design which divided to storytelling education(78 students) and standard education(78 students) in a specialized design high school.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storytelling, we deducted pre- and post-questionnaires and used a SPSS program. For verification of storytelling design education, we analyzed reliability(Cronbach’s ), homogeneity(independent t-test), verification(paired t-test). As a result, storytelling showed to improve in appropriacy,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idea generation vs. standard education from pre- and post-questionnaires which ha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ppeared the effects on design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and can be used for self-problem solving education. Design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has a worth as design curriculum education, and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references and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design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스토리텔링은 학습자들에게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과정에서 학습의 흥미도와 참여도를 높여주고 사고를 확장해 주는 교육적 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사고를 확장하고 문제해결을 통해 창의성 개발을 지향하는 디자인교육에서도 스토리텔링을 잘 활용한다면 그 효과는 크게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스토리텔링 디자인교육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시작단계이며, 구체적인 수업모형을 개발한 연구는 다양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디자인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 수업의 적용을 통해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6단계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스토리텔링 수업(대상 78명)과 기존의 교육과정 수업(대상 78명)으로 나누어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전공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광고디자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스토리텔링의 수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설문지와 사후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지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스토리텔링 디자인 교육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문항의 신뢰도분석(Cronbach’s ), 동질성검증(독립 t-검증), 교육효과 검증(대응 t-검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수업적용의 적절성, 적용수업의 종합평가, 아이디어 발상 효과의 모든 측면에서 기존교육과정 대비 스토리텔링 수업의 평가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수업이 효과가 있으며,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스스로 문제해결 과정을 거치면서 자유롭게 사고하고 표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디자인 교육이 디자인교과 교육으로서 가치를 높이고, 향후 스토리텔링 디자인교육 개발에 자료와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자인 졸업 작품전을 활용한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임병우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1학기 수업을 디자인 졸업작품 프로젝트 수업으로 운영하고 나타난 효과 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1학기 전공 교과인 <광고미디어워크숍>을 디자인 졸업작품 프로젝트 수업 방식으로 설계하였으며, 수업 결과 산출물로 SNS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미디어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인 광고 형식 또는 새로운 형식의 커뮤니케이션 영상을 완성하여 학기 말에 발표하도록 문제를 제시하고 수업계획에 맞춰 운영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학습에 대한 다양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테크 놀로지 활용 문제해결에 대해 긍정적으로 기대할 수 있어 대학의 디자인 졸업작품 수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연구 대 상은 수도권 S대학의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학생들로 구성되었고, 총 2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수업은 대부분 3 인 이상으로 구성된 총 11개의 팀으로 운영되었다. 분석에 이용한 자료는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한 학기를 모두 마친 학습 자들이 작성하여 제출한 성찰일지와 자기평가지, 참여와 결과에 대한 만족도 평가지였다. 성찰일지에서는 키워드와 의미 분석을 통해 협업에 대한 이해, 교과 관련된 지식 습득과 적용, 신기술 수용 태도 변화, 공감적 이해, 문제해결력 향상, 실 제적 경험, 반성과 자아성찰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자기평가와 만족도 조사에서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에서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프로젝트 수업이 디자인 졸업작품 창작에서 요구되는 문제에 대한 공감적 이해, 지식 습득과 기술 적용 등의 다양한 학습효과를 통해 실제적인 문제해결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 디자 인 졸업작품 수업의 효과를 향상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erate the first semester class of the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at a university as a design graduation project clas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shown. For the research, <Advertising Media Workshop>, a major subject for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year of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was designed as a design graduation project class, and the class results were general advertising formats or new format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digital media, including SNS. A communication video was completed, problems were presented to be presen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it was operated according to the class plan. Project classes are learner-centered classes and are known to have various effects on learning. In particular, they can be expected to positively solve problems using technology, so they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university design graduation work classes.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fourth-year industrial design students at S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29 people participat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most classes were run in a total of 11 teams consisting of three or more people.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reflection logs, self-evaluation forms, and satisfaction evaluation forms regarding participation and results submitted by learners who completed a full semester of project classes. In the reflection journal, the effects of understanding collaboration, acquisition and application of subject-related knowledge, change in attitude toward accepting new technology, empathetic understanding,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practical experience, reflection, and self-reflection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keywords and meanings. Self-evaluation and satisfaction surveys showed evaluation results at an overall high level.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roject classes lead to practical problem solving through various learning effects such as empathic understanding of problems required in the creation of design graduation works, knowledge acquisi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 design graduation work classes.

      • KCI등재

        디자인 씽킹 기반 창의적 활동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디자인 씽킹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수업을 중심으로

        조규락(Cho Kyoo-Lak),김선연(Kim Sun 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수업에서 창의적 활동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디자인 씽킹 수업에 참여한 97명의 대학생과 문제중심학습 수업에 참여한 124명의 대학생이며, 디자인 씽킹 5단계(공감-정의-발상-프로토타입-테스트)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활동 31개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단계에서 디자인 씽킹 수업에서만 객관적인 학습자료 수집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창의적 활동임이 밝혀졌다. 둘째, 정의 단계에서 디자인 씽킹 수업에서 본질적 가치 통찰이, 문제중심학습 수업에서 문제 프레이밍/리프레이밍 활동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창의적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발상 단계에서 디자인 씽킹 수업과 문제중심학습 수업 모두 우선적으로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집중영역의 창의적 활동이 도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디자인 씽킹 수업에서 우선순위 결정 활동이 중요성에 비해 과도하게 수행되는 활동임이 밝혀졌다. 넷째,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문제중심학습 수업에서만 실패경험 공유 활동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창의적 활동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테스트 단계 문제중심학습 수업에서만 전문가 자문 활동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활동으로, 자체 평가 활동이 중요성에 비해 과도하게 수행되는 활동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디자인 씽킹 수업에서 공감과 문제 정의 활동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학습활동 설계와 교수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문제중심학습과 디자인 씽킹을 접목한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기대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creative activity in both design thinking class and problem-based learning clas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survey on the 31 creative activities required in 5 stages (empathy, definition, ideation, prototype, test) of the design thinking, which of the subject was 97 college students in a design thinking class and 124 college students in a problem-based learning class.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revealed that at the empathy stage, objective learning materials collection only in the design thinking class is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Second, it showed that at the definition stage, essential value insight in the design thinking class and problem framing/reframing activity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is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Third, it revealed that at the ideation stage, there is no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in both the design thinking class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and that priority decision activity is activity that is performed too much in contrast to its importance. Forth, it revealed that at the prototype stage, shared activity of failure experience only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is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Fifth, it showed that at the test stage, expert advisory activity only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is creative activity that should be urgently improved, and that self evaluation activity is activity that is performed too much in contrast to its importance. The study presented several implications including the necessity of concrete learning activity design and instructional support on the empathy and definition stage in the design thinking class; the development of brand new teaching-learning model such as design thinking-PBL(D-PBL) model that is integrated problem-based learning into design thinking.

      • KCI등재

        디자인 PBL 수업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고은영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급변하는 21C 사회에서는 디자인 교육 분야의 핵심 화두중 하나를 뽑자면 창의적 문제해결력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PBL(Problem Based Learning) 교육모형을 개발, 이를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디자인 전공자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디자인 PBL 수업을, 비교집단은 일반 수업을 진행한 후, 두 집단 간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및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디자인 PBL 수업이 일반적인 수업에 비해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특히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요인들 중에는 ‘확산적 사고와 의사결정 요인’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PBL 기반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업만족도의 하위요인들 중 ‘수업 흥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디자인 PBL 수업은 체계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사고 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외에도 디자인 PBL의 팀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타인에 대한 배려, 협동성, 책임감, 의사소통 등 디자이너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어지는 창의력 및 문제해결능력의 역량 제고를 위해 디자인 PBL 수업의 적용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With rapid social changes in the 21st century,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has become one of the major topics in the field of education desig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design of aiming to look into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us, we compared and analyzed differences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between the following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of 40 students that formed two design classes, in which case the Design PBL was applied, and a comparison group that received general lessons. Our results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design course that applied PBL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an general classes. Consider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sub-variables, it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divergent thinking and decision making. Second, in the course for design majors, the PBL methods appeare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lesson satisfaction than general classes. In particula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est level, which is a sub-variable of lesson satisfaction. With these outcomes, the Design PBL was effective considering the improvement of creative design thinking for systematic problem solving. Furthermore, through team activities, the Design PBL provided a great opportunity for the students to build up their character by learning to care and by improving cooperativeness,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designers should posses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Design PBL expansion is necessary to bolster problem-solving abilities, cooperativeness, and creativity, which are cor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대학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디자인의 새로운 접근 방법 개발 연구

        이용숙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4

        이 연구에서는 교수들이 자신의 수업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디자인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디자인의 사례와 함께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지인류학에서 개발된 원인연쇄(causal chains) 분석을 교수들의 수업분석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개발하였다. 이를 Fink(2003)가 개발한 통합적인 12단계의 수업디자인 모델과 연계하여 수업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처럼 재개발한 수업분석법과 수업디자인 방법에 대한 연수 자료를 개발하여, 교수법 연구모임과 10여 차례의 워크숍 및 연구자의 수업에서 적용하면서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수정․보완하는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두 부분으로 제시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 수업디자인 과정에 연계시킨 수업분석방법 중 특히 중요한 ‘원인연쇄분석’ 방법을 연수 자료로서 재개발한 결과를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다음에는 연수용 자료로서 재개발한 12단계의 수업디자인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의 절차를 더 구체화하면서 수업에 대한 교수의 참여관찰 결과와 학생 피드백 내용분석, 원인연쇄분석, 결정표 분석, 수업 중 실제학습시간분석 등의 수업분석방법들과 연계시키고, 실제 수업 디자인 사례를 함께 제시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디자인 방법 및 수업분석법 연수 자료는 앞으로 박사과정에서 교수법 강좌를 운영하게 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교수와 대학원생을 위한 교수법 워크숍을 운영하게 되는 경우에 교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교대와 사대의 교수법 관련 강좌에서도 수업분석 방법이나 수업디자인 방법에 대해서 지도할 때 참고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ew approach in designing a course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teaching. For this purpose, ‘causal chain analysis’ created in cognitive anthropology was redeveloped to be used for the analysis of teaching. In order to create a new approach in designing a course, this redeveloped causal chain analysis was linked to the Fink(2003)'s 12 phases of designing college courses. An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material of this new approach. After producing initial materials, the researcher organized a teaching circle with ten other professors in the same university and conducted ten workshops for teachers, professors,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During the workshop, participant observation, informal interviews and brief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get feedback from the participants. Based on the feedback, new cases to apply these methods were developed and the training material was improved. The researcher applied causal chain analysis and the process of designing courses for the improvement of her own courses, and developed the processes of the self-improvement of teaching. The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causal chain analysis and matters to be attended to during the process of the analysis. Diverse examples of using the analysis to solve problems or to improve teaching were discussed to show how enormous the potential of the causal chain analysis is. The procedure of designing college courses i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use of case of actual course development.

      • KCI등재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전문성 제고를 위한 디자인 사고 개발 방안 탐색

        박기용 ( Ki-yong Par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를 예비교사가 개발해야할 수업 또는 수업설계 전문성의 하나로 간주하고, 이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 방안을 시론적 수준에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수업행위 그 자체가 수업을 개선·혁신·창조하는 디자인행위이므로, 교사에게는 디자이너의 사고방식 즉, ‘디자인 사고’가 요구된다는 논리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디자인 사고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둘째, 디자인 사고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혁신적 디자이너들의 사고방식’을 실증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디자이너들은 해결안을 중심으로 문제와 해결안을 동시 병렬적·시스템적으로 이해하며, 자신만의 독특한 관점으로 프레이밍함과 동시에 기본원리를 토대로 디자인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셋째, 예비교사가 디자인 사고에 기초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이상적인 방법을 ‘디자이너의 사고방식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가 디자이너의 사고 방식대로 수업을 설계하는 전문성을 계속적으로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경험과 교육적 환경을, 1)실제적 수업상황 속에서의 다양한 수업설계 경험, 2)수업의 문제에서 시작하는 수업설계 경험, 3)수업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디자인 사고의 경험, 4)디자인 사고에 토대한 계속적 수업의 재설계 경험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결국, 예비교사가 수업의 문제를 디자이너의 방식대로 이해하고 해결하는 습관을 형성하는 것은 유연하고 적응적인 교사가 되는 것을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olved a preliminary inquiry into educational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expertise based on design thinking. The study results clarified that pre-service teachers should think like innovative designers because teachers’ instructional activities are, in fact, design activities, in that both are subject to change, improvement, and innovation, and therefore pre-service teachers need to design their instruction using an innovative designer approach. The study further revealed that the nature of design thinking was synthesized from empirical studies of design thinking and involve a solution-first, systems approach, framing the problem in a distinctive perspective and designing activities based on the first principles. In this study the nature of design thinking was related to pre-service teachers’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design thinking practice was roughly outlined as follows: instructional design experience in authentic instructional context, problem-focused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modeling of design thinking as an instructional design tool, and problem-solving or re-design of instruction based on design thinking.

      • KCI등재

        경영컨설팅 분야 캡스톤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H 대학 재직자 중심 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임욱빈(Leem, Wook-Bin),황영아(Hwang, Young-Ah)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영컨설팅 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운영 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경영컨설팅 분야 캡스톤디자인 수업 운영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캡스톤디자인의 개념, 운영체계 및 절차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토대로 산업체 멘토를 선정하여 15주로 구성된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설계하고, 수업준비, 수업, 종료 단계에 따른 학습자, 교수자, 산업체 멘토의 역할을 포함한 수업운영 세부 절차를 마련하였다. 이후 설계된 수업운영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성과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설계된 수업모형에 따라 학습자들은 3팀으로 나누어 팀별 주제 설정, 과제계획서 제출, 프로젝트 수행, 프로젝트 평가 등을 수행하였으며, 교수자와 산업체 멘토의 프로젝트 진행 지원과 피드백이 이루어졌다. 수업 운영 결과 기존 습득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실무에서 요구하는 실제적인 역량 함양, 선행학습 내용의 종합적 적용 측면에서 캡스톤디자인 수업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경영컨설팅 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수업에 있어 학습자, 교수자, 멘토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수업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향후 경영컨설팅 분야 수업설계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n the field of management consulting using capstone design,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Methodology] In this study, a 15-week capstone design class was designed by selecting industrial mento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on capstone design. After that, the class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designed class model,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was verified through the clas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indings] According to the designed class model, the learners were divided into three teams to select a topic, submit a task plan, perform a project, and evaluate the project. Support and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industry mentors wer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class operation, the effectiveness was confirmed in terms of developing the competency required in practice and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prior learning based on the previously ac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ystematically presented a teaching model for the capstone design class in the field of management consul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