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재생기업이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 암사 도시재생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화령(Kim, Hwaryeong),김호철(Kim, Hocheol) 한국도시행정학회 2022 도시 행정 학보 Vol.35 No.3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운영 주체로 새롭게 등장한 도시재생기업(CRC)이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적합한 수단이 되고 있는지를 진단하고,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근린재생형 도시재생 사업지 중 지역관리형 도시재생기업(CRC)을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해가고 있는 암사 도시재생사업을 사례 대상지로 선정하고, SLEN 모델의 4가지 투자요소인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재무적 자본, 생태적 자본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마중물사업으로 마련된 인적, 사회적, 재무적, 생태적 자본이 도시재생기업(CRC)을 중심으로 조직화되고 일부 자본에 재투자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시재생기업이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도시재생 목표를 달성해 나가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의 확보, 사후 지원제도와 다양한 재무적 자본의 활용, 지역주민의 신뢰와 협력, 마지막으로 도시재생기업의 활동에 대한 법적・제도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whether CRC (Community Regeneration Corporation), a key player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can play a sustainable role and to suggest a way to secure the continuity of the project. The factors affect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Amsa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analyzed using the four investment factors of the SLEN model: human capital, social capital, financial capital, and ecological capita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human, social, financial and ecological capital was organized around CRC and reinvested in capital. In order for an CRC to secure sustainability,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fessional manpower, use a follow-up support system and various financial capital, trust and cooperate with local residents, and prepare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Community Regeneration Corporation.

      • KCI등재

        도시재생을 통한 창조도시 구현 방안 연구

        정철현(鄭喆鉉),김종업(金鍾業)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3

        정보화와 세계화 시대에 진입하면서 제조업 중심의 산업사회가 쇠퇴하고 정보와 지식 그리고 문화와 창의성이 중요한 사회로 전환되고 있다. 경제의 중심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이전되고, 획일적 소품종대량생산에서 유연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바뀌고, 단순 육체노동에서 연구, 개발, 디자인 활동으로 전환되면서 서구의 많은 도시들은 탈산업화가 시작되면서 도시지역의 쇠퇴가 되었고, 도시의 활력을 잃어 버렸다. 1980년대 이후 서구의 도시들이 쇠퇴한 도시지역의 활성화와 정체성 확립을 위해 시도한 것이 도시재생 사업이다. 도시재생사업은 문화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물리적 개발방시에서 벗어나, 사회ㆍ경제적 측면을 고려한 탈산업화 시대에 도시개발의 패러다임이다. 도시재생 사업은 최근 들어 쇠퇴를 시작한 한국의 도시정부들에게 가장 핵심적인 도시 관리 정책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창조도시’라는 글로벌 흐름을 바꾼 패러다임은 기로에 서 있는 한국의 도시들에게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개념이다. 탈산업화 이후 전환기 도시 부산의 발전에 가장 필요한 것이 도시재생을 통한 창조도시의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지방자치제의 실시 이후 오히려 쇠퇴하고 기능을 잃어 가는 부산시의 도심지역의 활성화와 지역문화를 통한 정체성 회복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부산시 구도심을 중심으로 한 문화(문화거리 조성)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재생을 통해 창조도시 구현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는 먼저 도시재생과 창조도시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검토와 해외 도시재생과 창조도시의 구현 사례들을 알아보았다. 또한, 사례연구로서 부산시의 도시재생과 창조도시 구현 현황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를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을 통해 창조도시 부산의 구현을 위한 방안으로 구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창조도시에서 중요시 되는 지역문화의 가치의 하나인 문화거리를 중심으로 한 ‘창조도시 부산’의 구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의 본질과 재산권보장의 관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

        이승우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2 No.1

        Urban regeneration 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is defined as engineering the urban function to serve its original purpose, such as to meet the modern lifestyle, develop local communities, and facilitate cultural activities.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considered both important and necessary because most urban areas do not meet the current tastes of people enjoying modern life, due to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haphazard developments. People in this modern society desire an urban environment that fits their lifestyle: one that brings together residential, commercial, industrial, and natural areas to a harmonious setting.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as above, we are making certain assumptions about its function and role. In other word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unction and play a role to establish needed infrastructure in the area,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esthetic outlook, allow for sustainable economic growth, enhance the sense of community, and secure resettlement rates. The “Urban Regeneration Act,” with its objective clause, well reflects the guideline towards such function and rol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 need to make cautionary measures in design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ecause they impos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perty rights of residents. Since the majority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urban redevelopment and rebuilding of the properties owned by residents, they should be preceded by a consideration of adequate compensation. Of course, not al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initiated through redevelopments and rebuilding that requires compensation but are done through using or limiting the property rights of preserved areas. Also, the projects maybe propelled by lifting off the regulatory control of previously regulated areas such as preserved areas. Henc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uld be managed with caution, with a deep consideration of their effects on the property rights of residents. For these reasons, public-private partnership becomes essential in the suc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도시재생 내지 도시재생사업이란 현대인의 생활감각에 맞는 도시기능을 회복함은 물론이고 지역발전과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도록 도시기능을 정비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도시는 산업화와 더불어 무계획적으로 발달하여 현대인의 생활감각에 맞지 않기 때문에 도시재생사업이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하였다. 현대인은 현대적 생활감각에 맞는 도시환경, 즉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공원지역 등이 조화롭게 구성된 생활환경 속에서 문화생활을 바라기 때문이다. 도시재생사업을 위와 같이 이해하는 경우, 그것은 일정한 기능과 역할을 전제하고 있다. 즉 도시재생사업은 도시기반시설의 확충, 주거환경 및 도시미관의 개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공동체의 유지와 재정착율의 확보 등을 기능과 역할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재생특별법’은 목적조항을 통하여 이 도시재생사업의 기능과 역할을 잘 반영하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은 지역주민의 재산권에 대하여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의를 요한다. 도시재생사업은 지역주민의 재산권에 대한 공용침해의 방법으로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당한 보상의 문제를 전제해야 한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은 모든 지역주민의 재산권에 대하여 보상이 요구되는 공용침해로 추진할 수 없기 때문에, 보상이 요구되지 않는 보전관리지역과 같은 재산권에 대한 사용ㆍ제한의 방법도 사용한다. 그리고 보전관리지역과 같이 규제되었던 재산권에 대하여 규제해제를 하면서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기도 한다. 따라서 도시재생사업은 지역주민의 재산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추진되어야 하고, 바로 그러한 이유로 민관협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분야이다.

      • KCI등재

        도시재생지의 감성적 경험 및 인지적 경험이 재생지 애착과 재생지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성호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의 확장이자, 지역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충청남도 보령시 궁촌마을을 바탕으로, 도시재생지의 감성적경험 및 인지적경험에 대한 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또한, 최종 개발된 측정척도와 보령시 도시재생지역에 대한 재생지지역에 대한 애착과 재생지지역에 대한 브랜드자산에 대한 결과변수의 영향관계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성공적인 도시재생 프로젝트 지역으로 널리 알려진 충청남도 보령시 궁촌 마을 도시재생지역을 찾아온 방문객을 대상으로 방문객의 경험과 재생지애착, 그리고 도시재생지브랜드 자산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방문객의 감성적 경험의 직관적 감성경험과 행동적 감성경험은 재생지애착에 긍정의 요인이 작용한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방문객의 인지적 경험의 물리적 환경품질과 인적 서비스품질은 재생지애착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재생지애착은 도시재생지 인지도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정 도시재생지에서의 특별한 경험이 다른 지역 도시재생지와는 확연히 다른 특성의 장소로 인식할수록, 해당 도시재생지에 대한 인지도가 우수하다고 지각할 것이며, 다른 도시재생지 보다 해당 도시재생지에서 머무르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재생지애착은 도시 재생지 충성도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문객에 있어 특정 도시재생지의 문화 및 관광활동을 통해 발생된 재생지애착이 궁극적으로는 도시재생지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for the emotional and cognitive experiences of urban regeneration, which is being carried out as part of th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by utilizing local cultural assets that are being carried out as part of th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which is an expansion of urban regeneration. wanted to In addi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nally developed measurement scale and the outcome variables such as attachment to the regenerated area and brand equity to the regenerated area in Boryeong City was sought. To this e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attachment to the regeneration site, and brand assets of the urban regeneration site was verified for visitors who visited the Gungchon Village Urban Regeneration Area in Boryeong-si, Chungcheongnam-do, which is widely known as an excellent urban regeneration area as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intuitive emotional experience and the behavioral emotional experience of the visitor's emotional experience act as positive factors in the attachment to the place of play.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human service quality of the visitor's cognitive exper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achment to the place of attachment. Third, it was analyzed that attachment to reclaimed land had a positive effect on awareness of urban regeneration lan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re a special experience in a specific urban renewal area is recognized as a place with distinc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urban renewal areas, the more the perception of the urban renewal area is superior, and they prefer to stay in the relevant urban renewal area rather than other urban renewal areas. means to do Fourth, it was analyzed that attachment to reclaimed land had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to urban regenerated land. For visitors, it can be seen that the attachment to the reclaimed area generated through cultural and tourism activities in a specific urban regeneration area ultimately results in an increase in loyalty to the regenerated area.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의 주민 참여 수준 진단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김민지(Kim, Minji),정의태(Jung, Euitay)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4

        연구배경 우리나라는 중앙주도 방식(Top-Down)의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주도 방식(Bottom-Up)의 도시재생사업으로 전환되면서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해졌고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주민 참여 수준을 분석한 것으로, 도시재생사업 추진 과정에 있어 주민 참여에 대한 제도 마련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메타분석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정부 정책과 104개의 지자체별 도시재생사업의 주민 참여 자료를 분석한다. 지자체별 자료는 대한민국 정보공개포털에 청구한 도시재생사업의 주민 참여에 대한 자료로 주민 공청회, 설명회, 주민협의체 등의 회의록이다. 청구된 자료는 광역과 기초로 구분하여 도시재생사업의 추진 단계인 사업 준비, 계획 수립, 사업시행, 사후 관리 4단계로 도시재생사업 주민 참여 특성과 주민 참여 수준 및 형태를 파악한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광역과 기초 모두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한 공청회의 참여 수준은 높게 나타났으나, 주민협의체 구성, 간담회, 설명회, 주민역량강화 등의 형식적인 참여 수준을 보였다. 또한 주민 대표 조직인 주민협의체, 사업추진협의체 구성과 사업추진 등은 비교적 능동적인 참여 수준을 보였지만, 사업 대상 지역의 주민 참여는 미미한 수준이었다. 도시재생사업의 초기 단계인 사업 준비, 계획 수립 단계에서 광역에 비해 기초에서 아이디어 공모, 계획 수립 작성에 참여하는 등 능동적인 참여 수준을 보였지만, 주민 의견수렴에 대한 의문, 실질적인 행정 처리 등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 도시재생사업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 참여 수준이 형식적이고 수동적이다. 둘째, 주민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다. 셋째, 도시재생사업의 이해관계자 간에 소통이 부재하다. 넷째, 도시재생사업 주민협의체의 핌비 현상이 강하다. 다섯째,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주민 참여 홍보가 부족하다. 결론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4단계에 따른 주민 참여 수준을 광역과 기초로 구분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였고, 현재 우리나라 도시재생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한 연구이다. 향후 도시재생사업 전 과정에 실질적인 주민 참여 방법을 고안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In South Korea, active participation of citizens has become important as it has shifted from a central-led (Top-Down) to a local-led (Bottom-Up)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re is a trend of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can directly affect the lives of people. This study analyzes the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aim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establishing a system for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Methods This study analyzes the government policy and the residents" participation data of 104 projects by local governments through literature meta-analysis. The data for each local government are for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quested by the Korean Information Disclosure Portal, and are minutes of public hearings, briefing sessions, and residents" councils. The requested data are divided into metropolitan and basic municipalities. Afte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level and form of resident participation are identified in four stages of project preparation, plan establishment, project implementation, and follow-up management, which are the steps to promot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sult Both the metropolitan and basic municipalities showed high levels of participation in public hearings based on the Special Act on Revitalization and Support for Urban Regeneration, but the level of formal participation in residents" councils, meetings, briefing sessions, and reinforcement of residents" capabilities was shown. The residents" council, which is the representative organization of the residents, and the organization of the project promotion council and the promotion of the project showed a relatively active level of participation, but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target area was insufficient. In the initial stage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project preparation and planning,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the level of active participation was shown, such as contesting ideas and participating in planning development, but there were problems in collecting residents" opinions and administrative processing. Conclusion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dividing the level of resident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stage into metropolitan and basic municipalities and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A follow-up study is needed on devising a practical way to participate in the entire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KCI등재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역할 및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박성남(Park, Sungnam),서수정(Seo, Soojeoung),임강륜(Lim, Kangr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6 No.4

        2014년 2월에 도시재생지원기구가 복수로 지정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현재 세부적 기능 및 역할 설정은 미흡한 상황이므로, 향후 도시재생 제도의 발전과 도시재생 사업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세부적 역할 설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련 전문가 그룹의 인식 분석을 토대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기능 및 역할과 도시재생사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 역량 및 지원 수요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도시재생 기반 구축이 미비한 시군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이 강조되었다. 주민 및 공무원 대상 교육의 중요성이 지적되었으며,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유형별 지원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아울러 도시재생지원기구 실무자 협의체, 사업 총괄코디네이터, 센터담당자 등 지역별 도시재생 담당자간 네트워크 구축 및 발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기능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전문성, 권한, 역량 증대, 향후 사회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기능 발전, 현장과 연계한 지속적 제도 발전을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ailed functions and roles of the National Urban Regeneration Assistance Agencies. It also seek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al strategies for the agencies in the short- and also long-term perspectives. In-depth interviews with urban regeneration specialists, grouped into four, were conducted to collect various opinions on the future roles of the agencies. Interviewed specialists highlighted a partnership among the three current agencies established in the system. They also argued that supports from the agencies should be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which lacks of urban regeneration capacity.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residents and on public officials was highlighted in the interviews, too.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agreed that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assistance strategy between “city center regeneration projects”, and “urban neighbourhood regeneration projects”. In addition, it was highlighted that there is a need to create and enhance a cooperative network among stockholders and participants including the team staff members from the three agencie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1) enhancing the agencies’ specialties, authorities and capacity, 2) developing its functions responding to future socio-economic changes, and 3) developing its sustainable supporting system responding to local demands properly.

      • KCI등재

        도시재생에 따른 도시재생지원센터와 주민협의체의 개선방안 연구

        조민경,장교식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일감부동산법학 Vol.- No.24

        The current administration has proposed an urban regeneration policy to encourag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around the community. As an alternative, a new deal project focuses on downtown- and common neighborhood-type revitalization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and these types of projects place importance on the cooperation between intermediary organizations and residents. The Urban Regeneration Planning Group, which is a cooperative governed organization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making a plan for big flows in the government’s policies and budgets. The Urban Regeneration Center at metropolitan and lower-level local governments is an organization devoted to making and supporting strategic and revitalization plans for urban regeneration and supervising and coordinating urban regeneration business among related agencies and departments to push forward the project. The Field Urban Regeneration Center supports the efficient propulsion of revitalization projects and serves as a bridge between administrators and residents. In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the concept of a middle management organization is to push forward the vita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cooperative governance among industry, academia, and private sectors by rejectingtop-down urban development l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d making a bottom-up approach to ensure a win-win relationship with the residents. Middle management organizations play the role of supporting or coordinating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and encouragement of participation. Based on a residents participation-type urban regeneration, the residents organization resolves the conflicts of the residents, collects their opinions, and takes part in various projects in the community to ensure a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ere is, however, no clear separation of roles between an urban regeneration center and a field urban regeneration center. In the latter, the employees who are in charge of direct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treat them in unreasonable ways, which slows down the development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sidents and the members of a residents organization have no clear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and the initiative for their meanings, causing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the government running a project and the urban regeneration center. It is critical that an urban regeneration center and the residents of a residents organization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eyond their interests in urban regeneration. This raises a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at the level of residents to induce their active participation. The local government and a field center of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have respective roles that are understood clearly and provide stable financial support to reinforce an intermediary organization. This study sets out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situation of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investigates the current installations and roles of urban regeneration centers and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a residents organization in a residents participation-typ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a legal review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현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은 지역공동체를 중심으로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는 정책을 제시했다. 뉴딜사업은 주거지지원형과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사업의 유형은 중간관리조직과 주민들의 협업을 중시한다.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협업거버넌스 조직인 도시재생기획단은 정부의 정책과 예산의 큰 흐름을 기획하고, 광역과 기초자치단체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역할은 도시재생전략계획 및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의 수립⋅지원 및 사업추진과 관련한 관계 기관⋅부서 간 협력 등 도시재생 관련 업무를 총괄⋅ 조정하는 전담조직이다.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는 활성화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지원하고, 행정부서와 주민 간 가교역할을 수행한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중간관리 조직의 목표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주도하의 하향식 도시개발을 지양하고, 주민과 상생하는 아래로부터의 상향식 접근을 통해 산학과 민간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도시재생의 활성화를 지향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역할은 중간관리 조직에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주민의 의견을 지원 또는 조정하며 참여의 독려이다.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에 기반을 둔 주민협의체의 역할은 주민들간의 갈등 조정 및 의견수렴과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에 참여하며 지역에 필요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도시재생지원센터와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의 역할이 뚜렷하게 분리되지 않고 있으며 대상지 주민들과 소통을 직접 담당하는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직원들의 불합리한 처우는 도시재생사업의 발전 속도를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주민과주민협의체 구성원들은 도시재생의 의미와 주민주도의 의미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정부의 사업운영과 도시재생지원센터 사이에 이해관계의 갈등이 유발되기도 한다. 도시재생지원센터와 주민협의체 주민은 도시재생사업의 이해관계를 떠나 협업의 중요성이 재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주민 눈높이의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중간지원조직 강화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정부의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역할의 명확성과 안정적인 재정 지원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전개 상황을 살펴보면서 도시재생지원센터의 설치현황 및 역할과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협의체의 구성과 운영을 법률적 검토를 토대로 연구 후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현대 소비문화를 통해 본 지방도시 문화적 재생방법에 관한 사례연구 - 일본 규슈지역 히타시, 유후인시, 우키하시를 중심으로 -

        김희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은 2000년대 이후 지속적인 인구 감소와 도시개발 불균형, 저출산·고령화 등의 사회적 문제로 인해 지방도시가 소멸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현재 비이상적인 증가세의 도시화율과 지속적인 인구 감소세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지방도시 소멸’이라는 사회적 위기가 초래되었다. 지속가능한 지방도시를 위해 현대 소비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관광객이 꾸준히 찾는 문화적 재생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과 유사한 ‘지방도시 소멸’이라는 사회적 위기를 먼저 경험한 일본 규슈지역 지방도시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문화적 재생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일본 규슈지역 오이타현의 히타시와 유후인시 그리고 후쿠오카현의 우키하시로 공간적 범위로 한정한다. 연구방법은 현대 소비문화와 문화적 재생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먼저 진행한다. 둘째, 문헌자료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전문가 인터뷰 자료를 종합하여 규슈지역 3개 도시를 선정한다. 그리고 각 지자체 홈페이지와 2023년 7월 현장답사 및 지자체 담당자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문화자원 및 지역 콘텐츠화, 사업유형 및 유지관리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셋째, 각 도시별 문화적 재생사례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문화적 재생방법을 제시한다. (결과) 첫째, 각 지역의 자연환경을 토대로 관광객들이 머물며,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닌 ‘문화산업 중심형’으로 개발되었다. 둘째, 지방도시 문화산업의 적정한 규모를 인지하고, 그에 맞는 지방도시 장점을 살린 문화적 재생방법이다. 마지막으로 국가 혹은 지방자치단체 정책 중심의 문화적 재생이 아닌 지역 주민과 진흥단체 주도로 진행된 점이다. (결론) 본 연구는 현대 소비문화를 이해하고, 일본 규슈지역 지방도시의 문화적 재생방법에 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본 규슈지역 지방도시 문화적 재생방법의 주요 특징은 4계절 체험형 프로그램,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오마카세’형식의 식(食) 문화, 지역 본연의 특성이 잘 드러난 숙박시설이 결합된 문화적 재생이 필요하다. 둘째, 지방도시의 규모를 고려한 문화적 재생이다. 마지막으로 현대 소비문화의 특수성인 양면성과 SNS를 통한 바이럴 마케팅의 중요성이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지방도시가 겪고 있는 도시적, 사회적 문제를 먼저 경험하고 문화적 재생을 통해 지방도시의 성장을 성공적으로 일궈낸 우수사례를 현대사회의 소비문화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에 따른 문화적 재생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사업내용 및 기대효과 유형 분류 및 분석

        배민경(Min-Kyung Bae),박승훈(Seung-Ho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0

        도시는 다양한 콘텐츠를 담고 있는 유기적 존재로써 특히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도시재생은 콘텐츠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도시의 경쟁력 있는 콘텐츠 개발을 위해 도시재생 사업의 내용과 기대효과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1곳의 근린재생형 선도지역의 마중물 사업의 사업내용과 기대효과를 유형화하고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중물 사업의 사업내용은 물리적 재생이 가장 많으며 기대효과는 사회적 효과가 가장 많았다. 둘째, 사회적 재생의 사업은 주민의 역량강화를 위한 사업이 주를 이룬다. 셋째, 물리적 재생의 기대효과에서는 경관개선에 관한 기대효과가 많았으며, 넷째 사회적 기대효과에서는 도시재생의 기본 개념인 주민참여에 관한 내용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일 효과보다는 사업의 효과를 복합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사업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는 마을 고유의 자산을 활용하고 경쟁력 있는 도시콘텐츠 개발에 기반하며 다양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사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Urban regeneration is a projec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tents and expected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is study, we classified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expected effects of the 11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pilot projec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regeneration is the most popular in terms of project contents, and social approach is the most typical for the expected effects. Second, the project of social regeneration is mainly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residents. Third, the most expected effect of physical regeneration was about the improvement of landscape. Fourth, the most expected effect of social regeneration was the contents of residents’ participation. Final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ojects that can expect a combination effects rather than a single effect.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projects that can have various effect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urban contents.

      • KCI등재

        도시재생뉴딜사업 만족도의 결정요인 분석 - 도시재생 담당자의 추진과정 평가와 지역주민의 사업내용 평가를 중심으로

        구기환,김세용 한국도시설계학회 202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4 No.3

        This article discusses the determinants of the satisfaction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in South Korea. The study measures the project satisfaction level of the staff in charge of the projects and the residents living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The study further identifies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level. The study foun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planning process and securing a stable project budget were negative determinants of staff satisfaction, while inter-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local economy activation were positive determinants. For residents, positive determinants of satisfaction included SOC infrastructure, urban regeneration content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and reinvigorating the local economy. We suggest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staff and establishing clear guidelines for resident participation in projects. Additionally, enhancing the living environment by upgrading SOC infrastructure and physical conditions for residents is crucial in improving satisfaction with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이 연구는 전국 도시재생뉴딜사업지의 도시재생 담당자들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사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확인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사업 만족도의 지표로 도시재생 담당자의 사업 추진과정의 평가요인과, 도시재생지역 주민의 사업내용의 평가요인을 적용한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도시재생사업 담당자의 사업 만족도의 결정요인으로는 사업계획 과정에서의 주민참여와 안정적인사업예산의 확보가 부정적인 영향요인이었고, 관련 조직 간 협력과 지역 경제 활성화는 긍정적인 영향요인이었다. 둘째, 도시재생지역 주민들의 사업 만족도의 결정요인으로는 SOC 기반시설, 지역 특색의 도시재생 컨텐츠, 지역공동체의 활성화, 지역경제 활성화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인구 사회학적 측면에서 진보적인 정치성향일수록, 여성과젊은 층일수록 사업 만족도가 높아졌다. 따라서 향후 도시재생 담당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주민참여형 사업의 명확한 지침을 제시해야 하며, 또한 지역주민의 공동체를 유지하면서도 적절한 수준의 SOC 개선 및 물리적 정비를 통해 더 나은 정주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