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성 4요소의 통합적 발달을 위한 교육 방안

        김국현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7 No.1

        이 논문의 목적은 레스트의 도덕성 또는 도덕적 행동의 4구성 요소 모델을 이론 틀로 사용하여 윤리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그래서 논문은 윤리교육에서 학생들이 도덕성 각 요소에 필요한 기능들을 잘 발달시키도록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목표, 교육 전략이나 방법, 요소의 발달에 대한 평가에 대해 논의한다. 도덕성 4구성 요소 모델의 주요 함의는 도덕적 행동을 산출하는 4가지 심리과정을 모두가 발달하도록 촉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 모델은 도덕적 실패가 나타나는 이유를 이해하는 유용하다. 윤리교육자들은 이러한 점을 유념한다면 학생들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경험을 설계할 수 있다. 윤리교육의 4구성 요소 모델에 관한 향후 연구 과제에는 요소별로 신뢰할 수 있는 도덕적 행동의 결과를 개발하고 측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use Rest’s Four Component Model of Morality as a theoretical framework to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Ethics Education. A discussion concerning educational goals, strategies, and assessment pertaining to Ethics Education and using the Four Component as a guide is provided. that students can use to develop their skills in each component area. The major implication of the Four Component Model is that all four processes of morality should be fostered. A major value of this framework is its usefulness for understanding the why of moral failing. This may enable educators to design effective educational experiences for students. Future research concerning the Four Component Model of Ethics Education could include developing and assessing reliable behavioral outcomes for each of the components.

      • 전문가윤리의 관점에서 본 교사의 도덕성에 대한 탐색적 논의

        최지영 ( Ji Young Choi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2010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6 No.1

        교사의 역할을 천직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에서 벗어나 전문직업인의 관점에서 이해할 때, 교사의 직업윤리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대두된다. 전문가집단의 도덕성에 대한 통합적인 관점이 대두되면서 Rest의 도덕성의 4구성요소모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도덕성의 4구성요소는 도덕적 민감성,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동기화, 도덕적 품성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도덕성을 도덕성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들을 살펴보면 첫째, 교사에게 높은 수준의 도덕성이 필요한 이유로 교직에 대한 관점의 변화, 다문화가정 출신 학생이 증가하는 수업환경의 변화, 교사윤리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대두 등을 들고 있다. 둘째, 교사의 도덕성을 설명하는 데 있어 도덕성의 4구성요소모델의 유용성을 논의하였다. 셋째, 전문가윤리의 관점에서 교사의 도덕성이 의미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도덕성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현재의 교육적 상황에서 다양한 개인적, 문화적 특성을 가진 학생들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배려가 무엇보다도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처하는 교사의 능력은 교직에 입문하기 전에 예비교사 시절부터 길러져야 하는 도덕적 측면에서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rise of an integrative approach about professional ethics,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Rest`s four component model for morality. The components are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ers` morality according to an integrative approach of mor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need high level morality due to the change in the perspective about teaching profession from calling to professional,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in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and rise of an integrative approach about teacher morality. Second, Rest`s four component model of morality is applied in explaining teachers` morality. Third, teachers` morality based on professional ethics perspective is also discussed.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morality.

      • 청소년 도덕성 진단 검사도구 개발 연구Ⅰ

        이인재,김남준,김항인,류숙희,윤영돈,김지영,김경순,서채원,안초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Rest의 4 구성요소에 관한 개념 규정 및 제4 요소인 도덕적 품성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레스트의 4 구성요소 모델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하고자 했으며, 다음으로 레스트가 언급한 제4 요소의 개념정의와 도덕적 품성화 관련 이론들(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이론, 반두라의 자아효능감, 미셸의 만족감의 유예, 나바에즈와 랩슬리의 전문성 모델, 용기와 절제에 관한 긍정심리학의 연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덕적 품성화의 구성 개념을 확정하였다. 도덕적 품성화의 구성 요소는 대항목으로 인내, 자아강도, 수행기술을, 인내의 소항목으로 인지적 전략과 자기 조절, 자아강도의 소항목으로 용기와 자아효능감, 수행기술의 소항목으로 사회적 기술과 의사소통능력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품성화 구성 요소별 측정을 위한 3가지 Story를 제시하고, 각 스토리에 인내(인지적 전략, 자기 조절), 자아강도(용기, 자아효능감), 수행기술(사회적 기술, 의사소통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6문항으로 제시하고,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허위문항 1개를 각각 추가하였다. 각 문항에 대해 5점 척도로 응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서울소재 중-고등학교 학생 총 26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검사의 신뢰도 계수(문항 내적 일치도인 크론바흐 알파)는 .75로 안정적이었다. 타당도와 관련해서 요인분석 결과 도덕적 품성화 능력 검사는 대항목의 요소(인내, 자아강도, 수행기술)별이 아닌 스토리별로 구인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관분석의 결과는 각 요인이 적정한 정도의 상관을 보임으로써 독립적인 구인이며, 세 개의 대항목이 도덕적 품성화 능력 전체와의 상관이 .80에 이르러 도덕적 품성화 능력의 안정적인 구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개발된 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에서 수용할만한 검사로서, 이 연구를 통해 수정 보완된 검사는 도덕적 품성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YMT is developed to measure youth morality based on the four component model’s factor: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character. Moral character is as in the follow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Moral Characterization Test for Youth based on J. Rest’ four component model. The outline of this study runs as follows. First, we scrutinized the four components model of Rest. And then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struct of moral character, we examined not only the concept of the fourth component, that is, moral character or implementation but also the related theories: Aristotle’s virtue theory, the concept of self-efficacy(Bandura), the concept of delayed gratification(Mischel), the model of moral expertise(Narvaez & Lapsley), the study of positive psychology concerning courage and temperance. The construct of moral character consists of persistence(cognitive strategy, self-regulation), ego strength(courage, self-efficacy), and implementation skills(soci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The construct of moral characterization test consists of persistence(cognitive strategy, self-regulation), ego strength(courage, self-efficacy), and implementation skills(soci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with 3 story, 18 items and 3 faking good items of 5 likert type. The subjects were 262 You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reliability of Moral Characterization Test was moderate with Cronbach’s α coefficients .75. The validity of Moral Characterization Test was not good with constructs, but moderate with stories. In conclusion, Moral Characterization Test was proved moderate to measure Youth’ moral characterization. But further study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is test.

      • KCI등재

        교과교육학 : 청소년의 도덕성 측정 연구 -Rst의 4-구성요소 모형을 중심으로-

        전종희 ( Jonghee Jeon ),홍성훈 ( Seong Hoon H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사고(지식)보다는 도덕적 행동에 초점을 둔 Rest의 4-구성요소 모형 (Four-Component Model)에 의거하여 도덕 감수성·판단력·동기화·품성 등 4개 하위요소로서 청소년의 도덕성을 측정하여 청소년 생활지도나 도덕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의 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565 명을 대상으로 도덕성 검사를 실시하고 네 요소의 발달적 분포와 네 요소 간의 관계, 행동 선택의 빈도와 비율 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 석(one 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청소년 대상의 생활지도와 도덕교육의 목표와 방향, 내용과 방법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measure morality of Korean Adolescents based on “the Four Component Model" which was suggested by J. Rest in 1983. The components of the model are psychological processes which must work in order moral action to result. There are at least four processes that produce moral behavior: (1) moral sensitivity, (2) moral judgment, (3) moral motivation, and (4) moral characte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65 2nd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Korea. The investigato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etc. This study suggested conclusions and discussion, and proposals on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guidance and moral education for Korean adolescents.

      • 형제 구조가 아동의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형(Kim, Tae Hyung),임효진(Lim, Hyo Jin)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문제연구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형제 구조가 도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형제 구조를 형제 수, 출생 순위, 형제의 성 구성, 연령차의 4가지 하위 요인으로 분류하고 도덕성을 Rest의 4-구성요소 모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5개 학교 6 학년 학생 382명으로 하였으며 딜레마를 읽고 질문에 응답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형제 구조와 도덕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형제 수 출생 순위, 형제 성 구성, 손위 형제와의 연령차에 따라 아동의 도덕성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아동의 형제 수와 이성 형제가 도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출생 순위와 손위 형제와의 연령차가 아동이 도덕적 행동과 실천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ibling structure on morality of 6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existing studies on child morality have mainly analyzed moral judgment, so have failed to measure the holistic morality of children. The study of sibling structure and morality, therefore, have a limitation considering its importance in child development.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sibling structure and examined how sibling structure was related to morality based on Rest s 4-component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ibling structure on comprehensive morality.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s, a total of 382 students 6th graders from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respond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dilemmas to measure moral judgment (e.g. cognitive morality), two dilemmas to measure moral sensitivity, motivation (e.g. affective morality), and character (e.g. behavioral moralit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ibling structure on the morality of the childre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 number of siblings, birth order, sibling composition.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nd post-hoc analysis (Scheffe 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Statistics 22.0 program.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number of siblings influence positively on morality in general.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actions among siblings help to develop morality and having multiple children positively influence the moral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character according to the children s birth order and the age gap with the siblings. The position of the target child in the family and the role required accordingly influenced the moral behavior and practic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hen the birth order of children was the youngest, moral character was low. It is necessary for youngest children to give and encourage more opportunity to practice moral behavior in home and school. Third,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gender of the child and moral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al character depending on the gender composition among the siblings. This suggests that the interaction with different gender may be more helpful to develop morality. Finally, moral judgment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y element of sibling structure, while moral characte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sibling structure factors. This indicates that sibling structure is more likely to associated with behavioral rather than cognitive/ intellectual morality. In addition, moral character was higher as the composition of the children s siblings varied, so it could be expected that interaction with various kinds of siblings could stimulate the moral behavior and practice of the child.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도덕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임연기,문미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도덕성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도덕적 행동을 산출하는 데 관련된 네 가지 심리적 과정을 도덕성을 구성하는 4구성요소로 모형화한 Rest(1983, 1986)의 도덕성 이론에 기초하여 이론적 모형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교수체제개발의 일반적 절차인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를 거쳐 개발하였으며,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도덕적 딜레마들을 수집하여 학생의 인권 영역(학생의 교육받을 권리, 평등한 대우를 받을 권리,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 표현의 자유를 보호받을 권리, 적법절차를 보호받을 권리), 교사의 권리 영역(교육과정 편성권, 교육과정 운영권, 학생 평가권, 학생 징계권, 노동기본권, 공정한 대우를 받을 권리), 교사의 의무 영역(직무상 의무, 신분상 의무)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시범적 적용을 통해 잠정적인 효과와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실행 및 평가와 관련된 보완사항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4구성요소 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본 도덕발달 연구의 지향점

        서미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2

        본 연구는 Rest의 4구성요소 모델을 소개하고, 이를 기초로 도덕발달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4구성 요소 모델이란, 도덕 민감성, 도덕 판단, 도덕 동기. 그리고 도덕 성격을 나타낸다. 제 1요인에 해당되는 도덕 민감성은 다른 사람의 감정과 반응을 해석하려는 능력에 해당되고, 제 2요인에 해당되는 도덕 판단은 어떤 행동이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 3요인에 해당되는 도덕 동기는 어떤 일에 관심을 가지고, 어떤 일을 가치 있게 생각하느냐를 의미한다. 제 4요인에 해당되는 도덕 성격은 용기, 인내심, 자기-통제등과 같은 도덕적 선택을 지지하는 기술과 실행력을 나타낸다. 국내의 선행연구 32편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도덕 민감성, 도덕 동기, 도덕 성격과 관련된 변인이 각기 분리되어 연구되거나, 1-2개의 변인들 간의 관계만이 탐색되었다. 특히 도덕 판단과 도덕 민감성에 치중된 연구들은 많았지만, 도덕 동기와 도덕 성격을 변인으로 다룬 논문은 극소수이었다. Rest의 주장처럼 도덕 민감성, 도덕 판단, 도덕동기, 도덕 성격이 서로 밀접하게 상호 연계되어 있다면, 단순히 1-2개의 요인들만을 고려한 선행 연구결과들은 그 타당성에 심각한 오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기초로 앞으로 도덕발달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ral development based on the Four Component Model. FCM was first introduced by Rest(1983), and heralded as a major theoretical advance. The four component were consisted of that: (a) moral sensitivity; (b) moral judgement; (c) moral motivation; and (d) moral character. Moral sensitivity involves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reactions and feelings of others. As such, it involves empathy, shame, and guilty. Moral reasoning and judgement is critical element of ethical development, and is tested such as DIT. Moral motivation is identity formation that involve their moral values. Moral character refers to skills and effective actions such as courage, persistence, self control, and so on. FCM was not enough to apply for education of moral. and not investigate a cause-effect relationship. I hoped that would be developed various measurement to survey by FCM.

      • KCI등재후보

        정보윤리 감수성 발달 방안 연구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성의 4구성요소 모형을 정보윤리에 적용하여 정보윤리 감수성 검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초등학생들의 정보윤리 감수성의 실태를 조사한 후, 정보윤리 감수성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스트의 4구성요소 모형을 소개한 후, 제1요소인 도덕적 민감성에 기초한 정보윤리 감수성 하위 차원을 추출하여 정보윤리 감수성 검사를 개발하였고, 서울, 인천 지역의 초등학교 3, 4,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윤리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 결과 3, 4, 5학년 학생들에 비해 6학년 학생들이 낮은 정보윤리 감수성 점수를 받았다. 또한 컴퓨터사용시간과 정보윤리 감수성 점수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도덕적 행동과 도덕적 민감성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해 주고 있다. 정보윤리 감수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정보윤리 관련 딜레마를 활용한 토의식 방법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the Information Ethics Sensitivity Test(IEST) applying Rest's Four Components Model to the information ethics, (2) to surve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IEST, and (3) to suggest the effective instruction-learning idea. The IEST was developed based on moral sensitivity that is the first components of Rest's model. The subjects for the test was 489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The thre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First, sixth grade students showed lower score in the IEST compared with other grade students. Seco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of students' using computer and the IEST score. Lastly,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ethical behavior and IEST score. The discussive approach using information ethical dilemma was suggested for developing the information ethics sensitivity.

      • KCI등재

        도덕성의 4구성요소를 활용한 초등학교 청렴교육 콘텐츠

        박균열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1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grity education at the elementary school by the four components as follows: moral sensitivity, moral judgment, moral motivation, and moral practice. This class was conducted by senior teachers of 3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in Seoul. As a result, teachers and students were very interested and involved in the new program. In the future, this study waits for more diver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iveness. 이 연구는 도덕성의 4구성요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수업에서 청렴교육을 구현하는 것에 주안을 둔다. 이 연구를 위한 수업은 도덕적 감수성, 도덕적 판단력, 도덕적 동기화, 도덕적 실천력의 다양한 도덕성의 개념들을 모두 동원했다. 이 연구를 위한 수업은 서울 소재 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교사경력 30년 이상의 수석교사에 의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교사와 학생들은 대체로 새롭게 도입되어 진행되는 수업방식에 대해 흥미롭다는 관심을 표명했고,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향후 이 수업방식은 보다 다양한 양적, 질적인 연구에 의해 더 검증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