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에 나타난 도덕법칙

        변영진 ( Byun Young-ji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2 No.1

        도덕법칙의 근원에 대한 스미스의 논의와 의무감에 대한 그의 논의는 서로 다른 관점, 즉 각각 경험론과 이성론에서 이루어진다. 이 글에서는 그 점을 문제로 삼고 그의 도덕법칙에 대한 적절한 해석을 제시하려고 한다. 스미스는 도덕법칙이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도덕 감정은 경험에 의해 성립되고, 그 바탕에서 귀납적 일반화를 통해 도덕법칙이 형성된다. 그렇지만 그는 동시에 도덕법칙에 대한 존중, 즉 의무감 규정을 경험론이 아니라 이성론에 따라 탐구한다. 도덕법칙은 결국 신의 명령으로 봐야 하므로 그에 대한 의무감은 절대적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일반적인 스미스 사상 이해와는 다른 낯선 주장이다. 우리는 스미스가 전형적인 경험론자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의 이성론 관점의 주장이 도대체 어떤 이유에서 이뤄진 것이지 스미스 그 자신은 어떠한 해명도 하지 않았다. 이 글은 도덕 감정에 기초한 스미스의 도덕법칙이, 경험론을 통해서는 확증할 수 없는 절대적 효력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도덕법칙의 절대적 효력은 그에 대한 절대적 의무감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리고 스미스는 절대적 의무감을 그의 이론에서 바탕으로 삼고 있는 이신론과 연계하여 합리적 추론을 통해 도출하려 했음을 보일 것이다. Smith`s discussion of the origin of moral rules and his discussion of the sense of duty are taken from different perspectives, namely empiricism and rationalism. In this article, I will take this point as a problem and present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his moral rules. Smith thinks that the moral rules are the result of experience. Moral sentiments are formed by experience, and on the basis of that, moral rules are formed through inductive generalization. However he explores the respect for moral rules, the sense of duty not by empiricism but by rationalism. Moral rules are ultimately to be viewed as a divine command, so the sense of duty to it is absolute. It is an unfamiliar claim to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Smith`s thought. We generally think that he is a typical empiricist. But Smith did not make any clear explanation of why such an insistence of rationalism is made. I present in this paper that Smith`s moral rules based on moral sentiments have the absolute validity that can not be confirmed through empirical theory. I insist that the absolute validity of moral rules implies the absolute sense of duty. And I argue that Smith tries to derive the absolute sense of duty by rational reasoning in connection with deism based on his theory.

      • KCI등재

        퇴계 경(敬) 사상에 대한 칸트 선험윤리적 해석

        박종식 ( Park Jong-si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6 No.-

        본 논문의 목적은 퇴계의 경(敬) 사상을 칸트의 선험윤리적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성학십도』의 경 사상을 『실천이성비판』의 도덕법칙과 비교하고자 한다. 퇴계의 리(理), 기(氣), 성(性), 정(情), 심(心) 등의 개념을 칸트의 자유, 선의지, 도덕법칙, 의무, 존경 개념과 연관해서 탐구할 것이다. 퇴계와 칸트의 도덕성 개념들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경은 유가의 수양론의 핵심에 해당되는데, 퇴계는 경을 학문의 처음이자 끝이라고 주장한다. 퇴계는 사물과 접촉할 때 생기는 인간의 욕망을 경 개념을 통해서 다스리고자 한다. 경은 인간의 욕망과 행위를 규제하는 개념이다. 외부의 욕망에 지배되지 않는 마음의 태도를 유지하려는 것이 경이다. 퇴계의 경 사상은 칸트의 도덕법칙과 선의지에 대한 존경 개념과 연결된다. 인간의 행위는 개인적 욕망에 근거한 준칙이 아니라, 보편적 도덕법칙을 따를 때 도덕적 행위가 된다. 선의지와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의 감정이 도덕적 행위의 동기가 된다. 이 점에서 퇴계와 칸트는 인간의 욕망에 굴복하지 않고 도덕성을 회복할 수 있는 수양의 방법론으로서 경과 도덕법칙을 강조한다. 경향성과 애착으로부터 생기는 욕망을 억제하고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을 통해서 현상계를 넘어서는 것이 도덕적 행위이다. 도덕적 행위의 동기는 바로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과 의무이다. 칸트는 인간은 현상 세계와 이념의 세계를 살아가는 이중성의 존재라고 한다. 욕망능력이 선의지와 도덕법칙을 향할 때 도덕적 존재가 되고, 욕망능력이 욕망 대상을 향할 때 현상적 존재가 된다. 퇴계는 이러한 도덕적 갈등 상황에서 마음을 하나에 집중하는 경의 활동이 필요하다고 한다. 칸트에게는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은 현실의 욕망대상이 아니라, 예지계의 도덕성을 향하게 하는 동기가 된다. 욕망과 도덕의 갈등을 주체의 자유로운 결단을 통해서 극복하는 것이 경의 활동이며,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심이다. 이런 측면에서 퇴계와 칸트의 문제의식과 갈등의 해결방식은 유사하다. 시대적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간 본성에 근거한 보편적 도덕성은 유사한 형식을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oegye's moral theory and Kant's moral theory. In particular, I examine Gyeong in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and the feeling of respect for moral law i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herefore, I explore the similarities by comparing the concepts in Toegye's thought with the concepts moral law, duty, respect for moral law in Kant's moral theory. The concept Gyeong is the main concept to understand cultivation theory of Confucianism. The concept Gyeong claims to be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Sage Learning(聖學). The concept of Gyeong is to reflect on human desires and delicate movements in mind when coming into contact with objects. The concept of Gyeong is a concept that defines human moral behavior. The role of Gyeong is to remove human desires that occur at every moment. Kant also rejects sensory desire and tries to act in accordance with innate moral laws. Toegye's concept Gyeong is connected with Kant's concept respect for moral law. The feeling of respect for moral laws is the motive for moral behavior. Toegye and Kant emphasize concept Gyeong, moral laws as a methodology of cultivation that control one's desire and mind. Moral behavior is to suppress desires and emotions arising from tendency, and it is to lead to the world of morality and intelligence. Physical human beings have the duality living in the real world and the world of morality and intelligence at the same time. Physical human beings constantly moves back and forth between reality and ideal. It is a human being who is of duality that has the ability to transcend human limits. It i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that he can transcend his own limits. In this way, Toegye's concept Gyeong and Kant's moral theory presuppose the good nature of human beings. The realization of nature in specific situations is explained by the revelation of innate nature(性) and emotions(情). Toegye tries to overcome this moral conflict through the activity of Gyeong, which focuses his mind on one. The feeling of respect for the moral laws is the driving force that directs the morality, not the desire of reality. Human beings have the dualtiy that live in the phenomenal and intelligible world. In this respect, the structure of moral theory between Toegye and Kant is similar, and the method of resolving the conflict is similar. Morality appears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imes and cultures, but morality based on human universality is essentially similar. Toegye and Kant argue that the pursuit of happiness based on human desires is contrary to universal morality.

      • KCI등재

        『실천이성비판』에서 도덕적 동기의 현상 문제

        오창환 ( Oh Chang Hwan ) 한국칸트학회 2021 칸트연구 Vol.47 No.-

        『실천이성비판』의 분석론 제3장(이른바 ‘동기’장)은 도덕적 동기가 우리 마음에 현상하는 과정을 다룬다. 도덕적 동기의 현상과 관련하여, 칸트는 한 편으로는 이성의 사실로서 도덕법칙의 지성적 국면을 강조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법칙에 대한 존경’이라는 명명으로 정동적 국면을 부각시킨다. 연구사에서 오랫동안 칸트 윤리학은 지성주의 윤리학 모델로 간주되었고, 이에 대응하여 도덕적 동기부여의 과정도 대개 선험론적 기술방법에 따라 독해되었다. 그러나 ‘동기’장에서 도덕적 동기부여는 존경의 도덕감정이 마음에 현상하는 과정을 더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즉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기술되기도 한다. ‘동기’장에서 칸트는 이 두 가지 서술방법을 구별 없이 중첩적으로 사용한다. 우리는 이 글에서 서로 다른 두 서술방법을 구별하고, 특히 지성주의적 해석자들에 의해 간과되어 온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동기’장의 재독해를 시도한다. 이로써 도덕적 동기부여 과정에서 도덕법칙의 근거 외에도 존경의 도덕감정의 고유한 역할을, 즉 그것이 법칙의 최고 권위의 인지적 또는 발견적 기능을 한다는 점이 밝혀질 수 있다. ‘동기’장의 이러한 재독해는 도덕적 경험의 현상에서 법칙이라는 지성적 국면과 존경이라는 정동적 국면이 양립가능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hird chapter of the Analytic of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a.k.a. the incentive chapter) addresses the process by which moral incentive appears in our minds. Regarding the moral motivation phenomenon, Kant emphasizes the intellectual aspect of moral law as a fact of reason. Meanwhile, he designates its affective aspect as “respect for the law”. In the history of research, Kant's ethics were long regarded as a model of intellectualistic ethics. In response to this, the process of moral motivation was also interpreted based on the transcendental method of description. However, in the incentive chapter, moral motivation is also described in a way that highlights the process in which the moral feeling of respect appears in the mind, that is, according to a phenomenological method. In the incentive chapter, Kant uses these two methods in an overlapping manner without distinction. In this article, we distinguish two different descriptive methods. Specifically, we attempt to re-read the incentive chapter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at has been overlooked by intellectualist interpreters. This would clearly shows that in the process of moral motivation, in addition to the basis of the moral law, the moral feeling of respect plays a unique role. That is, the feeling of respect has a cognitive or heuristic function of the highest authority of the law. This re-reading of the incentive chapter supports the compatibility of the intellectual moment of the law as a moral motive and the affective moment of respect.

      • KCI등재

        칸트의 도덕교육: 고통과 존경의 감정을 중심으로

        김재영(Kim, Jae You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도덕법칙에 따라 행위 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경향성들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경향성들이 약속하는 쾌적함을 포기하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러한 점에서 도덕법칙의 준수에는 필연적으로 고통의 감정이 수반된다. 그리하여 인간은 쾌적한 삶이야말로 행복한 삶이라는 합리화를 통해 도덕법칙을 외면하곤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고통을 이겨내고 도덕법칙에 따라 행위 할 수 있을 것인가? 칸트의 관점에 의거할 때,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의 감정만이 고통의 감정을 작고 사소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도덕법칙에서 존경의 감정을 느끼는 일은 그리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교육이다. 이 글에서 우리는 칸트의 도덕교육에 있어서 고통과 존경의 감정이 갖는 중요성을 밝히고, 존경의 감정을 갖도록 이끄는 교육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To act according to the moral law, we must be free from inclinations. But it is hard to give up the agreeableness promised by inclinations. In this respect, to comply with the moral law must bring about a feeling that can be called pain. For this reason, human beings disregard the moral law by rationalizing that the agreeableness of life is the happiness of life. Then, how can we act according to the moral law with a feeling of pain? In Kant’s perspective, only a feeling of respect can make a pain small and trivial. But feeling respect in the moral law cannot be done simply. So Kant emphasizes the education to give a feeling of respect. In this thesis, we will reveal the importance of pain and respect in Kant’s moral education, and explore what education leads students to have a feeling of respect in the moral law.

      • KCI등재

        칸트의 실천이성에 따른 교육의 과제

        심준섭 ( Shim Joon-seob ),노상우 ( Ro Sang-w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8 교육철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칸트의 실천이성을 분석하여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선험적 조건들을 알아보고, 교육이 추구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이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은 이성에 의해 선험적으로 내재해 있는 도덕법칙을 발견하고, 도덕법칙에 스스로 종속되고 따르는 자율적 의지를 가지고 있다. 인간은 또한 그 자체로 선의지를 본래적으로 내재하고 있는데 이것은 일체의 자연적 경향성에서 독립하여 도덕법칙을 의식하는 의지이다. 인간은 초월적 자유를 선험적으로 가지고 있고, 이를 인식함으로써 도덕적 존재가 될 수 있다. 자유는 도덕법칙의 존재근거로서, 인간은 이를 통해 자연의 인과법칙에서 벗어날 수 있다. 둘째, 인간은 교육을 통해서만 도덕적 인격체가 된다. 칸트에 있어서 교육은 훈육, 문화화, 시민화, 도덕화의 단계로 이루어져야 하며, 개별적 능력, 사회적 개별성, 도덕적 개별성이 함양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에서 첫 번째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도덕적 성격의 형성이다. 배운 내용을 실천으로 옮기기 위해서는 실천하려는 심성, 성격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훈육의 산물인 습관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자신의 준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요구되는 이성의 힘은 소크라테스적 문답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방법을 통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도덕적 성향을 길러야 한다. 도덕적인 인격체가 되기 위해서는 선의지를 통해 모든 자연적인 욕망의 경향성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그 결과로 학습자는 내적 자유를 얻게 될 것이고, 도덕법칙을 존경하며 진정으로 도덕적 실천을 결단하게 된다. This paper analyzes Kant's practical reason related to human life in the age of widespread moral destruction in order to explore a transcendental condition of moral behavior and what the task of current education is. The argu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human beings have found a transcendental, moral principle by reason, and are subordinate to the moral principle of one’s own accord and follow it with free will. We are also predisposed to good will. Good will as a free will is transcendentally inherent in the reason, and it is independent of the whole natural tendencies and is conscious of the laws of morality. Human beings intuitively have a transcendental freedom, and so by recognizing this, humans can be moral beings. Transcendental freedom is the basis of moral principle. Through this human beings can escape from the laws of cause and effect. Second, because humans only become virtuous through education, education must consist of steps of ethical training, enculturation, civilization, and moralization. This has to foster individual capacity, social individualization, and moral individualization. Accordingly the first consideration in education is a formation of moral character. To put into practice the contents we have learned through education, we should form our disposition. To overcome the customs that we have attained by discipline, we also need to act according to principles of autonomy. For these, the power of reason can be formed through Socratic dialectic. We need to cultivate ethical nature of judging and doing for oneself. To become a moral person, we must escape from the tendency of desire naturally. This means that the learner will get inner freedom and conduct the moral practices out of respect for moral law.

      • KCI등재

        AI시대의 형법사상으로서 실천이성과 형법적 도덕률의 필요성과 타당성론

        김준성 한국법학회 2024 법학연구 Vol.93 No.-

        오늘날 우리 사회의 화두는 AI(Artificial Intelligence)이다. 이제 우리 사회는 AI없는 세상을 상상하기 조차 매우 어려운 사회적 환경 속에 살고 있다. 우리의 생활패턴 자체가 AI와 연결되어 있기에 작금의 시대를 AI시대라고 할 수 있다. AI시대는 인간과 AI가 공존 내지 공생하는 시대이다. 그렇다고 하여 인간과 AI의 관계는 동등할 수 없다. AI는 인간의 편의성을 위하여 생활보조적 도구로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과 AI의 관계는 주된 인간과 이에 부수되어 종된 AI 관계로 설정되어야 하며, AI시대를 맞이하여 영원불변한 인간우위의 절대원칙을 확립하여야 한다. 인간은 세상의 그 어떤 개체들보다 절대우위에서 존재하는 인격체이다. 설령 AI가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게 되는 상황이 다가오더라도 AI는 인간이 발명한 피조물에 불과하며, 인간은 AI가 근접할 수 없는 인간 고유의 정신세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 고유의 정신세계에 존재하는 실천이성과 형법적 도덕률은 도덕과 형법의 경계선에서 인간에게 도덕성을 강화하여 인간을 실존케 하는 유용한 형법사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실천이성은 도덕법칙에 근거한 인간의 행위로서 도덕적 명령에 의거하는 이성적 실천력이고, 형법적 도덕률은 형법적 가치를 가지는 도덕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실천이성은 도덕적 판단을 바탕으로 인간에게 합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고, 형법적 도덕률은 일종의 도덕적 명령으로써 인간에게 도덕적 행위를 이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래서 양자는 인간의 내적 판단기준에 공통되는 도덕법칙을 내포하고 있기에 인간다움의 정신세계를 관장하는 결정체로서 상호불가분의 관계성을 가진다. 따라서 AI시대를 맞이하여 인간에게 더욱 필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정신세계를 올바르게 인도하는 형법사상의 함양이다. 즉 실천이성과 형법적 도덕률은 우리 인간에게 도덕성을 강화할 수 있는 실용적인 도덕사상이며, 동시에 매우 유용한 형법사상이기에 AI를 합리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실천이성과 형법적 도덕률은 도덕법칙을 바탕으로 합법성, 공정성, 도덕성을 추구한다. 그래서 양자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덕적 명령에 의한 도덕적 행위를 추구하므로 향후 AI범죄를 예방하는 형법사상으로서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The topic of today's society is artificial intelligence (AI). Nowadays, our society is enveloped in a social environment making it increasingly challenging to imagine a world without AI. The current era can be appropriately labeled as the AI era due to the interconnectedness of our lives with AI. The AI era is an era in which humans and AI coexis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I cannot be considered equal. This is because AI was developed as an auxiliary tool for the convenience of humans. Therefore, in the era of AI,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AI should be established as one where AI is subordinate to humans, ensuring the enduring principle of human advantage. Human beings possess personalities that are inherently superior to those of any other individuals in the world. Despite the possibility of AI surpassing human capabilitie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at AI remains a human creation, and humans possess a distinct mental realm that AI cannot emulate. The practical reason and criminal law of morality, which exist in the human mental world, can serve as useful tools or concepts that reinforce moral standards among individuals, acting as a boundary between morality and criminal law, thereby promoting their coexistence. In this regard, practical reason is a human act that is grounded in moral laws and functions as a rational practical power guided by moral commands. Additionally, criminal law encompasses moral legislation with an emphasis on criminal consequences. In other words, practical reason aims to make humans rational by guiding their moral judgments, while the criminal law of morality intends to ensure that humans engage in moral behavior by issuing moral commands. Therefore, due to both embodying moral laws that are commonly used in human internal judgment criteria, they shar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functioning as crystals that govern the mental world of humanity. Therefore, in the era of AI, what humans need most is the cultivation of a criminal law ideology that accurately guides the human mental world. In other words, practical reason and the criminal law of morality encompass practical moral ideas that can enhance human morality and serve as a valuable criminal ideology, thereby enabling reasonable control of AI. Above all, practical reason and criminal law seek legitimacy, fairness, and morality grounded in moral principles. Therefore, as is well known, both endeavor to promote moral behavior through the imposition of moral order, making it valid to consider criminal law ideology as a means to prevent AI crime in the future.

      • KCI등재

        Kant 윤리학: 도덕교육의 목적으로서의 자유

        박대호(Park, Dae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이상적인 삶과 교육은 도덕이 존재한다는 신념에 입각해 있다. 도덕이 존재하지 않은 삶은 욕망에 내던져진 삶과 다르지 않으며, 도덕을 가정하지 않은 교육은 바로 그 욕망을 지향하는 교육으로 귀착된다. 그러나 도덕은 어디에, 그리고 어떻게 존재하는가? 이러한 질문과 관련하여 가장 주목의 대상이 되는 것은, 도덕이 논리적으로 성립한다는 것을 자신의 철학적 방법을 통하여 여실하게 보여준 Kant의 안목이다. Kant 윤리학은 도덕적 이상태로서의 ‘선의지’를 상정하고 그것을 분석함으로써 도덕이 어떻게 성립하는가를 분명한 형태로 보여주고 있다. 그 분석의 끝에서 마주치는 ‘선험적 자유’는 도덕을 성립시키는 절대적 수준의 아프리오리요, Kant의 이론체계에서의 ‘이념’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Kant의 철학적 논의방식은 선험적 자유가 교육의 실천과 무관하게 이념이 존재한다는 불필요한 생각을 불러일으킨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선험적 자유는 교육과 무관하게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아니요, 오히려 교육의 실천을 통해 드러나고 정립되는 것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여, Kant 윤리학은 인간에게 가장 소중한 것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존재하는가를 보여준다. Kant의 안목에 기대어 말하자면, ‘자유’를 지향하는 삶과 교육이야말로 가장 이상적인 삶이요, 가장 이상적인 교육의 모습이다. Ideal life and education are based on the belief that morality exists. A life without morality is no different from a life thrown away by desire, and an education without moral assumptions results in an education directed at that desire. But where and how does morality exist? The most noteworthy thing about these questions is Kant s insight into the logical establishment of morality through his own philosophical methods. Kant ethics shows in a clear form how morality is established by assuming and analyzing the good will. The Transcendental Freedom at the end of the analysis is no different from the absolute level of a priori, which establishes morality, and the Idee in Kant s theoretical system. Kant s philosophical discussion, however, evokes the unnecessary idea that the Idee exists regardless of the practic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ranscendental Freedom needs to be understood as being revealed and established through the practice of education, not as being able to exist independently of education. In conclusion, Kant s ethics shows what is most precious to humans and how it exists. According to Kant s insight, life and education toward Freedom are the ideal life and the most ide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효’ 의무의 윤리학적 근거

        최문기 한국효학회 2011 효학연구 Vol.0 No.13

        ‘효는 만행의 근본’(孝萬行之本)이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효’는 사회통념상 인간됨의 기본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래서 초․중․고등학교「도덕」,「윤리」 교과서에서도 자녀가 부모에게 ‘효’를 행하는 것을 무조건적이고 당위적인 도덕적 의무이자 도리로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효’에 관한 대부분의 간략한 서술들에는 당위적인 도덕적 의무로서의 ‘효’에 대한 이론적 정당화 근거가 잘 드러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박약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에 대한 자녀의 당연한 도리로 규정되는 ‘효’ 의무의 윤리학적 근거를 더욱 명료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1) 주로 공․맹 유학에서 강조했던 ‘효’를 덕윤리와 배려윤리, 철학적 인간학, 사회생 물학, 칸트주의 등과 더불어 윤리학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효’ 의무의 근원은 도덕정감 및 합리적인 보편법칙에서 파악 될 수 있는데, 이는 서양윤리학에서 도덕적 행위의 근원을 감정과 이성으로 설명하는 방식과도 유사하다고 하겠다. 2) 그리고 ‘완전’ 의무로서의 ‘효’ 의무의 성격을 도출하고자 하였고, 3)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더 나아가 ‘효’ 윤리가 ‘보편윤리’로서의 위상을 지닐 수 있는 가능성 근 거까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보편윤리’의 의미는 관점에 따라서 약간씩 달라질 수 있다. 오늘날 지구촌 시 대에 인류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더욱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이념과 가치를 지향하 는 새로운 보편윤리가 필요한데, 예컨대, 유네스코(UNESCO)의 보고서 [21세기 윤 리를 위한 공동의 틀, 1999]에서 제시된 지구 존속가능성, 권리와 의무에 의거한 인간의 가치 실현, 개인과 공동체 간의 보완성, 정의 등의 문제를 다루는 식의 ‘보 편윤리’, 그리고 큉(Hans Küng)이 인류가 당면한 지구적 문제, 즉 빈곤, 저개발, 환경오염, 인구증가, 폭력, 비관용, 배타주의 등을 다루는 식의 ‘보편윤’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칸트나 헤어(R.H.Hare)가 행위 및 도덕판단의 보편화가능성에 기 초해서 제시 ‘보편윤리’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와는 달리, ‘효’ 의무의 근원을 ‘도덕 정감’뿐만 아니라 ‘보편적인 도덕법칙’에 따르려는 ‘자율의지’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리스 토텔레스나 흄(D. Hme)의 ‘덕’ 윤리나 ‘감정’ 윤리 그리고 칸트식의 ‘의무’ 윤리를 모두 수용할 수 있음을 밝혀 보았다. ‘효’ 의무의 윤리학적 근거에 관한 이러한 이 론적 탐색은 윤리학에서 도덕적 행위의 원천을 감정과 이성으로 설명하는 동․서 양의 주요 이론들의 관점을 상호보완적으로 통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전하 고 보편적인 ‘효’ 의무 유형 및 그것의 보편적 성격을 더욱 분명히 함으로써, '모든 행위의 근’을 일컬어지는 ‘효’ 윤리가 명실공히 ‘보편윤리’로서 자리매김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정당화하는데 다소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Hyo' is generally called the base of all acts. Therefore 'Hyo' is described as an absolute and unconditional moral duty in textbook of「Moral」&「Ethic s」of elementary and junior schools. But almost brief description is lack of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rationale. So this paper is to study to clear the ethical grounds of 'Hyo' duty through as follows : 1) to reinterpret 'Hyo' with virtue ethics, care ethics, philosophical anthropology, social biology as well as confucianism. The origin of 'Hyo' can be understood in both moral sentiment and rational universal law. This is similar to the way of western ethics that explains the origin of moral act with feeling and reason. ; 2) to draw the nature of 'Hyo' duty as perfect and universal duty. ; 3)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Hyo' ethics as universal ethics furthermore. The meaning of universal ethic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For survival and prosperity in global age, we need new universal ethics forward more comprehensive ideas and universal values. In this context, I try to draw the possibility of 'Hyo' ethics as universal ethics. The ethical grounds of 'Hyo' duty can be helpful to establish 'Hyo' ethics as universal ethics as follows : 1) the origin of 'Hyo' duty that is related with moral sentiment and universal moral law can be acceptable with Aristoteles' virtue ethics and D. Hume's feeling ethics, and I. Kant's duty ethics. ; 2) 'Hyo' duty provides us the comprehensive and universal perspective that can complement the main theories among Oriental and Western ethics.

      • KCI등재

        도덕법칙의 보편성과 인간가치체계의 상대성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8 철학적 분석 Vol.0 No.39

        칸트의 도덕적 구성주의에 따르면, 도덕규칙과 도덕적 가치는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실천이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도덕규칙의 객관성과 보편성을 실천이성이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해명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도덕적 규범성의 원천은 어떤 특정한 행위자가 아니라, 이성적 행위자 일반에 토대하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롤즈와 코스가드가 이러한 의미의 칸트적 구성주의를 옹호한다. 그런데 흄적 구성주의자들, 특히 섀런 스트리트에 따르면, 특정 행위자의 가치체계는 그의 사회적, 역사적, 생물학적 우연성을 반영하는 평가적 관점에 의존한다. 따라서 모든 이성적 행위자가 예외 없이 따라야만 하는, 이른바 ‘보편적인 도덕규칙’이라는 것은 객관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들은 도덕적 진리의 본성에 관한 상대주의적 설명에 입각하여 칸트적 구성주의를 비판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대표적인 흄적 구성주의자인 스트리트가 제기하는 비판들로부터 칸트적 구성주의를 옹호하는 데 있다. According to Kantian moral constructivism, moral rules and moral values are not things which we can discover, but rather things which are constructed by our practical reason. Thus, we can explain why moral rules are objective and universal by elucidating the requirements of our practical reason. In addition, the source of moral normativity lies in our rational agency in general, rather than in a particular agent. Notably, Rawls and Korsgaard advocate Kantian constructivism in this sense. However, according to Humean constructivists, especially Sharon Street, the value system of a particular agent depends on an evaluative perspective which reflects his or her social, historical and biological contingencies. Accordingly, on their views, there are no universal moral rules which bind all rational agents without any exception. Therefore, they criticize Kantian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their relativistic accounts of the nature of moral truth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Kantian constructivism can be defended against such criticisms raised especially by Sharon Street.

      • KCI등재

        『실천이성비판』의 자기 사랑의 단절 의미로 읽어본 『맹자』의 사단(四端)

        황순우(Hwang, Soon-u)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6 No.-

        본 논문은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에 도덕 법칙의 주체 개념 형성과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 사랑의 단절이라는 의미를 『孟子』의 사단(四端) 개념에 투영해서 사단을 이해해 보려는 것이다. 도덕 법칙의 주체에 대한 고찰에서는 가장 평범한 상식적인 사람이면 도덕 법칙의 주체가 될 수 있으며, 누구든지 도덕 법칙의 주체라면 자기 행복을 추구하는 자기 사랑의 원리를 단절하는 자임이 밝혀진다. 사단(四端)과 자기 사랑의 단절에 관한 고찰에서는 사단이 인간 존재를 규정하는 근거로 작용하고 사단의 의미가 자기 사랑의 원리에 대한 단절임이 드러난다. 자기 사랑의 원리가 개인주의를 쫓는다면 그것을 단절하는 사단은 사회공동체를 지향하는 이상적인 도덕성으로 밝혀진다. 마지막으로 사단의 확충과 자기 사랑의 단절의 명령에 관한 고찰에서는 사단의 확충은 자기 사랑의 단절의 명령이고 이 명령은 강요된 것이 아니라 자율적인 것이어서 칸트뿐만 아니라 맹자에게도 인간의 자율성이 도덕 법칙의 근원임이 드러난다. In diesem Aufsatz werden die Si Dan(四端) in dem Mengtzu durch die Bedeutung des Abbruchs der Selbstliebe in der Kriktik der praktischen Vernunft projiziert und gelesen. Fuer Kant ist die Befriedigung der Neigungen die subjektiven Bestimmungsgruenden seiner Willkuer. Nach ihnen macht sich selbst das allgemeine Prinzip der Selbstliebe die eigene Glueckseligkeit “zum objektiven Bestimmungsgrund." Das moralische Gesetz schlaegt jenes subjektive Prinzip der Selbstliebe nieder, und das bedeuteter die Si Dan(四端) in dem Mentzu. Die Si Dan sind die Bestimmungsgruende der menschlichen Wesen. Das Subjekt des moralischen Gesetzes bricht deswegen seine Selbstliebe ab und richtet sich an sozialen Gemeinschaft, weil die Selbstlibe fuer den Individualism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